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족저압 분포에 관한 연구

        오태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족저압 형태를 물리치료, 정형외과적 수술, 근육 주사 등의 중재 방법에 따라 뇌성마비 아동들의 족저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것이다.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물리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아온 “물리치료군” 아동 10명, 물리치료를 지속하던 중 근육 수술 경험이 있는 “수술적용군” 10명, 그리고 물리치료와 함께 경직이 있는 하지 근육에 국소약물주사를 맞은 병력을 가진 “약물주사군” 10명으로 분류하여 족저압 형태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으로 의학적 진단을 받았으며, 14세 이하의 독립보행이 가능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족저압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Parotec system 을 이용하여 양측 하지의 정적 족저압, 동적 족저압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양측 하지의 대칭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24개의 압력 감지기를 구분하여 부위별로 정적, 동적 족저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물리치료군에서는 정적 족저압과 부위별 정적 족저압에서 높았으며, 수술적용군은 정적 족저압 및 대칭성, 동적 족저압과 부위별 족저압 등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군 간의 차이를 많이 보여준 부위는 후족부(발뒤꿈치)와 중족부였으며, 발의 외측부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foot pressure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according medical history and influence of medical treatment affecting foot pressure. Thirty subjects with diplegic cerebral palsy who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and under 14 years older participate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hysical therapy group(n=10) had not any history, operation group(n=10) had a history with orthopadic surgery, injection group(n=10) had a history with local injection. We used Parotec system to analysis foot pressure and obtained data from parotec system such as static total foot pressure, dynamic total foot pressure, and static and dynamic foot pressure of each 24 sensor. We analysis foot pressure for static and dynamic total foot pressure and symmetry of both legs, and each 24 sensor foot pressure. Physical therapy group has high score of foot pressure in static and each 24 sensor static foot pressure, operation group has present positive response in static pressure and symmetry of both legs, each 24 sensor static and dynamic foot pressure. The meaningful difference took place in heel area and mid foot area, lateral area of foot.

      • KCI등재

        외측주 연장술을 시행받은 편평외반족 환아에서 병인에 따른 결과 평가

        이원균(Won Gyun Lee),정성택(Sung Taek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편평외반족은 소아정형외과에서 가장 흔한 변형 중 하나로서 병인에 따라 특발성 및 신경근육성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편평외반족 환아에서 외측주 연장술 시행 전후 및 단기 추시 시 방사선적 소견 및 족저압 수치 변화 양상을 병인에 따라 비교하고, 방사선 검사와 족저압 검사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외측주 연장술을 시행받은 63명의 환아, 97예의 족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원인에 따라 신경근육성 질환을 가진 환자 30명 47예, 특발성으로 발생한 환자 33명 50예로 환자군을 나누었다. 수술 전, 직후, 술 후 1년 및 3년째 추시 시의 전후면, 측면상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였고 족지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에서 각각의 최대 압력, 최대 하중, 접촉 시간, 접촉 면적을 측정하였다. 술 전 족저압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 중 수술 후 검사를 추시한 환자(특발성 6명 8예, 신경근육성 4명 7예)의 측정값을 비교하였고 술 전 족저압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특발성 14명 19예, 신경근육성 6명 11예)를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와 족저압 검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째, 3년째 추시 시의 방사선적 지표는 병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전후의 족저압 검사를 비교한 결과 특발성 편평외반족의 후족부와 전족부에서의 최대 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술 전 족저압 검사를 시행받은 환아의 방사선 검사와 족저압 검사의 상관관계를 병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특발성 편평외반족에서는 측면 사진상 경골-종골각이 족저압 검사상 후족부의 최대 힘, 접촉 면적 및 족지부의 접촉 면적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신경근육성 편평외반족에서는 전후방 사진상 거주상골 피복각과 측면 사진 상의 거골-제1 중족각 및 거골-수평각이 후족부의 족저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전후방 사진상 거골-제1 중족각은 중족부의 족저압과 높은 정적 상관을, 족지부의 족저압 및 접촉 면적과 높은 부적 상관을 가졌다. 결론: 외측주 연장술은 편평족에서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지만 수술 후 결과 및 예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에 방사선 검사만으로는 제한이 있으며 족부 변형 및 압력 중심의 편향 정도를 분석하는 정량적, 정성적으로 유용한 검사인 족저압 검사는 방사선 검사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편평외반족의 진단 및 치료 효과 평가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es planovalgus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t deformities among pediatric orthopedic diseases and is divided into idiopathic and neuromuscular planovalgus according to its etiology. This study evaluated the radiologic and pedobarographic outcomes of the treatment for pes planovalgus in children treated with lateral column lengthening, compared the outcomes according to the etiology,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 and pedobarograph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Sixty-three patients (97 feet), who underwent lateral column lengthening, were divided into groups of 30 patients (47 feet) with neuromuscular disease and 33 patients (50 feet) with idiopathic etiology. The preoperative, immediately postoperative, 1 year, and 3 year follow-up radiographic measurements on the plain radiograph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view were compared. In pedobarography, the foot pressures were subdivided into 4 areas to measure the contact time, contact area, peak pressure, and maximum force. The pre- and postoperative pedobarographic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adiographic and pedobarographic measureme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radiographic index at the 1st postoperative year and 3rd postoperative follow-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tiology. In pedobarography, idiopathic planovalgu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ximum force in the hindfoot and forefoo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 findings and pedobarographic finding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ibiocalcaneal angle in the lateral view and the maximum force, and the contact area of hindfoot on pedobarography, between tibiocalcaneal angle in the lateral view and the contact area of the toes in idiopathic planovalgus. In neuromuscular planovalgus, the peak pressure in the hindfoot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alonavicular coverage angle in the AP view and talo-1st metatarsal angle, and the talohorizontal angle in the lateral view. Conclusion: Lateral column lengthening is an effective surgical procedure for flatfoot patients. On the other hand,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has limitations for accurate assessments of the postoperative results and prognosi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are available by pedobarography and it is a useful instrument for an evaluation of planovalgus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radiography.

      • KCI등재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시 하지 근피로에 의한 동적균형이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김호성(Ho-S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시 하지 근피로도에 따른 동적균형이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단된 14명의 발목불안정집단과 16명의 발목안정집단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하지의 근피로는 Biodex system Ⅲ, 족저압은 Zebris FDM-S system으로 측정하였고, 한발로 점프 후 착지 검사로 동적균형을 실시하였다. 동적균형시 족저압 분포비율은 발목불안정집단의 전족부(p2, p3, p4)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동적균형시 근피로 유발 전후 족저압 분포 비율은 발목 불안정집단에서 발목 안정집단보다 전족부(p2, p3, p4)와 외측 중족부(p6)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종골부(p7)에서는 낮았다(p<0.05). 동적균형시 족저압 중심(CoP)의 전후이동거리(AP)와 좌우이동 폭(ML)은 발목 불안정집단이 발목 안정집단에 비해 근피로 유발 전보다 유발 후 유의하게 길었다(p<0.05). 기능적 발목불안정시 하지 근피로도에 따른 동적균형은 족저압 분포와 족저압 중심이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기능적 발목 불안정이 있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족저압 차이를 객관화, 척도화 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lantar pressure on dynamic balance of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ollowing fatigue of lower leg. Methods : The subjects(30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group(7males and 7females) and ankle stable group(9males & 7females) who could evaluate questionnaire. All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muscle fatigue of lower leg by Biodex system Ⅲ and distribution of plantar pressure by Zebris FDM-S system, The dynamic balance was tested by single-leg jump landing. This study were to measure of plantar pressure on dynamic balanc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FAIG and control group following muscle fatigue. Results : I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group(FAIG), the post-fatig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fatigue in forefoot(p2,p3,p4) of plantar pressure on dynamic balance(p<0.05). The FAI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SG in forefoot(p2, p3, p4) & lat midfoot(p6) of plantar pressure after fatigue in dynamic balance(p<0.05). The FAIG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ASG in anteroposterior(AP) & mediolateral(ML) distance on center of pressure(CoP) after fatigue in dynamic balance(p<0.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FAIG were effected plantar pressure and center of pressure(CoP) by dynamic balance following muscle fatigue. Further study is needed to measure various age & work with ankle instability for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F-scan System을 이용한 4가지 가방휴대방법에 따른 보행 시 족저압의 변화 분석

        이준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With the aim of examining changes in plantar pressure while walking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carrying a bag, this study measured the plantar pressure of 33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using the F-scan System in four different positions to carry a bag: walking without carrying a bag; walking with carrying a bag on both shoulders; walking with carrying a bag on one shoulder; and walking with carrying a bag in one hand. Changes in the plantar pressure of the subjects obtained in this study and the asymmetry of the left and right feet were analyzed. The plantar pressure of the different areas of the feet in the four different positions to carry a bag was compared. The left foot, except its toes and metatarsu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ve conditions, and the right foot, except its 4th and 5th caput metatarsali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experiment to examine changes in plantar pressure does not seem to be enough to identify which position to carry a bag, except carrying a bag on both shoulders, would have the lowest negative impact on the feet.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on changes in plantar pressur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carrying a bag and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treat abnormal positions such as scoliosis and kyphosis using asymmetric loads. 본 연구에서는 가방의 휴대 방법이 보행 시 족저압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 성인남녀 33명을 대상으로 가방을 휴대하지 않고 보행, 가방을 양쪽어깨에 메고 보행, 가방을 하나의 한쪽어깨에 메고 보행, 가방을 한쪽 손으로 들고 보행하기 등 4가지 조건에서 F-scan system을 이용해 족저압을 측정하였다. 실험을통해 얻어진 족저압의 변화와 좌⋅우측 발에서의 비대칭성을 분석하였다. 네 가지 가방 휴대방식 간에 부위별 족저압을 비교해 본 결과 좌측 발은 족지와 중족을 제외하고 다섯 가지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우측 발은 제4,5 번 중족골두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를 종합해 볼 때 가방을 등 뒤로 양쪽 어깨에 메는방법을 제외하고는 어떤 방법이 발에 최소한의 부담을 주는 최선의 방법인지는 본 실험의 족저압 변화 양상을 통해서 판단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가방 휴대 방법에 따른 족저압의 변화에대한 연구 및 비대칭성 부하가 측만증이나 후만증과 같은 비정상적 자세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방법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아의 유연성 편평족 환아에서 족저압 검사 방법의 유용성과 방사선 검사와의 관련성

        설영준(Young-Jun Seol),정성택(Sung-Taek Jung),양현기(Hyun-Kee Yang),이근배(Keun-Bae Lee),오창선(Chang-Seon Oh),정영주(Young-Ju Jung),조행난(Hang-Na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목적: 유연성 편평족 소아에서 족저압 검사의 유용성과 방사선 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환아 17명, 정상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방사선 검사를 통해 전후면 거골-제1 중족각, 측면상 거골-제1 중족각, 거골-수평각, 종골-수평각, 거종각을 측정하였다. 족저압 검사는 접촉 시간과 면적 비율, 압력 중심의 편향 정도 및 방사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방사선 검사의 모든 측면 각들이 족저압 검사에서 전족부의 외측, 중족부의 내측과 외측, 후족부의 내측 족저압 비율이 차이가 났고, 전족부와 중족부의 접촉 면적 비율이 차이가 났으며 접촉 시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전족부의 내측과 외측 족저압은 거종각과 관련성이 있었고 중족부의 내측과 외측 족저압은 모든 측면 각들과 관련성이 있었다. 중족부의 접촉 시간 및 전족부와 중족부의 접촉 면적은 모든 측면상의 방사선 결과값과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압력 중심의 편향 정도는 전, 후면의 거골-제1 중족각과 측면의 거골-제1 중족각 및 거골-수평각과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족저압 검사와 방사선 검사는 많은 연관성이 있고 보행 중의 족부 변형 및 역학적 변화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agnostic availability and to examine the co-relation between pedobaragraphy and radiography of pediatric flexible flatfoo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and ten normal children were studied. In radiographic evaluation, the talo-1st metatarsal angle was measured on anteroposterior radiographs; and the talo-1st metatarsal angle, the talo-horizontal angle, the calcaneal pitch, and the talocalcaneal angle were measured on lateral radiographs. In pedobarography, foot pressures were subdivided into eight areas for measurement of contact time, ratio of measured area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medial deviation of the Center of pressure line and the radiographic measurements. Results: Flat foot group and norm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ry angle measured in lateral radiographs. The foot pressure ratios of the lateral sides in forefoot and the medial and lateral sides of midfoot and the medial side of hindfoot between the flexible flatfoot group and norm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dobarography and ratio of contact area in forefoot and hindfoot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s but no changes in contact time. The relation between pedobarography and radiography was investigated: foot pressure of the medial and lateral side of forefoot and the talocalcaneal angle showed significant relation in statistics and foot pressure of the medial and lateral side of mid foot and every angle measured in lateral radiographs showed significant relation in statistics. Contact time of midfoot and every radiographic value measured in lateral radiograph showed significant relation in statistics and contact area of forefoot and midfoot showed significant relation with every radiographic value measured in lateral radiographs. In addition, medial deviation of center of pressure line showed significant relation in statistics with talus-first metatarsal angle measured on anteroposterior radiographs and talo-horizontal angle and talus-first metatarsal angle measured on lateral radiograph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correlation between radiologic methods and pedobarography in diagnosis of pediatric flexible flatfoot and pedobarography is an useful tool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gree of foot deformity and medial deviation of center of pressure line.

      • KCI등재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에 따른 정적 족저압의 분석

        공원태,조교영,한종만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of the static peak plantar pressure under foot areas on functional leg length inequality. The experimental group of functional leg length inequality(n=20) and the control group(n=20) were assessed an static peak plantar pressure under foot areas using the Mat-Scan system(Tekscan, USA). We measured the peak plantar pressure under the hallux, 1st, 2nd, 3-4th, and 5th metatarsal head (MTH), mid foot, and heel during the subject maintained standing posture on the Mat-Scan system for 30 second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he excursions of weight distribution between right side and left side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about the excursions of weight distribution and the functional leg length inequit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eak plantar pressure under all foot areas about the comparison of static peak plantar pressure in the short leg side and long leg side.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eak plantar pressure under the hallux, 1st, 3-4th, 5th MTH, and heel about the comparison of static peak plantar pressure in the short leg side and long leg side.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eak plantar pressure under the hallux, 1st, 3-4th, 5th MTH, and mid foot than the control group about the excursions of static peak plantar pressure in both side. In conclusion, we found that functional leg length inequality leads to increase of weight distribution and peak plantar pressure in the side of short leg. 기능적 하지길이차이에 따른 정적 족저압을 분석하고자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 10mm 이상인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군과 5mm 이하인 정상군을 Footmat system(Tekscan, USA)으로 족저압을 분석한 결과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가 클수록 좌 우 족저압에 따른 좌 우 체중 차이도 커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단하지측 족저압이 장하지측에 비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군은 7개의 족저압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정상군은 제2중족 골두(2nd metatarsal head)와 중족(mid foo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나머지 5개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적 하지길이 차이군과 정상군의 정적 기립 시 좌 우 족저압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2중족 골두(2nd metatarsal head)와 뒤꿈치(heel)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나머지 5개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 발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족저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백용익,이관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발목관절에 관절가동술(미끄러뜨림)을 적용하여 관절가동범위, 족 저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맞는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무 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은 6주 동안 주 3회, 3~6분간 발목관절에 미끄러뜨림을 적용하고 대조군은 6주 동안 주 3회, 3~6분 일반 가동범위 운동을 마비측 발목관절에 적용하였다. 훈련 전, 후 마비측 발목관절 가동범위, 족저압, 10m 걷기 검사와 일어나 걷기 검사를 측정하였다. 연 구 결과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162 p=0.039), 족저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233 p=0.034). 보행능력 비교에서는 10m 걷기 검사(t=-3.731 p=0.001), 일어나 걷기 검사(TUG)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t=-2.788 p=0.009). 결론적으로 실험군에서 족저압과 보행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만 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발목관절에 적용한 관절가동술은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the affected ankle joint of chronic stroke patients. Of the 30 subjects, experiment group was divided into 15 experiment group and 15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applied to the affected ankle joints 3 times a week for 3 weeks, 3-6 minutes gliding fo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3 times a week for 3 weeks, 3-6 minutes at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ankle joints,in the plantar pressure(PP), the 10m walk test(10MWT) and time up and go test(TUG) were measured. Th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ankle joints(t=2.162 p=0.039), in the PP(t=2.233 p=0.034), the 10MWT(t=-3.731 p=0.001), TUG(t=-2.788 p=0.009).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ait ability in the experiment group, a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gait by applying joint mobilization to the affected ankle joint of chronic stroke patients.

      • 평형성운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이경섭,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11 특수체육연구 Vol.8 No.-

        본 연구는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신지체 아동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각각 7명씩 총 14명을 선정하였다. 측정은 F-scan system의 압력분포 측정 센서를 장착한 신발과 장비를 착용시킨 후, 평상시의 보행 자세로 걷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보행을 할 때 실시하였으며, 직선 10m 중 두 번째 유각기에 해당하는 왼발을 분석하였다. 또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 군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8주간의 평형성 운동 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F-scan version 5.7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ASCII로 전환하고 평형성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쩨,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최고압력에서 모든 영역이 증가하였다. 둘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평균압력에서 앞꿈치지지기를 제외한 영역에서 증가하였다. 셋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접촉면적에서 모든 영역이 감소하였다. 넷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접촉비율에서 앞꿈치 지지기를 제외한 영역에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의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 변화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사로 오르기 동안 슬관절 굴곡각도와 족저압의 특성 비교

        오태영(Tae-Young Oh),송현주(Hyeon-Ju Song),이슬기(Seul-Gi Lee),정예지(Ye-Ji Jung),임종수(Jong-Su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사로를 오르는 동안 슬관절 굴곡각도와 족저압의 차이를 각각 다른 경사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24명의 건강한 성인 참가자들에게 각각의 경사도(0°, 3°, 6°, 9°)를 걷게 한 후, Parotec system을 이용하여 족저압을 측정하였으며, 걷는 모습을 캠코더로 녹화 한 후 Dartfish system을 이용하여 슬관절 각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각 경사로에 따라 슬관절 굴곡 각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족저압은 좌측 하지의 발뒤꿈치 외측 부위(1번 감지기), 중족부 내측 부위(9번 감지기), 전족부 내측 부위(15번, 16번 감지기), 그리고 우측 하지에서는 발뒤꿈치 외측 부위(3번 감지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슬관절 각도가 10~20° 사이에서 발뒤꿈치 외측 부위 및 내측 부위의 족저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ee joint flexion angle and the foot pressure during climbing with different slope. The 24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And foot pressure was investigated using Parotec system. The knee joint flexion angle were filmed to using a video camera on each slope(0°, 3°, 6°, 9°). And knee joint angle was investigated by Dartfish. The data were analyzed ANOVAs. In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knee joint flexion angle related on each slope angle. In foot pressure,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lateral heel area(1 cell), medial midfoot area(9 cell), medial forefoot area(15, 16 cell) of left foot, and in lateral heel area(3 cell) of right foo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f foot pressure in lateral and medial heel when knee joint flexion angle is between 10° and 20°. There was change of gait cycle according to walking slop angle increasing, and the initial contact phase was shorter, the foot pressure in lateral heel was lower.

      • KCI등재

        관절가동술과 깔창적용이 엉치엉덩관절통증환자의 통증과 골반경사각, 족저압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배정예비임상시험

        임재길(Chae-Gil L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이 연구는 엉치엉덩관절 통증환자에게 관절가동술, 깔창착용 보행훈련, 그리고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행훈련 중재를 실시하고 환자의 통증, 골반 각 및 족저압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무작위로 24명의 대상자를 관절가동술군(n=8), 깔창착용보행훈련군(n=8) 또는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보행훈련군(n=8)으로 배정하여, 하루에 30분씩, 일주일에 2번씩 4주 동안 중재하였다. VAS를 사용하여 통증을 평가하고 골반 각도를 Palpation Meter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족저압 (전 / 후비)을 Gateview AFA-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중전·중재 4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그룹은 그룹 내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통증감소를 보였다(p<.01). 골반 각도에서 관절가동술군은 전방 기울기에서만 통계적으로 개선되었고,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해훈련군은 앞쪽 및 뒷쪽기울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p<.01), 깔창착용 보행훈련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또한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행훈련군은 족저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모든 중재는 엉치엉덩관절 통증환자의 통증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관절가동술과함께 깔창착용 보행훈련을 한 군이 골반각도와 족저압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엉치엉덩관절통증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만성 허리통증 및 족저압 입력 문제가 있는 환자의 부상 예방, 자세교정, 그리고 보행훈련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readmill with insole, and joint mobilization and treadmill with insole on pain, pelvic angle, and foot pressure in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24 patients randomly assigned to joint mobilization group(n=8), treadmill with insole group(n=8), or joint mobilization and treadmill with insole group(n=8). Each groups were conducted 30 minutes a day, two days a week for four weeks. Pain was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and pelvic angle was measured using palpation meter and foot pressure(fore/rear ratio) was measured using Gateview AFA-50 before intervention and after 4 weeks. All group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ain in intragroup(p<.01). In pelvic angle, the joint mobilizati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terior tilt only, the joint mobilization and treadmill with insol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tilt(p<.01), and the treadmill with insole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p>.05). Also the joint mobilization and treadmill with insole group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t pressure(p<.01). All the interventions reduce sacroiliac joint pain and joint mobilization and treadmill with insole training are most effective changes in pelvic angle and foot press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injury, posture correction and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as well as chronic low back pain and plantar pressur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