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예측 요인 탐색

        최윤희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of dropout of H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lower the intention of dropout of students who are likely to drop out.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dropout group and the academic maintenance group was examined using chi-square. Secon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college life between the dropout group and the academic maintenance group. Thir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predictors of drop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dropout rate, the dropout rate of the mal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group. Comparing by admissions screening,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early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s in the dropout group. And in the school maintenance group, the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o the early admission program was high.Second, in the dropout group, students completed fewer credits than the applied credits. And the number of absences of students who were dropped out was high. Third, engineering colleges were derived as predictors of dropout in all grades.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Affairs was derived as a predictor in the 3rd and 4th grades.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was deriv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nl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do not drop out due to maladjustment, but choose to drop out to explore their career path.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dropout in the middl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plan for students to have positive potential for their careers. 본 연구는 H 대학교 학생들의 중도탈락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H대학교에서 중도탈락의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도탈락 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중도탈락 집단과 학업유지 집단의 현황을 카이제곱을 사용해서 살펴보았다. 둘째, 중도탈락 집단과 학업유지 집단의 평균평점 등과 같은 대학생활의 차이를 t 검증을 사용해서 비교해보았다. 셋째, 중도탈락 예측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중도탈락 비율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입학전형별로 비교해보면, 중도탈락 집단에서는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의 비율이 비슷하지만, 학업유지 집단에서는 수시전형 입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도탈락 집단은 신청학점에 비해서 이수학점이 적었으며 결석횟수도 학업유지 집단보다 더 많았다. 학업유지 집단은 평균평점 등이 중도탈락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도탈락 예측 요인을 학년별로 살펴보면 전학년에서 공과대학이 예측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인문사회대학은 3, 4학년에서 예측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평균평점은 1, 2 학년에서만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집단 특성(성별, 입학전형 등)에 따라 중도탈락과 학업유지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별 중도탈락 예측요인은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중도탈락을 낮추기 위한 방안은 학년별로 차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 온라인 영재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중도탈락 요인 분석

        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미국 초, 중, 고등학교 영재교육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3년 동안 개설된 온라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이 온라인 강좌를 끝까지 수료하지 않고, 중도탈락하게 하게 된 요인을 탐색하였다. 중도탈락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을 예견할 수 있는 암시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수료집단과 중도탈락한 집단간의 영재교육에 관한 사전 검사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측과 달리 기술적 어려움은 중도탈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장 큰 요인으로는 온라인 강좌 수강동안 예기치 않게 발생한 가정과 학교에서 증가된 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학습 시간 부족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교수자에 대한 불만족, 특히 교수자가 수강하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필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거나, 온라인 강좌의 교수자와 교사들이 충돌되는 문제를 적절히 조절하는 체제가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탈락을 예견할 수 있는 암시적 행동에 관한 분석결과, 영재교육에 관한 오개념을 더 많이 지닌 교사들의 경우 중도 탈락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사교육 환경에서 교사들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중도탈락 예측 연구 : 부산 B대학교 사례

        문승호(Sungho M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본 연구는 부산 B대학교의 2019년 신입생 대학적응력 검사 결과와 학업성취도 자료를 토대로 대학신입생의 중도탈락률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의적인 대학적응력변수는 학문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대학교육 만족도로 나타났다. 중도탈락률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사회적 통합성과 대학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 모형을 활용한 예측결과는 AUC 기준 0.5887로서 획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지는 아니하였다. 둘째, 성적과 성별이라는 변수 역시 유의적인 중도탈락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대학적응력 변수와 함께 중도탈락 예측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의 경우 여학생일수록 중도탈락률이 높으며, 교과 성적이 낮을수록 중도탈락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도탈락 경향성 변수도 유의적인 중도탈락 변수로 나타났으며, 성적, 성별과 함께 중도탈락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응력 검사 결과 외에 성적변수 등을 도입함으로써 중도탈락자의 예측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적응력변수, 남녀 성별, 학과성적 등이 중도탈락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전망하고 관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ropout rate of college freshmen based on the 2019 college adaptation test results of Busan B University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university adaptability variables were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The dropout rate appears to increase as academic integration increases, and decreases as social integr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increase. Second, the variables of grade and gender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dropout predictors.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be available for dropout prediction along with university adaptability variables. In the case of these variables, the dropout rate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and the lower the curriculum score,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ird, the dropout tendency variable was also found to be a significant dropout variable, and 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dropout along with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show that college adaptation variables, gender, and academic performance are closely related to dropouts, and based on this, students can predict and manage dropouts.

      • KCI등재후보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성윤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중도탈락과정과 중퇴 이후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사회적 맥락의 수준에서 학교중도탈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중도탈락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예비면접, 주제보자와의 심층면접 및 참여관찰을 통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중퇴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이 학생의 중퇴 결정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중도탈락 청소년을 짤린 청소년과 때려친 청소년으로 유형화하여 중도탈락 과정을 살펴보았고, 중도탈락이후의 삶의 적응과정을 중도탈락 유형에 따라 정착형과 비정착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학교중도탈락 과정의 위기적 사건 또는 결정적 계기, 기질, 강화, 촉친, 종결의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거쳐 학교중도탈락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면,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부족: 무책임한 교사, 또래집단과의 비동질성: “애들이 싫어하는데요”, 유해환경에 노출, 청소년 지지 환경 부족: 상담교사의 의미적 부재의 구조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of adolescents' dropout from school and social adapt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dropout from the social context. Employing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he study carried out a pre-interview, in-depth interview with main subjec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6 adolescents dropout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various variables were involved in the adolescents' decision making process of dropout from school. The dropout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those who voluntarily dropout from school and those who were forced to dropout from school. The process of social adaptation after dropout was categorized into settlement type and unsettlement one on the basis of the two dropout categories. Dropout was an outcome of the complex process of structural factors which consisted of a critical moment or crisis, personality, reenforcement, promotion and conclus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context, the structural factors of dropout included non-interventionist parenting styles, irresponsible teachers, exclusion of the peer, exposure to harmful social environment, lack of social support and counseling teachers.

      • KCI등재

        대학생 중도탈락 연구동향과 과제: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이은화(Lee, EunHwa),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도에서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조사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논문을 대상으로 먼 저 전반적인 연구동향(발표연도, 학술지 및 학술지 분야,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과 연구 대상(중도탈락자,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 중도탈락 의도자, 대학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 중 도탈락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나타나, 2011년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학 분야에 게재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경우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 결과, 실제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많은 편이 아니었고, 재학생(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 내용 분석 결과,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중도탈락 경험이 있는 자를 상으로 중도탈락의 직접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았고,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재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려는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에서는 중도탈락 의도의 원 인을 주제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대학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제공하는 공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대학기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연구 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dropout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71 academic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19. First, the trend of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journals field, research subject and method, and research theme. Second, the research theme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 such as t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s and the university/college institu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been growing since 2011 and the most published articl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re were more article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mpared to articles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with dropout intention were much more than the actual dropout students. Fourth, the studies regarding college dropouts were largely an attempt to find the direct causes of the dropouts. There were many studi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ose who were the dropout and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auses of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s. Finally, most of the studies on university institutions tried to identify factors that university could affect the dropout.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on future research.

      • KCI등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개선 방안

        최길성(Kil Sung Choi),이용창(Yong Cha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전문대학의 재학생 충원율은 갈수록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중도탈락률의 증가는 전문대학을 심각한 위기로 몰고 있어도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왜냐하면, 중도탈락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 입학한 상태에서는 기존의 어떠한 방법도 중도탈락을 방지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도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입학전형별 중도탈락 실태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입학전형 방법과 절차에 반영함으로써 중도탈락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입학전형별로 대학생활 만족도와 중도 탈락률 간 비교를 통해 중도탈락률을 개선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전문대학의 중도탈락률을 개선하는데 유효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colleges to recruit new students to their full capacity. The increase of the withdrawal rate drives these colleges into crisis yet little has been done about it, because students with great possibility to withdraw enter colleges and old measures to stop them from dropping out hardly work. This study attempts to grope new measures to prevent dropout from college. To do this, I investigated withdrawal rate by college admission types and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withdrawal rate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admission procedures. I also compared the different types of admission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withdrawal rate, and suggested the measures to alleviated withdrawal rate. I expect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would be used effectively to reduce the withdrawal in colleges.

      • KCI등재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지방대학 중도탈락학생의 주요 패턴 및 유형 연구

        이식,고재욱,전진호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9

        Recently, the financial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s emerging.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s due to a sharp drop in the enrollment rate for new students and an increase in the dropout rate. A university's financial income is highly dependent on tuition income, s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ds to a financial crisis. To overcome this, local universities are trying to prevent the dropout of students, but practical measures and research are still lacking. In particular, existing research on dropout focuses on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all dropout students, so more specific research is needed on the maj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ropout.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ropping out for the purpose of transfer and those who drop out due to poor academic performance are different, and countermeasures must be different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ropouts targeting freshmen(22,415)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in the last 10 years(2011-2020). First, by applying the heuristic mining algorithm of process mining, the major academic patterns of dropout students were visualized and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dropout types were divided into 5 types: 1)Immediate dropout type 2)Retake preparation type, 3)Transfer preparation type, 4)Academic abandonment type, 5)Long-term leave of absence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verage grades, average enrollmet period, and number of academic warnings for each type. Unlike previous studie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ustomized strategy for each type of dropou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each dropout type and whether the dropout rate is reduced. 최근 학생 수 감소에 따른 지방대학의 재정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학생 수 감소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충원율 급락과 이미 입학한 학생의 이탈로 발생하는 중도탈락률 증가에 따른 것이다. 대학의 재정수입은 등록금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학생 수의 감소는 곧 대학 재정의 위기를 초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대학들은 신입생 모집에 힘쓰고, 재학생의 중도탈락을 막기 위해 많은 연구와 방안 마련에 힘쓰고 있지만 실질적인 방안 마련과 실효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중도탈락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중도탈락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결정요인 파악에 집중하고 있어 중도탈락 주요 유형 및 특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편입을 목표로 중도탈락하는 학생과 학업부진으로 중도탈락하는 학생의 특성이 다르고 이에 따른 대책 또한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 사립 C 대학 최근 10년간(2011~2020)의 신입생(22,415명)을 대상으로 중도탈락의 주요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프로세스 마이닝의 휴리스틱 마이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도탈락 학생의 주요 학적 패턴을 시각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도탈락 주요 유형을 1)즉시이탈유형, 2)재수준비유형, 3)편입준비유형, 4)학업포기유형, 5)장기휴학유형 총 5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로 평균성적, 평균재적기간 및 학사경고 횟수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중도탈락자의 주요 유형별로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중도탈락 유형별 맞춤형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에는 중도탈락 유형별로 세부적 특성과 중도탈락률 감소 여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중도탈락 현황 연구: P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선호 ( Jeong Seon-ho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1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4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P 대학의 중도탈락 현황을 분석하여 중도탈락율 예방을 위한 대학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5년간 P 대학의 중도탈락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 대학의 중도탈락율은 9.1%로 전국 4년제 일반대학의 3년 평균인 5.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중도탈락율이 60.1%, 여학생이 39.9%로 남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도탈락의 6가지 유형중 자퇴가 45.4%, 미복학제적이 24.0%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퇴를 선택한 학생들의 사유 가운데 편입학이 33.9%, 재수가 24.5%, 전공적성문제가 17.6%로 나타났다. 다섯째, P 대학의 중도탈락은 2학년이 35.3%, 3학년이 32.4%로 1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중도탈락자 중 평균 평점이 3.0이상인 학생이 33.4%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된 중도탈락의 현황을 기반으로 중도탈락을 예방 및 중도탈락 의도 관리를 위한 대학의 정책적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insight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prevent student dropout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for the dropout rates of the P University students. METHOD This study analyzed dropouts from P University for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opout rate of P university was 9.1%, which was higher than the three-year average of 5.3% of four-year universities. Second, the dropout rate of male students was 60.1% and female students 39.9%, indicating a high proportion of male students. Third, among the six types of dropouts, quitting school was 45.4% and non-returning expulsion was 24.0%. Fourth, among the reasons for the students who chose to drop out, 33.9% were transferred, 24.5% were retake, and 17.6% were major aptitude problems. Fifth, dropping out of P University was 35.3% for second graders and 32.4% for third graders, higher than for first graders. Sixth, 33.4% of dropouts had an average rating of 3.0 or higher.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zed status of dropou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plan for universities that can prevent dropouts and manage dropout intention.

      • KCI등재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우영 ( Yun Woo-young ),김수현 ( Kim Soo-hyu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고,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대구와 경남의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중도탈락의도 간에는 유의한 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도탈락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그리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세무회계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 accounting departments has on dropout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academic stress affect the dropout intention? Second, does academic self-efficac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Methodolog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2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in Daegu and Gyeongnam about academic stress, drop-out inten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drop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Finding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ul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ropout inten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affected by dropout intention. Influence, and the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ulating effect.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tax accounting and prevent dropouts.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및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탐색 연구 -G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선(yunseon Cheong),양정모(Joung Mo Y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의 G 국립대학 재학생 2,812명의 학적 데이터와 대학 적응력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집단의 구분은 중도탈락에 대한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에 따른 2×2 네 집단과 재입학한 학생 집단을 포함하여 총 다섯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업 관련 변인과 대학 관련 변인에서 다섯 집단이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중도탈락 의도가 있었고, 실제 중도탈락한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학사경고 횟수와 낮은 평점평균(GPA)을 보이는 집단이며,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총 취득 학점도 낮았다. 중도탈락 의도가 없었지만 중도 탈락한 집단 역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취득 학점을 보였지만, 평점평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도탈락 의도가 있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낮고,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 만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나, 중도탈락 의도가 없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고, 높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 정체성, 경제적 안정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차별적이었다. 한편 중도탈락 의도는 있으나 탈락하지 않은 집단은 정서적 안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마지막으로 재입학 집단은 학사경고 횟수와 일반휴학 횟수가 높으나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actual dropout status, and re-entry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is purpose, enrollment data and CAT data of 2,812 students at G National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ere utilized.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cluding a 2×2 matrix based on the inten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dropout, as well as a group of students who re-entry. The results of explor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five groups in academic and university-rel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both prior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cademic warnings, a lower grade point average (GPA), fewer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lower total acquired credi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exhibited similar levels of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acquired credits, but with a higher GPA. Examining differences in university-related variables, the group with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displayed lower academic integration, poore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lower university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showed higher academic integration, higher emotional stability, career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Those with dropout intention but did not drop out constituted the group with the lowest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major. Lastly, the re-enrollment group exhibited higher instances of academic warnings and general leaves of absence but demonstrated positive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university dropo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