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국음식 소비와 문화

        정형식(Jung, Hyung-Shik),박종철(Park, Jong Chul),이규현(Lee, Kyu Hyun),김영심(Kim, Young Sh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 KCI우수등재

        規範執行에 관한 權利로서의 行政法上의 主觀的 公權에 관한 小考

        김중권(金重權)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0 No.4

        행정법학에서 군주와 신민의 관계에 터 잡은 과거의 봉건적 행정법관계가 민주적 법치국가원리에 의거하여 권리의무를 내용으로 하는 행정법관계로 전개되는 데 있어서 그 핵심이 주관적 공권론이다. 행정법에서의 주관적 공권의 존재는 권리침해가 사법적으로 인정됨으로써 확인되는 다분히 귀납적 구조이다. 하지만 권리구제가능성에만 초점을 맞춰 그것을 논의하는 데 그치면, 자칫 주관적 공권의 본모습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할 뿐더러 권리구제 문제 역시 체계적 논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주관적 공권론이 행정법의 핵심물음임에도 불구하고 문헌상의 관심은 극히 저조하다. 행정소송의 원고적격여부 정도에서만 간헐적으로 논의될 뿐 그것의 본질, 변화, 특히 유럽행정법에서의 경향 등은 아쉽게도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다. 나아가 가령 무하자재량행사에 관한 권리나 행정개입청구권에 관한 논의는 그 본래의 궤도에서 진행되고 않아 혼란을 자아낼 지경이다. 또한 규범의 사익보호성에 치중한 나머지, 공권의 확대화경향에 즈음하여 보호규범설은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상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더불어 그간의 무관심을 타개하기 위해, 행정법에서의 주관적 공권론에 관해 새롭게 공론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먼저 주관적 권리를 규범집행에 관한 권리이자 법률집행청구권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종래 보호규범설의 입장에서 벗어나 그것의 성립요건을 새롭게 설정하고, 주관적 공권에서의 기본권의 기능을 규범내부적 영향과 규범외부적 영향의 차원에서 논의한다. 그리고 행정법도그마틱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물음인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행정개입청구권의 본질적 문제와 더불어 주관적 공권으로서의 절차적 권리와 국가의 권능을 다룬다. 아울러 국내 문헌에서 그다지 논의되고 있지 않는 유럽연합법에서의 주관적 공권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규범과 동기를 중심으로

        김종흠 ( Jonghum Kim ),박은아 ( Euna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대한 규범과 동기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규범은 개인의 행동이 타인의 평가에 영향을 받는 주관적 규범과 개인의 내면화된 가치로부터 영향을 받는 도덕적 규범으로 구분하였다. 2가지 유형의 규범과 친환경 행동의도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규범과 도덕적 규범은 친환경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규범이 주관적 규범보다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개인의 도덕적 규범과 친환경 행동의도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동기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기가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는데, 외재적 동기는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서 유의하지 않고, 내재적 동기는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와 의미 있는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최종 모형으로서 외재적 동기를 제외하고 내재적 동기, 주관적 규범, 도덕적 규범이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규범의 영향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는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 혹은 보상이나 처벌과 같은 외부의 영향력보다는 개인 내면의 도덕적 가치와 심리적 만족감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norms and motivation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sumerism. Norms were divided into subjective norm and moral norm. The subjective norm is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whether people important to the individual think pro-environmental behavior should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moral norm means individual``s internalized value about environment. In research question 1,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norm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causal modeling approach.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al norm had more positive influence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than the subjective norm. In research question 2,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Motivation was divided into implicit and explici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licit motivation had no e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but the implicit motivation was effective. In research question 3, we analyzed a model integrating variables used in research question 1 and 2 excluding the explici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moral norm and implicit motivation. This study give an implication that pro-environmental behavior is affected by an individual``s internalized valu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주관적 규범이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Linan and Chen(2009)’s EIM을 중심으로

        정대용,김영수,김지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determin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Linan and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EIM) an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thodology] The study applied the Linan and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EIQ)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45 university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an be used in the reliability and variabilit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The hypotheses are tes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and sobel test. [Findings]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subjective norm does not directly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Subjective norm positively affects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ersonal att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behavior control. [Implication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practitioners are as follows.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we used the Linan &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 Results demonstrated that subjective norm influence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antecedent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personal attitudes are the mos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limitation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연구목적] 기업가정신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합리적인 교육을통하여 기업가적 태도를 개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과 Linan and Chen이 개발한 창업의도모델(EIM)를 기반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개인의 창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기업가정신교육 계획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주관적 규범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계획된 행동이론과 Linan and Chen의 창업의도설문지(EIQ)를 이용하여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표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위한 확인적요인분석과 가설검정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과 Sobel test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분석 결과, 창업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미쳤지만 주관적 규범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은 창업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태도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실증적으로 검증된 Linan and Chen의 창업의도모델과 창업의도설문지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활용하여,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를 통해서만 창업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기존 국내 창업의도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효과적인 기업가정신교육과 정책개발 관련하여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규범인식과 불법다운로드 이용의향 간 관계

        김동태(Dong-Ta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불법다운로드에 대한 사회적 규범과 불법다운로드 이용의향 간의 관계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혼재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불일치 원인을 조절요인 때문으로 판단하고, 저작권법에 대한 이용자 태도와 콘텐츠 구매 시 가격중요성이 수행하는 조절적 역할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규범을 주관적 규범과 집단적 규범으로 나누고, 이들 각각의 규범 인식과 불법다운로드 이용의향 간 관계에서 저작권법 태도와 콘텐츠 가격 중요성 각각이 수행하는 조절적 역할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총 4개 조절효과 가설 중 주관적 규범과 저작권법 태도간의 상호작용을 다룬 가설은 기각되고, 나머지 3개 가설은 채택할 수 있었다. 즉 불법다운로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집단규범이 강할수록 불법다운로드 이용의향은 증가하지만 저작권법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수록 그 영향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법다운로드에 대해 긍정적인 주관적 규범과 집단적 규범 각각이 불법다운로드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콘텐츠 구매 시 가격을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The results of advanced studies which hand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orm and intention to use illegal download don’t match exactly.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reason why the results of advanced studies are confused is, that moderator variables play important rol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planned to test for significance of moderators consisting of attitude to copyright law(A) and perceived price importance at time of purchase(B).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divide social norm into two norms(subjective norm and group norm) and set up hypothe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wo variables(A, B) between these two norms and intention to use the illegal download. The results show that all but one hypotheses are accepted. The other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which is consist of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toward copyright law is rejected.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group norm on intention to use illegal download is moderated by attitude to copyright law. Also, this result means the effects of group/subjective norm on intention to use illegal download is moderated by the perceived price importance at time of purchase.

      • KCI등재

        서비스 상황에서 구매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확장된 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이상현,유창조,장문성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4

        본 연구는 서비스 구매상황에서의 고객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행위예측모델로서 설명할 수 없었던 확장된 규범변수를 소개하고 서비스 구매행위의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구매행위 연구들은 제품구매와 관련된 행위이거나, 자신만의 관심사와 관련한 행위에 국한되어왔고 그에 따라 개인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으로 제시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비스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주관적 규범뿐만 아니라 서비스 시스템내의 다른 구성원(다른 참여 소비자)을 의식할 수 있고 이러한 의식은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비스 참여고객 반응규범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 연구단위가 소비자의 서비스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뿐만 아니라 시스템내의 다른 구성원에 대한 인식 즉, 서비스 참여고객 반응규범 또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아울러 태도와 주관적 규범과 마찬가지로 참여고객 반응규범 또한 신념과 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서비스 상황에서 서비스 참여고객 반응규범이라는 새로운 연구단위를 통하여 기존의 태도모형을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crucial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behavioral intension in a service purchasing situation. It introduces an extended norm construct that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behavioral intention models.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tended norm construct and behavioral intention along with other constructs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i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model. Past research has shown that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behavioral intention. It is because that past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a product purchase behavior and/or personal interesting behavior. This study, however, suggests that customers may aware of other people, mostly other customers who are participated in a service system when they intent to purchase a service. As a result, service participation customer norm, the consciousness of other customers in the service system, along wit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service participation customer norm was show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structure and behavioral intentio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theory of the reasoned action model through the finding a new construct, service participation customer norm to explain a behavioral intention in the service encounter.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숙 ( Hyun Suk Lee ),백민정 ( Min Jung Bae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5 No.2

        최근 경제환경과 기술의 변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노동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창의성과 함께 자기 주도적인 도전의식이 필요하다. 이런 다양하고 빠른 변화들로 인하여 사회전반으로 기업가 정신과 창업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동시에 청년창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확대 또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위해 청소년 때부터 올바른 창업 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필요하며, 또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앞서 먼저 청소년의 창업의도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이 창업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외생적 요인의 하나인 학생들의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욕구, 실현가능성, 행동성향, 자기 효능감, 통제가능성이 규명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주관적 규범은 특성변수와 창업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창업의도, 특히 청소년의 창업의도는 개인특성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규범이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들의 주관적 규범은 주로 부모와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주는 지인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주관적 규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물들의 기업가 및 창업에 대한 견해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 학생들이 창업을 경력의 하나로 인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주관적 규범을 형성함에 있어 사회문화적인 인식의 재고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창업이 성공의 모델로 자리 잡아, 성공한 기업가가 존경 받는 사회 문화적 인식의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청소년들이 기업가로서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result of the Korean government-driven entrepreneurship policy, Korea ranks the one of the most entrepreneurial countries within the innovation-driven countries. Among many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ranks highly on policy agendas. Little research, however, is available to tell us the effective conte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raises intentions to be entrepreneurial generally. If intention models prove useful in understanding new business creation intention, but individual or situational variables has been considered as poor predictors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find the predictor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young students-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applying the intention model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subjective norms` of young studen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Data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 that perceived desirability, perceived feasibility, propensity to act, self-efficacity, and controllabil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tudent`s subjective norm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KCI등재

        중국 중장년 소비자의 실버타운 거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황금주,최영련,이일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2

        This research analyzed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of residential intension for Chinese elderly consumers in the silvertown. It examined the human relationships as well as establishing following leading variables (the quality of service, perceived values, elderly people's community spiri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 efficacy) which affect the residential intens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ontrol effect of self-esteem and lonelines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he subjective norms and the residential intension. Furthermore, the study scrutinized how the residential attitude of elderly consumers influenced the purpose of dwelling by implementing TRA model. The sampl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Chinese elderly consumers, aged over 50.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within this sample population. 320 out of 3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China from 1st of Aug to 31st of August, 2014. Among those collected, 9 undependable and completed by under 50 years old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and remaining 311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as data of the final analyzing.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variables were demonstrated. In addition, PLS(Partial least square)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quality of service, perceived values, elderly people's community spiri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 efficacy have meaningful influences on the residential attitude. Secondly, perceived values do not possess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idential attitude of silvertown. Thirdly, the residential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contain the important effect on the residential attitude of silvertown. Fourthly, it is shown that elderly people's self esteem takes a regulatory rol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norms and the residential intension. Lastly, loneliness of elderly has a regulatory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attitudes and intensions. This research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since it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elderly which affect the attitude of silvertown residents. Specifically, it has analyzed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elderly people's self esteem and their lonelines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residential intensions. In consequ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it show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silvertown operators by analyzing silvertown residential selection factors of Chinese elderly people. 본 연구는 중국 중장년 소비자의 실버타운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거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서비스 품질, 지각된 가치, 노인의 공동체 의식, 주관적 안녕감 및 자기 효능감을 거주태도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로 설정하여 인과관계와 태도와 주관적 규범과 거주의도간의 관계에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고독감의 조절효과 및 TRA모형을 적용하여 중장년 소비자의 거주태도가 거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50세 이상의 중국 노년층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2014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 30일 동안에 총 350부를 중국에서 배포하여 320부 중 9부를 제외하고, 31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표본의 특성을 파악한 후,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PLS(Partial Least Square)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타운의 서비스품질, 노인의 공동체의식, 주관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은 실버타운 거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실버타운 거주태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거주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실버타운 거주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규범과 거주의도에 간의 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고독감은 실버타운 거주태도와 거주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의의는 실버타운 거주태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노인의 심리적변수를 제시한 점이며, 특히, 거주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실버타운 거주의도 간의 관계에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고독감의 조절효과를 을 분석한 것이다. 중국 노인의 실버타운 거주선택요인을 분석하여 실버타운 운영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ㆍ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옥경영(Kyungyoung Oh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아동의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또는 사회적 규범이 인터넷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물리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가설 1-1은 지지 되었다. 지적 접근성은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지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과 2-2는 모두 지지되었다. 주관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지지되었으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아동들의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규범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아동들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의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at how accessibility or norm influence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Two hypotheses tested by stat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e diversity of internet contents. Second,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rd, the greater the subject norm, the small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that subject norm can influence to reduc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웹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영주 ( Young Ju Joo ),설현남 ( Hyun Nam Seol ),유나연 ( Na Yeon Yoo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모바일자기효능감, 주관적규범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모바일웹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1학년도 2학기 A사이버대학교의 모바일웹서비스가 제공되는 과목에 등록한 14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가을학기 강의 종료 전 2주 동안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모바일자기효능감(β=.43, p<.05), 주관적규범(β=.30, p<.05), 지각된 이용용이성(β=.25, p<.05)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주었고 둘째, 모바일자기효능감(β=.36, p<.05), 주관적규범(β=.44, p<.05)은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β=.94, p<.05)은 모바일웹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나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모바일웹서비스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사이버대학교 모바일웹서비스의 좀 더 나은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bile self-efficacy, subjective norm,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web service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144 cyber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course with mobile web servic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 revealed that 1) mobile self-efficacy (β = .43, p <.05), subjective norm (β = .30, p <.05), perceived ease of use (β = .25, p <.05 )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mobile self-efficacy (β = .36, p <.05), subjective norm (β = .44, p <.05)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β = .94, p <.05)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web service. However,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web service significantly.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role of an extended TAM including mobil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in a mobile web service course at a cyber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