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環황해권 天主敎 敎案으로 본 補儒論的 西學의 의의와 한계

        김치완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3 No.-

        The Catholic Church in the East Asian reg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s the result of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Jesuit missionaries, who lived in both the sides of the Yellow Sea. As for the cre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atholic Church, a good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rogressed so far, but there are still considerate differences in many parts according to they belong to the Roman Catholic Church or not. It was because it tried to emphasize the aspect of the government versus the Catholic Church which is mixed with persecution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 and shift the responsibility. Different from that,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people versus the Catholics or the Catholic group in pan-yellow sea area, which is mixed persecution versus the Anti-Christian Movement. The Western learning and the Catholic Church made in pan-yellow sea area can be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result of the exchange and severance of Europe and East Asia, and thos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Confucianism. Undoubtedly, this started with focus on the intellectual class and was a result of a high level cultural exchange. At least, the intellectuals of Europe and East Asia participating here claimed to stand for a reciprocal cultural attitude ostensibly, and as a result,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n the Lord and ancestral rites officially recognized and allow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was made. However, due to the confusion of the directions of missionary work insid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exclusive attitude of China and Joseon toward powers of imperialism, these exchanges had to be severed. Besides, Western learning of accommodation of Christianity to Confucianism previously made and the Catholic Churches of China and Joseon had been expanded to the underlying people and deteriorated. Furthermore, as Protestantism was added after the liberty of missionary work, newly-risen religions or national religions such as TaePing Revolution of the Qing Dynasty and Donghak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Anti-Christian Movement had been made by local residents. This may be considered to be resistance to the fact that the exchanges, which were made one century ago in the pan-yellow sea area showed the aspect of imperialism. 로마 가톨릭교회의 동아시아 지역교회인 천주교(天主敎)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난 교류의 결과물이다. 천주교의 탄생과 전개 과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수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로마 가톨릭교회 입장이냐 아니냐에 따라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연구자들의 인식차가 보인다. 박해(迫害)와 척사(斥邪)로 엇갈리는 정부 대(對) 천주교 가운데 어느 쪽을 부각시키느냐에 따라 그 책임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환황해권이라고 부르는 지역에서 일어난 천주교 교안(敎案)이 동아시아인과 천주교인 또는 천주교 세력의 교류 과정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보유론적 서학과 그 파생물인 천주교는 유럽과 동아시아, 로마 가톨릭과 유교의 교류와 단절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특히 지식인 계층을 중심으로 전개된 수준 높은 문화교류의 결과물이다. 적어도 여기에 참여한 유럽과 동아시아 지식인들은 상호주의적 문화 태도를 표방했고, 그 결과 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이르러서야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던 천주 개념과 제사 문제에 대한 시대를 앞선 이해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 내부의 선교 방침 혼란과 제국주의 열강에 대한 중국과 조선 정부의 배타적인 태도 때문에 이러한 교류는 단절되었다. 그리고 이미 이루어진 보유론적 서학, 그리고 중국과 조선의 천주교는 기층 민중으로 스며들었다. 이러한 상황에 선교 자유 이후의 개신교가 가세하면서, 청나라의 태평천국, 조선의 동학 등 이른바 기독교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은 신흥종교나 민족종교가 만들어지면서, 이들에 대한 지역주민의 교안이 발생했다. 이것은 한 세기 전 환황해권에서 상호주의적 태도로 시작했던 교류가 제국주의적 양상을 띠는 데 대한 민중의 반발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섬[島]-공간의 철학적 접근-플라톤과 노자의 ‘공간’ 개념 검토를 중심으로

        김치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탐라문화 Vol.0 No.45

        In the meantime, we have compared the Orient and West’s spatial awareness with the point of utilizing composition of line and face, margin and filling, rectangular vertical axis and breadth of cubic form. Then, wherea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aintings lie on the function of (1) longitudinal long axis, (2) moving time fluoroscopy, (3) function of hanging and rolled-up keeping of the paintings, it oddly matches with longitudinal scroll type space organization of today’s favorite webtoon. Passing through the age of technology that realizes 3D on 2-dimensional plane, we live in the age of 4D technology. Then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 that all these things are still realized on 2-dimensional plane. Because the island on 2-dimensional plane penetrates a point on the land, indicated as a point isolated from the land with border line closed land, or even omitted. According to assumption of Plato and Lao-tzu, we live by traversing it thinking that the space naturally exists, but actually it has unique existence aspect of ‘being-empty’. Of course, Plato’s idea(ίδεα) and Lao-tzu’s self-so(自然) surpass our limited recognition as a true world without untruth. It means that the conflict of sense world witnessed by Plato and Lao-tzu becomes a kind of lure which recalls that our recognition should not be tempted in real world as it is an imitation. As a result, the truth of Lao-tzu’s space becomes practical space concretely, which is newly composed through acts of walking while dismantling border and coordinate of here and there. Seeing this, we can say that the space is not the space which expands humanity, but the space human practice is realized. Today’s cyber space is treated as ‘virtual space’ in that it’s not of ‘the imagined space’ anymore, but of ‘actual-space’. Noting on this point, the space which has been treated in philosophy can be ‘actually-being-as it is’, though it is a conceptual space. It’s the same to the substantiality of ‘SUM [Island]-Space’. ‘SUM [Island]-Space’ exists as ‘space of living’, and is a concrete practical space which couldn’t be alienated, though it’s not spread to people who don’t live there. Therefore, it’s to build the space of living of those in there, not what the space makes things in there. And such space of living is where principal and sight of other ones cross and overlap with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which finally become the space of festival when dismantling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practicing with reconstitution method. 동안 우리는 동양과 서양의 공간인식을 선(線)과 면(面), 여백(餘白)과 채움, 장방형의 입축(立軸)과 입방형의 횡폭(橫幅) 구도 활용이라는 점으로 대비시켜왔다. 그런데 중국회화의 특징이 ⑴ 세로로 긴 입축, ⑵ 이동시점 투시법, ⑶ 회화의 매달아 거는 기능과 말아 보관하는 기능[捲縮化]에 있다고 한다면, 오늘날 유행하는 웹툰의 세로 스크롤 방식 공간구성과 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우리는 2차원의 평면 위에서 3D를 구현하는 기술의 시대를 거쳐, 4D 기술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아직은 2차원의 평면 위에서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특히 2차원의 평면 위에서 섬[島]은 육지에 일점투시하고 있어서, 경계선이 닫힌 육지와 동떨어진 점(點)으로 표기되거나, 아예 생략되기 때문이다. 플라톤과 노자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공간이 당연히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것을 횡단하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실제로 그것은 ‘비어-있음’이라는 독특한 존재양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물론 플라톤의 이데아와 노자의 自然은 거짓 없는 진실한 세계로서 우리의 제한적인 인식을 뛰어 넘고 있다. 플라톤과 노자가 목격한 감각세계의 모순은 그것이 모방물이라는 점에서 우리의 인식이 현실세계에서 현혹되지 말아야 함을 기억해내는 일종의 미끼가 되는 셈이다. 그 결과 노자의 공간인 길은 여기와 저기라는 경계와 좌표를 해체시키면서, 구체적으로 걷는 행위를 통해서 새롭게 구성되는 실천공간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공간은 인간의 실천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지, 그것이 인간성을 확장시켜주는 공간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사이버공간은 더 이상 ‘the imagined space’가 아니라, ‘사실상-공간’이라는 면에서 ‘virtual space’로 취급되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면 철학에서 다루어 왔던 공간은 비록 개념상의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사실상-그러하게-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UM[Island]-Space’의 실재성도 마찬가지다. ‘SUM[Island]-Space’은 그곳에 살지 않는 사람에게는 아직 펼쳐지지 않았을 뿐 ‘삶의 공간’으로서 실재할뿐더러, 소외시킬 수 없는 구체적인 실천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간이 그 속에 있는 것들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있는 것들이 삶의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삶의 공간은 주체와 타자의 시선이 익숙함과 낯설음으로 교차하면서 겹쳐지는 곳으로서, 서로를 해체하면서 동시에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실천될 때, 비로소 축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화엄(華嚴)의 세계관을 차용한 제주문화공간 분석

        김치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6 탐라문화 Vol.0 No.51

        Metaphysical discussions of space have not been much differen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ancient times and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most of today’s spatial discourses have similarity by concluding that space ‘must be living and moving practical field.’ However, the concept of space and the world view of its frame are always demanded to review because they are not changing qualitatively as much as the amount of spatial discourses. Furthermore, the space is not a fixed form of an object having an area from here to there but constantly creating and changing field of life. Today, cultural industry of our society occupies a luxury position for which the term of ‘entertainment’ cannot dare to be applied. In this context, Jeju has a turning point (轉機) to overcome the image of ‘periphery(邊方)’ and suggest differentiated cultural products. Accordingly, the space of local communities is facing considerable changes. Thus, it becomes the time to review the position of Jeju space in the East Asian ethnocartography and multiple layers (層位) of the space. This study examines phenomenal layers of periphery Jeju as clearly marked region until now in 2015 and contrastively the layer of fundamental position as ‘core and local’ Jeju considering various spatial discourses including such as locality discourse, and as well as it reviews the space that creates a conflict with its phenomenal position. At las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o establish equal and ‘thick’ network by practicing humanities of cognitive changes between phenomenal space and abstract space and the global and the local. Today, Jeju, attached by hash tag (#) of ‘culture’, drew attention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countries likely as rediscovered region. Thus, the image of Jeju, ‘a remote island (孤島) having the original culture of Korea’, was manipulated (象徵操作) as ‘an island with full of healing and comforts for modern people who suffered from competitions of neo-liberalism’ to strategically deviate from the sense of periphery. For the manipulated image of healing island, no more healing existed in Jeju according to rapid opening and the consumption. As shown in the image of ‘healing island’, the levels of consciousness of cultural migrants who moved to Jeju in these days and their expectations for living in Jeju were considerably high. However, the space of reality could not satisfy their demands because of differences between the reality and ideology, the phenomenon and the nature, and the existence and the imagination. According to assigning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changes to the residents of the province or the immigrants, new aspects of conflicts, cultural conflicts, could be occurred. Moreover, how to recover and rediscover the self-identity of Jeju was considerably discussed whether to be based on the past, the present, or the future. Jeju was the hopeful space in where non-contemporary phenomena existed simultaneously and space of maritime and content was crossed over. But on the other hand of the hope, the desires of ‘entertainment’ that camouflaged as ‘culture’ were greasy. However, it could be still positive because the existing borders between the East Asian ethnocartography became much weakened and thus Jeju could have considerably heavy thickness of life among multi-subjects even though it was recognized as the periphery. Therefore, Jeju cultural space would be hopefully ‘living space’ like it was and is. 공간의 개념과 그것들의 틀을 제공하는 세계관에 대한 검토와 논의가 늘 새롭게 요구되고 있는 까닭은 ‘공간’이라고 하는 것이 본래 이쪽에서 저쪽까지라는 면(面)을 가지고 있는 고정된 사물이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생성하고 변화하는 삶의 현장이기 때문이다. 한편,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문화산업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라는 용어를 감히 쓰기 어려울 정도로 고급스러운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제주는 그동안 홀대받던 ‘변방(邊方)’이라는 이미지를 오히려 차별화된 문화상품으로 내세울 수 있는 전기(轉機)를 맞이했다고 평가된다. 현실적으로 제주는 국내외적으로 ‘문화’가 절대 우위의 헤시태그(#)가 되면서 재발견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주목을 끌고 있다. 그래서 변방의식을 벗어나기 위한 전략적 방안 가운데 하나로 제시되었던 ‘한반도 문화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고도(孤島)’는 ‘신자유주의 경쟁에 지친 현대인들이 위안을 받을 수 있는 힐링(healing)의 섬’으로 상징조작(象徵操作, image manipulation)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 이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리고 오히려 더 선명하게 부각되는 ‘변방’이라는 제주의 현상적 층위를 검토하고, 그와는 반대로 로컬리티 담론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담론에서 요청되는 이른바 ‘중심인 로컬’이라는 제주의 본질적 위치가 가지는 층위, 그리고 그것이 현상적 위치와 갈등을 일으키는 공간을 다층적 공간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현상공간과 추상공간, 그리고 글로벌과 로컬 등으로 이항대립되는 공간 인식을 인식의 변화라는 인문학적 실천을 통해 평등하면서도 ‘두께’를 가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화엄의 세계관을 이용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茶山 人性論의 ‘反朱子的 근대성’에 관한 검토

        김치완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茶山과 朱子의 인성론은 반대되거나, 엇갈리는 부분이 많다. 그래서 다산의 인성론을 주자로 대표되는 전근대성을 벗어난 근대적인 것이라고 평가해왔다. 그런데 요즘 이 점을 문제 삼는 연구들이 많아졌다. 이 연구들은 다산과 주자가 일정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주자와 다르거나 반대되기 때문에 근대적이라는 지금까지의 논리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 점을 주자학적 인성론과의 관계 및 관점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儒家의 특징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현실적인 인간을 긍정한다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인간이 자신을 윤리적 행위의 주체로 생각할 줄 안다고 믿어왔다. 이러한 믿음은 선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음과 마음의 원리인 性으로 뒷받침된다. 주자는 이런 유가적 전통에 따라 인간을 말하고자 했다. 그는 漢代유가가 天命을 믿음의 대상으로 전락시켰기 때문에 유가의 정통성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天命을 대신하여, 太極과 理氣라는 자연철학적 개념을 새로 정립했다. 이것이 性卽理의 구상이다. 이 점에서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주자의 기본 구상을 절대적으로 신뢰했지만, 한편으로 문제점도 찾아냈다. 그것은 인간과 사물이 동일한 원리를 가지고 있어서, 존재와 가치의 원리가 뒤섞여버리면 인간의 존엄성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우려였다. 다산도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간과 사물이 함께 적용받는 원리란 오로지 존재의 원리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인간과 사물은 그러한 원리를 인식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른 궁극적인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다산의 이러한 인간학적 해명는 보기에 따라서는 주자와 반대되거나, 적어도 성리학적 구도를 뒤집어 놓은 것 같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다산은 성리학적 기본구도를 재배치하고 있을 뿐, 그것 자체를 해체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다산은 주자와 동일한 문제의식과 개념틀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자학적 논리구조의 한계를 해결하려고 되돌아간 곳이 공자와 맹자의 고전적 인성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다산의 근대성을 주자의 전근대성과 대비시키려고 하는 것은 오히려 다산의 근대성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view of Human Nature of Dasan(茶山, 1762-1836) and Chu-tzu(朱子, 1130-1200) are opposite or cross each other. The studies on Dasan have started from this point so far. In other words, what are different and how much have been investigated on the premise that Dasan and Chu-tzu are different. However, there are many studies that would find the fault of these points recently. Most of these studies criticize on the theory that Dasan is modernistic because he is different from Chu-tzu. This study is to examine it focused on the point of the view on Human Nature of Neo-Confucianism.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be summarized in a word, it is affirmation of the realistic human. Confucian scholars believe that a human being regard himself as a subject of moral act. This belief is supported by the mind which can make them act well and the Nature(性; essence) which is the fundamentals of mind. Chu-tzu tried to explain the human nature according to this tradition of Confucianism. He thought that Confucianism of the previous times lost it identity because decrees of Heaven degraded to an object of belief. Therefore, as a substitute of decrees of Heaven(天), he established a new concept of natural philosophy, Taegeuk(太極) and Ligi(理氣), which are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is is a proposition of Xinjili(性卽理), which means human nature is principle. Confucian scholars in Chosun(朝鮮) dynasty absolutely trusted the basic conception of Chu-tzu, but they also found the faults. It was concern that human dignity could be lost if the principles of the existence and the value were mixed, since human being and matters had the same principles. Dasan also had this critical mind, so he made it clear that the principle to which both human beings and matters could be applied was solely the principle of the existence. And the ultimate difference was if either human beings or matters could recognize this principle. This attempt of Dasan seemed to be against Chu-tzu or at least to reverse the composition of Confucianism. However, to be exact, Dasan just redefined the fundamental composition of Confucianism and did not go beyond Chu-tzu's category. Because Dasan had the same critical mind and frame of concept with Chu-tzu and he returned to the classical treatise of human nature of Confucius and Mencius in order to solve the limit of Confucianism's logical structure. Consequently, the assertion that Dasan is modernistic because he tried to be against or overcome Chu-tzu has a problem that the term of modernistic was not defined exactly, along with a fact that it was not proved that Chu-tzu is premoder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梅溪 李漢雨의 ‘낯선 공간’으로서 瀛洲

        김치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39 No.-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제주 사람인 梅溪 李漢雨(1823~1881)가 제주를 ‘낯선 공간’으로 인식하고 접근했기 때문에 ‘瀛洲’라는 인문학적 공간으로 재창조해낼 수 있었다는 발상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 실마리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제주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는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梅溪는 당시에 제주도에 유배 되었거나 부임한 외지 사람들의 視線에 공감하면서 고향 제주를 보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익숙한 공간인 제주를 낯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그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요인 가운데 하나로는 대부분의 입도조가 그렇듯이 그의 집안이 제주에 들어오게 된 과정의 ‘모호함’을 들 수 있다. 그런데 梅溪는 여덟 차례 바다를 건너면서 공간으로는 千里 밖의 출발점으로, 시간으로는 190년을 거슬러 올라갔지만, 이 時間과 空間의 실현이 遲延되는 것을 체험한다. 왜냐하면 그곳은 외지 사람들에게는 돌아가야 할 익숙한 공간이지만, 자신에게는 낯선 공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고향 제주는 떠나온 곳이 아니라 돌아가야 할 곳으로 재구성되었다. 고향에 돌아온 梅溪는 儒家的 修養의 공간인 自然을 찾는다. 그런데 梅溪의 경우에는 이 공간이 실존적 불안과 난파의 경험을 해소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런 관점에서 고향 제주의 자연이 이전까지와는 다른 공간으로 재창조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의 詩에 나타난 제주는 시간과 공간, 움직임과 정지, 분리와 결합과 같은 개념들의 대립쌍이 중층적으로 대비되는 인문학적 공간으로 묘사된다. 오늘날 우리는 제주를 自然景觀的 측면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각종 국책 사업의 찬반양론은 늘 ‘自然’을 화두로 삼는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 제주는 ‘脫경계 인문학’을 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치가 더 크다. 이 점에서 梅溪의 ‘낯선 공간’으로서 瀛洲에 관한 접근은 ‘자신의 중심성을 보면서도 他者의 중심성을 수용하는’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Mae-gye(梅溪) Han-woo Lee (李漢雨, 1823~1881) could recreate Jeju(濟州) as a space of humanities named Youngju(瀛洲) because he approached by recognizing Jeju as ‘a strange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find a clue that can allow us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Jeju is facing today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is first step. Mae-gye could recognize Jeju, which is a familiar space to him, as a strange space because he saw Jeju, his hometown, through the eyes of strangers who were banished to or newly appointed to Jeju back then. One of the main motivations was the ‘vagueness’ of the process his family came into Jeju. This vagueness had some impacts on the self-perception of Mae-gye on his identity, and thus he could accept the eyes of strangers without the sense of rejection. But, while Mae-gye went back to his original hometown which was located a thousand ri(里) away in space and to 190 years ago in time as he crossed the sea eight times, he experienced the Différance(defer) of this time and space because the place was a familiar space to strangers where they should go back, but was a strange space to him. In this process, Jeju, his hometown, was reconstructed as a place to go back to, not a place he left. Mae-gye came back to his hometown and visited ‘the nature(自然)’, which is the space of Confucianist Self Cultivation. But, in case of Mae-gye, it is special in that this place is where he can settle the experiences of existent anxiety and Scheitern(wreck). In this viewpoint, the nature of Jeju, which is his hometown, was recreated as a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ast. Therefore, Jeju appearing in his poems is described as a space of humanities in which pairs of concepts such as time and space, movement and stoppage and separation and combination are contrasted in a layered way. Today we intend to approach Jeju only in the aspect of natural landscape. Thus the pros and cons of various national projects always make the nature a topic. However, today Jeju has a greater value to us as the space in which we can discuss ‘the trans-boundary humanities’. In this sense, the approach of Mae-gye to Youngju as ‘a strange space’ can be assessed as an attempt ‘to accept the centrality of the other while seeing the centrality of oneself’.

      • KCI등재

        梅溪 李漢雨의 ‘낯선 공간’으로서 瀛洲

        김치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0 No.39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Mae-gye(梅溪) Han-woo Lee (李漢雨,1823~1881) could recreate Jeju(濟州) as a space of humanities named Youngju(瀛洲)because he approached by recognizing Jeju as ‘a strange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find a clue that can allow us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Jeju is facing today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is first step. Mae-gye could recognize Jeju, which is a familiar space to him, as a strange space because he saw Jeju, his hometown, through the eyes of strangers who were banished to or newly appointed to Jeju back then. One of the main motivations was the ‘vagueness’ of the process his family came into Jeju. This vagueness had some impacts on the self-perception of Mae-gye on his identity, and thus he could accept the eyes of strangers without the sense of rejection. But, while Mae-gye went back to his original hometown which was located a thousand ri(里) away in space and to 190 years ago in time as he crossed the sea eight times, he experienced the Différance(defer) of this time and space because the place was a familiar space to strangers where they should go back, but was a strange space to him. In this process, Jeju, his hometown, was reconstructed as a place to go back to,not a place he left. Mae-gye came back to his hometown and visited ‘the nature(自然)’, which is the space of Confucianist Self Cultivation. But, in case of Mae-gye, it is special in that this place is where he can settle the experiences of existent anxiety and Scheitern(wreck). In this viewpoint, the nature of Jeju, which is his hometown, was recreated as a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ast. Therefore, Jeju appearing in his poems is described as a space of humanities in which pairs of concepts such as time and space, movement and stoppage and separation and combination are contrasted in a layered way. Today we intend to approach Jeju only in the aspect of natural landscape. Thus the pros and cons of various national projects always make the nature a topic. However,today Jeju has a greater value to us as the space in which we can discuss ‘the trans-boundary humanities’. In this sense, the approach of Mae-gye to Youngju as ‘a strange space’ can be assessed as an attempt ‘to accept the centrality of the other while seeing the centrality of oneself’.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제주 사람인 梅溪 李漢雨(1823~1881)가 제주를 ‘낯선 공간’으로 인식하고 접근했기 때문에 ‘瀛洲’라는 인문학적 공간으로 재창조해낼 수 있었다는 발상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 실마리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제주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는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梅溪는 당시에 제주도에 유배 되었거나 부임한 외지 사람들의 視線에 공감하면서 고향 제주를 보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익숙한 공간인 제주를 낯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그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요인 가운데 하나로는 대부분의 입도조가 그렇듯이 그의 집안이 제주에 들어오게 된 과정의 ‘모호함’을 들 수 있다. 그런데 梅溪는 여덟 차례 바다를 건너면서 공간으로는 千里 밖의 출발점으로, 시간으로는 190년을 거슬러 올라갔지만, 이 時間과 空間의 실현이 遲延되는 것을 체험한다. 왜냐하면 그곳은 외지 사람들에게는 돌아가야 할 익숙한 공간이지만, 자신에게는 낯선 공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고향 제주는 떠나온 곳이 아니라 돌아가야 할 곳으로 재구성되었다. 고향에 돌아온 梅溪는 儒家的 修養의 공간인 自然을 찾는다. 그런데 梅溪의 경우에는 이 공간이 실존적 불안과 난파의 경험을 해소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런 관점에서 고향 제주의 자연이 이전까지와는 다른 공간으로 재창조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의 詩에 나타난 제주는 시간과 공간, 움직임과 정지, 분리와 결합과 같은 개념들의 대립쌍이 중층적으로 대비되는 인문학적 공간으로 묘사된다. 오늘날 우리는 제주를 自然景觀的 측면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각종 국책 사업의 찬반양론은 늘 ‘自然’을 화두로 삼는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 제주는 ‘脫경계 인문학’을 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치가 더 크다. 이 점에서 梅溪의 ‘낯선 공간’으로서 瀛洲에 관한 접근은 ‘자신의 중심성을 보면서도 他者의 중심성을 수용하는’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주 여성 연구의 시선(視線)에 대한 철학적 검토

        김치완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2 No.-

        바람, 그리고 돌과 함께 제주 여성은 오래전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이 관심은 他 者의 시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문제는 그러한 관심에 자극받아서 이루어진 주체의 시선도 타자의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주 여성을 주제로 삼았던 선행연구의 ‘視線’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신화의 여성성 연구에서 는 타자의 시선에 주목하였다. 민주화 운동을 기점으로 여성신화 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대항 담론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남성 중심의 주류문화에 대항하는 여성원리의 원형을 신화에서 찾고자 하는 시선에서는 제주 여성을 타자로 보는 문제점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일 상의 신화적 연구에서는 주체의 시선에 주목하였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 노동력의 가치가 절하되어 남녀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경향 속에서 전통적 삶의 주체로서 제주 해녀를 소재로 한 연구가 증가했다. 이 연구들은 제주 해녀의 신화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 지고 있으므로, 여성성의 신화를 탈신화화 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억 의 재구성 연구에서는 자기 응시에 주목하였다. 2000년 이후 제주 여성 연구는 ‘기억의 주체’ 에 집중하게 되었다. 제주 4 3을 기억하고 증언하면서 제주 여성은 ‘남성성에 대립하는 이념’ 으로서의 여성성, ‘젠더적 이미지’를 넘어선 스스로를 응시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 응시가 ‘제 주의 여성’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이주민을 포함한 여성 일반으로 확대되어나가야 할 것이다. Jeju females along with wind and stones has been the object of attention for a long time of period. But this attention originated from the other s Gaze. It is real that even the eye of the subject made by the stimulation by such attention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others ey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Gaze of preceding studies, which have taken Jeju females as their subject so far. First of all, the study of the femininity of myths emphasized the other s Gaze. The reason why research on female myths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tarted is that they have the character of counter discourse. However, the gaze of finding the original form of the female principle to resist the male-centered main stream culture from myths reveals the problem of viewing Jeju females as the others. Next, in everyday mythological studies, the Gaze of the subject was emphasized. Amid the deepening trend of economic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due to the depreciation of the value of female labor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studies on Jeju female divers as the material of traditional life have increased. The studies have a critical view of Jeju female diver s mythicization, so they argue that the myth of femininity should be demythicized. Finally, the study of memory reconstruction paid attention to self-contemplation. Since 2000, Jeju fema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subject of memory. Remembering and testifying Jeju 4.3 Uprising, Jeju females stared at themselves beyond their femininity and gender image as ideology to confront masculinity. This self-contempl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omen in Jeju” but be expanded to include cultural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