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행동중독의 예측인자로써 인지특성, 정서특성, 자아특성

        우상우 ( Sang Woo Woo ),박기쁨 ( Ki Ppeum Park ),정성훈 ( Sung Hoon Jung ),장문선 ( Moon Sun Chang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DSM-V에서 기존의 ``충동조절장애``를 대체할 것으로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인 ``행동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변인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행동중독``에는 다양한 양상이 있을 수 있으나, 현대 문명의 발달로 최근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인터넷중독``, ``휴대폰 중독`` 그리고 ``쇼핑 중독``을 중심으로 행동중독을 개념화 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로 정서특성, 인지적 특성 그리고 자기 특성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의 K대학에서 심리학을 수강하는 학생 368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척도, 휴대폰 중독 척도, 쇼핑 중독 척도, BDI, BAI, 비합리적 신념 척도, 자아강도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통제 척도를 웹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비합리적 신념으로 무기력, 과잉불안, 문제회피가 도출되었으며, 휴대폰 중독을 설명하는 비합리적 신념으로 개인완벽, 과잉불안, 의존성이, 쇼핑중독을 설명하는 비합리적 신념으로는 개인완벽, 문제회피, 의존성이 도출되어 행동중독의 양상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의 공통점 및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행동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터넷 중독``, ``휴대폰 중독`` 그리고 ``쇼핑 중독`` 모두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정서특성 및 자아특성의 유의미한 설명력이 도출되었다. 분석에 투입된 변인들과 그 하위요인에 대한 통계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trait, Emotional trait and ego trait as predictors of behavior addiction. In study, 368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irrational beliefs scale, Beck`s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ego strength scale, self esteem scale, self control scal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shopping addiction scale,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effects of Intellectual trait, Emotional trait and Ego trait on each behavior addiction were significant. Second, sub factors of each predictor were differential significantly attributed to each behavior addi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의존성, 회피성 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 간의 관련성

        장문선,박기쁨,정성훈,우상우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성격특성으로서 의존성 및 회피성 성격과 인지․정서․자아특성 그리고 중독성향(알코올, 인터넷, 휴대폰, 쇼핑중독) 간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은 남녀 대학생 421명이었고 알코올중독척도, 인터넷중독척도, 휴대폰 중독척도, 쇼핑중독척도, 한국판성격장애질문지, 비합리적신념척도, Beck의 우울척도 및 불안척도, MMPI-2의 자아강도척도, 자존감척도, 자기통제척도를 실시한 후,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토해 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 관련 변수들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알코올중독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행동중독관련 변수들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수들은 성격특성에 따라 각기 달랐다. 인터넷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회피성 성격, 의존성 성격, 낮은 자아강도, 자기통제, 낮은 자존감, 불안 이었으며, 휴대폰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의존성 성격, 낮은 자아강도 순이었고, 쇼핑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의존성 성격특성, 회피성 성격특성, 불안 낮은 자아강도, 자기통제로 나타났다. 둘째, 의존성 및 회피성 성격특성과 알코올중독과 행동중독간의 관계에 있어 인지․정서․자아특성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구조모형의 분석 결과, 성격특성에 따라 매개변수들의 차별적 효과가 나타났다. 의존성 성격특성의 경우 알코올 중독에 대해서는 인지․정서․자아특성이 완전매개로 설명이 되었으며 행동중독에 대해서는 인지․정서특성을 부분매개로 하여 설명이 되었고, 회피성 성격특성의 경우 알코올 중독에 대해서는 정서특성과 자아특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행동중독의 경우 정서특성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알코올중독과 행동중독은 이들과 관련된 성격적, 심리적 특성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의존성과 회피성 성격특성으로부터 각각 고유한 심리적 특성을 매개로하여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도명애(Do Myung Ae),서석진(Seo Seok Jin),박채진(Park Cha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두 달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 논문은 총 104편이었고, 학술 분야, 연구방법,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 는 결과를 분석 변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양적연구가 101편으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조사연구가 92.3%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 시키는 원인은 개인 정서 및 행동 관련 요인에서 낮은 자기 통제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결과는 개인 관련 요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중에서 우울 발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융복합 연구, 스마트폰 중독 중재 실험연구, 스마트폰 중독 조기진단 연구, 스마트폰 중독 치료를 위한 다중체계적 접근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n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Data collection & analysis were done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until November, 2017. The number of the papers for analysis was 104 in total, and this study set the academic area, research method,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and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as analysis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was found to be researched the most in social science field,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the most with 101 papers, among which a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92.3%. Second, concerning the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low self-control was found to be the most in personal emotion and behavior-related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 proportion of individual-related facto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which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ost. After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Smartphone-addiction intervention experimental research, Smartphone addiction early diagnosis research, and multi-systematic approach research for Smartphone addiction therapy, etc. as a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es.

      • 한국 대학생들의 사이버 중독의 측정

        이원준(Won-jun Lee)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3 사이버사회문화 Vol.4 No.1

        최근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은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매력은 사용자로 하여금 기술의 지나친 과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 바 있는데, 이런 사용자의 통제 불가능하고 잘못된 기술사용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이버 중독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Young의 인터넷 중독 조사인 IAT 척도를 연구 맥락에 맞도록 수정한 후 이를 활용하여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사이버 중독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총 841명의 대학생 응답자들이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인터넷 중독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심각한 중독 증상을 보인 비율은 전체의 17.1%이었으며, 잠재적 중독위험이 높은 집단은 65.8%에 달하였다. 모바일 서비스 중독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그 비율은 각각 9.1%와 21.9%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중독 유형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는 남성 집단의 중독 점수가 여성 집단보다 높았지만, 모바일 중독에 있어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여성 집단의 중독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는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중독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성별과 중독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Internet could lead to excessive use and the concept of cyber addiction has been proposed as an explanation for uncontrollable and misuse of the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mobile service. This research tries to explain cyber addiction in the Internet service and mobile service through modified versions of Young’s IAT(internet addiction test) scale. IAT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useful for evaluating the addiction of technology. 841 college students(257 for internet service, 584 for mobile service) from metropolitan area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mong the sample 17.1% had been diagnosed as severe internet addict, while 65.8% of them were classified as possible addict. And 9.1% had been diagnosed as severe mobile service addict, while 21.9% of them were classified as possible addict. The result also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addiction types. Male group is suffered from internet addiction than female group is. On the contrary, female group reported the higher mobile addiction score compare to the male group.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nother type of media addi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gender and addiction in detail.

      • KCI등재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김동일,이윤희,이주영,김명찬,금창민,남지은,강은비,정여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2 청소년상담연구 Vol.20 No.1

        smartphone. In particular, we were interested in examining whether the new medium substituted or complemented the Internet in adults and youths. The participant pool consisted of 3,816 youths and 500 adults around Korea.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11, along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Scale, were used as measur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normal Internet users in the high-risk smartphone addiction group was 58% for adults and 80% for youths. This suggests that youths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problematic smartphone usage patterns after substituting smartphone for Internet. Second, youths mainly used their smartphones for entertainment purposes, just as they primarily used the Internet for the same reason. Adults, on the other hand, primarily used the Internet to do work, while they used their smartphones to get connected on SNS. Third, 66.1% of youths and 44.8% of adult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ir smartphone usage reduced their time on the Internet. This reveals that youths are more likely to substitute smartphones for the Internet. Fourth, the correlations between addiction levels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s’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their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This shows that the mental health of youths is more vulnerable to Internet addiction than that of adults. 본 연구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매체인 인터넷사용이 스마트폰이라는 신규 미디어가 도입될 때 매체이용의 대체‧보완 현상과 중독양상이 성인 및 청소년 세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 상은 청소년 집단은 수도권, 충청/강원, 호남(제주포함), 영남의 4개 지역 설문 응답자 3,816명 결과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성인집단은 전문설문조사기관에 의뢰하였고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2011년 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인터넷중독척도, 스마트폰중독척도와 정신건강척도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째, 인터넷중독 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수준의 차이를 카이검증 하였는데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는 문제 가 없는 일반 사용자이지만 스마트폰은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성인의 경우 58%, 청소년은 80%으로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이 인터넷에 대체되어 사용되어 문제적 사용을 나타낼 수 있는 높은 경향성 을 나타내었다. 둘째, 스마트폰의 주요용도에 있어서 청소년은 인터넷의 주활용 용도인 엔터테인먼트 기능 이 스마트폰 사용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성인의 경우, 인터넷은 업무용, 스마트폰은 SNS 용도로 매체 간 용도가 구분되어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 이후 인터넷사용시간의 감소여부를 물었 을 때 청소년은 줄었다는 응답이 66.1%, 성인은 44.8%로 나타나 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을 인터넷 에 대체하는 매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경향성을 뒷받침해 준다. 넷째,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중독위험군을 대상 으로 중독수준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수준과 정신건강의 수준만이 유의 하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인에 비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대학생 중독 요인에 관한 연구:미디어 중독을 중심으로

        이상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요인과 개인․심리적 요인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05월 15일부터 09월 25일까지 수도권의 3개 2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 중독을 낮추는 사회적요인에서 친구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대면활동, 동아리 활동 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디어 중독을 낮추는 개인․심리적 요인은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학업과 일상생활에 문제가 있는 대학생의 미디어 중독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측정검사 등을 통하여 미디어 중독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개인․심리적요인 중 적극적 대처는 미디어 중독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미디어 사용을 줄이려는 개인의 노력은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factor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on media addic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attending three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y 15, 2016 to September 25, 2016.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factors for lowering media addiction were important factors. Therefore, I found that friendship, face-to-face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with college students are important.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lowering media addiction. Therefore, we can find ways to lower media addiction through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measurement test when they engage in a media addiction program of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s in their academic and everyday lives. Third, the positive coping of individual․psychological fact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media addiction, so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efforts to reduce media use were not helpful.

      • KCI등재

        외국의 마약류중독 수형자를 위한 교정시설 내 치료 프로그램 : 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박현나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1

        마약류사범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교정시설의 과밀화와 마 약류중독 수형자들의 높은 재범률 및 재복역률은 우리나라 교정 당국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의 마약류중독 수형자들의 출소 이후 마약류재사용 및 재범 억 제를 위한 효과적인 중독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및 운영방안 마 련을 위해 미국, 캐나다, 호주의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치료 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다. 세 국가는 마약류사범에 대한 치료적 사법(Therapeutic Jurisprudence) 이념을 기반으로 포괄적이고 다양한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치료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 다. 미국의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 프로그램은 수 감자들의 출소 후 재범률과 재복역률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 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캐나다의 아편계 약물 치료 프로그램 (Opioid Agonist Treatment)과 교도소 주사기 교환 프로그램 (The Prison Needle Exchange Programs)은 마약류중독 수형 자들을 위한 위해성 감소 조치로서 교도소 내 약물 문제에 대응 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한 호주의 범죄 행동 및 약물 남용 치료 프로그램(The Criminal Conduct &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은 집중 인 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으로서 참여집단 수형자들의 출소 후 마약 류재사용 및 재범률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수형자들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미국의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캐나다의 아편계 약물 치료 프로그램, 호주 의 범죄 행동 및 약물 남용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교정현장에 맞는 실효성 있는 마약류재사용 억제 및 재범방 지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Due to the increasing numbers of substance-abusing offenders, the South Korean correctional authorities are faced with the serious problems of the high recidivism and reincarceration rates among ex-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prison-based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for substance-abusing prisoners, the current study reviews f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the three countries provide comprehensive and diverse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to 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erapeutic Community (TC) in the United States, Opioid Agonist Treatment (OAT) and the Prison Needle Exchange Programs (PNEP) in Canada, and the Criminal Conduct &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 (CCSATP) in Australia have positive impacts on reducing recidivism and drug relapse among substance-abusing prisoners. The South Korean correctional authorities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TC, OAT, and CCSATP for 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to reduce their recidivism and drug relapse, and subsequently, to ensure a safe and successful return to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미디어중독에 대한 미디어교육학적 접근

        윤영태(Young-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09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3 No.1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중독현상들이 사회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술, 담배 등과 같은 물질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신적 의존과 함께 해당자는 더 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닌 행위중독이 새로운 사회의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일중독, 쇼핑중독, 도박중독, 스포츠중독, 그리고 미디어중독 등이 그 예이다. 이는 화학 약물 등의 물질중독과는 다른 형태의 비화학적 행위적 활동을 통해 정신적 쾌감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교육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시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중독, 컴퓨터게임중독, 휴대전화중독 그리고 텔레비전중독 둥과 같은 미디어중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아울러 미디어와 능력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했다. 미디어중독이란 결국 미디어와 관련한 현대사회 개개인의 행위능력에 관한 문제일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디어중독과 관련하여 미디어교육은 실천적으로 이미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여러 부분에서 예방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술변화에 따른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미디어리터리시 또는 미디어능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그것의 확장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미디어중독 예방교육의 프로그램 역시 새로운 인식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능력 개념을 중심으로 대안적으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with media education. Media addiction is a disorder where the subject has a compulsion to use media. The compulsion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control in many cases. It has many parallels to other forms of addiction, such as addiction to drugs or gambling, which create an altered mental state in the subject. Media addiction becomes a problem when a subject does not want to use media, but experiences an uncontrollable compulsion to start or continue using. The subject may not accomplish tasks or goals that he or she feels are important. To illumin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review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media competence for approaches to media addiction.

      • KCI등재

        강원랜드의 도박중독 다루기

        김세건(Segun Kim)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2

        본 글은 중독관리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강원랜드는 카지노를 개장한 이후 10년 동안 도박중독 나아가 장기체류자와 도박중독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다루어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독관리센터는 스스로‘한국 최고의 도박중독분야 전문기관’이라고 평가할 만큼 예방, 치유·재활, 연구 분야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해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중독관리센터가 한국 최고의 도박 중독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문제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강원랜드에 소속된 종속성을 넘어 자율성과 도박중독문제 전문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중독관리센터의 인적구성을 혁신하고 전문영역화해야 한다. 프로그램 영역에서도, 예방, 치유, 재활, 연구 사업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불균형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무엇보다 중독관리센터의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는 도박중독 예방사업이 사후약방문식으로 출입자들이 이미 도박 중독에 빠져든 상태가 되었을 때 접근하는 경향이 높다. 이에 카지노에 출입하기 전에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독관리센터의 궁극적 목표는 카지노에 말미암은 도박의 부작용을 최소하고, 도박중독자 또는 장기체류자들이 도박으로부터 벗어나 일상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이들을 규제 또는 치유의 대상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그들과 소통하며 함께 도박중독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how Kangwonland Addiction Care Center(KLACC) has managed problems of the gambling addiction caused by Kangwonland Casino. KLACC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a prevention, care, rehabilitation and research of the gambling addiction from september, 2001. But KLACC has many questions of the organic structure and the programs at issue to be the best clinic-center for the gambling addiction in Korea. In the side of the structure, KLACC has to gain a self-regulation and an identity casting off the yoke of the main enterprise, Kangwonland. KLACC must fill up experts of the gambling addiction to practice various programs for habitual gamblers and visitors of the casino. In the side of the programs of the prevention, care, rehabilitation and research of the gambling addiction, each programs have been inharmonious. Especially the preventive programs against gambling addiction are not enough. At this point of time, KLACC comes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LACC and habitual gamblers to seek for the way to minimize gambling addiction and to treat and rehabilitate addicted gamblers.

      • KCI등재

        연극치료와 중독

        이선형 ( Lee Sun Hy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7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7

        중독이란 몸의 갈망(want, 욕망)의 결과이며 내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일단 중독이 되면 몸은 더욱 강한 욕망을 갈구하지만 욕망의 지속적인 만족이란 불가능하므로 영원한 결핍을 느끼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한 자극을 원한다. 중독된 몸은 기대하는 자극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견딜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이 금단증상이다. 금단증상이 심한 몸은 사회적 장애를 불러일으키며 타인과의 정상적인 관계 형성을 어렵게 한다. 이처럼 중독의 근원이 뇌를 포함한 몸이라는 점에서 중독치료는 몸 자체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물질중독은 몸과 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것이고 행위중독은 몸의 행위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중독과 관련하여 몸의 습관이 긍정적이 되면 중독에서 벗어난 것으로, 부정적이 되면 중독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중독은 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중독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위해 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중독의 치료는 그 특성상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 세 가지 틀에서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약물치료와 더불어 인지행동치료 등 심리치료의 병행이 효과적이다. 몸 심리학에서는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중독을 통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독의 통과’는 몸으로의 체험을 의미한다. 중독의 현상과 상황을 직접 몸으로 체험할 때 치료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신체 활동, 역할연기, 이야기 등 연극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는 중독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집단 예술(사회적)로서 신체의 현존(신체적)과 심리가 공존하는 종합예술인 연극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술치료가 곧 연극치료이기 때문이다. 본 글은 몸에 중점을 두는 연극치료가 어떤 점에서 중독치료에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focusing on the body in addiction treatment. The addiction is resulted from repetitive body desire. As it has a strong tolerance, a person once becomes addicted seeks stronger thing. However, it is impossible to reach eternally satisfactory state. An addicted body continuously seeks stronger stimulus. When an addicted body can not be satisfied, and so the stimulus is not sufficient, the body becomes unbearable. We call that “withdrawal symptoms”. The addiction and withdrawal symptoms influence to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addiction is resulted from the body including the brain. Therefore, when the body is in positive state, it is deviated from the addiction. On contrary, when the body is in negative state, it is closed to the addiction. Thus, the addiction treatment should be concerned with the body itself. Addiction treatment focusing on body can be so an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addiction. Especially, the facts which addiction treatment should be done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rames indicate that psychotherapy such a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s effective with medication. According to somatic psychology,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ddiction’ for treating an addiction. This expression means an experience by the body. In other words, treatment becomes possible when the addiction is directly experienced. In this perspective, drama therapy, that actively use the theatrical factors such as physical activity, role play, and story, can be an important treatment for the addiction. In fact, drama therapy is an art therapy using the drama as a collective art in which the body and the emotion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