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농어촌 지역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구인영 ( Ku In-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소방공무원들은 위험하고 응급을 요하는 상황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고 이외에도 직장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인관계 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무요구도, 직장 문화에 의해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신체건강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써 구강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과거와 달리 오늘날의 구강건강은 건강한 삶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는 일부 농어촌 지역의 소방서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변수들은 소방서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구취, 구강 악습관, 턱관절 질환, 구강 건조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이다. 연구모형은 일반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을 밝힐 수 있도록 설정하였고, 일부 농어촌 지역의 119안전센터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행정업무, 구급, 구조, 화재진압 등을 포함한 62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가지고 조사문항의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ANOVA, Scheffe의 사후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최종학력, 배우자 유무, 직급변환에서 유의하였다. 연령,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고 직급이 소방교 이상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은 구취가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서 3.450배 높은 값을 나타났고 구강 악습관이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서 3.623배 높은 값을 나타났고 턱관절 질환이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서 3.856배 높은 값을 나타났고 구강 건조감이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서 3.711배 높은 값을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소방서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들의 건강은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될 수 있는 만큼 소방공무원의 직무 수행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성의 파악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성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건강관리 개발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소방공무원들이 겪게 되는 문제들을 개인적인 특성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근무환경과 근무조건을 개선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효율적인 개선방안으로 체계적인 직무 스트레스 관리와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Firefighters are faced with job stress due to dangerous and urgent situations. In addition to this, they are subjected to a lot of job stress due to interpersonal conflict, the organizational system, compensation incompetence, job demands, and the general work culture. These occupational stresses have a great influence on oral health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physical health. Unlike in the past, today's oral health is an important factor for a health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fire department workers in "Selected Rural Areas". The variable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 department worker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uch as oral, jaw joint disease, mouth dryness, and oral health.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job stres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623 people in Selected Rural Areas including those in administrative work, the emergency services - rescue and fire suppression- currently working at fire stations and 119 safety centers were analyzed.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collected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 is of the survey item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Scheffe'spos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in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job conversion. Age, educational background, spouse, and job pos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fire brigad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3.450 times higher in job stress than in bad breath, and 3.623 times higher in job stress than in oral bad habits, and 3.856 times in job stress. The higher the value of mouth dryness was, the higher the job stress was by a factor of 3.711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job stress of the fire department workers was strongly related to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and to improve the systematic job stress management and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more effectively at the appropriate stage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problems faced by the firefighting officers.

      • KCI등재

        일부 농어촌지역 교육기관 종사자들의 피로도에 따른 생활습관행태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문선정 ( Moon Seon-jeong ),가경환 ( Ka Kyung-hwan ),구인영 ( Ku In-young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교직원들의 피로도, 생활습관행태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5개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40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과 Duncan test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행태 차이는 여자, 초등학교 교사, 건강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생활습관행태가 좋았고, 피로도의 차이는 여자, 초등학교 교사, 건강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피로 수준이 높았다. 피로도가 높을수록 흡연과 구취, 구강자각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흡연이 높을수록 음주와, 구취, 구강건조 증상이 높았으며, 음주가 높을수록 나쁜 식습관과 구취, 턱관절 장애, 구강건조 증상이 높았고, 식습관이 나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모든 요인이 높았다. 피로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요인 중, 구취와 구강자각 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턱관절이 좋지 않았다. 생활습관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안 좋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요인 중, 구취와 구강건조 증상, 구강자각 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턱관절이 좋지 않았다. 피로도는 전반적인 생활습관행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생활습관행태 요인 중, 흡연에서 피로도가 높을수록 피로 수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피로도와 생활습관행태,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원의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방안과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에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five elementary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and five high schools located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teaching staff were collected in order to promote and maintain their oral health. In total, 407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collected data, a post-test was condu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difference in lifesty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respond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good health and perceived better oral health status showed better lifestyle. In comparison,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bad health and perceived poorer oral health status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e higher level of fatigue resulted in higher level of smoking, halitosis, perceived oral symptoms, and discomfort. Higher level of smoking was correlated to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halitosis, and xerostama symptoms. The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showed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halitosis,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xerostama symptoms. Also,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led to higher level of every factor fo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higher level of fatigu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higher level of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Poorer lifestyl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xerostama symptoms, perceived oral symptoms, discomfort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While the level of fatigue had no impact on lifestyle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smoking showed higher level of fatigue. Judging from the above findings, it seems that the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had an impact on each other. Such results can be used to redu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of teaching staff. In addition, education on oral health and the collection of basic data are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 KCI등재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허성은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 흡연 그룹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고 그룹이 저 그룹에 비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모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신건강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전신과 구강의 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연관된 중요성을 교육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nvergenc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n adul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non-smok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oking group,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the high group for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an in the low group.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both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as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expected through systemic health,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to educate the associated importance of systemic health and oral health.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과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은진 ( Lee Eun-jin ),김준표 ( Kim Jun-pyo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자료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본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18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 검증은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와 model 8을 적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검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구강건강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을 감소시킨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셋째,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의 매개모형에서 사회활동은 구강건강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 각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활동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구강건강 악화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의 감소를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인 구강건강 관리 및 구강질환 예방 차원의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노인 구강건강 증진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노인의 구강건강 상태를 고려한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ated health and moderated-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thods: Data for the study was 4,181 elderly from the 7th waves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or analysis,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with SPSS were used, and with SPSS macro Process model 4, 8 and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xamining moderated-mediation effects and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Result: First,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Next, self-rated health showed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mediation model among oral health,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ed-mediation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examin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howed a moderation effect that relieved the self-rated health from worsening oral health and the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expansion of elderly oral health examination from the needs of social program for maintaining oral health and preventing dental disease. It also suggested way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oral health status.

      • KCI등재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허성은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health practice behavior,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more positively it affected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practice behavior in order of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implementation, and smok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refo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continued oral health programs converging systemic and oral health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mprehensive and oral health in adults.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 KCI등재

        일부 치과진료 환자의 구강건강상태와 라이프케어를 위한 구강관리용품 인지 및 사용의 관련성

        장지언(Ji-Eon Jang),양귀예(Kui-Ye Yang),정선락(Sun-Rak Jeong),최연희(Youn-Hee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2

        이 연구는 치과내원 환자의 진료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 및 사용,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 및 사용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2013년 12월 2일에서 12월 31일까지 약 한 달 동안 대구시 일부 치과의원에 내원하는 592명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조사를 하였다. 환자특성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정기구강검진환자가 가장 높았으며, 구강관리용품 인지와 사용은 교정환자가 가장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리용품 인지 및 사용의 관련성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을 수록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는 높게 나타났으나 사용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구강관리용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환자는 구강관리용품 사용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는 반면, 치과를 자주 방문하거나 치과의료진으로부터 적극적인 구강관리용품 교육을 받은 교정환자나 임플란트 환자는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나 사용이 높았다. 또한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가 높은 환자일수록 사용이 높기 때문에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한 환자를 비롯하여 건강하지 못한 환자까지 치과를 방문하는 모든 환자에게 구강상태에 알맞은 구강관리용품의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mo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92 patients who were visited in dental clinic in Daegu from December 2 to December 31, 2013.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patient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in the regular oral examination patients, and the orthodontic patients had the highest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wareness of oral hygiene devices, but not to the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oral hygiene devices were, the higher the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ere. Therefore, patients with high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o not feel the necessity of using oral hygiene devices, and patients who have high awareness of oral hygiene devices are more likely to use them. so, It is necessary that the promotion and education about oral hygiene devices appropriate to their oral health status are made to all patients visiting the dental clinic, including those with healthy oral health patients and unhealthy.

      • KCI등재

        일부 농어촌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구강건강관련 지식·태도·행동에 관한 연구

        구인영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trader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management attitude to oral health. This also necessitated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market traders’ oral health problems and the risk factors of oral diseases and further provide the baseline data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adult oral health. A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markets’ operating traders’ associations collected from 500 person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too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sex,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and regularity of health examination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pronunciation, mastication, pain, and halitosis) and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26)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059).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41),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589), and economic condition(F=3.506).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2.789), age(F=3.482)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414), and economic condition(F=4.174).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3.887),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7.397), and regular health examination(t=3.880). It turned out that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oral health knowledge(t=-2.488) so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ower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becam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traders’oral health status, it is necessary to deliver proper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it is important to detect oral diseases early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m about oral diseases and the need for treat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ral health program for each age group, to provide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n active promotion project.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구강건강문제와 구강질환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관리 행태를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성인 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의 상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지식·태도·행동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농어촌 지역의 전통시장 중에서 상인회를 운영하는 시장을 중심으로 회수된 500명의 결과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경제상태, 정기적 건강검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발음, 저작, 동통, 구취) 및 구강건강지식·태도·행동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조사문항의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t검정, 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 검정,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비교는 연령(F=4.226)과 학력(F=5.059)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 지식 평균 비교는 연령(F=4.241)과 학력(F=5.589), 경제상태(F=3.506)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구강건강 태도 평균 비교는 성별(t=-2.789), 연령(F=3.482)과 학력(F=5.414), 경제상태(F=4.174)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강건강 행동 평균 비교는 성별(t=-3.887), 학력(F=7.397), 정기적 건강검진(t=3.880)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t=-2.488)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수준이 안 좋을수록 구강건강 지식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인들의 구강건강상태 증진을 위해서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지식의 전달이 필요하고 구강 질병의 조기발견 및 예방처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구강질환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며, 연령층에 맞는 구강보건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제공과 활발한 홍보사업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구강건강행위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미생물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우희선,최혜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status through oral examinations, microorganism tests, an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and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prevent. Results of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brushing education showed high motile activities of microorganis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which students with a large amount of microorganism subjectively felt more tooth pain. Symptoms of halitosis were greater in the D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bacteria and the amount of bacteria in the MT, and oral health was worse if oral aids were not used in the DMFT index.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oral health behavio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and the amount of microorganism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statu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share and spread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media for each life cycle.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검사 및 구강미생물검사, 설문조사를 통해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칫솔질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이 높은 구강미생물의 활동성을, 구강미생물의 양이 많은 학생이 주관적으로 치아통증을 더 느꼈다. 우식치아지수는 구취느끼는 증상이 더 컸으며, 상실치아지수는 구강미생물의 종류와 양에서 차이가 있었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서 구강보조용품 사용하지 않는 경우 더 좋지 않은 구강건강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강보건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구강미생물 정도는 객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의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구강보건교육 매체의 개발 및 공유 확산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일부지역 60대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

        남인숙,배지영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evancy between the subjective awareness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oral health by surveying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citizens over 60 years old in certain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30, 2016 among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in the GyeongBuk, and 442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brush their teeth better and for longer duration (p<.05), where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received toothbrushing training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and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elderly citizen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s for ideal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of elderly citizens. 본 연구는 일부지역 6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경북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44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은 칫솔질을 전체적으로 잘 닦을수록, 칫솔질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p<.05), 구강건강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지식도는 칫솔질 교육을 받은 경우 높았다(p<.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올바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구강에 대한 주관적인 구강 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를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의 관련성

        이종화,김병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of Korean adults. Results showed that as Korean adults perceived that their oral health was good, the lowe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Therefore, we think that a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dental management based on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dex, including periodic oral checkup.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건강하다고 인식 할수록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유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지표를 바탕으로 한 치주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비롯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