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현황과 중심정맥관 지식정도의 고찰:관련된 제도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김종호,이재영,이영주,강양수,윤승민,유상재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4 No.1

        목적 :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현황과 관련된 교육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며, 이를 통해 향후 중심정맥관의 조영제 주입 영상 검사에 대한 환자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 서울, 경기지역의 종합병원의 17곳을 대상으로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하여 영상검사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동의서, 세부내용 등의 내용을 수집, 비교하였다. 2. CT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구글설문지를 통해 2020년 5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방사선사 10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병원 별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의 제도적인 비교연구 1.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 가이드라인은 조사한 17개 병원 중 8개 병원은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9개병원은 이와 관련된 지침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2. 중심정맥관 조영제 주입 동의서는 조사한 병원 17개 병원 중 6개의 병원은 동의서를 갖추고 있으며, 그외의 11개의 병원에서는 갖추고 있지 않았다. 3. 조사내용의 세부내용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 담당의사와 검사실 간에 구두 컨펌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는 부분이 많았다. -설문조사를 통한 중심정맥관 지식 정도 1. 중심정맥관의 지식 정도의 총점은 100점 만점 중 평균 57.52±15.65으로 나타났다. 중심정맥관 지식정도를 살펴보면 임상경력 5년이상, 혈관조영실 경험이 있고, 가이드라인이 있을 때,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 경험이 있을 때, 해당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우에서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중심정맥관 지식정도는 관련된 교육(r=.262, p=.016)으로 상관관계 중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 다음 순으로 혈관조영실 경험(r=.245, p=.013), 관련된 경험(r=.245, p=.013), 임상경력(r=.239, p=.016), 가이드라인(r=.211, p=.034)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3.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6.650, p=0.002), 회귀모형의 설명력 adj.R=0.102으로 10.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해당 관련된 교육(β=0.244, p=0.012), 혈관조영실 경험(β=0.226, p=0.019)는 중심정맥관 지식 정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련 요인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우 5.9%의 설명력을 가지고, 혈관조영실 경험이 더해졌을 때 10.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중심정맥관을 통한 조영제 주입을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과 동의서 등 제도적인 부분을 마련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중심정맥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중심정맥관 혈류감염 예방 교육이 이루어져 숙련된 검사자가 된다면 영상의학과 내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이동식 디지털 흉부 X-선 장비의 중심정맥관 대조도 증강 영상에 대한 고찰

        심재민(Jae-Min Shim),복근성(Geun-Seong Bok),김상현(Sang-Hyun Kim),김인수(In-Soo Kim),김동성(Dong-Seong K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이동식 디지털 흉부 X-선 검사 시 중심정맥관의 대조도를 향상시키는 영상처리의 임상 적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중심정맥관을 삽입한 40~80세 범위의 남녀 환자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이동식 X-선 장비는 DRX-REVOLUTION(CARESTREAM, Ver. DRX-REVOLUTION direct view 5.6.716.0112)을 사용하였다. 본원 검사 조건인 74kVp, 1.4mAs로 흉부 X-선 검사를 한 후 중심정맥관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비선형 증폭시켜 중심정맥관의 대조도를 향상 시키는 파라미터를 이용한 영상과 일반 흉부영상의 대조도 및 신호대잡음비, 대조도대잡음비를 비교􄤎분석하였다.영상의 평가는 Image J(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를 이용하여 2mm×2mm 크기로 관심영역을 설정한 후 중심정맥관의 픽셀값과 근접한 주변조직인 심장의 픽셀값, 중심정맥관 및 심장의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픽셀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대조도 및 신호대잡음비, 대조도대잡음비를 산출하였고, 통계학적 검정은 95% 신뢰수준에서 대응표본 t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 결과,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처리를 이용한 영상과 일반 흉부영상의 대조도는 각각 평균849±314, 388±248로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영상의 대조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신호대잡음비는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영상과 일반 흉부영상에서 각각 평균 13±3, 38±12로 일반 흉부영상에서의 신호대잡음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대조도대잡음비는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영상과 일반 흉부영상에서 각각 평균 4±2, 6±4로 일반 흉부영상에서의 대조도대잡음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성적 평가 결과, 영상 처리 전􄤎후 각각 3.16±0.84, 4.39±0.65로 중심정맥관 향상 처리를 한 영상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p<0.05로 두 영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처리를 이용하였을 시 신호대잡음비와 대조도대잡음비가 저하되지만 대조도는 상승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검사를 진행할 때 중심정맥관 대조도 향상 처리를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주변조직과의 대조도를 증가시켜 중심정맥관을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중심정맥관의 위치 확인에 대한 유용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해상력 저하와 주변 잡음의 상승으로 인한 영상의 화질 저하를 고려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ut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that enhances the contrast of the central line in the mobile chest X-ray. Materials and Methods :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he 40 patients who had the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ed in their bodies. The mobile X-ray equipment used for the study was DRXREVOLUTION by CARESTREAM. The software version was DRX-REVOLUTION direct view 5.6.716.0112. After having chest X-ray test with 74KVp, 1.4mAs, which is the requirement for the test in our hospital,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mage that used the enhancing process of the central line with the contrast of the general chest image, the noise ratio against signal, and the noise ratio against contrast. For the assessment of the image, we set the interest area with the magnitude of 2mm×2mm using Image J(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 and measured the pixel value of the central line, the pixel value of the heart, which is the neighboring org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eart. By using the measured pixel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 got the contrast, the noise ratio against signal, and the noise ratio against contrast. For the statistical test, we analyz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paired sample t test at 95% of confidence level. Result : The average contrast of the image which used the enhancing process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and that of the general chest X-ray image were 849±314 and 388±248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contrast image of the enhanced central line was high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noise ratio against signal was 13±3 and 38±12 on average in the image of enhanced central line and in the image of the general chest X-ra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noise ratio against signal in the general chest X-ray was bett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noise ratio against contrast was 4±2 and 6±4 on average in the mage of enhanced central line and in the image of the general chest X-ra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noise ratio against contrast in the image of the general chest X-ray was bett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The average watching assesment of the image which used the enhancing process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and that of the general chest X-ray image were 4.39±0.65 and 3.16±0.84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contrast image of the enhanced central line was high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 : When using the enhancing process of the central line, the noise ratio against signal and the noise ratio against contrast went down but the contrast went up. When conducting the test under the same condition, getting image by using the enhancing process of the central line increases the contrast against the neighboring organs, which contributes to getting clear image of the central line and locating the central venous catheter. However, it needs to be used for different usages considering the decline in image quality caused by the lowered resolving power and increased surrounding noise.

      • CT contrast 검사 시 중심 정맥관을 이용한 조영제 사용에 대한 연구 : 말초정맥관 확보에 실패한 환자에 한하여

        박윤아(Yoon A Park),이성주(Seong Ju Lee),홍미혜(Mi Hye Hong),김연희(Yeon Hee Kim),유상재(Sang Jae Yu),김동성(Dong Seong Kim)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1

        목적 : CT의 발달에 따라 CT contrast 검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중심 정맥관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 peripheral IV확보에 실패한 환자가 반드시 CT contrast 검사를 해야 할 경우 조영제 주입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불가피하게 중심 정맥관을 사용하여 CT contrast검사를 할 경우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를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해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년간 중심 정맥관을 이용하여 CT Contrast검사를 한 환자의 상태, 부작용 여부, 예후를 관찰하였다. 카테터 실험으로는 Tal PALINDROME™의 Permcatheter, Sungwon Medical사의 IJC, Bard사의 Chemoport, ARROW Medical사의 C-line(7Fr, 5Fr), Bard Medical사의 Hickmann, COOK Medical사의 PICC(single, dual)까지 총 여덟 가지 종류를 사용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권고한 〈중심정맥관을 이용한 조영제 사용 지침〉에 따라 Iodine함량 350mg인 조영제와 400mg인 조영제를 MEDRAD사의 STELLANT?玲? Nemoto Kyorindo co.,LTD의 NEMOTO Injector 두 가지의 Power Injector로 동일한 환경에서 실험하였다. 그에 따라 나오는 PSI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각 Injector장비에서 권고한 최대 PSI값(MEDRAD는 325PSI, NEMOTO는 300PSI)을 초과하는지 관찰하였다. 실험 전 자체 제작한 Pressure Gauge로 동일한 속도와 양의 공기를 주입하여 Power Injector 별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실험에 사용 된 실린지는 Injector회사에서 제공한 실린지를 사용하였으며, 실린지에 연결된 Pressure line은 INSUNG MEDICAL CO.,LTD사의 Check Valve Set(총길이 2m 10cm)를 동일하게 사용 하였다. 결과 : 1년간 조사했던 환자의 경우 모든 환자가 특별한 side effect없이 검사가 종료되었고, 예후 또한 정상이었다. 실험 결과는 각 Power Injector 회사별로 PSI 측정법에 미미한 차이가 있어 도출 된 수치가 Injector마다 다르게 나왔으나, Iodine함량 350mg인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400mg인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모두 87.5%의 카테터가 기준치 PSI를 넘지 않았다. 결론 : Peripheral IV 확보가 어려운 환자가 중심 정맥관을 이용하여 CT contrast검사를 할 경우 조영제의 Flow Rate와 Total Volume 등을 정해주는 기준이 대부분의 병원에서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환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를 하기 위해 서울대병원과 같은 구체적인 지침은 반드시 필요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침서로 실험 한 결과 평균 87.5%의 카테터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고, 관찰한 환자의 부작용이나 예후 또한 모두 정상이었다. Power Injector의 정확한 정도관리와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부작용 등 많은 변수들까지 고려하여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Purpose : As the CT scan technology develops, the number of CT contrast test is also on the ris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not sufficient guidelines about injection of contrast media in case of a patient with central venous line for whom the medical staff fail to obtain peripheral IV and the patient should do the CT contrast test.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guidelines for a safer and more accurate CT contrast test using central venous line. Materials and Method : For one year, we observed the state, side effects and prognosis of patients who took the CT contrast test using central venous line. For the catheter test, we used a total of eight products including Permcatheter of Tal PALINDROME™, IJC of Sungwon Medical, Chemoport of Bard, C-line(7Fr, 5Fr) of ARROW Medical, Hickmann of Bard Medical, PICC(single, dual) of COOK Medical, an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Contrast Media Using Central Venous Line recommend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NUH), we injected contrast media with 350mg iodine content and 400mg iodine content using two kinds of power injectors of MEDRAD(STELLANT??) and NEMOTO injector(Nemoto Kyorindo co.,LTD) with the other conditions being equal. Then, we compared the resultant PSI values and tested if the maximum PSI values(in case of MEDRAD, the vale is 325PSI and NEMOTO, 300PSI) recommended by the injector makers were exceeded. Before the experiment,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pressure of the power injectors, injecting the same amount of air with the same speed. In doing this, we used the pressure gauge we made, and the syringes supplied by the injector makers. And the pressure line connected to the syringe was Check Valve Set(total length: 2m 10cm) manufactured by INSUNG MEDICAL CO.,LTD. Result : All the patients could complete the experiment withou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and the prognosis was normal. Though the resultant values minimally varied due to th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psi values of the different injector makers, 87.5% of the catheters did not exceed the recommended psi values for both kinds of contrast media containing 350mg and 400mg iodine. Conclusion : Many hospitals do not have standards set for contrast media, such as flow rate and total volume when a patient should do the CT contrast test using the central venous lin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securing peripheral IV. Thus, hospitals should provide the guidelines like those of the SNUH in order for a safe and accurate t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book presented in this article showed an average 87.5% of the catheters were judged safe. There were no side effects and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was normal. It is desirable that hospitals have in place accurate guidelines considering many factors including the quality control of power injectors and side effects of patients.

      • KCI등재

        척추 수술 환자에서 클로로헥시딘 도포 중심 정맥관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최병완(Byung-Wan Choi),박찬선(Chan-Sun Park),김호진(Ho-J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다량의 출혈이 예상되는 정형외과 수술에서 중심정맥관 사용 시 혈류 감염을 줄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클로로헥시딘 도포 중심 정맥관이 사용이 고려되나 정작 이를 사용함에 따라 관련된 패혈증이나 합병증이 감소한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다. 저자들은 척추 수술에서 클로로헥시딘 도포 중심 정맥관 사용과 관련되어 심정지를 동반한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발생을 경험하여, 클로로헥시딘 도포중심 정맥관 사용 시 아나필락시스 등의 합병증에 대해 인지하고 주의하며 사용해야 함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ttempts to lower rates o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have led to the adoption of chlorhexidine-coated central venous catheters (CVCs) in several orthopedic surgeri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still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advantage of reducing catheter-related infections.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severe anaphylaxis to chlorhexidine-coated CVCs when used in spine surgery. Before exposing the patients to chlorhexidine-coated CVCs, the risk of complications including anaphylaxi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위암 CP환자의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정맥염 감소효과

        손수미,황진순,이명덕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0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0 No.-

        배경: 위암CP환자는 8∼9일에 걸쳐 외과적 수술 후 치료를 받고 퇴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비경구적 영양수액요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영양집중지원을 위해 말초정맥 영양수액요법 시 혈종, 통증 그리고 정맥염이 자주 발생하여 천자 횟수도 잦게 되었다. 그래서 위암CP프로그램에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 설치를 기본 과정으로 첨가함으로써 환자는 1회의 천자로 퇴원까지 안전하게 비경구적 영양수액요법을 받게 되어 환자와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이게 되었다. 연구 목적: 단기적으로 말초 정맥용 영양수액요법을 7일 이상 치료를 받을 경우에 중장기용인 PICC를 위암 CP환자에게 적용 후 정맥염과 합병증 발생율 등을 이전에 조사된 말초정맥으로 말초정맥용 영양수액요법 시의 정맥염 발생율을 비교하여 PICC가 단기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정맥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위암수술을 받고 PICC를 삽입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말초정맥염은 2007년 같은 병원에서 소화기 내과로 입원한 말초정맥용 영양수액요법을 받은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맥염은 Weinstein(1993)이 개발한 것을 참고하여 박선희(1996)가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등급이 올라갈수록 정맥염의 중증을 의미하며 Grade2∼3을 정맥염으로 보았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총 393명의 환자에게 PICC를 삽입하였다. 그중에서 45건(11.5%)은 실패, 348건(88.5%)을 삽입하였으며 남여평균연령은 57.9세, 남자 219명(62.9%), 여자 129명(37.1%) 이었고 유지기간은 평균 6.8일 이었다. PICC의 정맥염은 총 9건(2.5%) 이었고 합병증은 감염의심 13건(3.7%), 부종 4건(1.1%), 기타 어깨 통증 2건(0.6%) 이었다. 말초용 영양수액을 주입한 환자의 말초정맥염은 평균유지기간 37.4시간 이었고 정맥염 발생율은 Grade0은 3명(2.7%), Grade1은 33명(30%), Grade2는 65명(60.0%), Grede3은 8명(7.3%)이었다. 결론: 말초 정맥으로 말초용 영양수액 요법 시 말초정맥주사 유지기간이 평균 37.4시간이었고 위암CP로 8∼9일 동안 입원할 경우 37.4시간 마다 1회의 정맥천자 시 총 5.7회의 천자가 필요할 것이며 Grade2∼3의 정맥염이 66.3%가 발생되어 카테터를 제거하였다. 반면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의 유지기간은 6.8일 이었고 합병증 5.4%, 정맥염은 2.5%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정맥염 감소 효과와 환자의 불편감 해소 및 의료진의 만족도 면에서 PICC의 이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 중심정맥관(Perm Cath, Chemo-port) 삽입 시 차폐막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에 관한 연구

        송승원,성호진,박혁,김종덕,문주완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4 No.1

        목적 : 중심정맥관 삽입 시 차폐막을 제작하여 Under tube에서 발생하는 산란 방사선으로 인한 시술자의 피폭선량 감소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중심정맥관 시술을 가정하여 Rando Phantom을 테이블 높이 60cm, 70cm, 80cm에 위치한다. SID(Source Image Receptor Distance)는 100cm기준으로 하고 SOD(Source Object Distance)10cm 간격으로 환경방사선 선량계(Survey meter)를 위치시켜 공간선량을 측정하였고, Apron(0.5mmPb)과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테이블 부착형 차폐막을 제작하고 차폐막 사용 전·후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하부 차폐막에서 평가될 수 없었던 산란 방사선선량을 상부 차폐막을 사용하여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인의 성인 남성 20~60대 평균 신체사이즈 172.4±6.9cm을 기준으로 피폭에 민감한 생식선(Prostate)과 갑상선(Thyroid)을 측정하게 되었으며, 바닥으로부터 140cm에 위치한 복부(Abdomen)가 포함되었다. 측정시간은 중심정맥관 시술 평균시간을 고려해 투시 1분과 5분, 혈관조영술 10초로 선량을 측정하여 차폐막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생식선에서는 투시 평균시간이나 혈관 조영촬영 모두 하부 차폐막이 있을 때 테이블 높이와 관계없이 100%로의 차폐 효과를 주었지만 갑상선과 복부에서는 선량 감소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상·하부 차폐막을 모두 사용한 측정값에서는 투시 평균시간과 혈관 조영촬영 방법이나 테이블 높이에 관계없이 갑상선, 복부, 생식선에서 100%로의 차폐 효과를 가져왔다. 결론 : 중심정맥관 시술 시 Under tube에서 발생하는 산란 방사선을 감소하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상·하부 차폐막을 이용하여 방사선량을 측정한 결과 차폐막이 없을 때보다는 하부 차폐막을 사용하였을 때 생식선의 차폐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상·하부 차폐막을 동시에 설치하였을 때 시술자의 100%로 차폐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시술자는 최대한 적극적인 차폐체를 이용하는 것이 시술의 안정과 집중도를 높이고 산란 방사선으로부터 본인을 보호하는 사명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실수로 설치된 쇄골하동맥 카테터에 대한 경피적 혈관 봉합 매개기구 이용

        이성수 ( Seong Soo Lee ),고재훈 ( Jae Hoon Ko ),임경숙 ( Kyung Suk Lim ),신범수 ( Beom Su Shin ),이가연 ( Ga Yeon Lee ),최승혁 ( Seung Hyuk Choi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2

        저자들은 쇄골하동맥을 통해 케모포트가 실수로 삽입된 상태에서 Perclose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혈관봉합을 한두 증례에 대해 보고하였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발생할 수있는 잘못된 쇄골하동맥 천자 및 도관 삽입에 대하여 봉합-매개 혈관폐쇄기구를 이용한 경피적 혈관봉합은 효과적인 지혈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 혈색전에 의한 뇌졸중 발생을 염두에 두고 시술 중에 주의가 필요하다.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is performed to secure pathways for large amounts of saline, drug infusion, parenteral nutrition support, and hemodialysis. Accidental subclavian artery cannulation is a possible complication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Here, we report two cases of 8 Fr. chemoports inadvertently inserted in subclavian arteries during internal jugular venous catheterizations. The chemoports were removed successfully, and puncture sites were repaired using suture-based closure devices (Perclose). One patient experienced minor neurological complications after the procedure. With effective managemen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no sequela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troke after procedures using suture-based devices. (Korean J Med 2014;87:200-2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