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창의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선연 ( Kim Sun Yun ),강주리 ( Gang-ju R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후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에서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창의성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학기 동안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서 온라인 PBL방식으로 집단 협력학습을 진행하였다. 독립변인인 사회연결망 중앙성은 추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내향연결, 외향연결, 사이, 인접, 위세 중앙성이라는 하위변인을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인 집단창의성은 사고과정과 결과물로 구분하고, 사고과정은 다시 집단이해, 공감, 통찰, 발상, 선정, 생각시각화, 검토로 세분화된다. 본 연구는 총 30개 집단, 124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사회연결망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 중앙성 중에서 위세와 사이 중앙성이 집단창의성 사고과정과 결과물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집단이해, 공감, 발상 단계에서는 위세 중앙성이, 통찰 단계에서는 위세와 사이 중앙성이, 그리고 검토 단계에서는 사이 중앙성이, 결과물에서는 위세 중앙성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연결망 중앙성은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내향연결 중앙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연결망 중앙성은 집단창의성보다는 학업성취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집단 구성원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위세와 사이 중앙성이 집단창의성 향상에 대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고, 집단창의성 학습활동과 전략에 대한 설계의 필요성을 연구의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centrality on the group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on face-to-face distance class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s an online PBL in non face-to-face video class was deployed for the total of 4 semester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produced by recommendation network data, were social network centrality, while dependent variables were group creativity, which divided into thinking process and result. With total 30 groups of 124 college students, the study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eigen-vector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had an effect on thinking process and result of the group creativity. Specifically, eigen-vector centrality influenced on group understanding, sympathy, and ideation step; eigen-vector and closeness centrality on insight step; closeness centrality on review step; and eigen-vector centrality on result of the group creativity.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in-degree centrality a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academic achievement was more influenced than group creativity by social network centr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eigen-vector and closeness centrality, which indicates inter-relationship among group members, are important on the increase of group creativity in non face-to-face distance class. The necessity of design on group creativity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as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well.

      • KCI등재

        협력적 상호작용 집단의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선연 ( Sun-yun Kim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은 집단 시너지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집단 시너지는 학습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비하여,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밝혀진 바가 미비하다. 최근 사회연결망의 중앙성 지수를 통해 협력적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30개 집단, 165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사회연결망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독립변인인 중앙성은 내향연결, 외향연결, 사이, 인접, 위세 중앙성이라는 하위변인으로, 종속변인인 집단 시너지는 긍정효과 증가, 팀 역량 향상, 부정효과 감소, 집단 창의성 향상이라는 시너지 하위변인으로 세분화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성은 집단 시너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세부적으로 외향연결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 하위요인인 ‘긍정효과 증가’와 ‘팀 역량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앙성은 학업성취에도 긍정적 영향을 보였고, 세부적으로 내향연결 중앙성과 인접 중앙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연결망 중앙성은 집단 시너지 보다는 학업성취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집단 구성, 리더의 선발과 역할, 학습 활동과 전략에 대한 설계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n a group learn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s a key variable influencing group synergy and learning, in which group synergy appears to play a positive role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action, however, research on its influence is scant so that little is known. Recently, collaborative interaction can be understood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Hence, this study analyzed to see if social network centrality reflect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a group learning affects group synerg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which centrality was divided into 5 sub-elements including in-degree, out-degree, betweenness, closeness, and eigenvector centrality; group synergy into 4 sub-elements including the increase of positive effect, the increase of team competency, the decrease of negative effect, and the increase of group creativity. The study conducted SN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ubjects of which were 165 college students in 30 group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ut-degree centra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group synergy, including the increase of positive effect and the increase of team competency. Second, in-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influenced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network centrality influenced mor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on group synerg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escribed discussions and presented implications. Included wer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action, group formation, the selection and role of a group leader, and the design of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교우연결망 변화에 관한 연구: 생활역량을 중심으로

        김현주,노자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 41명을 대상으로 학급 형성 초기에서 후기로의 교우연결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고, 그러한 변화와 생활역량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학급 형성 초기에서 후기로의 전체 교우연결망 변화를 살펴보면, 밀도, 연결선의 수, 파당의 수 및 파당 구성원의 변화와 함께 특정 구성원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감소하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결망 내 구성원의 변화가 가장 많은 중앙성은 내향중앙성, 근접중앙성, 매개중앙성 순으로 밝혀졌다. 초기에 동일 중학교 출신 구성원을 지목한 구성원은 후기에도 같은 선택을 하는 경향을 보여 높은 지역중앙성을 보였고, 이렇게 형성된 배타적 집단이 고립되거나 단절되지 않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에 매개중앙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생활역량이 높았다. 생활역량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초기에는 내향중앙성과 매개중앙성의 평균값이 높고, 후기에는 근접중앙성과 매개중앙성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구성원의 생활역량이 높을수록 초기에는 높은 지역중앙성을 보이나, 학급 형성 초기부터 후기까지 구성원간 매개역할을 하는 정도가 높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구성원들과 맺는 직․간접적 관계가 증가하여 전체중앙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집단역동의 관점에서 생활역량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학급 내 상호작용의 증가와 구성원들의 중앙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 of youth peer network in a class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affected the change of the network. It focused on the effects of youth life competency. To achieve this object, this study analyzed 41 the first year high school girls in the same class. As interactions in the class were increased, density of network, number of linkages and cliques, and centralities were chang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acquaintance and the late acquaintance meant the high level of local centrality. However, it did not mean those cliques are isolated. Members who had high betweenness centrality also had high level of life competency. Groups which had the high level of life competency showed high means of in-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ies in the early period, and high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ies at the end of the study. It meant members who had high level of life competency showed higher level local centrality in the early period, then had the higher level in their whole centrality in the late period. We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ctivities were qualitatively better among those who had the higher life competency level. We concluded that the life competency in terms of group dynamics had import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centralities.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유아 또래관계 유형 탐색

        최연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2

        유아또래관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26개 학급의 유아들에게 좋아하는 유아와 싫어하는 유아 각 3명을 선정하게 하였다. 사회연결망분석의 통계치 가운데 3개의 중앙성 지표(연결정도중앙성, 인접중앙성, 사이중앙성)와 각 중앙성의 중심화 지표를 토대로 또래집단의 유형을 구분해보았다. 연구결과 각 중앙성의 평균이 높은 학급과 낮은 학급의 또래관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연결정도중앙성 평균이 높은 학급에서는 한 명 또는 소수의 유아가 또래관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평균이 낮은 학급일 경우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앙성 평균이 비슷한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중심화의 정도가 높은 학급은 낮은 학급에 비해 중앙 집중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discover peer relationship patterns. Young children in 36 classes were asked to nominate three "like the most" and three "like the least" children in their respective classes. Using Net Miner 4.0 and R program, the number and kinds of ties of connection each member of a class was ascertained. These ties, called centrality, are a measurement indicating how well connected each student is to the social network of the class. Once the many complex sub-measurements of centrality are completed, patterns begin to emerge. For example, one or a small number of children were centers of the social networks in a class with a high degree centrality whereas many children took central roles in a class with low degree centrality. The study offers a full description of the SNA process used and defines the measurements and their roles in constructing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childhood peer relationship patterns through SNA are many and all are based on the insightful knowledge that SNA provides in linking children's development to the interactive, relational influences in their social network.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내에서 중앙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온라인 협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창우(Nam Changw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조언 네트워크에 대한 중앙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온라인 협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조언 네트워크에 대한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중앙성 지수(외향중앙성, 내향중앙성, 사이중앙성, 인접중앙성, 위세중앙성, 보나시치중앙성)를 추출하였고,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검사 및 온라인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조언 네트워크에 대한 중앙성 지수 중에서 위세중앙성 지수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개인의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고, 둘째, 인접중앙성 지수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온라인 협동학습태도에 있어서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협동학습에 대한 개인의 학업성취를 높이고, 온라인 협동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개별화된 교수적 처방을 제공하는 등 학습자의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교수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s’ centrality of their social network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online coope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a perception test on their social(advice) network and a set of survey items about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ere provided for 70 college students in the city of Seoul. In addition, a social network analysis(SNA) was implemented to obtain the diverse centrality indices(outdegree-, indegree-, betweenness-, closeness-, prestige-, and Bonacich’s centrality) of their advice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prestige centrality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closeness centrality and their attitude toward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as significant.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acilitate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online cooperative learning, instructors are recommended to offer them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ir positions in the social(advice) network.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소년소녀가정서비스 네트워크 특성과 영향요인연구

        김선주,김교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2

        In this thesis, decision factors about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servic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e defined to obtain proper empirical bases for building systematic service network in BUSA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headed by child service networks are classified by the exchanging contents as follows. Firstly, In a case of the client refer, The closeness, betweenness centrality of Social welfare public offices is the highest position than any other organizations Secondly, the relational The closeness, betweenness centrality of the resource exchanging network also showed extremely low levels of the client refer The result about the analysis whether the level factor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organizations and the network characteristic affect positivel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shown that organizational type, the number of meeting for network affect positively. Secondly, closeness centrality of the client refer affect positively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irdly, the more the wholly responsible worker and the internal support the more the positive effects This study as a human service network performed an additional verification on the household headed by child service network area and then to contribute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human service network about its examination of the influential factors. Therefore, the network analysis among human service organizations on the various areas and fields remains for the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소년소녀가정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결정요인과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토대가 되는 적합한 경험적 기초를 획득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소년소녀가정 서비스의 구조적인 특성은 교환되는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되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클라이언트 의뢰에서는 부산의 모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조직보다 공공기관이 높은 지표를 나타냈다. 둘째, 상대적으로 자원교환의 인접 중앙성과 매개 중앙성은 클라이언트 의뢰 개별 조직들의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소년소녀가정 서비스 네트워크의 활성화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조직유형과 네트워크를 위한 모임수, 클라이언트 의뢰 인접 중앙성, 전담자여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간 유인의 제도화와 공공기관의 역할 정립, 담당자간의 교류를 넓힐 수 있는 모임등의 활성화 계기가 마련 된다면, 소녀소녀가정 중심의 서비스네워크에서 자원의 원천과 경로들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랜차이즈시스템의 사회연결망 특성이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

        윤한성(Yun Hansung),배상욱(Bae Sang Wook),노정구(Noh Jungkoo) 한국유통학회 2011 流通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진다. 첫째,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사회연결망 밀도와 중앙성이 가맹점의 가맹본부와의 정보공유와 다른 가맹점들과의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둘째, 앞서 제시한 관계들에 있어 가맹점과 가맹본부 간의 유대강도의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실증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소재한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응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맹점의 점주와 점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00부이며, 이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한 18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평균변환법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공유 대상이 가맹본부인 경우 사회연결망 중앙성, 유대강도, 밀도 및 중앙성과 유대강도의 상호작용이 정보공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공유 대상이 다른 가맹점인 경우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정보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ㆍ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지휘통제시간을 고려한 네트워크 영향력 요소 분석

        전진태(Jin-Tae Jeon),박건우(Gun-Woo Park),이상훈(Sang-Hoo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2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각종 체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화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합하여, 군 전쟁 수행방식은 개별 전투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 중심 전쟁(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정밀 화력 및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중심 전쟁(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개념이 바뀌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체계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최대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의 연구는 민간분야에서는 활발히 진행 중이나, 아직까지 군 네트워크 체계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 과학적으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방법을 군 네트워크 체계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구조적 영향력 요소를 규명한다. 이때 지휘통제시간을 효과 측정수단으로 분석하여, 이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요소와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발전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영향력 요소를 식별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Over the society the trial for several systems to be connected with Network has been continued to share information and to make it various. In accordance with such a change, the concept of military warfare conduction has been changing form platform centric warfare in separate combat system based on network centric warfare in network based. We have continuously made an effort that we try to get the goal with efficient system which is linked up with network, but such a study on that one in military system analysis is still slower than the study out of military until now. So this study is searching network influence factor by using military network with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is used broadly in the society and the science as well. At this time we search co-relationships between social network and the thing that we can analyse C2 time by effectiveness measurement means. By this study it has value of network influence factor identification for the growing network composition.

      • KCI등재

        일본의 행정개혁과 2001년 성청개편에 관한 연구- 대장성 해체와 재무성 출범을 중심으로 -

        신장철 한일경상학회 2014 韓日經商論集 Vol.62 No.-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eform of Central Seongcheong which was conducted in January 2001 by the Basic Law of Central Seongcheong has variety backgrounds and political purpose. In other words, The restructuring operations has purpose of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of policy failure occurred by the collapse of the bubble since the early 1990s. by the study, Additionally, which about that existing ‘1 Bu 21 Seongcheongs’ reformed to ‘1 Bu 12 Seongcheongs’, Most central Seongcheong includes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Labour, Ministry of Construction, etc. was the object of the reform. Thus, it means that not only Okurasho was the target of the reform. However, Okurasho called in the past ‘Office of the Office’ was forced to reform including the dismantling of the existing organization unlike other central departments. On the other han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reforming for Seongcheong in 2001 are able to point out the following. In other words, the Seongcheong was reduced to 12. the other side, It can be point out that Cabinet Office newly established makes plans, major policies and adjusts that so the Prime minister of japan has more powerful leadership.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Okurasho was the target of dissolution by The Reform of Central Seongcheong in 2001 and reformed to the Ministry of Finance, and at the same time, financial administration and authority was greatly reduced. It knows that, Through such actions, Japan purses efficiency of financial adminstration by planing the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ies and clearing the work area. 우선 본 연구를 통하여, 지난 2001년 1월에 실시되었던 일본의 중앙성청개혁 기본법에 의한 중앙성청에 대한 개혁조치는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정책적 목적이 뒤 얽혀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즉, 그 재편작업은 1990년대 초반이후의 버블붕괴와 정책실패에 의한 장기적 불황이라는 경제위기 극복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관주도'에서 '정치주도'로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이른바 '행정개혁' 차원에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단행되었던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연구에 의하여 기존의 1부 21성청이 1부 12성 체제로 재편됨으로써 문부성, 후생성, 노동성, 건설성, 국토청 등의 정부기관을 포함하는 상당 부분의 중앙성청이 개혁의 대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장성만이 개혁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과거 '관청주의 관청'으로 금융행정에 있어서 무소불위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던 대장성 조직은 다른 중앙부서와는 차원이 다른 조직 해체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보다 강력한 의미의 개혁이 강제되었다. 한편, 2001년의 중앙성청에 대한 개편조치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12개의 성청으로 기존의 성청 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된 한편, 새롭게 설립된 내각부가 주요 정책을 계획 및 입안하고, 또한 조정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어 수상에 의한 지도력이 대폭 강화되었던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상기 외에도, 이번 연구를 통하여 대장성은 해체의 대상이 되어 재무성으로 재편됨과 함께, 재무성의 금융행정에 대한 조직과 권한이 대폭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조치를 통하여, 금융정책에 관한 중앙정부의 권한 분산을 유도하고, 또한 업무 영역과 책임 소재를 보다 분명히 하게 함으로써 금융행정에 있어서 효율성 추구를 의도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