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문화 분류를 위한 <주제·양태 결합 분류체계> 연구

        김문용,이정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개념적 거리와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하고 빠른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의 산물이다. 기존의 문화분류체계들은 문화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과 문화 요소의 양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 그리고 이 두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의 세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화의 주제에 따른 분류는 그동안의 학문적인 관용에 기초하는 바가 많아 연구자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양태 분류는 항목의 논리적인 분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대적, 범세계적 보편성에로의 가능성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면서, 이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였다. 그러면서 종래와 같은 무원칙, 무규칙적인 혼용을 피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 분류와 문화요소의 양태별 분류를 병행하고, 이를 각각 분류체계의 XY축에 매치하였다. 즉 하나의 문화현상을 영역과 양태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이 두 분류값을 결합하여 최종 분류값으로 정하는 방식의 분류체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의하여 조선시대의 문화현상을 12개의 양태 항목과 75개의 주제 항목으로 구분하여, 종합 899개의 분류항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분류체계는 앞으로 여러 차례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쳐 계속 확대, 보완해 갈 예정이다. This proposal aims at creating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logically classifics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ual distances among and the stratum of the phenomena. This new system will help scholars to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s casily and swiftly. There have been existed three style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e stil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subject, the style based on the ontological mode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mixture of the two. The first one has strength in convenience. Therefore many scholars, relying on the academic habit, used this system. The second, however, has other strengths. Since it is based on the logical classification among the items, it has potentials to be utilized synchronically and in the end world widely. The new system suggested in this proposal utilized the strengths from both systems explained above. Nevertheless, this system separates the result from the two systems and allocated each of them to the axis X and Y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the disorder caused by the lacks of principle and regulation in combining the two systems. As it were, certain cultural phenomena are classified base on their values in their subjects as well as modes, and combined into the final values. In this way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12 mode items and 75 subject items, and 899 items are created in this system. This new system will be expanded and amended through the experimental uses.

      • KCI우수등재

        BERT 모형을 이용한 주제명 자동 분류 연구

        이용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2

        This study experimented with automatic classification of subject headings using BERT-based transfer learning model,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ain class of KDC classification and the category type of subject headings. Six datasets were constructed from Korean national bibliographies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assignments of subject headings, and titles were used as classification features. As a result, classification performance showed values of 0.6059 and 0.5626 on the micro F1 and macro F1 score, respectively, in the dataset (1,539,076 records) containing 3,506 subject headings. In additi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by the main class of KDC classification showed good performance in the class General works, Natural science, Technology and Language, and low performance in Religion and Arts. As for the performance by the category type of the subject headings, the categories of plant, legal name and product name showed high performance, whereas national treasure/treasure category showed low performance. In a large dataset, the ratio of subject headings that cannot be assigned in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fin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is needed to increase classification performance for low-frequency subject headings. 이 연구는 딥러닝 기법의 전이학습 모형인 BERT를 이용하여 주제명의 자동 분류를 실험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더 나아가 주제명이 부여된 KDC 분류체계와 주제명의 범주 유형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국가서지를 이용하여 주제명의 부여 횟수에 따라 6개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분류 자질로 서명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분류 성능으로 3,506개의 주제명이 포함된 데이터셋(레코드 1,539,076건)에서 마이크로 F1과 매크로 F1 척도가 각각 0.6059와 0.5626 값을 보였다. 또한 KDC 분류체계에 따른 분류 성능은 총류, 자연과학, 기술과학, 그리고 언어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며 종교와 예술 분야는 낮은 성능을 보였다. 주제명의 범주 유형에 따른 성능은 ‘식물’, ‘법률명’, ‘상품명’이 높은 성능을 보인 반면, ‘국보/보물’ 유형의 주제명에서 낮은 성능을 보였다. 다수의 주제명을 포함하는 데이터셋으로 갈수록 분류기가 주제명을 제대로 부여하지 못하는 비율이 늘어나 최종 성능의 하락을 가져오기 때문에, 저빈도 주제명에 대한 분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곽철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글박물관 소장 『청구영언』 무명씨(無名氏) 항목의 종합적 고찰

        박연호 ( Park Youn-ho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청구영언』(국립한글박물관소장본)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에 수록된 작품들은 단순히 내용을 분류하기 위해 삽입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유명씨부터 무명씨 주제분류 항목에는 악곡표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작품을 이삭대엽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주의식 등 여항육인의 작품 상당수는 편가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유명씨 작품 전부를 이삭대엽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이는 무명씨 주제분류 항목도 마찬가지이다.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의 각 주제어에 수록된 작품들은 일련의 ‘질서’ 속에 배열된 하나의 세트set라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성은 주제별 분류 가집인 『고금가곡』과 『근화악부』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여러 작품을 묶어 세트를 구성하고 다양한 악곡에 얹어부르는 방식을 編歌라고 한다. 따라서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의 각 주제어에 배치된 작품들 중 상당수는 編歌를 위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단순한 내용 분류를 위한 것이라면 굳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품을 배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편가를 떠나 시조를 세트로 짓는 전통은 조선시대 전시기에 창작되었던 연시조와 연작시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8세기 이후 編歌 형식의 가곡연행은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초·이·삼삭대엽에 수록된 작품들의 경우 편가에서 특정 작품의 악곡은 부르는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가집에 따라 다른 악곡에 편재되어 있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또한 3개이상의 악곡으로 구성된 편가에서 첫 번째 노래는 초삭대엽으로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초삭대엽이 편가 연행에서 판을 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제 분류의 각 항목에 복수의 작품이 수록된 경우 첫 번째 작품은 초삭대엽으로 가창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 때문에 악곡표시를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삼삭대엽 이하 만횡청류까지 작품들의 주제를 분류해 본 결과 연군이나 강호 등 유가이념과 관련된 주제들은 주로 삼삭대엽까지에서 수록된 반면, 유락이나 규정, 탄로 등은 전악곡에 걸쳐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제에 따라 초·이, 또는 초·이·삼삭대엽만으로 편가가 구성되기도 하고, 소가곡(弄·樂·編)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낙시조는 주로 우락과 계락 등으로 전승된 반면, 만횡청류는 弄이나 ‘엇’계통(얼락, 얼롱, 얼편), 編계통으로 전승되었으며, 『청구영언』 내 작품 배열도 19세기 이후에 弄→ 얼락 → 編 등 編歌에서 연행되는 악곡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만횡청류의 수록 순서도 編歌와 관련이 있으며, 당시에 이미 농·락·편에 대한 변별적 인식이 일정정도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the anonymous part in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in terms of musical and literary aspects. The anonymous parts(無名氏) are divided into 52 keywords, and each keyword contains 1-7 works. Furthermore, the works are arranged in a certain order: a chain of time, space, and poetic contexts, among others. In other words, they are gathered in one set. This feature is also found in Gogeumgagok (古今歌曲), a themed collection of songs, and in Geunhwaakbu(槿花樂府), an old song. In the Gagok (歌曲) performance, which consists of a set of several works, the songs are sung in various tunes. This is called “Pyeonga(編歌).” Because each subject classification item in an anonymous part is likely to have been performed as Pyeonga, it is not considered a simple content classification. Furthermore, this tradition can be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Sijo series that was creat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Pyeonga, the tune of certain work(Sijo) is determined b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poem. The Pyeonga generally begins with Chosakdaeyeop(初數大葉, First Sakdaeyeop, a tune name), and it is the opening tune in the Gagok performance because the first works in each subject classification item are likely to have been sung by Chosakdaeyeop.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the tune is not marked in the anonymous part. Meanwhile, there are no themes related to the Confucianist ideology in Manhoengcheongnyu(蔓橫淸類), and over 50% of the works are related to the themes of pleasure or affection. This means that the Pyeonga is composed of 1·2·3 Sakdaeyeop or even the entire tune, including Manhoengcheongnyu. Furthermore, in the aspect of the transmission of the tune, the sequence of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of Manhoengcheongnyu is similar to the general order of Pyeonga. Therefore, the anonymous part is not a chaotic collection of works in order to classify the contents of Sijo by theme because all the works in the tune below the anonymous part can be regarded as being related to the Pyeonga.

      • 시소러스와 분야분류체계를 이용한 과학기술문헌에의 주제 및 분야할당

        정한민 ( Han Min Jung ),강인수 ( In Su Kang ),성원경 ( Won Kyung Sung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6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

        본 연구는 문헌으로부터 추출한 색인어를 시소러스 개념어와 매칭시킴으로써 해당 문헌을 대표하는 주제 및 분야할당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주제 및 분야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특정 주제나 분야를 대표할 수 있는 용어 집합으로 구성된 사전을 이용하는 원시적 방법이나 문헌 내의 색인어들 중 중심이 되는 것이라고 판단되는 색인어를 통제 없이 주제로서 제시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한편 기업체를 중심으로 한 KMS 시스템들은 이러한 자동화된 기법을 배제하고 수작업으로만 문헌들에 주제나 분야를 직접적으로 할당하고 있으나 이 역시 비용 측면이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정보확장에 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빠르게 증가하는 문헌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잘 통제된 주제집합을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주제뿐만 아니라 분야 관점에서의 접근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시소러스라는 통제된 어휘집합을 중심에 두고 정보검색시스템에서의 색인어와 분야분류체계의 분야분류명들을 상호 연계하는 방식으로 주제 및 분야할당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소러스 개념어들과 분야분류체계의 분야분류명들간에 매핑이 이루어지도록 언어 자원을 구성하며, 색인어와 개념어 매칭 결과를 활용하여 주제 및 분야를 해당 문헌에 자동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과학기술문헌에 대한 주제 및 분야할당을 위해 15,000여 개의 범용 과학기술 시소러스 개념어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KOSEF분야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시소러스와의 매핑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주제 및 분야할당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헌에 할당한 주제 및 분야정보는 추론규칙을 이용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지식으로 변환되고 추론 서비스를 통해 연구자에게 제공된다.

      • KCI등재

        국내 학술논문 주제 분류 알고리즘 비교 및 분석

        최원준(Wonjun Choi),설재욱(Jaewook Sul),정희석(Heesuck Jeong),윤화묵(Hwamook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학술정보 성과물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논문 단위의 주제 분류는 필수가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저널 단위의 주제 분류가 되어 있으며 기사 단위의 주제 분류가 서비스되는 곳은 많지 않다. 국내 성과물 중에서 학술 논문의 경우 주제 분류가 있으면 좀 더 큰 영역의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고 범위를 정해서 서비스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정보가 된다. 하지만, 분야 별 주제를 분류하는 문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손이 필요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검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답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정답을 찾는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주제 분류를 시도해 보고 연관도와 복잡도를 활용해서 주제 분류 알고리즘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은 주제 분류 방법으로 잘 알려진 Hierarchical Dirichlet Precess(HDP).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Latent Semantic Indexing(LS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성능을 분석해 보았다. Subject classification of thesis units is essential to serve scholarly information deliverables. However, to date, there is a journal-based topic classification, and there are not many article-level subject classification services.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among domestic works, subject classification can be a more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can cover a larger area of service and can provide service by setting a range. However, the problem of classifying themes by field requires the hand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nd various methods of verification are needed to increase accuracy. In this paper, we try to classify topics using the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to find the correct answer in the unknown state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algorithms using the coherence and perplexity. The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are a well-known Hierarchical Dirichlet Process (HDP),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Latent Semantic Indexing (LSI) algorithm.

      • KCI등재

        『시조유취(時調類聚)』의 주제분류 체계와 최남선 시가론의 이념적 기반

        유정란 ( Yu Jeong-ra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본 논의는 1928년 편찬된 『시조유취』의 주제 분류 체계를 검토하고 최남선의 시가 담론이 가집 편찬에 연동되는 과정을 살펴 그 의미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최남선은 1913년 가집 『가곡선』을 편찬하면서 본격적인 시조 정리 사업을 기획한다. 이후 약 10여 년 동안은 한국의 고대사 연구에 집중하다가 1920년대 중반 시조 부흥 운동을 펼치며 『시조유취』를 1928년에 출간한다. 『시조유취』는 최남선이 소장하고 있던 가집·문집 소재 시조에서 1400수를 선별, 이를 다시 주제어에 따라 분류한 앤솔로지 가집이다. 총 21 항목으로 시조를 배열한 가집 체계를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조유취』는 자연 시조를 목록에서 가장 먼저 선보이는 동시에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자연 시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둘째, 애정 시조를 통어하는 항목으로 “남녀류”를 편성, 이들 군집을 상위 목록에 위치시켰다. 나아가 시조의 주제로는 곧잘 인식되지 않던 “유람류”를 주제 항목으로 배치했다. 셋째, 유교 윤리로 해석되는 작품을 목록 후반부에 위치시키는가 하면 현실비판의식의 작품군을 하나의 주제 항목으로 편성하지 않았다. 넷째, 내용에 의한 분류뿐만 아니라 등장인물, 표현 양식의 방면을 통해 새로운 주제 개념을 설정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기탁류”, “인물류”, “사관류”, “잡류” 항목이 있다. 이처럼 최남선은 새로운 사유를 통해 『시조유취』의 주제 체계에 접근했다. 이를 궁리하는 가운데 주목해야 할 부분은 1920년대에 그가 전개한 일련의 문학론, 구체적으로는 시가론의 전개과정이다. 그는 시조를 통해 조선의 국민문학을 형성하려 했고 그 이념 기반은 일본 메이지 시기의 국문학 성과에 놓여있었다. 이때 최남선이 전개한 시조론은 근대 일본의 정전 형성 과정에서 창출된 와카(和歌) 가론과 일정한 관련을 맺는다. 또한 『시조유취』의 주제별 분류 양상에서 일본 와카 가집의 주제분류 체계와 비견할만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요컨대, 최남선에게 있어 일본 시가집의 제 양상은 『시조유취』의 체계를 구상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최남선은 『시조유취』에 주제분류 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시조의 가창 문화를 주변화시키고 언어텍스트로 시조를 부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시조의 주제 인식을 보임으로써 그 문학성을 먼저 알리고자 한 것이다. 지금의 우리가 고전 문학의 대표적 갈래로 시조를 친숙하게 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조유취』의 주제 인식은 자못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op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Sijo Youchui and deduce the meaning by examining poetic discourse of Choi Namseon interlocking to gajip compilation. Choi Namseon planned to organize Sijo-rearrangement projects by publishing his gajip Gagokseon in 1913. After that, he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for 10 years. He finally published Sijo Youchui while undertaking sijo revival movement. Sijo Youchui is a topically classified anthology among 1,400 poems extracted from gajip and anthology possessed by Choi Namseon. The results reviewed from the system of gajip arranged with sijo according to 21 topic words are these. First, Sijo Youchui tri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atural sijo by subdividing and showing it at the beginning of the list. Second, he organized “man and woman sorts” referring to affectional sijo and put them high on the list. In addition, he also included “sightseeing sorts” to the topical system which were not recognized as sijo topics. Third, pieces considered as Confucian ethics had been arranged later on the list and pieces for criticism of reality was not established as a topical item. Fourth, it requires attention because of setting the new topical conceptions when comparing to topically classified gajip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ose were typically “comparison sorts”, “figure sorts”, “point of view to buddhist sorts”, “miscellaneous sorts.” Like these, Choi Namseon tried to approach topical classification of Sijo Youchui through new reasons. What we have to focus on is his series of literary theories in the 1920s, specifical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his poetry.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in Joseon Dynasty period through sijo and His ideological basis lied on the achievements of literature in Meiji period. The sijo theory developed by Choi Namseon had been associated with Waka discussion as a result of process of modern Japanese canon formati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ijo Youchui also resembled the system of Japanese Waka collections. This means that Choi Namseon refered to the universal aspects of Japanese poetic collections to publish his Sijo Youchui. These evidences can be seen in the pieces of Japanese modern literature discourse that have been also found in poetic discourse of Choi Namseon, and the records from translation of sijo which had materials of Kokinwakasyu.

      • KCI등재

        "중국분류주제사표(中國分類主題詞表)"의 한.일 관련 주제명에 대한 비교 분석

        문지현,김정현,Moon, Ji-Hyun,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3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fter extracting the subject titles related to Korea and Japan from the second version of Chinese Classified Thesaurus, the number of titl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otal number of Korea-related titles including proper nouns was 215, which is limited in comparison to that of Japan, in terms of the number and diversity of the subjects. Particularly, the CCT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Korea as it uses the word 'Josun' to denote Korea and calls Korean War 'Josun War' as well as only recording it in North Korean history. Meanwhile, Japan-related subject titles include many that show the complicated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China, such as Manchurian Incident and Japan-China War. 이 연구는 "중국분류주제사표(中國分類主題詞表)" 제2판에 수록된 한국과 일본관련 주제명을 추출하여 주제명의 수와 주제별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한국관련 주제명표목은 고유명을 포함하여 총 215개로, 일본관련 주제명표목과 비교하였을 때 주제명 수나 다양성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한국의 국가명칭을 '조선(朝鮮)'으로 표기한 점이나, 한국전쟁을 '조선전쟁'으로 설정하고 북한의 역사에만 수록하는 점 등은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일본관련 주제명에는 '만주사변'과 '중일전쟁'과 같이 복잡했던 중 일 양국간의 역사적 관계를 보여주는 주제명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 KCI등재

        분류체계 인용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김성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2

        For the effective classification of complex subjects, a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adopt multiple division principles (or facets). Each of the multiple principles adopted for the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sequentially applied at each stage of divisio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se multiple principles during the process of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called citation order. In order for a classification scheme to be consistent and logical, the citation order of division principles applied to classify complex subjects should be concrete and consistent. Especially, in case of enumerative classification system, decisions on citation order to represent complex subjects significantly affect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re are basic principles and theoretical canons of the classification theory on the citation order and its application, but they cannot be applied solid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practical reasons.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previous works on classification theories regarding citation order, then explores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for the application of citation order. 문헌분류체계에서 복합주제의 전개를 위해서는 복수의 구분기준 혹은 특성(characteristics)을 적용해야 한다. 복합주제의 세분전개를 위해 채택된 복수의 특성들은 세분의 매 단계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전개된다. 복합주제를 세분 전개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구분기준을 적용하는 순서를 인용순(citation order)이라 한다. 주제를 세분하는 과정에 적용되는 구분기준의 전개순서인 인용순이 구체적이고 일관성을 가져야 문헌분류체계의 일관성과 논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열거식 분류체계의 경우에는 복합주제의 표현을 위한 인용순의 결정이 분류체계의 구성과 체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용순 및 그 적용과 관련된 분류이론상의 기본 원칙들은 실제 분류체계 구축과정에서 실용적인 이유로 완벽히 적용되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분류체계의 구축과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용순 관련 분류이론과 선행연구를 개괄해보고, 인용순 실제 적용상의 제반 사항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 기반 분류를 위한 주제명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조직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백지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heading construction for the word based classification and to suggest a methodology that uses various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KOS). For this purpose, six kinds of KOS were collected for the 20 selected works in each subject. The collected subjects were analysed in terms of constructing a subject heading for the word based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library oriented KOS and commercial oriented KOS. In addition, user oriented tags are more similar to the commercial sector's concerning subject categorization than the library oriented ones. However,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among the library oriented KOS, commercial sector oriented KOS, and user oriented tags regarding the subject vocabular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application to the Korean librar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도서관 장서의 분류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 분류체계 대신 주제어 기반의 분류를 적용하고자 할 때 필수적인 주제명 개발의 필요성을 논하고,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의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활용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석 대상 저작을 선정하고 이에 대하여 부여된 문헌분류, 주제명표목, 국내외 대형 서점의 분류, 서가명 및 주제어, 이용자 태그 등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수집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전통적인 도서관 중심의 지식조직체계와 상업성이 중심이 되는 지식조직체계의 성격과 범주화의 방식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용자 태그는 최상위 빈도수의 태그인 경우 전통적인 지식조직체계 및 상업적 영역의 지식조직체계와 어휘의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로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분류를 대체하는 주제명 작성을 위해 기존의 지식조직체계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각각의 특성 및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고, 국내에서의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