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감성조명 특성에 관한 연구 - 시지각 체험을 중심으로 -

        이아름 ( Arum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커피전문점 과포화 시대에 사람들은 차별화된 문화적 체험이나 시각적, 심리적으로 즐거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감성 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은 인공광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지만 빛과 떨어져서 생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감성조명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인간에게 시각은 가장 발달된 감각기관으로 사물인지에 큰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외부 정보를 시각을 통해 얻어서 그 정보로 공간 속에서 시지각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 에게 감성적으로 차별화를 줘야 하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역할이 크다고 보며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가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자료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3가지와 시지각 체험 요소 3가지를 세부적으로 추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브랜드커피전문점 4곳 중 감성조명이 적용된 스페셜 매장 위주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를 하였고 구조화한 분석 모형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와 시지각 체험 요소의 관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 후 종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각 커피전문점들은 일률적인 매장 구성의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스페셜 매장을 통해서 다른 지점에서 경험 할 수 없는 감성조명으로 시지각 체험이 가능한 감성공간을 연출하려고 한다. 브랜드 마다 추구하는 감성공간의 연출이 다르지만 감성조명의 다양한 특성 요소들을 통해 다른 매장에서 할 수 없는 시지각 체험을 하여 경쟁 커피전문점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려한다. 감성공간을 구성하는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중 밝기 대비와 형태는 공간의 시지각 체험 요소인 공간감, 투명감 그리고 흥미를 유발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요소인 쾌적함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색채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소였다. (결론)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들이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게 되었고 본 연구가 감성조명을 활용한 시지각 체험공간 연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차별화된 감성공간을 요구하는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감성조명을 통해 시각적,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생겨나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ge of oversaturated coffee shops, people have begun to prefer spaces where they can experience different cultural interactions or feel visual, emotional, and mental pleasure or comfort. Although modern people suffer from light pollution due to injudicious use of artificial light, emotional lighting is still important factor, and humans cannot live without light. Also, vision is the most developed sensory organ of humans, and plays a major role in recognizing people, places, and objects. People obtain external information mostly by vision and experience visual perceptions of the spaces around them.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ligh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and coffee shops in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to customers. Its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on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Metho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and reference material, this study extracted and classified thre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and thre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in detail. It then conducted field survey focusing on special shops that applied emotional lighting among four brand coffee shops with a high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Then, using a structured analytic model, it 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emotional lighting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on a Likert scale of 5 points and made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each coffee shop tried to create an emotional space to create a specific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using emotional lighting different from what customers see in other coffee shops, specifically to attract those who want to deviate from uniform-brand coffee franchises. Each brand seeks a different display of emotional space, but they all chose differentiation from competitors of coffee shops by providing visual perception experien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that create an emotional space include brightness, contrast, and shape, all of which have a strong influence on one`s sense of space and transparency, and all of which ar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of space and comfortability, the factors that cause interest and ease (whereas color appeared to have little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n th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a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display using emotional lighting. Such a reference could help more spaces to emerge where people can enjoy visual and mental comfort thanks to emotional lighting in the age that demands differentiated emotional space.

      • KCI등재

        객잔(客栈)의 고객체험이 지각된 가치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문화에 대한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조예,윤태환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such as customer experience, perceived value, involvement, Inn loyalty, etc. To test the hypothesis, empirical research method of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with the help of AMO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it confirms that there are three factors of customer experience: escape experience, cultural experience and physical experience. Secondly, customer experience has a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value. Thirdly, cultural experience and physical experience of the customer experience have a positive (+) effects on the Inn loyalty. Fourthly, the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 effects on Inn loyalty. Fifthly, perceived valu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ultural experience and physical experience on Inn loyalty, while perceived value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cape experience and Inn loyalty. Sixth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Involvement with The Regional Culture has been proved to have a moderating role.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inn should use strategic experience marketing in the planning and marketing process, develop diversified experience elements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actively provide cultural experience according to customer needs,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n, improve Inn loyalty. 본 연구에서는 객잔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객잔의 고객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지역문화에 대한 관여도가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객체험에 대한 물리적 체험, 일탈적 체험, 문화적 체험의 3가지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객체험은 지각된 가치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체험 중 문화적 체험과 물리적 체험은 객잔 애호도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객잔 애호도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가치는 문화적 체험과 물리적 체험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지각된 가치는 일탈적 체험과 애호도 간의 관계에 대해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 고객체험과 지각된 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지역문화에 대한 관여도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고객체험의 각 차원별 상호작용의 유의성에 대한확인 한 결과, 관여도는 객잔 고객체험의 세 차원 중 문화적 체험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객잔은 기획 및 마케팅 단계에서 전략적인 체험마케팅을 활용하여 다양화된 체험요소의 차별화 전략을 제정하고 고객의 수요에 따라 문화적 체험을 적극적인제공하며 객잔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브랜드의 충성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을 도모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의영향 연구- 심리적 안녕감, 지각된 스트레스, 가족건강성을 중심으로 -

        임홍경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temple stay experience, this thesis examines the effects of temple stay experience on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family health based on experiential economic theory and the change patterns and experiential factors on these factors.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means of the temple stay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increased self-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health, and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with increased post-mortem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emple stay experience is effective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family health.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le stay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family health was analyzed by Pearson's tempor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was verified. The fact that well-be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were increased and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were decreased means that the temple stay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temple stay into a healing and healing experience as well as a cultural experience by relating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of temple stay on the quality of life to the happiness of the people and the improvement of leisure life.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development of temple stay programs based on experiential economy theory and to grow and develop as a sustainable healing program. 본 논문은 템플스테이 체험 효과를 탐색하고자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참가자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변화양상과 체험요인의 효과성과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템플스테이 체험의 사전, 사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사후 평균값이 증가한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과 사후 평균값이 감소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템플스테이 체험은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가족건강성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 체험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행한 결과 상관관계는 검증되었다. 체험요인과 종속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결과 참가자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가족건강성은 증대되고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은 감소되었다. 이것은 템플스테이 체험이 참가자들에게 순기능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템플스테이의 긍정적 영향관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국민의 행복과 여가생활 향상에 연관시켜서 템플스테이를 문화체험과 치유와 힐링 체험으로 변모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개발의 다양화와 지속가능한 힐링 프로그램으로서 성장,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각 현상학을 통해 본 피지털 브랜드 공간특성 연구 - 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SEMs)을 중심으로-

        박크세니야,김지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 마케팅 환경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정보 기술의 혁신, 브랜드 요구의 다양화, 커뮤니케이션과 오락성의 보편화는 브랜드 공간에서 소비자의 체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피지털(Phygital) 컨셉이 주목받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와 디지털 요소를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브랜드는 피지털 공간을 통해 차별화하고 소비자와의 상호작용 및 충성도를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의 체험과 지각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각 현상학의 공간론을 통해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핵심 특성을 조사하고 소비자의 지각 및 경험을 밝히며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SEMs) 모듈을 활용하여 피지털 브랜드 공간을 이해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경험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현대 브랜드 공간에서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체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몸과 공간의 요소 및 표현을 정리하였다. 둘째, 번 슈미트의 전략적 체험 모듈(SEMs)을 바탕으로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주어진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특성 요소를 현상학적 지각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지각 현상학을 통해 본 피지털 브랜드 공간 특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해진 사례 대상의 분석을 통해 실제 피지털 브랜드 공간에서 발생하는 지각 현상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이론적인 개념을 현실 공간에 적용하고, 연구의 결과를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피지털 브랜드 공간에서 몸, 움직임, 그리고 장소의 현상학 공간 요소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몸은 브랜드 인식과 개인화된 경험에 핵심적이다. 소비자의 몸을 통해 공간의 상하좌우 및 깊이감을 지각하고, 이를 통해 브랜드 공간 내에서의 위치와 관계를 이해한다. 움직임은 상호작용과 참여를 촉진하고, 지각 현상학 관점에서 소비자의 움직임은 공간 내에서의 연속성과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지각 현상학 관점에서 소비자의 움직임은 공간 내에서의 연속성과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장소는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물리적 형태와 비물리적 형태를 포함한다. 물리적 형태는 소비자의 시지각적 체험을 조성하며, 비물리적 형태는 감성적 영향을 미친다. (결론)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대 피지털 브랜드 공간은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고 브랜드 체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나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분석의 한정성과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미래적인 발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제언까지 다루지는 못한 한계점을 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브랜드와 업종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이해를 확장하고, 피지털 브랜드 공간의 미래 발전 방향을 다루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는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 소비자는 더욱 풍부한 브랜드 체험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어촌관광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 관광체험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 남해군을 중심으로

        김석영,이병윤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어촌관광의 체험요인이 어촌을 방문하여 체험하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체험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남해군의 어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실무적인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가설을 실증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 15.0)과 AMOS(Ver. 7.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촌관광의 체험요인이 체험하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지각된 가치는 관광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체험마케팅이 만족도,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충환(Choong-hwan Kim),정연승(Yeon-sung Jung)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3

        전통적 마케팅은 제품기능의 특징과 편익에 초점을 맞춘 반면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체험을 중요시 하며, 전통적 마케팅은 고객을 이성적 의사결정자로 생각하는 반면, 체험마케팅은 감정적 결정자로 생각한다. 즉, 체험마케팅은 고객체험에 중점을 둔다는 점이 전통적 마케팅과 가장 큰 차이이다. 상품 자체의 기능과 품질, 편익에 가치를 둔 전통적 마케팅과 달리 고차원적인 가치가 요구되는 오늘날에는 가치로서의 체험의 개념은 소비자에게 ‘공감’과 ‘감동’을 제공하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룰 체험마케팅은 소비되는 분위기와 이미지, 브랜드를 통해 고객의 감각을 자극하는 체험을 창출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 레저 활동은 특히, 체험 이전과 이후의 만족도와 가치의 변화가 큰 분야로서 본 연구는 해양레저활동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체험마케팅의 5가지 요인 변수가 지각된 가치, 만족도, 충성도의 매개를 통해 궁극적으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유형을 체험의 빈도에 따라 일반사용자와 전문사용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용자집단이 가지는 특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해양레저 활동을 경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통해 규명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인집단은 체험마케팅 요소 중 감각, 감성, 행동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와 관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는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일반인집단은 체험마케팅 요소 중 행동과 관계는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 감성, 인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충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만족도는 충성도와 구매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해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해양레저활동 사용자집단별로 체험마케팅을 통한 체험이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간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사용자집단별로 만족도, 충성도,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과정이 서로 다르게 진행됨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사용자의 저변을 확대하고 사용자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5 factor variab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loyalty in marine leisure activity users. Traditional Marketing focuses on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product functions, but experiential marketing emphasizes customer experienc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experiential marketing and traditional marketing is that experiential marketing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 Leisure activity has a great change in satisfaction and value after the experience. Especially, user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user group and expert user group,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about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user group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marine leisure activity users and the findings about research hypothesis test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are as follows: First, in expert user group, sense, emotion, and behavior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variables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but perception and relation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loyalty,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in general user group, behavior and relationship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variables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but sense, emotion, and percep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그림 본문 참조]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ce through experiential market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arine leisure activity user group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lso, it is expected that by identifying the process among satisfaction-loyalty-purchase intention appeared differently by user groups.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xpanding the base of user groups and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to encourage users to buy or participate more.

      • KCI등재후보

        어촌체험관광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석영,김한주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관광객의 어촌체험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 15.0)과 AMOS(Ver. 7.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촌체험관광요인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체험만족과 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은 체험적인 요소가 높으며 환경의식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관광객일수록 체험만족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의식지각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할것이며 어촌체험마을에서는 체험에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과 체험에 바탕이 되는 자원을 잘 관리하여야 하고 환경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하여야 한다.

      • KCI등재

        농촌관광 체험요소, 체험가치지각, 체험평가의 구조적 관계: 관여도의 조절역할

        유세란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국민소득 향상과 여가시간이 증가에 따라 지속가능한 산업이자 관광으로 관심을 받는 논총관광의 핵심인 체험에 대해 관광소비자를 대상으로 체험요소와 그에 영향을 받는 체험가치지각과 체험평가(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체험요소와 만족 간의 관여도의 조절역할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련 문헌으로부터 농촌관광, 체험요소, 및 체험가치지각 및 만족, 행동의도, 관여도에 개념을 정립하고,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도출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농촌관광소비자 391명을 대상으로 SPSS 22.0 및 AMO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다중집단 요인분석,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결과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 시 체험요소는 체험가치지각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때, 체험요소는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체험가치지각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넷째, 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체험요소와 만족 사이에 관여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농촌관광의 체험 관련하여 관광소비자 반응 변인과의 영향관계 및 조절역학을 살펴봄으로써 관광소비자들을 깊게 이해하게 되어 농촌관광의 전략적 마케팅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후 농촌체험프로그램을 만들어 가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관광 발전방안의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로컬푸드 문화체험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를 매개변수로

        김미홍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Recently, our interests are growing up the local food with global food’s internationalization. Our interest about local food is increasing with agricultural crises and food safety. And this research will study how the local food cultural experience effect to local food’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royalty. This study analyze customer who experienced the local food cultural experience. And we follow Pine & Gilmore’s theory. They proposed the experience economic theory, which proposed 5 factors to analyze customer. Those are educational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entertaining experience, escaping experience, and physical experience. We select two factors, which are entertaining experience and physical experience. And we will study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of the perceived customer by the two experienced factors. Especially, we analyze the local food policy, cultural factors related with local food, and customer’s perceived value effect, and then, we will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mong factors, propose the policy implications related with local food cultural experience and economic value creations of rural economy. 최근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세계적으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농업문제와 식품안전문제, 그리고 로컬푸드에 관한 관심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농촌 벤쳐 창업의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는 로컬푸드와 관련된 매장체험을 포함한 교육, 현장체험, 식생활 교육 등 제반의 문화 체험요인이 소비자의 지각된 인지적 가치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보고, 고객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로컬푸드 문화를 체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시된 5가지 요인(감각적 체험: 교육체험, 감성체험, 오락체험, 일탈체험, 물리적 체험: 환경적 체험) 중, 오락적 체험요인과, 환경적 체험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요소의 요인별 체험에 의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로컬푸드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도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살펴본다. 특히, 단순 매장납품에 집중된 로컬푸드 벤쳐 창업 전략을 로컬푸드와 관련한 소비자교육 등 다각적인 문화적 체험요소와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의한 매개효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로컬푸드에 대한 거버넌스 정책의 활성화와 농촌지역의 경제가치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관광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주연 ( We Ju-yeon ),윤규미 ( Youn Kyu-mee ),이재곤 ( Lee Jae-ko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4

        본 연구는 국내관광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국내관광을 경험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구글 온라인 설문방법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국내관광 체험요소(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국내관광 체험요소 중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지각된 가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관광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국내관광 체험요소 중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체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 19로 인한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관광목적으로 인한 결과라고 보이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관광객들의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오락적 체험요소와 일탈적 체험요소를 중점적으로 강화하여 즐길거리와 볼거리 위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domestic tourism experience factors o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experienced domestic tourism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5, 2021, an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domestic tourism experience factors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nd deviant experience) on perceived value, the perceived value increases as the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deviant experience are higher among domestic tourism experience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domestic tourism experience factors on revisit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ntertainment and deviant experiences among domestic tourism experience factors, the higher the revisit intention. Educational experience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tourism purposes to relieve depression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that can focus on entertainment and att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