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 섬유산업과 성장 유망산업을 중심으로

        이춘근,여택동,김영재 한국경상학회, 한국국민경제학회 2003 경제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작성한 전국 산업연관표를 연구목적에 따라 재분류 통합하여 비조사법에 의해 대구지역 산업연관모형을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산업의 산업연관구조를 분석하고 대구지역에 대한 산업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주요 전통산업이 섬유산업이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터 직물제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므로, 섬유산업을 4개 부문(방적, 직조 및 섬유가공업, 편조업, 의복 및 장신품, 기타 섬유제품)으로 세분하여 대구지역 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역산업의 연관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구지역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산업구조분석 결과에 따라 대구지역 지역 전통산업인 섬유산업과 성장유망산업에 관한 산업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성장유망산업을 선정함에 있어 입지계수법, 지역 산업연관모형과 같은 지역경제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industrial structure in Daegu area. employing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First,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nd industrial structure in Daegu and attempts to examine the textile industry which has been a key industry in Daegu region. Second, this paper employs the input-output model to show the linkage effects of both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whole industry of Daegu region. Particularly,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Daegu's textile industry. while considering more categorized sub-divisions of the textil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at industry. Lastly,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the industri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Moreover, the current paper intends to present some fruitfu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Milan Project that would help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and thus revive the regional economy in Daegu.

      • KCI등재후보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활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를 중심으로

        이정훈,김성우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방법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은다양한 지역축제를 발굴하여 지역의 이미지 제고를 통한 지역관광수익사업을 활발하게추진하여 왔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방자치단체의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한다는 인식하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12의성마늘국제 연날리기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분석하고자 한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산업승 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살펴보았다. 2012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가 의성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축제기간중 방문 객의 총 지출액인 16억 4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 21억1천만원으로 산출되었고, 수입유 발효과는 1억 2천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0억 2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유산 중 ‘연’이라는 컨셉을 잘살린 지역축제로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지 역경제정책의 수단으로 매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축제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확장 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광지, 문화유적지, 식당, 숙박업 등의 산업들과 밀접한 연계관계를 구축함으로 써 관광객이 더욱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지역간 산업연관모델(IRIO)를 이용한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종로지역을 중심으로-

        이충기 ( Choong Ki Lee ),송학준 ( Hak Jun Song ),문지효 ( Ji Hyo M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지역간 산업연관모델(IRIO)을 이용하여 2011년 서울시 종로구 인바운드 관광산업이 서울시와 타지역에 발생시킨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행(2009)의 지역산업연관표를 서울시와 타지역으로 구분된 두 지역간 산업연관표로 통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생산, 소득, 부가가치, 취업승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종로 방문 경험율을 도출하고, 1인당 지출액을 도출하였으며, 수요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총 종로 방문 외래관광객 수와 총 지출액을 추정하였다. 지역산업연관 분석결과, 2011년 종로 방문 외래관광객의 지출액으로 인하여 서울시와 타지역에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킨 생산파급액은 약 2조 7,124억원(서울시: 약 2조 1,065억원, 타지역: 약 6,059억원), 소득파급액은 약 5,990억원(서울시: 약 5,223억원, 타지역: 약 767억원), 부가가치파급액은 약 1조 3,820억원(서울시: 약 1조 1,383억원, 타지역: 약 2,437억원), 취업파급자수는 약 40,862명(서울시: 약 32,956명, 타지역: 약 7,906명)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for the year of 2011 on the economies of the Jongno-gu, metropolitan Seoul and other region. To this end an Inter-Regional Input-Output(IRIO) model was employed to derive tourism multipliers in terms of output, income, employment, value-added, and tax using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developed by Bank of Korea (2009). Also,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o inbound tourists in order to estimate visit experience and per capita expenditure, and predicted inbound tourists in 2011 using forecasting techniques. Based the results of surveys and forecasts total tourist expenditures were estimated for Jongro-gu. The results of IRIO reveal that in 2011, total expenditures of inbound tourists visiting Jongno-gu would generate approximately 2.7 trillion Won of output impact (Seoul city: 2.1 trillion Won, other region: 606 billion Won), 600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Seoul city: 522 billion Won, other region: 77 billion Won), 1.4 tr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Seoul city: 1.1 trillion Won, other region: 244 billion Won), and 40,862 non-paid and full-time jobs(Seoul city: 32,956 jobs, other region: 7,906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 KCI등재

        지역경제 성장이 지역간 교역과 체화된 미세먼지 배출에 미치는 영향

        김의준(Kim, Euijune),이호준(Hojune Lee)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역경제 성장이 지역간 교역 및 미세먼지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것이다.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한 2단계최소자승법으로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간 교역량 및 체화 된 미세먼지량의 관계를 추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역간 교역량과 체화된 미세먼지량은 이출지역과 이입지역의 산출량에 비례하였다. 체화된 미세먼지 배출량이 이입지역의 산출량에 비례하는 것은 생산지역뿐만 아니라 소비지역도 미세먼지 배출에 책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최종재에서 교역량과 미세먼지 배출의 거리탄력성이 더 컸다. 이는 중간재에 체화된 미세먼지의 배출은 거리보다 산업의 집적, 에너지 소비구조와 같이 다른 요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배출 증가율이 교역량 증가율보다 큰 지역과 작은 지역이 구분되었다. 이 결과는 미세먼지 배출이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의 산업적 특성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시행할 때, 정부가 미세먼지 배출에 관한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trade and Particulate Matter (PM2.5) emission in South Korea. Trading volume and embodied PM between trading regions is estimated by two stage least square method based on gravity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rading volume and embodied PM2.5 is proportional to output of the exporting region and the importing region. The increased PM2.5 emissions as output increases in the importing region increases indicates that not only the exporting region but also the importing region is responsible for PM2.5 emissions. Also, distance elasticity of embodied PM2.5 and trading volume of final goods is larger than that of intermediate goods. In terms of PM2.5, Embodied PM2.5 in intermediate goods is more affe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energy consumption rather than distance. Finally, according to different regional economic growth scenarios, it is found that PM2.5 growth rate in some regions is higher (or lower) than the trading volume growth rate. It implies that the increase in PM2.5 emissions depend on region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regional economic grow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when implementing PM2.5 emission reduc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M2.5 emissions in various regions.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대구지역 항공운송서비스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권재일,김한주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항공운송서비스업분야에서 내륙도시라는 한계를 가진 대구지역의 현실을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항공운송서비스업의 위상을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지역 항공운송서비스업을 현황을 인지하는 실무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제적 파급효과의 비교분석을 위해 지역산업연관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한국은행(2015)에서 발간한「2013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지역산업연관모형을 통한 대구광역시와 12개 시도의 항공운송서비스업의 승수와 영향력 및 감응도 계수를 도출 하였다. 분석 결과 13개 시도별 항공운송서비스업의 생산승수는 지역 내 전 산업 평균보다 낮으며. 지역 내 순위에서도 전체 31개 산업부문 중 29위에서 31위의 분포를 보여 매우 낮은 생산파급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구지역 또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구광역시의 항공운송서비스업의 승수와 계수들은 향후 대구지역 항공운송서비스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inland Daegu-area aviation businesses through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understand the reality and status of Daegu-area aviation transport services based on this analysis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aviation industry in national infrastructure. Also,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paper, we have trie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and hope that this paper may be used as a practical manual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l aviation industry. We have off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 to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ecure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impact. We have drawn aviation industry multipliers and indexes of the sensitiv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12 neighboring cities taking advantage of the '2013 Regional Industry Relation Table' issu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ustry multiplier of air transportation service by province is lower than local average in all industries, and was ranked from 29th to 31st among local ranking which represents very low propagation effect, and it showed that Daegu province also makes no odds. Multipliers and index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which are drawn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n objective index to establish various policies to continuously develop Daegu-area aviation industry.

      • KCI등재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지역경제파급효과 : 대구ㆍ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송건섭(宋建燮),이곤수(李坤洙)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1 No.4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차원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구축된 방법론인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 대구ㆍ경북지역의 혁신도시지역에 입주하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은 공공기관이전 전과 이전 후의 2가지 시나리오를 가지고 지역산업연과모형과 시나리오 방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지역과 경북지역으로의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은 총생산유발 8,096억 원, 부가가치유발 3,599억 원, 고용유발 7,397명의 효과를 가지며, 경북지역은 총생산유발 10,192억 원, 부가가치유발 4,089억 원, 고용유발 8,823명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 ripple effects of public institutions to local moving in dimension of the specific regions. To attain this purpose, using a regional Input-Output(I-O) model on the base of a leading research, it make an estimate a ripple effects of regional economics to public institutions moving into a reform city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analysis are used a scenario method and regional Input-Output model. The results show that moving of public institutions to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re identified very affirmative effects. By a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it is estimated as follows: the Daegu area would generate total output and value-added induction 809.6 billion won, 359.9 billion won and 7,397 new jobs, the Gyeongbuk area would produce total output and value-added induction 1,019.2 billion, 408.9 billion and 8,823 new jobs.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Lee Choon Keun),김진찬(Kim Jin Cha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하고 산업은 자동차부품산업을 별도로 구분하기 위해 161개 산업소분류에서 운송장비부문인 92부문에서 98부문을 도출하고, 30개 산업대분류와 통합하여 전체 산업을 35개 산업으로 분류한 후 재추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와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낮고, 여러가지 산업연관효과도 비교적 낮았다. 다만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다.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을 외생화하여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계산하면,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기타권, 동남권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대구와 경북지역 간에는 효과가 상당히 낮았다. 산업별로는 두 지역 모두 1차 금속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화학제품, 자동차부품,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업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쳐 자동차부품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들 산업의 발전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와 경북지역은 타 지역보다 크게 낮은 중간수요 비중을 높이고, 전방으로의 가치사슬체계를 강화하여 전방연관효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적으로는 대구과 경북지역간 보다는 수도권과 동남권, 기타권 등과의 연관효과가 높으므로 이들 지역과의 산업협력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in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13.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ategorized into 5 regions consisting of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for the industries, in order to classify automobile parts industries, sections between 92 and 98 standing for transportation device parts among 161 small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integrated with 30 large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And then, the entire industries were reclassified into 35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were lower in intermediate input and intermediate demand, than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y were lower in various input-output effects. However,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higher. When calculating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n other regions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on automobile parts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t had higher effects on the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ther regions, and East-South region while the effects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low. By industry, both the regions showed the highest effects on the primary metal products, and then chemical products, automobile parts, metal products,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 industries followed in order. When the final demand of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region is increased by 10 units,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ver the entire Korea were 28.1527 units an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Gyeongbuk region were 29.0928 units. Therefor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should make an effort to raise forward linkage effects by raising the share of their intermediate demands which is far lower than other regions, and strengthening forward value-chain system. For region,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re higher than that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so the industrial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these regions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출과 지역산업 상호의존관계 분석

        정군우 ( Gunu Ju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1

        수출은 다양한 산업부문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한다. 수출주도형 성장을 지속해온 우리나라에서 수출부진이 지속될 경우, 수출에 의존하여 유발된 각 산업 부문의 생산은 감소하게 되고, 이는 결국 경제성장엔진 약화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출이 각 지역 산업간 연관관계 속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가장 최신자료인 한국은행의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연구와는 다른 총투입기준 개념을 적용하여 각 지역별 자급률과 분업률, 수요의존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의존구조 관점에서 대부분의 지역은 타 지역·외국과의 활발한 분업을 통해 생산이 유발되고 있으며, 경기도에 대한 의존도와 자기지역과 인접한 지역과의 상호의존관계가 높았다. 산업별로 보면, 기계, 전기전자, 정밀기기, 1차 금속제품 등에서 지역간 분업이 한층 더 강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수출의 수요의존구조 관점에서 서울과 인천, 경기, 울산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자기지역 수출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 충북과 충남, 대구 등은 타 지역 수출에 의존하여 생산이 이루어지는 비중이 높았다. 산업별로 보면, 투입측면에서는 자기지역 의존형, 수요측면에서는 내수의존형과 같은 자립적 구조가 강한 산업이 있는 반면, 그 반대의 산업부문도 존재하는 등 지역간 상호의존 비중의 크기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xports on regional industry linkage by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input dependency structure, most of the regions were produced through active division of labor with other regions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ir dependence on Gyeonggi Province and interdependence with neighboring regions were high. By industry,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gional division of labor is stronger in machinery, regular electronics, precision instruments, and primary metal products. Second, in terms of production inducement dependency ratio, Seoul, Incheon, Gyeonggi and Ulsan depend heavily on their region's exports, main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n the other hand, Chungbuk, Chungnam and Daegu are highly dependent on other regions. Depending on the industry, there are strong self-dependent structures such as own area dependence on the input side, and also exists a strong self-supporting structure, such as a domestic-dependent type on the demand side.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 간 소득유발과 소득전이 분석

        권태현 한국은행 2021 經濟分析 Vol.27 No.3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examine the regional income disparity in Korea. It measures the regional income inducement by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and the regional interdependency of income using 2005 and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s of 16 provincial regions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come inducement by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decreased overall, main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come inducement of other regions than due to that of their region. Secondly, in many regions, the inter-relational income dependency per unit income decreased also, this too, main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come transfer to other region. And, the income inducement effects of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of Seoul and Gyeonggi, which occupy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economy, were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but took the largest portion of income inducements generated by other regions as well as by themselves and absorbed the income transfers from other regions the most. The higher income inducement and income absorption in Seoul and Gyeonggi by consumption expenditure of other regions were mainly because of the high share in service of their consumption structure, the progress in tertiarization of their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high wage portion. These results also mean that viewed from the regional interdependency of income, the income of Seoul and that of Gyeonggi are highly dependent on the income of other regions. Especially, Gyeonggi which leads the overseas exports of high-tech based manufactured products, has other ex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ir high income inducement, whereas, Seoul which shows high income absorption using its inter-relations with other domestic regions based on the services, has an income-generating structure that is sensitive to other regions’ economic situation. Amid overall declines in regional income inducements and in income transfers, and continuing concentrations into Seoul and Gyeonggi regions, to alleviate the regional disparity, the regional industry policies should, rather than benchmarking the policies of the two concentrated regions, enhance their own inter-regional relationships by strengthening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ir regionally specialized industry. 본 연구는 지역소득의 불균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의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와 지역 간 단위소득에 의한 소득상호의존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지역별 임금소득 및 소비 구조가 반영된 2005년과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별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가 전반적으로 낮아졌는데 자기지역보다 타지역의 소득유발효과 하락이 주요인이었다. 다음으로 각 지역의 단위소득 발생에 의한 지역소득의 상호의존도도 대부분 지역에서 낮아졌는데, 이 역시 타지역으로의 소득전이 하락이 주요인이었다. 한편,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서울과 경기는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가 타지역보다 낮지만 자기지역은 물론 타지역의 소비에 의해 발생한 소득유발효과를 가장 많이 차지하고 타지역으로부터의 소득전이를 가장 많이 흡수하였다. 이는 소비구조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경기는 물론 특히 서울의 산업구조 서비스화 진전과 임금소득 비중이 높은 데 주로 기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소득의 상호의존도 측면에서 보면 서울과 경기는 타지역의 소득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경기는 고기술 제조업 제품의 해외수출을 주도하는 지역이라 대외 요인도 소득유발에 기여하지만, 서울의 경우 서비스를 기반으로 국내 상호연관구조를 이용한 소득흡수가 높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국내 타지역의 경제 상황에 민감한 소득 창출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간 소득유발효과와 소득전이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서울과 경기로의 집중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불균형을 구조적 측면에서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산업정책은 서울이나 경기의 구조를 벤치마킹하는 것보다는 각 지역 특화산업의 비교우위를 강화하여 지역 간 상호연계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