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마음』의 주제성에 대한 고찰

        부백(Poe, Bae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0

        The Kokoro, published in September 1914, is a masterpiece by the master writer of modern literature, Soseki Natsume(1867~1916). This thesis is a study of subjectivity of the work, The Kokoro. There are two stories inside the work The Kokoro. One is about a teacher who deceives his best friend and takes his girlfriend. The friend later kills himself and the teacher also commits suicide from the guilt. The other is about "I" who feels great affection for a teacher away from home and the affection exceeds the one for the father at home. The teacher calls himself as "revelation of selfishness" and his strategy of love which restrains his friend "K" is very egoistic, showing that his act is based on egoism. On the other hand, "I" is in a situation to choose between love for his father and affection for the teacher. "I" later chooses the latter and this act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liberalism which is very contrary to general morals because his father was dying. Both egoism and liberalism are based on individualism. When individualism develops self interests, it becomes egoism and when is develops individual character, it becomes liberalism. In conclusion, thoughts and acts of both the teacher and "I" are based on individualism. The Kokoro is a work which calls this being of licentious self by these two characters to account. Reference, the Japanese word 'kokoro' means 'mind' or 'heart' in English. But based on the subjectivity of this work, the word 'mind' would be more appropriate for the theme of the work.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어 명사절(소절)의 몇 가지 의미 문제와 HPSG의 기술

        임재호(Jai ho LEEM),이나래(Na lae LEE)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6 No.-

        Dans cet article, nous présentons tout d’abord la définition formelle de la proposition nominale et son extension en français. Puis, nous discutons de quelques propriétés sémantiques de cette nouvelle notion linguistique. Une des caractéristiques majeures de ce type de proposition consiste dans l’absence de la catégorie verbale qui comprend le système temporel linguistique. Du manque de ce système vient l’évidentialité faible de l’espace linguistique des propositions nominales. Le sujet de la proposition nominale possède la topicalité produite sur la base des deux conditions suivantes : sa position syntaxique et sa relation présuppositionnelle. Autrement dit, la proposition nominale est une place où seule relation catégorielle peut apparaître. Par ailleurs, le sujet de la proposition nominale est conditionné par “la contrainte de la détermination non totale”. Dans la deuxième partie de ce travail, nous décrivons les structures informatiques des propositions nominales demandées par les verbes en français dans le cadre théorique de HPSG. A l’opposition des propositions verbales, les propositions nominales ne contiennent pas VF attribut qui exprime une valeur temporelle linguistique. Pour formaliser la topicalité et l’évidentialité faible en question sont introduites les deux nouvelles contraintes individuelles : Target et EV-level. Nous proposons topic et low comme les valeurs de Target et EV-level respectivement. Quant à la contrainte de la détermination non totale en cause, nous la décrivons avec ¬ ∀quantifier introduit comme la valeur de l’attribut SPEC du groupe nominal.

      • KCI등재

        영어 수동문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기능문법적 설명

        김은일,안경록,정연창 한국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Korean translations of English passives and to provide functional explanations for each type of them. We analyze 160 passives from Rowling's (1998)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and Meyer's (2007) Twilight and their Korean versions. The English passives are shown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passives (19.4%), actives (68.7%) and paraphrastical expressions (11.9%). Korean actives are classified into 5 subtypes: intransitives (49.1%), transitives (40.0%), adjectives (5.5%), nouns (4.5%), and adverbs (0.9%). This study accounts for the subtypes in terms of functional concepts such as topicality, agentitivity, animacy, stativity, and lexicalization.

      • KCI등재

        교육행정구현과정에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 현상

        송경오(Song Kyoung-Oh)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자기소외(identity-alienation)가 결코 개인적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 주체성 을 상실한 심각한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인식하에 교육행정맥락에서 자기소외의 개념을 개발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현상을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 는 대학교수, 교직원, 그리고 교사들이 업무과정에서 어떻게 자기소외를 경험하는지, 그리고 자기소외 경험의 결과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면담을 통해 실증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교육주체들은 지나친 성과중심 시스템 하에서 자신의 노동이 창조적이고 즐거운 행위가 아닌 생계수단으로 전락하는 자기소외를 경험하였다. 또한 권위주의 조직문화의 고립된 근무환경 하에서 동료와 경쟁적으로 대립하고, 인간다운 사회적 교류가 어려운 자기소외를 경험하였다. 업무과정에서 기쁨을 누리지 못하는 교육주체들은 사 적인 삶에 머무르게 되고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선을 추구하는 정치적 활동이 거의 배 제된다. 자기소외를 경험한 교육주체들은 자신의 사유와 판단을 유보하고 표현을 꺼려하는 무소신의 양상, 완전한 몰입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심오한 놀이꾼(deep player)의 소멸, 자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깨닫지 못한 채 전문가로서 자유의지는 사라지고 조직의 규율과 법이 윤리적 판단 기준이라고 여기며 이에 복종하는 양상을 보인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self-alienation is not a matter of personal level but a serious social structural problem,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onception of self-alienation and explained the self-alienation of the educators.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ly how educational subjects experience self-alienation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how the results of such self-alienation experiences appear. Then, it examines empirical cases through interviews. First of all, under the high stakes performance-based administrative system, the educators have experienced self-alienation, in which their labor is not a creative and pleasant activity but a means of livelihood. In addition, due to the isolated and discriminative working conditions, the educators have experienced competitive alien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difficulty i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olleagues. Educational actors who do not enjoy in the working process have stayed in their private lives, and have experienced self-alienation in which political activities that set common goals and pursue the common good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are almost exempted. Educational actors tend to be reluctant to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all sorts of reasons and judgments. In addition, it happens that the disappearance of a profound deep player that makes original works through complete immersion in the scene of education. And it is shown that educators tend to obey the discipline and law of the organization, regarding as the basis of ethical judgment.

      • KCI등재

        English Raising Construction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박기성 한국중원언어학회 2015 언어학연구 Vol.0 No.34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subject-to-subject [SS] raising and subject-to-object [SO] raising constructions in English as well as the linguistic factors which affect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raising constructions. This study mainly discussed four main concerns.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the markedness of the raising depending on the SS or SO raising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okens in English and Korean. Second, SS raising constructions in both languages are prominently used for the topicality of the raised subject, and the topicality in the SS raising is reflected in the Korean translations by the choice of the topic marker or nominative marker. However, the topicality in the SO raising in English is not clearly reflected by the SO raising in the Korean translations. Third, it is claimed that the modality predicates in English induce much more SS raising than their corresponding non-raising construction. In the translated version, almost all instances of the SS raising are translated with the raising construction in Korean. Fourth, the SO raising in the translations are conditioned by the feature of contrastive meaning.

      • KCI등재

        天上帝論과 理氣論을 중심으로 본 茶山 인간관의 기초

        김치완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4 No.-

        儒學에 있어서 天의 외연적 의미는 지구를 포함한 모든 천체이며, 그것의 내포적 의미는 존재 일반이다. 그러므로 天이란 오늘날 하느님·인간·자연이라고 하는 개념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서 인격신으로서의 하느님 개념은 이미 西周 이전에 상실되었으므로, 天을 신앙의 대상인 하느님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같은 관점에서 다산의 蒼蒼有形之天과 靈明主宰之天도 자연인 天과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원천인 義理之天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 물론 다산은 상제·귀신의 개념을 빌어서 天의 主宰性이 다만 상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天이 天命의 형태로 道心에 부여되어 있다는 등의 茶山의 설명에 따르면, 茶山의 天은 儒家 전통의 天觀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茶山이 굳이 主宰라는 말을 다시 찾아내고 이를 중요하게 다루었던 것은 당시 형이상학 일변도로 흐르는 지식인 사회의 비합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理氣論이란 理와 氣의 개념으로 우주를 해석하는 이론이다. 본래 理와 氣의 관계는 불가분의 짝을 이룬 개념이 아니었지만, 송대 성리학을 거치면서 존재와 가치의 양 영역을 해명하는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 주자에게 있어서 理란 존재의 근거이지만, 性卽理로 한 데 묶이면서, 당위법칙(所當然之則)과 존재법칙(所以然之故) 양 측면을 아우르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理氣는 서로 뒤섞이지도 떨어지지도 않는다는 理氣論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조선 유학 상에서는 理氣의 先後·能動性 문제가 주요한 논점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다산은 1795년의 「西巖講學記」와 1801년의 「理發氣發辨」에 이르러 이 문제를 명확하게 자각한 흔적을 보인다. 그 결과 理氣로써 사람과 사물, 현상과 당위의 문제를 동시에 해명하는 구도를 해체하는 대신에, 周濂溪의 「太極圖說」로 다시 돌아가 실재하는 氣의 운동성에 주목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上帝나 天의 主宰性을 강조하였는데, 이 점으로 미루어보건대 퇴계의 尊理, 나아가서는 주자학과 공맹학의 계통을 비판적이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산 인간관의 문제의식은 주자나 주자의 성리학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데 있다고 하기 보다는 형이상학 일변도로 저만치 가버린 성리학이 안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 Study on Dasan(茶山)'s Critical Ideals in his View of Human Being ― a centered of philosophical idea of Cheon-Sangje(天·上帝) and Li-Ki(理·氣) ― Kim, Chi-Wan ― When we talk about a philosopher's view of human being, we also have to consider hoe he understanded the human being and how the times & minds reflected on his own view. This article is focused on Dasan(茶山) Chung Yak-Yong(丁若鏞, 1762-1836)'s critical ideals in his view of human being. In fact, He is famous for his contribution to modern philosophy of Chosun. Nevertheless we are missing the point of his "Understanding about the human being" because most studies too emphasize the "modernism" based on "Anti-Neo-Confucianism"(反朱子學, Anti-Chutzu Study). But the idea that Dasan's viewpoint of human being is modern because it is Anti-Chutzu is based on prejudice that Oriental Philosophy as well as the Chutz study or Confycianism is premodern. With these doubts about leading studies, thhis article systematically checks up the backgrounds & bases of Dasan's view of human being. Through this work, we found that there had been discussions about the essence of human being before Dasan study and Dasan's modern view of human being was a product of that discussion. And we also found that christian concept of the God we could notice from Dasan study was similar to that after 1960's rather than that at the times he liv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