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정서 및 공격성에 따른 공간사용 유형

        정여주,김안젤라,김은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and space based on the emotional effect of space and symbol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ix diversified feelings(delight, happiness, peace, depression, irritation, fear) and paper space usage pattern related to these feelings. Moreover is examined emotion with attack degree and space sele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20 students(110 boys, 110 girls) of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positive emotion(delight, happiness, peace) correlated with the center of space and negative emotion(depression, irritation, fear) with the corner of space.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low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relating positive emotion, whereas negative emot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Especially, depression of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preceding theory of space. The group with low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space, positive emotion in the center, and negative emotion is the corner. However,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mixed in the center of space. Assumingly, differentiation of emotion had not developed in this group of children and negative emo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inner self. This results find that emotional specificity of children through analysis using space connected with emotion in children and can contribute to function not only as to develop the appropriate art therapy of therapeutic factors, art education but also as to applicate the dance therapy. Consequently, the analyzation of the space usage contributes in knowing the emotional traits of children.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20명(남: 110명, 여:1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감정(기쁨, 평화, 행복, 짜증, 우울, 공포)과 관련된 공간사용 유형을 실증적 자료로 분석하고, 또한 공격성의 정도에 따라 정서와 관련된 공간사용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공간사용 유형은 긍정적 정서(기쁨, 행복, 평화)와 관련하여 중앙에 집중되는 유형으로, 부정적 정서(우울, 짜증, 공포)와 관련해서는 상하좌우 네 모퉁이 공간 빈도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이 높은 집단은 공격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공간에서 중앙 집중 빈도가 낮았으며, 부정적 정서와 관련해서는 중앙 빈도가 높았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집단에서 우울은 중앙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의 개념을 연구한 여러 연구자들의 화지가 자신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면, 공격성이 낮은 집단은 긍정적, 부정적 정서가 중앙과 모퉁이 공간으로 잘 분화된데 비해, 공격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부정적, 긍정적 정서가 중앙에 혼재되어 감정적 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부정적 정서가 중요한 감정이기 때문에 중앙에 높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으로 정서에 따른 공간사용 분석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미술치료, 미술교육, 무용치료에서 아동의 정서와 관련된 공간이해를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소진경험에서 영성적 노력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정여주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5 교회와 사회복지 Vol.29 No.-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소진 경험에서 영성적 회복노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3년 이상의 경험이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심층면접 하였고 이들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의미구조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소진경험과 영성적 회복노력의 경험은 ‘다양한 정신보건현 장의 어려움’, ‘소진됨’, ‘회복을 위한 노력’, ‘영성적 노력’의 4개 범주가 추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영성 회복노력을 위한 기독교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burnout and spiritual effort on how to recover of traum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over 3 years experience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study method. As a result, the four determinants that mad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 and spiritual effort to recover were found; ‘various mental health difficulties’, ‘burnout’, ‘effort on recovery’, and ‘spiritual effort’. The study suggests christian way to prevent burnout and to spritual recover for metnal health social workers.

      • KCI등재

        대학생 연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정여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은 정여주 등(2011)의 관계적 자기를 바탕으로 한 연인관계 유형 파악과 공감능력 향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예비 프로그램 실시와 9명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보완하여 8회기로 구성되었다. K대학교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2명, 비교집단 11명에게 커플관계만족도, 자기분화, 공감능력을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MANOVA와 MANCOVA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비해 커플관계만족도, 자기분화, 공감능력의 사후점수가 모두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커플관계만족도, 자기분화, 공감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집단참여목표 달성도를 살펴볼 때도 변화목표를 달성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ov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relational self and love relationship style and to validate the program. After 9 specialists reviewed the purpose and every session, 8-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experiment group, 15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12 students were alloted in control group and 11 students were alloted in comparison group. All students finishe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self development scale, empathy for the pre and post test. At the result of MANOVA or MANCOVA,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enhancement in love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comparison group. Also, scores in post test increased compared to pre test in experiment group.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버폭력 연구 동향과 과제: 사이버폭력 척도를 중심으로

        정여주,김민지,김빛나,전은희,고경희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tudies about cyberbullying scale and to suggest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cyberbullying scale. To do so, domestic and foreign 124 studies dealing with the cyberbullying scale, published from January 2004 to August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five categories: object of the scale, period of the cyberbullying experience in survey, element of the scale, channels of cyberbullying, variables of victimization. The most survey asked about the experience as a cyberbullying perpetrator and victim over recent one-yea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frequent survey object and the channels of cyberbullying were not exactly agreed and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researchers. The most studies’s element of scale was about the experience as a cyberbully and a victim. The variables for cyberbullying victimization was divided into emotion factor, cognition factor and behavior factor which explains how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were changed after having cyberbullying experience. In emotion factors, there are frustrated, irritated, angry, depressed, and anxious, and in cognition factors, the change of the thinking was divided into three: self, others and environment. In behavior factors, there are cyberbullying others, revenging, insulting with anger. In other countries, emotion reaction questionnaire, suicide thought scale, and CBCL with cyberbullyig scales were used by researchers. At last, the feature of the studies about cyberbullying scale was explain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개발된 사이버폭력 척도를 개관하고, 사이버폭력으로 인한 피해 양상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5년 8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등재된 총 124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이에 대해 측정 대상, 측정 기간, 척도의 하위구인, 채널, 피해 변인의 5가지 범주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대상은 중고생을, 기간은 최근 1년 미만의 경험에 대해 물어보는 척도가 많았다. 척도의 하위 구인은 대체로 사이버폭력의 가해와 피해 경험과 관련되어 있었다. 채널은 연구자마다 다르게 제시하여 명확하게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사이버폭력으로 인한 피해 변인은 정서․인지․행동으로 나누었는데 정서변인은 당황, 짜증, 화, 의기소침, 불안 등이 있었으며, 인지변인은 자신․타인․세상에 대한 인지 변화, 행동변인은 다른 이에게 사이버폭력 행위를 함, 복수함, 화내며 욕함 등이 있었다. 국외에서는 사이버폭력 척도와 함께 감정반응 질문지, 자살사고 척도, 아동행동평가 척도 등을 통해 정서, 인지, 행동에 대해서 조사한 경우들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지금까지 진행된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 척도에 대한 연구들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군집분석과 남녀 비교

        정여주,여진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university students into a few groups based on the love relationship scal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group characteristic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Chung, Du & Kim (2011) collected data from 508 university students (201 males, 303 females, and 4 nonresponses) about love relationship scale (Chung, Du & Kim, 2011) and love style scale (Hendrick & Hendrick, 1996). Using this data, we grouped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to 3 clusters separately using model-based clustering method. For males, the students in Group 1 tend to have higher fog style scores and lower compression and reigning style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They also have higher Agape and lower Ludus scores, and the number of relationship is lower than the others. Group 2 has higher compression and Ludus scores and Group 3 has lower bark, dwarf, and compression scores. For females, Group 1 shows lower love relationship scores overall, having particularly small fog and reigning scores with small Ludus and Agape scores. The students in Group 2, who have comparably larger number of relationships, score highly for compression, reigning, and Ludus. Group 3 students have higher fog, dwarf, reigning, Pragman, and Mania scores. This study will help counselors understand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love relationship types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depending on their need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남녀 각각의 군집결과의 특성을 살펴보아 상담자들에게 연인관계 군집의 특성을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소재 대학생 508명(남자 201명, 여자 303명, 무응답 4명)이었으며, 대학생 연인관계 유형검사(정여주, 두경희, 김창대, 2011)와 사랑스타일 검사(Hendrick & Hendrick, 1986), 연인관계와 관련된 정보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Finite mixture model에 기반을 둔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각각 세 그룹이 도출되었다. 남학생 그룹1은 안개형이 높고, 산만형, 군림형이 낮은 그룹이었으며, Agape 점수가 높고, Ludus 점수가 낮으며, 연애회수가 다른 그룹에 비해 적은 특징을 보였다. 남학생 그룹2는 산만형과 Ludus 점수가 높았으며, 남학생 그룹3은 껍질형, 난장이형, 산만형 점수가 낮은 그룹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그룹1은 전반적으로 점수가 낮으면서 안개형과 군림형 점수가 특히 낮고, Ludus와 Agape 점수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며, 그룹2는 산만형, 군림형 점수가 높고, Ludus 점수가 높으며, 연애회수가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마지막으로 여학생 그룹3은 안개형, 난장이형, 군림형이 높으며, Pragma와 Mania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상담자들이 연애와 관련된 상담을 진행할 때, 대학생들의 연인관계 군집별 특징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정서, 타인 표정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모의실험을 통한 연구-

        정여주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cyberbullying on adolescent emotion, perception of other's facial expression, and attitude by experiment. Among 65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eonggi Area, 33 students were alloted in the experiment group and 32 students were alloted in the control group, randomly. After they filled out checklist on emotions, and conducted perception test of facial expression, they read an article about a famous star. After they read the essay same as their opinions, students in experiment group read 20 cyberbullying replies about the essay. Then, they filled out checklist on emotions, and conducted perception test of facial expression as a post test. As a result,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m of control group. And positive emotion scores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In the result of pre-post t-test, depression, anxiety, and positive emotion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more points in negative moods and received fewer points in positive moods of checklist on emotions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negative biases when they interpret facial expressions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y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Third,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negative expressions in their face and hands movement. And they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These results can help counselors understand how cyberbullied clients feel, how they interpret others' facial expressions, and how they express nagative emotions in their face and hands movemen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정서, 타인의 표정에 대한 인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 및 경기지역 중학생 65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한 후, 정서측정도구, 얼굴 표정 사진 인식, 비디오 촬영 등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 연예인에 대한 기사를 읽고 본인의 입장을 나타내는 글을 본 후, 실험집단은 그 아래 있는 악성 댓글 20개를 확인해보도록 하였다. 그 후, 다시 사전검사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검사를 진행하고, debriefing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기소침, 초조․불안의 사후점수가 높았으며, 긍정적 정서는 낮았다. 사전-사후 t-test에서도 의기소침, 초조․불안, 긍정적 정서 모두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표정 사진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전-사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가 적고 부정적인 태도가 많았으며, 사전-사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내담자들을 상담하는데 있어서 이 내담자들이 어떻게 정서가 변화하고, 타인의 의도를 왜곡해서 해석하며, 어떤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폭력예방교육의 실태와 과제에 대한 논의 : 성인지적 관점으로

        정여주,권정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at since the ‘Gender Equality Basic Law’. Extending continued to be mandatory and to education of women's movement since the 1990s effort to prevent violence. Escalate into a variety of violence against women, including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prostitution, sexual harassment. Gender perspective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s focus to ‘Safety’ and ‘Human rights’. Gender perspective as differences in the biological,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possessed by women and men with different interests or demands. Therefore Certain concepts and policies on sex if they are an advantage or disadvantage to one side in perspective to review if they are gender role stereotypes are involved. We identified the effect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found the importance of : 1) maintenance of the propulsion system, 2) nourish of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systematic management, 3) quality of educ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4) Strengthening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양성평등기본법’의 시행 이후 폭력예방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폭력예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폭력예방교육은 1990년대부터 여성운동의 노력으로 지속적으로 의무화되며 확대되었으며,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성희롱 등 다양한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폭력예방교육은 사후 처방이 아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사전예방하기 위한 것인 만큼 ‘안전’과 ‘인권’에 초점을 둔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교육으로 행되어야 한다. 성인지적 관점은 여성과 남성이 지닌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경험의 차이로 서로 다른 이해나 요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개념이나 정책 등에서 한쪽 성에 유리하거나 불리하지는 않은지에 성역할 고정관념이 개입되어 있지는 않은지를 검토하는 관점이다. 그러나 폭력예방교육은 다양한 기관에 의해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폭력예방교육이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추진체계의 정비, 전문 강사의 양성과 체계적 관리, 교육의 내실화와 다양화, 폭력예방교육의 효과 점검강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Calhoun과 Tedeschi의 외상 후 성장 모형을 중심으로

        정여주,전미양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validate a posttraumatic growth structural model for firefighters based on Calhoun and Tedeschi’s model (2006). Method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200 firefighters working in Gyeongsang-do, Jeolla-do, and Gyeonggi-do. The participants completed an anonymous survey asking about ego-resilience, active coping, family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self-exposure, deliberate rumination, poss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Results: The model selected as a final model was the one that supports 10 hypotheses out of 13 hypotheses. In the final model, deliberate rumination (β=.59, p<.001)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Active coping, organizational support, self-exposure,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trategy to strengthen deliberate rumination. In addition, encouraging deliberate rumination through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xposure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 가정폭력·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소진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여주 교회사회사업학회 2012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19

        본 연구는 여성폭력상담소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소진결정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소진은 개인적인 특성이나 종사자들의 업무특성에만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이 외상피해자를 대상으로 업무를 하고 있으므로 이차적 외상이라는 하나의 요인 또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 기혼일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사례수가 11-30건인 경우, 회피적 대처를 사용하는 경우, 이차적 외상이 높은 경우 소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특히 증가된 각성의 이차적 외상의 증상이 소진의 결정요인 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