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관한 전문가들의 경험 및 요구 분석

        정경희 ( Jung Kyung-hee ),송병섭 ( Song Byung-seop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이 연구는 특수교사 및 언어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경험 및 프로그램 콘텐츠 요구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13명의 전문가 면담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중재 경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 활용을 위한 전문가의 요구,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 활성화 방안 등 3가지 주요 개념이다. 3가지 주요 개념은 첫째,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를 나타내는 다양한 아동, 이들의 특성 및 문제점, 중재목표,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 활용의 어려움 등에 관한 경험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문가의 요구에서 현실이 반영된 실용적인 프로그램의 필요성, 다양한 상황, 개인특성을 반영한 중재 프로그램 콘텐츠의 필요성, 최첨단 공학적 기반 프로그램 콘텐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중재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홍보 및 정보제공, 접근성 및 보급성, 연계프로그램 및 협력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들은 경험을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의 어려움과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의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중재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of special teachers and speech & language pathologists for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content. The results of the 13 expert interviews are the experience of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intervention, the need of experts for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s and the use of content,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content. The three main concep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in the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tervention goals, intervention programs, and content to represent social communication disabilities. Second, the need for practical programs that reflect reality in the needs of experts, various situations, the need for intervention program content that reflec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for state-of-the-art engineering based program content. Third, the promo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intervention programs and content to activate content, accessibility and Prospectivity, link programs and cooperation. In conclusion, it would be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future intervention programs and content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of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and the needs of experts for intervention programs and content.

      • KCI등재

        표적집단 중재로서 활용을 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 중재연구 문헌 분석

        방실,노승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총 Vol.39 No.3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applying a skillstreaming program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methods, interventions, and dependent variables to consider ways to utilize them as target group interventions. Method: Seventeen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established literatur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in detail. Results: First, among the intervention studies applying a skillstreaming program, the majority were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various places. Second, most of the analyzed studi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sociality, including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ird, as for the intervention strategy, most studies used the skillstreaming program alone, and many studies suggested a process for selecting skills taught in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other studies applied the teaching stage suggested by the skillstreaming program. Fourth,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d changes in various areas in addition to sociability. Many studies used SSRS as a tool to measure sociability, but many other studies used the checklist presented by the skillstreaming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skillstreaming program can be actively utilized as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 field. Relat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includ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 중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방법 및 중재와 종속변수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표적집단 중재로서 활용을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문헌을 수집하기 위해 설정한 문헌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분석 대상 논문은 17편이었으며, 수집된 연구들은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중재 및 종속변수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또한 다양한 장소에서 중재가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분석한 연구의 대부분이 사회성을 포함한 다양한 종속변인에 있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 전략은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많은 연구들이 중재에서 지도한 기술들을 선정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교수 단계를 적용한 연구들이 많았다. 넷째, 종속변수는 사회성 외에도 다양한 영역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고 있었으며, 사회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SSRS를 사용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는 연구도 많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표적집단 중재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으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한 논의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이점 및 향후 방향:

        권회연(Kweon, Hoeyeon)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6 장애아동인권연구 Vol.7 No.2

        2014년 11월에 제정된「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5년 1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구체적 프로그램, 담당 기관 및 전문가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특히 법령이 규정하는 지원 대상자가 발달장애인 당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발달장애인 가족의 복지증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가족개입 프로그램의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행동주의적 가족중재 모델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훈련을 포함할 뿐 아니라, 일관성있는 결과의 제공, 명확한 교수, 선행사건에 대한 중재의 제공, 적절한 부모역할 기술에 대한 모델링, 차별강화, 피드백 등의 행동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가족개입 모델과는 차이점을 가진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행동적 가족중재 방법으로서 이론적 배경과 서비스 전달체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효과성이 입증된 가족중재 방법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인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 발달장애인법 시행과 맞춰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지원 시 체계적인 가족중재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적 가족 중재 프로그램의 정착과 국내 도입 등 실천적 과제에 대한 논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implicated in nov, 2015, however, the practice measure were insufficient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expert training, the effective, evidence-based family intervention. The 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have the discrimination of which include the direct training, and then a behavioral teaching strategies such as a offering the consistent outcomes, precious teaching, the intervention for antecedents, modeling process to appropriate parenting,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feedback. Specially,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and positive parenting program presented in background theories and the services delivery systems, the approaches were wide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ies shows that those approaches had been proved to evidence-based practices in many countries. The second, in order to overcome limit of the behaviorism, the various theories such as a developmental theory and recognition behavior therapy, was integrated in the conventional behaviorism. The third, these diversify the application of services delivery system to accord with the individual needs of families and ecological surroundings. The fourth, these sustainedly expand the subject directed and the scope of system applica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practice subjects for the introduction in korea and suggested for the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개발: 델파이 연구

        배수영,주유미,진연주,강수라,남상훈,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2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Delphi method to develop a non-face-to-face cognitive-motor intervention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Firs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three researchers on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s andDelphi surveys, after which the primary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irst Delphi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November 2021. The expert Delphi survey panel was divided intotwo groups: a professor group comprising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and a researcher group comprising those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experienceand students from the occupational therapy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developed and then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welve non-face-to-face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finally developed.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on the modified intervention program to collect further opinions.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values for all 61 items wereabove the standard value of .5, so no items were deleted. However, the second Delphi survey, which collected adviceand opinions from the expert panel, modified the cognitive domain to match the task difficulty. The second Delphisurvey results had CVR values for all 65 items of .7–1.0 and stability of .5 or less, which indicated that the expertpanel's responses were stable.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125–.5,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as .67–1.0. Conclusion: In this study, 12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review and Delphi surveys to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e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based on task suitability, appropriatedifficulty, valid matching, and appropriate cognitive paradigms and domains.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상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이중과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는 문헌 고찰,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델파이 설문조사 과정을 거쳤다. 문헌 고찰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1차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설문조사는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델파이 설문조사의 전문가 패널은 총 20명으로두 그룹으로 나누어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1그룹은 국내외 대학교 작업치료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노인연구를 1회 이상 수행하였거나 노인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자이며, 2그룹은 노인 작업치료 임상 경력이5년 이상이거나 작업치료학 석사 및 박사과정 재학생인 자이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의 수정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2회기의 비대면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 수정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2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는 61개 모든 항목의 content validity ratio (CVR)값은 기준값인 .5이상이었으므로 삭제해야 할 문항은 없었다. 그러나 전문가 패널의 조언 및 의견을 수렴하여 과제의 난이도와연결된 인지 영역을 수정했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65개 모든 항목의 CVR값은 .7~1.0이었으며 안정도는.5 이하로 전문가 패널의 응답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렴도는 .125~.5였으며 합의도는 .67~1.0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하고자 문헌 고찰과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12회기의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과제의 적합도, 난이도의 적절성,인지 패러다임과 인지 영역에 대한 매칭의 타당도가 적합하였으므로 근거 중심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그룹프로그램을 통한 대화기술 중재가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영롱,최소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School-age children,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ir classmates,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versational skills intervention through a group program for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children (second grade) with language delay. For peer conversation abilities, an AB design was applied while analyz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 The conversational skills intervention program was hierarchically designed to improve interaction, presuppositional-skills and mind-reading. This program was administer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over a total of 20 sessions. The intervention included coaching, modeling, motivating and environment provision. This study collected the conversational samples from a usual conversation and group activity, and were also collected individually by the examiner. The performance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were measured. Furthermore, parents' rating was evaluated to identify the change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 The result showed that in peer conversation, in term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the rate of overlap decreased and the rate of maintenance increased. For topic manipulation skills, appropriate rates of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increased. For conversational turn-taking between examiner and children, the rates of initiation and maintenance increased and the rates of overlap and breakdown decreased. For manipulation skills, 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all increased. Parents' rating showed that their children's language ability level improved from prior to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conversational skills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nversational competence of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목적 : 학령기 아동의 대화기술은 학업 성취 및 또래와의 관계 형성과 같은 사회적 능력의 발달에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프로그램을 통한 대화기술중재를 실시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초등학교 2학년 언어발달지체 아동 3명을 그룹으로 구성하여 대화기술 중재를 실시하였다. 대화기술중재 프로그램은 상호작용 증진과 전제능력, 마음읽기에 대한 내용을 위계에 따라 포괄적으로 포함하여구성하였으며, 주 2회 60분간 총 20회기에 걸쳐 코칭, 모델링, 촉진, 환경 제공 등을 기법을 사용하였다. AB설계에 따라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를 진행하였으며, 중재 단계에서 아동들의 일상생활이야기나 협동 활동 상황 속 대화 자료를 수집하여 중재 효과를 분석하였다. 습득된 대화기술의 일반화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중재 전후로 연구자와 아동 간 일대일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중재 프로그램의사회적 타당도 측면을 확인하고자 아동의 주양육자에게 화용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하여 사전․사후대화기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중재효과 측정을 위한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대화차례 주고받기(개시, 유지, 중첩, 중단)와 주제운용 능력(적절한 개시, 유지, 변경)이었다. 결과: 세 명의 참가 아동들은 그룹내 또래 간 대화 및 연구자-아동 간 대화 상황 모두에서 대화기술이 향상된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대화차례 주고받기에서 중첩율이 감소하고 유지율이 증가하였으며, 주제운용능력에서도 적절한 주제유지율과 변경율이 증가하였다. 주 양육자 평정에서도 중재 이전보다 중재 후에 화용기능과 관련된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은 적절하게 대화차례를 주고받으면서 주제를 개시하고 유지하는 주제운용능력이 증진된것으로 나타나 그룹프로그램을 통한 대화기술 중재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김수경,유두한,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에게 인지활동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정서활동을 병행한 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약물치료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을 실험군 39명, 대조군 20명으로 무작위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대조군은 비 중재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실험군에 8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110분씩 총 16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하여 치매선별용 간이정 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for Elderly; COSAS), 한국형 도구 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약물을 복용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 중 복합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 중 재를 실시한 집단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 다(p<.01). 결론 : 복합중재 프로그램은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MIP) that combined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cognitive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Methods: A total of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udy group of 3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applied for the non-intervention. MIP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r 11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MMSE-DS, COSAS were used, and K-IADL was used to measure IADL. Results: Among the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ho were taking medication, the group with M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non-intervention(p<.01). Conclusion: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n patient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 KCI등재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차이

        이윤정(Yun-Jeong Lee),김정자(Jeong-Ja Kim),오명화(Myung-Hwa 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G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경증치매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을 주 2회 30분씩 총 12주 적용하였으며,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은 전산화인지프로그램 15분과 인지통합프로그램 15분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사전 및 사후평가는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각각 세 집단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전후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적용한 집단이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ccording to the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From July to October 2018, 30 minutes of computerization, cognitive integration program, computer recognition program, and cognitive integration program were applied to 30 patients in a nursing hospital located in G city for a total of 12 weeks, and 15 minutes of computerization recognition program and cognitive integration program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15 minutes of computerization recognition program and 15 minutes of cognitive integration program were applied. Pre- and post-evaluation tests were conducted for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living. After examining the three groups"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the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it was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in all categor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ccording to the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the group applied both computerized and cognitive integration programs in all categories showed high effects. Therefore, if various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will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아동 정신건강 지원 중재 프로그램 고찰: 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희정(You, He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국내학위논문에 발표된 아동 정신건강을 지원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고찰해봄으로써 향후 아동 정신건강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2019년까지 아동 정신 건강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논문 5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논문의 수는 200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치료 중심 프로그램은 2005년부터, 다양한 활동 중심 프로그램은 2010년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아동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서 조절 지원 프로그램과 통합 지원 프로그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교 고학년인 만10~12세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방법은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미술 및 음악치료, 신체활동, 놀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었다. 넷째, 프로그램 다수가 양적평가로 효과를 검증하였고 효과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아동은 부정적 정신건강을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중재 프로그램의 발전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s mental healthy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research trends of intervention program to support children s mental healthy published in a domestic thesis. To accomplish this purpose, 58 domestic thesis develop and executed from 2000 to 2019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omestic thesis has steadily increased. Therapy-focused programs have been announced since 2005, and various activities-focused programs have been announced since 2005. Secon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hildren s ment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the highest number of emotional control support program and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mental health were found. Third, The age of the study subject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s execution is the highest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were 10 to 12 years old. In terms of edu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various methods such as art & music therapy, physical activities, and play were conducted in various ways. Fourth. many of the programs verified the effectivenes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s and most programs were analyzed to relieve children s negative mental health and hav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s mental health.

      • 소방공무원 대상 중재프로그램 연구동향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연구중심으로-

        유선경(Sun-kyeng Lew) 한국통합치료학회 2022 통합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소방공무원 대상 중재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살펴 향후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제어 검색을 통해 소방공무원의 중재프로그램 논문 22편을 선정하였고 문헌연구방법인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중재기법, 중재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소방공무원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은 2012년 ‘소방공무원 보건 안전및 복지 기본법’의 제정이후 꾸준히 증가하였다. 연구주제는 정신건강에 부적요인과 관련 있는 주제에서 점차 정적요인과 관련 있는 주제로의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였고 양적연구는 15편, 질적연구를 포함한 연구는 7편이었고 단일군연구가 12편으로 비교군 실험연구 10편보다 많았다. 단일․다수기법중재프로그램에서 중재기법으로 예술심리치료기법의 사용빈도는 9편으로 가장 많았다. 캠프프로그램과 정신건강증진프로그램의 경우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에 기반 한 심신이완을 위한 기법, EMDR, 대체의학적기법 등을 사용한 정신건강교육,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에 근거하여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ffers the groundwork data to facilitate future cre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fire-fighter officers by examining current intervention programs listed on the professional jounals from 2012 to 2022. The study selects 22 writings(articles, thesis, dissertations) on fire-fighter intervention programs by keyword searching and analyzes studying periods, subjects, and intervention tools & methodologies of these writings by applying content analysis (one of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s). Recent trend shows the steady increase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fire-fighte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Health, Safety & Welfare Act’ for fire-fighters in 2012. The subj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shift from negative factors on mental health to positive factors on mental health. 15 writings are categorized as quantitative research. 7 writings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one of the studying analysis tools. 12 writings examine single-group, slightly larger than the number of comparative-group study ones(10). Among the single and multiple method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writings examined, Art psychotherapy method is frequently used. 9 writings use art psychotherapy method. Camp programs &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s for fire-fighters feature mental heath education, personal counselling and group counselling that incorporate various comprehensive therapy approaches based on fire-fighters job characteristics ranging from mind & body relaxation therapy to EMDR, and alternative medicine method. The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requirements to develop and devise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초희,권선정,이승민,제영현,조예나,김은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에 기반을 둔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만 6~9세 아동 6명이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에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 아동 색 선로 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실행기능을 평가하여 프 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과 비교하여 중재 후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와 운동처리기술평가의 처리기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아동 색 선로 검사에 있어 중재 전 점수와 중재 후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 중재가 인지적 억제 실행기능과 수행 실행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에 기반을 둔 중재 접근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대상들에 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group cooking program on executive function for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Methods :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7 to 9 years old. This study was based on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which the group cooking program included making of sandwiches, frog-shaped hamburgers, patbingsu, sausage gimbap, and flowerpot cupcake.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activity sessions, which each session lasted for 120 minute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measured by using the STROOP Color and Word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Results :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n STROOP Color and Word Test and the process skill score of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in Children’s Color Trails Test-2.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roup cooking program intervention has effects on cognitive inhibition execu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is study suggests that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lients in the community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