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양송이 ( Yang Songi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여러 번의 산업혁명과 소비문화의 변화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뉴스에 따르면 covid-19의 영향으로 많은 시장이 위기에 놓여 있지만 오히려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더 큰 성장세에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홈 인테리어 시장은 언택트, 스테이 홈, 업무공간으로의 집 등 새로운 트랜드로서 성장세에 있으며 공간의 표현 방식과 앞으로의 방향을 고려해보았을 때 대중적인 홈 인테리어의 고급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실내공간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가구는 각 브랜드들이 마케팅을 위한 공간연출을 함에 있어 각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을 각각의 웹페이지의 광고와 브로슈어 등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럭셔리 공간을 위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럭셔리의 개념과 럭셔리 가구브랜드의 특성 및 지표를 도출한다. 또한 럭셔리 브랜드 가구 마케팅 요소와 럭셔리 공간 및 연출 요소를 통하여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의 지표를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모형으로 분석의 대상은 럭셔리 가구 브랜드는 가구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거론되는 가구로서 현재도 럭셔리 가구에서 잘 알려진 브랜드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의 내용은 브랜드와 이미지,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 럭셔리 가구 브랜드 특성, 온오프라인의 마케팅 표현과 공간 및 연출요소를 5점 척도로 분석한다. (결과)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은 4곳 모두 공통적으로 고급성, 치유성, 조형성, 색채성, 정교성이 충족이 되며 또한 3곳은 과시성, 사치성, 역사성, 희소성을 충족시킨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특성으로는 2개의 브랜드가 모든 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마케팅 표현에 있어서는 4곳의 브랜드가 온라인으로 웹페이지와 카달로그를 제공하고 있다. 공간 대부분 공간과 가구의 색채는 조화를 이룬다. (결론)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은 자부심과 함께 역사와 예술, 절묘한 컬러와 마케팅 공간 배치로 럭셔리한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유명한 건축가와 디자이너와의 파트너십과 마케팅 공간을 통하여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역사적이며 예술적인 장소에 가구를 배치함으로 역사성과 고급성을 갖춘 가구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컬러 분석으로는 각 브랜드가 모두 다른 분석 차트를 보이는데 공통점은 각각의 공간과 가구가 비슷한 명도와 채도를 갖고 있어 잔잔하며 고급스러운 느낌 또는 강렬하고 화려한 느낌을 준다. 각 브랜드는 개성 있는 색채감과 공간감으로 럭셔리의 요소를 갖추어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luxury business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several industrial revolutions and changes in consumer culture, and according to recent news, many markets are in crisis due to covid-19, but the luxury business market is growing more. Among them, the home interior market is growing as a new trend such as untact, stay home, and home to work space. Considering the way these interior spaces are expressed and the futur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luxury of popular home interiors. Therefore, furniture,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space design, presents a space through advertisements and catalogs on each webpage where each brand can increase the value of each brand in producing space for marketing. Especially, Italian furniture brands, which can be called luxury furniture brands, are increasing their brand value by connecting the country's na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with their furniture in the background. As a marketing element of luxury furniture brands, we inte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for the future luxury space through research on the creation of luxury space. (method) This thesis derives the concept of luxury and the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luxury furniture brand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indices of luxury space for marketing through luxury brand furniture marketing elements, luxury spaces, and directing elements. As an evaluation index model for the analysis of luxury space for brand marketing, the analysis targets luxury furniture brands as households discussed in prior research on furniture and are still well-known brands in luxury furniture.The content of the analysis analyzes the brand and image,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luxury furniture brand characteristics, on-line and off-line marketing expressions, and space and direction elements. (Result)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are common in all four places, satisfying luxury, healing, formulation, color, and sophistication, and three also meet ostentation, luxury, historical and scarcity. As a characteristic of luxury furniture brands, two brands satisfy everything, and four brands provide web pages and catalogs online in marketing representations. The colors of most spaces and furniture harmonize. (Conclusions) Luxury furniture brands create a luxurious space with pride, history, art, exquisite colors and marketing space arrangements. In addition, the brand value is raised through partnerships and marketing spaces with renowned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by arranging furniture in historical and artistic places spatially, it intuitively recognizes that it is furniture with historicity and luxury. In color analysis, each brand shows a different analysis chart, but the common point is that each space and furniture have similar brightness and saturation, giving a calm and luxurious feeling or an intense and colorful feeling. Each brand is raising the brand value by having a luxury element with a distinctive color and space.

      • KCI등재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에서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미니멀리즘 속성을 중심으로-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박람회장은 국제경영활동을 위해 각국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참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글로벌 마켓의 동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등 다양한 교류활동이 이루어지는 역동적 장場이다. 이곳에서 사인디자인은 일시적인 기간과 한정된 장소에서 방문 목적에 따라 원활한 활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특수 목적 장소인 국제가구박람회장 사인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의의와 필요한 차별화디자인 특성을 추출하고, 향후 국제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 방향 및 전략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태리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을 범위로 선정하여, 첫째, 사인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여 의의와 특성을 추출하고, 둘째, 건축미학적 관점(미니멀리즘)에서의 해석을 통해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하고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박람회장에서 4개의 영역을 선정하여 사례조사를 한다. 최종적으로는 특수 목적 기능을 갖고 있는 국제가구박람회장과 사인커뮤니케이션간의 상관성을 정의한다. 그리고 앞으로의 디자인 방향성과 전략을 제안한다. (결과) 사인디자인의 5가지 종류種類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은 유도와 안내 그리고 실명 중심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서 문자(가독성), 색채(시인성)는 선정된 4곳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픽토그램(해독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냈다.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특성에서는 4곳에서 ‘사물의 본성(단순성)’과 ‘최소한의 매개(최소성)’ 특성이 매우 높은 분포로 나타났으며, ‘실제적 체험(직관성)’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 사인디자인의 속성을 기능적 측면에서 3속성(가독성, 시인성, 해독성)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3특성(단순성, 최소성, 직관성) 총 6가지를 도출하여,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추출된 6가지 특성들은 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특성이 사인디자인에서 유의미한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의미와 확장성 있는 디자인 전략(사용자 체험을 위한 최소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내용이 향후 커넥티드환경 하에 국제박람회장과 각종 박람회장에서의 사인디자인 프로그램 계획 시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ternational fairs are dynamic venues where various companies from different countries come together to launch promotional campaigns, connect with clients, and collect information on current global market trends. Here, sign designs serve the function of providing smooth support for activities taking place for temporary periods and at limited locations. They vary depending on visits’ purposes. According to this n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t signs found at international exhibition sites and to analyze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volving course of signage designs, and concludes by recommending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future international fairs. (Metho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analysis was derived from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using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in Italy as a case study. First, the study identifies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signage designs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Second, it presents the study’s distinguishing factor; namely, interpreting signage designs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of minimalism. Third, the study further examines other examples, using four different international exhibition fairs as additional case studies. Finally,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gns serving a special purpose and function at international fai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ir communication) is explored in order to propose a future course and strategy for signage designs. (Results) Among the five types of signage design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designs were those that focused on guidance, guides, and hall nam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design components, character (reliability) and color (visibility) received the most focus amongst the four sites selected as case studies. However, pictograms (a measure of decidability), showed relatively low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 of minimalism exhibited very high distribution throughout the four sites. Thi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nature of objects (simplicity) and minimal mediation (minimality). Actual experience (intuition) also turned out to be a highly important factor.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types of signage designs by investigating a total of six attributes implemented at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in Italy. These included the three attributes of signage design (readability, visibility, and decidability) and three attributes of minimalism (simplicity, minimality, and intuitiveness). These six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key elements in signage designs for exhibition sites, and added significant elements in creating a positive visitor experience. Through this research and exploration, the study was able to define the effects of signage design on the success of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Using that information allowed for an expandable design strategy. Ultimately, the result is a compilation of data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planning effective signage systems for international exhibition site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중심으로 -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실생활과 서로의 인간관계를 맺는 방식까지 차별화된 개성화 추세로 변모시킬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첨단기술 융합 환경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줄 것이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우리의 생활패턴을 복잡성 환경으로 빠르게 변모시킬 것이다. 그리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기술의 변화는 공간디자인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그 가치를 인식하기도 전에 새로운 기술의 탄생으로 목적되지 않는 환경으로 진입시킬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공간디자인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재해석과 그에 따른 관련요소의 도구를 확대하여 공간디자인의 차별화 요소를 확장하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디자인 차별화에 대한 특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요소의 확장을 위하여 들뢰즈의 `차이`에서 새로운 도구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디자인 차별화 요소와 들뢰즈의 차이 특성을 관계적 지배인자로 구조화한 평가모형을 제안 하였으며, 첨단 디지털 기술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커넥티드 환경의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사례 범위로 하여 추가된 디자인 차별화 도구를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율주행차 공간에서의 디자인 차별화 요소 중 가장 높은 분포결과를 보인 특성은 독특성, 적합성, 당위성 순으로 차별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둘째, 들뢰즈의 차이에서 추가된 도구들을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대상(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이 내재하고 있는 본성과 의미를 인과관계 측면에서 더 구체적이며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전체적인 공간의 기능 중심과 디자인 뉘앙스에 대한 동일성으로만 해석되던 공간을 대상, 질료, 형상 등의 이질성 요소들을 함께 분석하여 차별화를 더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가 있었다. 셋째, 본 디자인 차별화 해석과 도구의 확장은 차별적인 공간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공간디자인에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차별화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공간디자인에서 지배 인자를 체계적인 평가 도구로 구축한 것이 의미가 있었다. 즉 들뢰즈의 차이의 사유에서 도출한 5가지 도구(대상, 질료, 형상, 통일성, 개체화)를 추가하여 기능성 중심과 감성적 관점에서의 인과관계를 해석함으로써 차별화 디자인 개념을 더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더욱 디지털 기술 중심으로 지향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인 차별화와 의미를 재 정의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더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디자인 차별화의 지배 인자를 추출한 연구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ill transform mod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differentiated and personalized trends, will create new opportunities under the environment converg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changes in environment will accelerate transformation of our living patterns. In addition,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will open up the un-purposed environment, even before we become aware of the purpose, functions, and value of spatial design. Against such a backdrop,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larify the differentiation of spatial design.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and expand the tools of related ele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design differenti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derived new tools based on examination of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to expand the design elements of differentiation. The study proposed an evaluation model that structuralized the derived design differentiation elements and Deleuze`s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 as relational controlling factors. Moreover, the study verified the expansion of design differentiation tools, which were added through analyses of interior spaces in self-driving cars, based on the scope of relevant cases. (Results) First, the uniqueness, suitability, and justifiability, which were characteristics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among design differentiation elements in self-driving car space, turned out to be important elements for differentiation. Second, the tools added from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were subsequently analyzed, so that the nature and meaning inherent in the object (interior space of self-driving car) could be understood more in-depth from the standpoint of a caus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space, which was interpreted through sameness for design nuances and overall function-centricity of space, was analyzed with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substance, shape, etc., and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could be analyzed more specifically. Third, the results of analyses suggested that interpretation of this design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tools could provide a basis for in-depth analyses of differentiated spati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is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 showed that the evaluation tool could be expanded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the study added the 5 tools (object, substance, shape, uniformity, and individualization), extracted reason from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and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centric and emotional perspectives. In that way, the study could analyze the concept of differentiated design with greater clarity and objectivity, so both the design and its meaning can be reinterpreted in the realm of spatial design to be more technology-oriented.

      • KCI등재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전통식문화 팝업 매장 공간디자인 연구 : 감각요소 특성을 중심으로

        이주윤 ( Lee Juyun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시대에서 국가 간의 이동은 그 시작과 끝이 국제공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교통적 장소를 뛰어넘어 각국의 첫인상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콘텐츠를 거대한 산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문화(의.식.주)는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관심의 영역이다. 특히 식문화는 제일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2000년대 이후, 이미 많은 식음 서비스 매장에 차별화와 경쟁력을 위한 방법으로 체험마케팅 프로그램이 반영되고 있고 이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곳에 장소의 특수성을 살려, 문화적 차원에서의 흥미와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체험형마케팅의 전략적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우리의 문화를 알리며 새로운 기념품의 선택도 줄 수 있는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문화 콘텐츠 및 적용 프로그램 개발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체험마케팅 관점에서의 감각요소와 공간 특성을 도출하고, 전통식문화 공간 특성과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이를 모두 종합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도표를 활용하여 공간 유형을 분류하고 각 특성을 반영된 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 평가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이라는 장소적 특성에 맞는 차별화되고 새롭게 분석한 팝업스토어의 적용방안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결과 느린마을, 진로 두꺼비집, 티컬렉티브, 오설록 티스톤 모두 감각요소의 특성은 전반적으로 잘 반영되어 있으며, 시각 > 후각 > 미각의 순으로 특성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대체적으로 퓨전형의 공간들이어서 전통식문화 공간 특성은 약하게 반영되었고, 팝업스토어의 특성에서는 희소성과 문화이벤트성, 체험성이 강하게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4개의 사례 대체적으로 감각요소의 특성 중 시각이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이는 유동인구가 많고 외국 이용객의 비율이 높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한국전통문화센터’에서 주최하는 다른 문화체험들과 잘 어우러지면서 우리의 식문화를 경험하고 구매로 이어지는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식문화 공간의 특성이 더욱 많이 반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의 전통식문화 팝업스토어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흥미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 시각, 후각적 감각 특성과 팝업스토어의 희소성과 체험성 특성이 특히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global era, the movement between countries begins and ends at international airports. Consequently, cultural contents that create first impressions of each country and add high value beyond transportation are being expanded to huge industries. Against this backdrop, Korean culture is an area of interest for foreigners visiting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IA). In particular, food culture has become the most interesting element. Since the 2000s, food and beverage service stores have been using “experience marketing” programs as a way to differentiate and compet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trategic program on hands-on marketing that can draw interest and consumption at the cultural level by utilizing the specificity of the plac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space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 inform on our culture, and provide with new souvenir choic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application programs. (Method)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draws sensory elem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experience marketing perspective,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and pop-up store space, and then, compiles them all together to conduct case analysis. Using the diagram, the space types are classified and evaluated in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reflecting each 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mpany proposes a new and differentiated pop-up store to sui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IA.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low village, Jinro toad house, T-Collective, and Osullok T-stone were well reflected in general and were confirmed to be strong in the order of sight > smell > tast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were reflected weakly as they were fusion-type spaces, whereas those of pop-up stores strongly reflected scarcity, cultural event, and experience. (Conclusion) In the four cases, visuals were the most reflected sensory characteristic, which could be a very important factor at the IIA as it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a high percentage of foreign visito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should be reflected more, which would blend well with other cultural experiences hosted by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enter" at the IIA; this would pique the interest that leads to our food culture and purchase. Therefore, the IIA’s traditional food pop-up store should reflect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o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scarcity and experience characteristics to rouse the consumers’ interest.

      • KCI등재

        전시디자인에서 전시참여 속 휴식공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체험형 인터렉티브 시스템 적용을 중심으로-

        이재률 ( Lee Jaelyul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디자인은 전시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 방법으로 쌍방향 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 중심으로 계획되며, 관람객의 참여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형식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체험형 전시회 참여로 관람객은 더 많은 정보습득과 이해를 위한 상호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전시에 대한 참여로 피로가 축적된다. 그래서 관람객의 피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전시디자인 공간 속에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시공간디자인 속 휴식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과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공간 내부에 휴식공간디자인 계획이 결합할 수 있는 유형과 상호성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특성과 피로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전시디자인에서 체험형 인터렉티브 유형과 구성요소 및 시스템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의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표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제안한다. 넷째, 국내외에 있는 사례 5곳을 선정하여 분석표에 대입하며 휴식공간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디자인계획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도출된 특성과 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나온 결과를 도출하여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을 제안한다. (결과)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을 할 때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요소 중 휴식선상개념에서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이 다양한 피로요소와 휴식형태를 포함하며 휴식공간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휴식선상개념이 상위개념인 곳은 피로요소와 휴식형태에서 많은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인속에 휴식공간디자인을 결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휴식공간디자인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도출한 결과를 비교했다. 전시공간 내부의 휴식공간디자인은 전시공간을 주된 목적으로 디자인을 하며 휴식공간이 전시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으로 접근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하위 개념과 동급개념이 상위개념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향후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을 함께 계획할 때 기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exhibition design is increasingly incorporating interactive system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interaction that allows for two-wa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etting, participation in hands-on exhibitions can create fatigue for individuals due to the desir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rt form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fatigue that may b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design plan of the rest space is an imperative environmental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an provi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in exhibition space design, and to study the types and reciprocity of the design plan for rest space. (Method)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rest space and fatigue elements of exhibition design will b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ly, there will be derivation of hands-on interactive types and structural components, and exhibition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Thirdly, the rest space ele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will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atigue, resting style, and relaxation concept, which will be proposed by making comparisons based on the analysis table. Finally, f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ill be selected, where their rest design plan will be applied to the analysis table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 meaningful exhibition design plan will be proposed. This will be done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Results) When designing a rest space in an ex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three elements fatigue, rest type, and relaxation concept included various fatigue elements and rest types. Conversely, where the concept of relaxation is the top concept, it was able to produce results that did not include many factors within the fatigue elements and relaxation forms.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can be combined with the exhibition’s. The elements of rest space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atigue elements, resting styles, and relaxation concepts where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analysis table.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was crea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it with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ideal for it to be designed with a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 and thus, the rest space can blend naturally in the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sub- and equivalent concept contained more elements than the uppermost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pes that it will provide basic guidance in planning a rest space design together in future exhibition designs.

      • KCI등재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에 관한 연구 -복합쇼핑몰의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주 ( Youngju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감성소비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여가문화 장소로 `복합쇼핑몰`이 주목되고 있다. 복합쇼핑몰은 대형화, 복합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공간에서 자칫 주 목적 공간인 소비 공간까지의 진로인식에 혼란을 줄 수 있어 진입공간에 대한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 진입공간의 진로인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시지각적 연속성 연구를 통해 감성요소가 진입공간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임을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지각적 연속성과 감성요소의 개념에 대한 이론연구와 문헌분석을 통해 시지각적 연속성의 표현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연속성에 영향을 주는 감성요소를 위해 `크리스티안 미쿤다의 감성요소`를 적용하여 요소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복합쇼핑몰의 진입공간 개념 및 구성요소 연구를 내ㆍ외부로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복합쇼핑몰 중 제3세대에 해당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진입공간별 세분화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각 공간별로 연출된 감성요소를 적용하여, 시지각적 연속성과 그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계성을 가지고 직접적으로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쇼핑몰 진입공간에서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이 진입공간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복합쇼핑몰 외부 진입공간에서는`몰링`과 `코어어트렉션`감성요소 표현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행자의 접근성을 위해서 `운동`과 `강조`의 표현이 중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내부 진입공간은 `몰링`과 `컨셉트라인`요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접근성 영역에서는 `운동`, `강조`, `리듬`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공간의 전체 흐름을 인지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동선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복합쇼핑몰 진입공간에서 감성요소는 체험자들의 감성을 자극시켜 물리적 공간에서 자연스러운 연속성과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동기화의 주요장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형화, 다기능화 되고 있는 복합쇼핑몰 공간에서 방문자에게 효과적인 공간인지는 쾌적한 공간 환경을 제공하고, 재방문의 기회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므로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은 최초의 복합쇼핑몰 진입공간 계획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urrent era of emotional consumption, the shopping mall complex is receiving attention as the newest public place for leisure and culture. As these shopping centers continue to become even larger and more complex, they also grow more difficult to navigate, causing confusion in visitors` perception of access to consumption spaces and the primary target space.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n planning these spaces is required to keep up with shifting concern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visual-perceptual sequence, focusing on sensibility elements as a methodology for facilitating customers` perception of access space in shopping complexe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sensibility element is most important in designing similar spaces in the future. (Method)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ncept of the visual-perceptual sequence and sensibility elements, and identified expressive elements of the sequence through literature analyses. For sensibility elements influencing the sequence, the characteristic of each element was analyzed according to scholar Christian Mikunda`s theories on marketing to elicit emotional reactions in customers. Moreover, the author derived the concept and component elements of access spaces in shopping malls separately before subdividing these elements into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Based on those criteria, analysis was confined to cases witnessed by the author, which corresponded to third-generation shopping complexes. Next, cases were analyzed by subdividing them by according to access space. Specifically, the author applied the sensibility elements presented in each space and conducted a correlation study showing how the visual-perceptual sequence and its elements can be directly expressed. (Results) Results showed, firstly, that emotional elements of “malling” and core attraction were found to be frequently expressed in external access spaces of shopping complexes. Additionally, expressions of movement and emphasis were particularly important in increasing accessibility for pedestrians. Second, malling and concept line elements were found to be frequently used in internal access spaces, while movement, emphasis, and rhythm were frequently expressed in the area of accessibility, leading to an overall perception of the space capable of offering a natural traffic flow patter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nsibility elements in access spaces of shopping complexes hold key roles in continuous synchronization, inducing a natural sequence and spatial experience in physical space by stimulating the sensibility of visitors. In particular, as shopping mall spaces become increasingly multi-functional and over-sized, visitors need effective spatial recognition so as to ensure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likelihood they will revisit.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감성조명 특성에 관한 연구 - 시지각 체험을 중심으로 -

        이아름 ( Arum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커피전문점 과포화 시대에 사람들은 차별화된 문화적 체험이나 시각적, 심리적으로 즐거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감성 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은 인공광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지만 빛과 떨어져서 생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감성조명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인간에게 시각은 가장 발달된 감각기관으로 사물인지에 큰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외부 정보를 시각을 통해 얻어서 그 정보로 공간 속에서 시지각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 에게 감성적으로 차별화를 줘야 하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역할이 크다고 보며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가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자료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3가지와 시지각 체험 요소 3가지를 세부적으로 추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브랜드커피전문점 4곳 중 감성조명이 적용된 스페셜 매장 위주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를 하였고 구조화한 분석 모형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와 시지각 체험 요소의 관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 후 종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각 커피전문점들은 일률적인 매장 구성의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스페셜 매장을 통해서 다른 지점에서 경험 할 수 없는 감성조명으로 시지각 체험이 가능한 감성공간을 연출하려고 한다. 브랜드 마다 추구하는 감성공간의 연출이 다르지만 감성조명의 다양한 특성 요소들을 통해 다른 매장에서 할 수 없는 시지각 체험을 하여 경쟁 커피전문점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려한다. 감성공간을 구성하는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중 밝기 대비와 형태는 공간의 시지각 체험 요소인 공간감, 투명감 그리고 흥미를 유발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요소인 쾌적함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색채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소였다. (결론)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들이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게 되었고 본 연구가 감성조명을 활용한 시지각 체험공간 연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차별화된 감성공간을 요구하는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감성조명을 통해 시각적,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생겨나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ge of oversaturated coffee shops, people have begun to prefer spaces where they can experience different cultural interactions or feel visual, emotional, and mental pleasure or comfort. Although modern people suffer from light pollution due to injudicious use of artificial light, emotional lighting is still important factor, and humans cannot live without light. Also, vision is the most developed sensory organ of humans, and plays a major role in recognizing people, places, and objects. People obtain external information mostly by vision and experience visual perceptions of the spaces around them.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ligh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and coffee shops in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to customers. Its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on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Metho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and reference material, this study extracted and classified thre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and thre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in detail. It then conducted field survey focusing on special shops that applied emotional lighting among four brand coffee shops with a high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Then, using a structured analytic model, it 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emotional lighting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on a Likert scale of 5 points and made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each coffee shop tried to create an emotional space to create a specific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using emotional lighting different from what customers see in other coffee shops, specifically to attract those who want to deviate from uniform-brand coffee franchises. Each brand seeks a different display of emotional space, but they all chose differentiation from competitors of coffee shops by providing visual perception experien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that create an emotional space include brightness, contrast, and shape, all of which have a strong influence on one`s sense of space and transparency, and all of which ar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of space and comfortability, the factors that cause interest and ease (whereas color appeared to have little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n th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a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display using emotional lighting. Such a reference could help more spaces to emerge where people can enjoy visual and mental comfort thanks to emotional lighting in the age that demands differentiated emotional space.

      • KCI등재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이 적용된 개방형 복합쇼핑몰 사례 연구 ; 디큐브시티(D-Cube City)의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주 ( Youngju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ICT기술의 접목과 도시기능적 연계로 개방형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는 복합쇼핑몰은 도시적 차원에서 점차 복합화ㆍ대형화 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공간에서는 목적 공간까지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공간 계획이 중요하며, 자연스러운 동선의 흐름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으로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진입공간 계획시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출에서 감성요소가 중요한 요소임을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개념과 감성요소를 상관연구하고,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속성을 위한 표현요소와 감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대상으로 디큐브시티의 진입공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입공간에 연출된 감성요소는 이용자에게 호기심과 주의력을 일으켜 새로운 체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감성요소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표현요소에 의해 요소간의 질서관계를 만들어 보다 순차적으로 인식하게 하게하고, 공간특질 파악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개방형 복합쇼핑몰 진입공간에서 이용자가 흥미로운 공간흐름으로 공간을 질서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출이 필요하며, 특히, 그 영향인자인 감성요소를 적극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Multi-complex shopping malls, which have been transformed into an open space through incorporation of ICT and interconnection with urban functionalities, are evolving more complex and larger structures in urban dimensions. The approach space planning is crucial which enables the undisrupted and smooth access to targeted space in such large space. As a design methodology for natural flow of circulation,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perceptive sequence. For the purpose, this author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visual-perceptive sequence and sensibility elements in this study, and furthermore, derived expression elements and sensibility elements for sequence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his author analyzed the approach space of D-Cube Ci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ensibility elements presented in the approach space aroused curiosity and attention in users, thus providing them with a new experience. Those sensibility elements created a relationship of order among elements through expression elements of visual -perceptive sequence, enabling more sequential perception, and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patial properties. Thus, visual - perceptive sequence needs to be presented to allow users to grasp the space in an orderly manner based on interesting spatial flow in the approach space of open multi-complex shopping mall, and particularly, the sensibility elements which are influential factors, would need to be applied actively.

      • KCI등재

        리빙브랜드 매장의 VP 차별화를 위한 BI 표현전략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소미 ( Somi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최근 사회적 불안이 가중되면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소비자들은 다양한 욕구를 그 안에서 충족하길 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집과 관련된 아이템, 가구, 조명 등 생활 전반에 관련된 용품에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이를 취급하고 있는 리빙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해외 기업들의 국내 진출로 인해 과열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보편화 되어진 제안형태의 VP(Visual Presentation) 공간 연출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브랜드를 중심으로 고객의 시선이 가장 먼저 닿는 매장의 VP 공간이 차별화된 디자인 전략을 가질 수 있는 대안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리빙브랜드의 개념을 제시하고,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VMD의 구성요소를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요소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다. 이 구성요소 중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는 요소를 VP로 보고, 객관적 데이터를 얻기 위한 평가도구로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VP 연출공간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본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의미요소와 표현요소로 분류하여 구성요소를 재구성하고 도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제시한다. 국·내외 리빙브랜드를 사례로 선정하고 제시된 분석틀을 이용해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연구 결과 소비자는 구매행동을 시작하는 단계인 주목(Attention), 흥미(Interest), 욕구(Desire)의 단계에서 시각적인 이미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았고, 상품을 이미지화 하여 제시하는 VP 공간과 연관 지을 수 있었다. 본 연구자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6.7%가 브랜드를 연상함에 있어서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요소 중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표현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연출공간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이를 통해 리빙브랜드 매장의 VP 공간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요소가 강조된 연출공간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요소가 두드러지도록 VP 공간디자인이 표현되기를 기대한다. As social unrest has recently become more severe, consumers spend more time at home and want to fill their various desires there. Owing to this, they pay more attention to items related to their home lives, such as furniture and lighting fixtures, and the living brands dealing with them increase. In addition, in situations where competition gets fierce due to the advance of foreign companies into the domestic market, a change in Visual Presentation (VP) direction space, a presentation form that has become common, is needed.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living brands, particularly on the elements of brand identity as an alternative to VP space in stores, which customers` eyes see first, to have differentiated design strategies. (Methods)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living brands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of VMD by dividing them into VP, point of sale presentation (PP), and item presentation (IP)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se elements, this study sees VP as effectively perceived by consumers and researches the importance of VP direction space by using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stage structure as the instrument for evaluation and collection of objective data. After conduct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brand`s identity, elements ar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meaning and expression, they are reorganized, and an analysis framework is suggested based on the drawn elements. This study selected foreign and domestic living brands as examples and conducted the case analysis using the suggested framework through a field study and survey. (Results)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influenced by the visual image in the stage of starting their purchasing behavior AIDMA, that is, in the stages of attention, interest, and desire, which can be related to the VP space that presents products by focusing on their imag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brand identity must be exactly established for consumers to associate the product with the brand and that when the direction space is remarkably expressed and elements visually suggested brand identity elements, it had positive effects on 66.7% of the respondents. (Conclusions)This study found that the VP space of living brand stores need design strategies for direction space, which emphasizes expression elements of the brand ident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VP space design could be expressed to make brand identity expression elements notice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에 관한 연구 -금호아트홀 연세를 중심으로-

        윤세정 ( Sejeong Yun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 배경 및 목적)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의 다양화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서비스 경제사회로 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만족스러운 문화예술 소비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적절한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주요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및 경향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요소별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공간 중 최근 건립된 금호아트홀 연세로 분석 범위를 한정하고 금호아트홀 연세를 문화예술공간의 기준에 따라 공간구성을 세분화한다. 이러한 금호아트홀 연세의 세부적인 공간을 터치포인트 방법론 중심으로 코드화하여 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사례 분석하였다. 각 세부 공간의 터치포인트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 구성요소에 따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 고찰 및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첫째,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 및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공간에서의 가장 높은 분포 결과를 보인 곳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 중 편리성, 상호성, 정보성에 부합한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를 반영하여 계획한 공간이었다. 셋째,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특성 중 다소 낮은 분포 결과를 보인 서비스디자인 특성은 자발성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의 적극적 공간 경험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디자인의 전략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은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만족을 충족시키며, 서비스 제공자에게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공간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특성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공간계획 하는 것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들이 서비스 경제사회에서 문화예술공간을 포함한 공간디자인의 고품격 전략과 최적화된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한 사전 계획으로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능의 공간에서의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n economic service society, triggered by the increase in interest in service, as well as diversification in the consumers`` experiences and needs. Demands are also increasing for cultural art experiences. Thus, appropriate service design is essential in cultural art spaces to satisfy consumers`` demand. This research analyzes how service design elements are applied in cultural art spaces to identify its primary role. (Method)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principles and trends in service design, and service design elements`` application in spaces will be extracted through an element analysis. The scope is narrowed based on such criteria to the Kumho Art Hall Yonsei among various cultural art spaces, and its spacing is also specifie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service design elements in the space by coding the Touchpoint method in the Kumho Art Hall Yonsei, and examined each case in the property. This method analyzed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were then applied to a touch point in each detailed space. It then studied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depending on the service design``s components. These theories wer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as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ultimately derived regarding the roles and values of the service design as applied to cultural art spaces. (Results)First, the space provided a fluent cultural art experience, and service to the users was harmonious between the space an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Second, the space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result among other cultural art spaces was the one that reflected the users`` experiences and needs: convenienc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Thir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with least distribution result needed self-complimentary strategies to satisfy service users`` needs in their active space experience. (Conclusions)The researcher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at service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to improve corporate image as this satisfies the users`` needs for cultural art experiences. Additionally, it could be predicted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cultural art spaces to evenly distribute the characteristics by reflecting the service design components that form the space.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design property i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adapting optimized space design programs and high-quality space design policies in an economic service society. Finally, research must be sustained regarding service designs for the user``s experiences in various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