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능화의 한국 양명학 연구

        이우진(Lee, Woo-Jin),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이 논문은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로서 이능화(李能和)에 대한 탐구이다. 먼저, 이능화가 양명학이 어떤 측면에서 “주자학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서구적인(=서구화할 수 있는) 사상 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주자학을 서구근대화의 장애물’로 판단하게 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능화의 조선유계지양명학파 에서 나타난 한국 양명학의 연구 관점이나 자료수집의 폭이 어떤 것이며, 그것이 이후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능화는 조선을 ‘사상속박시대’라고 비난할 정도로 오직 주자학만을 유일무이한 학문으로 존숭하였던 조선 유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지녔다. 그에 따르면, 조선의 교조주의는 근본적으로 사대주의(事大主義)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그러한 교조주의는 당파의 분열을 발생시켜 유교의 특장점인 정치적 · 윤리적인 사회철학적 성격을 상실케 되었다고 파악한다. 반면 이능화는 양명학을 시대변혁의 방향에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사상으로 파악한 듯 하다. ‘전근대적인 주자학’을 탈피하여 당시의 역사적 사명인 ‘서구근대화를 이룰 수 있는 사상’으로 양명학을 바라보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는 일본의 서구 근대화가 양명학이라는 이념적 기반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능화는 『조선유계지양명학파(朝鮮儒界之陽明學派)』에서 조선 양명학파를 학문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인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국 양명학파를 성립시킨 인물로서 정제두로 제시하였으며, 남언경(南彦經)을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로서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양명학 전래시기를 1567년 전후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견해는 이후의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특히 이능화는 조선의 양명학 배척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후 그의 한국 양명학 연구는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에게 이어져 식민사관으로 재생산된다. 하지만 윤남한(尹南漢)과 유명종(劉明種)에 이르면 다카하시 도오루가 보여준 식민사관을 넘어서게 되고, 이능화가 마련한 인물 · 시각 · 자료 · 사건들을 그들의 한국 양명학 연구에서 근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 점에서 이능화는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라고 지칭해도 무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on Lee Nung-Hwa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陽明學)’. First, we examined that why Le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In addition to this, We investigated that why he thought JuJahak(朱子學) as the obstacle of making Josun modern westernization. Second, we investigated Lee’s Josunyukyejiyangmyeonghakpa(朝鮮儒界之陽明學派) for seeking his research perspective and scope of data collection about Korean Yangmyeonghak. And, we examined in particular that what Lee had influenced on researchers on Korean Yangmyeonghak since he published this Josunyukyejiyangmyeonghakpa . Lee described Josun(朝鮮) as ‘the spirit bondage era.’ He had a very critical stance on the Josun Confucianism, because it only acknowledged JuJahak. At that time, any other thoughts except JuJahak were regarded as unorthodox. According to him, Jujahak dogmatism was due to toadyism basically. Jujahak dogmatism had generated multitudinous partisan brawls from the earliest days of Josun. So, the confucianim lost its advantages of eth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But, Lee looked at Yangmyeonghak positively. H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Because Yangmyeonghak w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Meiji Restoration. Lee organi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t the political side, not the academic side in 『Josunyukyejiyangmyeonghakpa』. Lee described Jeongjedu(鄭齊斗) as the feature of establish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nd identified Namunkyung(南彦經) as the first Yangmyeonghak scholar inf Josun. And, Lee estimated the Yangmyeonghak transmission time as around 1567. Many researchers followed these his views. But, Lee analy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His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was continued to Takahasi torou(高橋亨), but that perstpective had been refused by Yunnahan(尹南漢) and Yumyeongjong(劉明宗). However, people, data, and events selected by Lee had been accepted by almost all researchers. In that point, we identify Lee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

      • KCI등재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19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는 지난 50년간 양적인 면은 물론 질적인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눈부신 성과를 이루었다. 필자는 지난 50여 년간의 연구 성과를 모아 <조선시대 양명학 관련 연구 문헌 목록>을 제작하였다.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는 저서 78권, 원전 번역서 46권, 외국문헌 번역서 2권, 박사학위논문 97편, 석사학위논문 213편, 학술논문 1,287편을 포함 총 1,719종에 달한다. 이 방대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몇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전체적인 윤곽을 조망할 수 있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 성과물과 관련한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저서 16권, 박사학위논문 8편, 학술논문 93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았다. 총 16권이 간행된 저서 부분은 크게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인 198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심화 시기인 1990년대와 200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국제화시기인 2010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반부는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과 전개라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연구 내용과 더불어 조선시대 양명학과 성리학의 교섭과 융섭을 다룬 연구가 많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서의 주제와 관점과 내용이 다양화되고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을 다룬 박사학위논문의 경우에는 8편으로 양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지만, 철학은 물론 역사학, 정치학, 종교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이 나옴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해줌과 아울러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한국양명학 연구 기반을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고 하는 점이 주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총 93편이 간행된 학술논문의 경우는 크게 3시기로 나누어 살펴봤다. 첫 번째 시기는 1980년대까지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토대 마련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9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기는 2000년대와 201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성숙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괄목할 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첫 번째로 총론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조망하는 연구 작업에 각론에 해당하는 개별 양명학자에 대한 연구 성과 및 시기별·분야별 연구 성과들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다. 두 번째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다룬 연구 성과물이 대체로 철학 분야에 치중되어 있는 바, 문학과 사학과 철학 분야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다. 그래야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의 진면목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자들이 보여준 수시변역(隨時變易)과 권도(權道)의 주체성과 시대정신,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의 애민정신과 실천정신을 온전히 계승하고 현실에 맞게 되살리는 것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since the 1970s has achieved amazingly remarkable result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during the last 50 years. The author has collected those achievements and made a “List of Works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e works in that list include 78 books, 46 translations from original texts, two translations from foreign works, 97 doctoral dissertations, 213 master's theses, and 1287 academic papers, totaling up to 1719. The author intends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hat huge compilation in several stages. In this paper as the first stage, the author considers a part of writings contained in that list (15 books, seven doctoral dissertations, 94 academic papers) which are related to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can draw a general outline of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at, the author makes some evaluation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at research and the outstanding problems that must be resolved. In those works, 15 published book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blication: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first base, the 1990s and 2000s when that research developed, and the 2010s when that research was internationalized. While the first half of them provide a foundation to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e. the introduction,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Yang-mi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focuses more on the negotiation and interconnection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subjects, viewpoints and contents of those books show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doctoral dissertations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ose eight dissertations are not much in quantity, but the variety of academic areas they are in - philosophy, history, politics, religious studies, literature, etc.-shows that the main results they obtained are the consideration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various aspects, the profound knowledg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enrichment of the base for the research on Korean Yang-ming studies. For the 93 academic papers, they can be divided into 3 parts according to their publication time. The first one is the papers published until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arted to be established. The secon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199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gularly carried out. And the thir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2000s and 2010s when that research reached maturity. Despite the remarkable results, the research on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ill has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irstly, the results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time and domain, and the research on each scholar of Yang-ming studies must be reflected in the research showing the outlin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econd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focused much on the philosophical aspect must be balanced among all philosophical, literal, and historical aspects. Only so can Yang-ming studies be fully described and their true character be shown. Thirdly, it is necessary to advance arguments about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connection with problems of the present era. The ultimate aim should be that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must completely succeed and revive, in the present reality, the self-control and independence and the spirit of time that were showed in ‘variation according to time (隨時變易)’ and the ‘way of adaption (權道)’, the spirit of loving the people and the spirit of practice that were showed in the terms of ‘sincere mind (實心)’ and ‘empathy (感通),’ i.e.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that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manifested.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조선양명학의 실심실학(實心實學)과 조선 후기 실학(實學)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양명학관(陽明學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정길 ( Jeong Gil Han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實心實學’에서 찾는 것이 어떤 의의와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래의 많은 양명학 연구가들이 조선양명학을 실심심학으로 규정하는데, 그것은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로부터 영향을 받은 바 크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당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조선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하는 것이 지니는 의의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위당은 조선후기 실학과 구분되는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실심실학에서 찾는다. 위당이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이해한 데에는 크게 세 가지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첫째는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함으로써 實心과 무관하게 학문을 해온 조선의 주자학자들을 비판할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양명학의 근본정신을 누구라도 쉽게 자기 안에서 확인할 수 있는 ‘一眞無假’한 實心에서 찾음으로써 민중들을 보다 쉽게 각성시킬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일체의 판단 준거를 자기 내면의 實心에 둠으로써 사태의 시비선악과 학술의 옮고 그름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위당의 이러한 양명학관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실심실학’이라는 용어가 양명학만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심실학’은 주자학자들이나, 양명학에 대해서 비판적인 조선 후기 실학자들도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주장한다고 해서 그를 곧바로 양명학자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위당은 ‘조선양명학파’를 서술하면서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한다는 이유로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하는 사람들까지 양명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결국 양명학자가 아님에도 ‘조선양명학파’로 분류하는 결과를 가지고 오게 했다.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것은 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하곡의 제자들이 자기 선생의 학문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데에 가 닿는다. 하곡에게서 실심은 ‘心卽理’의 心이요, 良知이다. 따라서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서 양지실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하곡의 제자들이 하곡학을 ‘실심실학’이라고 규정하면서 그 이유를 설명한 것에 따르면 그들이 말하는 實心은 良知가 아니다. 이것은 실심을 양지로 보는 하곡의 견해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다.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이지만, 그의 제자들이 말하는 실심실학은 이미 양명학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이 점은 소위 ‘강화학파’, 혹은 ‘하곡학파’로 불리는 이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학문 특성을 실심실학으로 묶을 수는 있을지라도 그들 모두를 양명학적 실심실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실심을 ‘심즉리’의 심이나 양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 우리는 이런 기준에 입각하여 실심실학을 주장하는 이들 가운데서 양명학적 실심실학자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더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blem in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Currently many researchers of the Yang-ming studies has stated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nd that has been influenced mostly from the studies of Yang-ming of Widang Jeong in-bo. Therefore, in this thesis, it will review the meaning and problem of stating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based on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and to look into the plans to supplement it. Widang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differentiates from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terms of Widang understanding the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re are three meanings. First, by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t has provided the logical grounding that can criticize the scholars of Chu-tzu that has studied regardless of the sincere mind. Second, by finding the basic spirit of the Yang-ming studies from the sincere mind that can be confirmed easily from oneself, it has provided the way to enlighten the masses. Third, by putting the whole judgement standard in one`s own sincere mind, it has open a way to understand and judge and act on the right/wrong/ /good/evil of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right/wrong of studies in a subjective way. However, such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has problem. That is, the term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Yang-ming studie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has been used frequently by Chu-tzu scholars or scholars of the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ere critical to Yang-ming studies. Therefore, even if someone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you cannot evaluate him as a scholar of Yang-ming studies. Regardless, by stating the ``the school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idang has evaluated the people who criticized the Yang-ming studies as cult just because they pursued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This eventually resulted in categorizing them who are not Yang-ming study scholars as ‘Yang-ming study school of Joseon``. In terms of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origin goes way back to the pupils of Hagok(霞谷) Jeong, je-du(鄭齊斗) as they stated the study of their teacher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For Hagok, the sincere mind is mind of ‘the mind is principle’ and is Innate knowledge. Therefor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Innate knowledge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studies. However, as the pupils of Hagok has stated the Ha-gok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hen you look into the reason, the sincere mind is not innate knowledge. This goes beyond the approach of Hagok that sees sincere mind as innate knowledge. Althoug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approac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at are stated by his pupils has already gone beyond the scope of Yang-ming studies. This goes the same to the so-called ‘Kanghwa school’, or ‘Hagok school’. Although we can group their scholar characteristics into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e cannot take all of them as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order to be evaluated as a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sincere mind should be understood as mind or innate knowledge of ‘the mind is principle’. From now on, based on this standard, we could work more on categorizing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mong the ones who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 KCI등재

        퇴계의 양명학 비판과 조선유학의 성립

        김형찬 ( Kim¸ Hyoung-chan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8 No.-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가 직접 참여했던 16세기 ‘四端七情論爭’은 조선의 학자들이 理氣心性論 관련 논의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이는 조선유학의 주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런데 퇴계와 율곡, 그리고 이후 조선유학자들이 理氣心性論 논의에 집중하게 되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다면, 그것은 건국 이래로 그들이 추구해 온 주자학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그에 대한 대안 혹은 보완책 모색이라는, 당시 조선 지식인 사회의 과제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 무렵 중국에서는 주자학을 비판하며 성장한 양명학이 유행하고 있었고, 조선 지식인들의 철학적ㆍ이념적 반성은 그러한 양명학의 영향과 무관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선에서 양명학은 강렬한 비판에 직면하였고, 조선유학은 양명학을 배제하고 이기심성론 논의에 주력하면서 독특한 학문적 기틀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한 논의 과정의 중심에는 양명학 비판에 결정적 역할을 한 퇴계가 있었다. 퇴계는 양명학의 학문적 성과를 수용하는 대신에,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양명학의 주자학 비판에 적극 대응하며 주자학을 보완하는 길을 택하였다. 퇴계의 理發說, 理自到說 등은 바로 양명학의 주자학 비판을 능동적으로 극복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이루어진 성과였다. 퇴계는 양명의 知行合一說이 形氣에 관한 일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있으나 義理에 관한 일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유학에서 지향하는 것은 義理에 관해서도 形氣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능적ㆍ자발적으로 도덕적 감정ㆍ판단ㆍ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었고, 맹자가 도덕감정의 자연 발현의 예로 제시했던 孺子入井의 상황이 바로 그러한 것이었다. 퇴계는 도덕감정ㆍ판단ㆍ행위의 자발성을 理의 ‘역할(發 또는 自到)’로 설명함으로써 양명의 비판을 주자학의 기반 위에서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극복하려 하였고, 이는 마음[心] 중심의 陽明 心學을 理 중심의 退溪 心學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에 대해 조선지식인들이 반대 혹은 찬성의 의견으로 논의에 참여하게 되면서 조선유학은 주자학을 보완하고 양명학을 넘어선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었다. 이처럼 퇴계가 양명학을 비판하며 주자학의 토대 위에서 그 문제의식을 포용해 냄으로써, 양명학이 조선에서 뿌리 내릴 여지가 근본적으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理氣心性論의 심화를 특징으로 하는 조선 유학이 성립되고 발전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The controversy over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四端七情論爭), which occurred in the sixteenth century with both Toegye Yi Hwang (退溪 李滉) and Yulgok Yi I (栗谷 李珥) being directly involved, became a crucial catalyst that mad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pay special attention to discussions around the theory of li, gi, heart-mind and nature (理氣心性論); eventually, this became a key characteristic of Joseon Confucianism. Nevertheless, if one seeks to find theroot cause of Toegye, Yulgok, and future Joseon Confucianists’ concentration on the theory of li, gi, heart-mind and nature, one should focus onthe Joseon-era intellectual community’s task at hand: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theories of Zhuxi (朱熹), which had been the mainstream school of neo-Confucianism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with the intent of improving on it or finding an alternative. Around this time, Yangmingism had gained popularity in China, establishing itself through the criticism of the teachings of Zhuxi; there was no way for the Joseon-era intellectuals to be free from the influence of Yangmingism in the self-criticism of their own philosophy. However, Yangmingism faced strong criticism in Joseon, and the school of Joseon Confucianism started establishing a unique academic tradition that focused on discussions of the theory of li, gi, heart-mind and nature while avoiding the ideas of Yangmingism. Toegye stood at the heart of such discussions, because he had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criticism of Yangmingism. Instead of accep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Yangmingism, Toegye chose to complement the theories of Zhuxi as he actively addressed Wang Yangming’s criticisms toward it. Theories such as the theory of the manifestation of li (理發說) and the theory of li arriving of its own accord (理自到說) were the outcome of Toegye’s critical assessment of Yangmingism’s criticisms of the theory of Zhuxi. Toegye criticized Yangming’s theory of Chin-hsing ho-yi (知行合一說), claiming that it could only be applied to the concept of material disposition (or physical matter, 形氣), not to the concept of moral norm (or righteous principle, 義理). Yet, the actual aim of Confucianism was to promote instinctive and spontaneous moral actions, decision-making, and emotions for moral norm (義理), just like what people would do for material disposition (形氣); one such example is Mencius’ thought-experiment on the natural manifestation ofmoral emotionality, which says "anyone would feel benevolence (惻隱之心) if they were to see a child crawling toward a well (孺子入井)." Toegye desired to actively accommodate and overcome Yangming’s criticisms upon the foundations of Zhuxi's theories by explaining the spontaneous nature of moral actions, decision-making, and emotions as the "role" (facilitated by 發 or 自到) of li (理). As Joseon-era intellectuals joined such discussions, some agreeing and some disagreeing with Toegye, Joseon Neo-Confucianism took its unique path that complemented the theory of Zhuxi and as a result overcame the school of Yangming. Thanks to Toegye’s critical attitude toward Yangmingism and the successful counterargument to it within the framework of Zhuxi's theory, Yangmingism fundamentally lost the opportunity to take root in Joseon. Amidst these circumstances, Joseon Confucianism took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itself as aunique version of Confucianism, characterized by deeper and more complex discussions of the theory of li, gi, heart-mind and nature (理氣心性論).

      • 조선에서의 양명학 수용과 기호학과의 상관성 고찰

        양태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2 敎育論叢 Vol.49 No.1

        조선에서의 양명학은 이단이나 잡학으로 비판되고 배척되는 시련을 겪으면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수용되기 시 작한 양명학은 하곡 정제두에 이르러 학적체계를 세우고 새로운 전개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하곡 이후 조선의 양명학은 반주자학적인 학문으로 등장하여 실학사상 등 현실적 영역의 사고에 그 이론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근대화 과정 중에 과도기적 역할을 주도해 왔을 뿐만 아니라, 도탄에 빠진 민생을 구하고 구습을 타파하여 국권을 회복하고자 하는 애국 계몽 운동으로 전 개되면서 시대적 요청에 의한 사공(事功)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선에서의 양명학은 기호지역을 중심으로 주기적 경향을 띤 학 자들에 의하여 수용되었다. 그들은 주자학의 폐단에 의한 당시 사회의 현실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양명학의 실천적 주체 사상을 수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자주적이고 실천적이며 근대 지향적인 사고로 형성 발전된 사상이 조선의 양명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에서의 양명학은 기호지방의 학자들을 통해 수용되고, 기호학의 토양 속에서 성장 발전해온 기호학풍이었음 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鄭寅普의 朝鮮陽明學派 硏究에 관한 一考察

        신현승(Shin Hy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陽明學演論』을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의 朝鮮陽明學派 연구의 한 특징을 포함한 제 사항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1972년 三星文化財團이 출판한 『陽明學演論(外)』을 底本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 제1편 「陽明學演論」의 전체 내용에 주목하고 그 제6장 「朝鮮陽明學派」의 부분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결국 본고는 정인보의 朝鮮陽明學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의 의의와 그 가치에 대략적인 초점을 맞추면서 조선양명학파의 탄생 및 그 주요한 특징으로서 江華學派의 형성과정까지 살펴본 것이다. 본고에서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는 그 분류 기준이 그 자신이 애용하던 ‘實心’과 ‘實字’에 있었고, 그 점에 착안하여 ‘실학으로서의 양명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實心’에 의해 학문을 했는가의 여부에 따라서 양명학파에 포함시키는 시도까지 했다는 점도 고찰하였다. 정인보는 구체적 실증자료에 입각하면서도 학문적 경향이 양명학의 정신과 유사한 인물들까지 포함하여 폭넓게 조선양명학파의 人物群을 확대하여 파악하고 있는데, 이것이 그의 양명학파 분류법의 특징이기도 하다. 정인보가 이러한 양명학파 분류를 행한 이유는 민족적 위기의 시대에 실천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의 출현을 갈망한 그 자신의 소망이 담겨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知行合一’의 전제조건에는 ‘實心에 바탕을 둔 實行’이라는 것이 있었음을 간파할 수 있었다. 정인보는 그처럼 實心에 의한 학문을 실학이자 양명학으로 간주하였고, 실천적 양명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Jeong In-bo's Wang Yangming theory and study the overall theory including one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For this, this thesis is based on Wang Yangming theory published by Samsung Foundation of Culture in 1972. And, we noted volume one, 「Wang Yangming school theory」's entire content and focused on volume six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In the end, this thesis can be considered as Jeong In-bo's View of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s such, this thesis examines birth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of Kanghwa while focusing Jeong In-bo's significance and valu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Classification standard of Jeong In-bo's significanc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re practical mind and practical study and pointed out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Wang Yangming school as Practical Science based on this. And also, we studied including them in Wang Yangming school according to whether to performing study by ‘practical mind’ Jeong-In-bo included persons whose academic trends are similar Wang Yangming school's sprit to understand Groups of Persons for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his Wang Yangming school. The reason why Jeong In-bo carried out this classficiation is to long for intellectuals' emerging who take an action in the crisis of nation. And,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fulfillment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erequisite of oneness of knowledge and conduct. Jeong In-bo considered the study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actical Science and Wang Yangming studies and tried to make it known to people.

      • KCI등재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

        강경현(Kang, Kyung-hyu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6

        『명유학안』은 17세기 황종희의 양명학적 시선에 따라 명대 학자들의 행적과 사상이 서술된 학안류 문헌이다. 『명유학안』이 제공하고 있는 양명학 중심의 명대 유학 이해의 시야는 동아시아 사상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큰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16세기부터 양명학을 수용한 조선에서도 『명유학안』은 수입되어 읽혔다. 물론 주자학을 근간으로 하던 조선 학술계에서 『명유학안』에 대한 논의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다만 그들 역시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과 문제의식에 따라 『명유학안』을 독해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첫 번째 『명유학안』 독해 양상은 “명대 인물과 사상 이해”이다. 이것이 조선시대 발견되는 가장 이른 시기(19세기)의 『명유학안』 독해 양상이다. 명대 인물의 언행과 사상을 싣고 있는 『명유학안』을 통해 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 것으로, 『명유학안』을 일종의 전기류문헌으로 파악한 것이다. 두 번째 활용 양상은 “양명학 비판”이다. 16세기 이황으로부터 시작된 조선의 양명학 비판 흐름은 『명유학안』을 읽는 데에도 이어졌다. 일군의 학자들은 주자학적 입장에 바탕을 하여 『명유학안』을 독해하였고, 『명유학안』에 수록된 양명학적 인물들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물론 주자학적 인물들에 대한 우호적 평가와 병행된다. 마지막으로 『명유학안』은 왕수인의 생애와 학술을 재구성하거나 양명학을 재해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특히 양명학적 시선에 따라 왕수인의 사상과 중국 양명학의 계보를 다시 구성하여 조선 양명학사를 체계화하고, 그에 기반을 하여 당대의 시대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명유학안』은 독해되었다. The Records of Ming Scholars(『明儒學案』) is a scholarly literature written in the 17th century, describing the history of scholars in the Ming Dynasty and their ideas in the observation of Huang Zongxi with perspectives prevalent i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In trying to understand the Confucianism centered around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provides views that have become major influence for comprehending the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after the acceptance of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since the 16th century. As one would expect, little attention was given for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s scholastic field in Joseon Era based their views in the teachings of Zhu Xi. However, they still perceiv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n their own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issues arising thereof. First interpretation tendency of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n Joseon is “understanding scholars and their ideas”. This is the earliest discovery of tendency(19thcentury) for interpret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They classifi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s a type of biographical record in deeply understanding the Ming Dynasty through which people and their history of behaviors and ideas are described. Second tendency for interpret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s as “criticism o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Criticism o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has began with Yi Hwang in the 16th century, still remained in read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 group of scholars interpret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ith the basis of teachings of Zhu Xi and multitude of people in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ith influence of Wang Shouren recorded had become grounds for criticism. This is, of course, in parallel to amicable evaluation on people in the teachings of Zhu Xi. Lastly,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used to re-evaluate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More specifically,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apprehended to re-construct the pedigree of Wang Shouren school. This was to systematize the chronicles of Wang Shouren school and to provide solutions to issues predominant in the times of Joseon Era.

      • KCI등재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1) -양명학의 전래와 그 수용양태를 중심으로-

        한정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5 泰東古典硏究 Vol.35 No.-

        본 연구는 조선 시대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에 대한 이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양명학이 조선의 정치와 사상사에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해 왔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양명학의 특성과 그 사상사적 지위를 규명하려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그 작업의 일환으로서 양명학이 조선에 전래되고 수용되는 과정에 나타난 관료 지식인들의 양명학관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습록』의 전래 과정을 추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황 증거들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김세필과 박상이 주고받은 시(詩)의 내용을 분석하여 두 사람 모두 양명학에 대해 비판적이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양명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화담 서경덕의 문인들과 선조(宣祖)의 양명학 수용 양태를 규명하였다. 화담학파는 양명학의 심학적 공부의 측면을 수용하였으며, 선조는 양명의 인물됨과 사공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status of Joseon Yang-ming studies in order to look back on the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of the Joseon Bureaucrat-Intellectual and how it took its role and function in the political and academic history of Joseon dynasty. Here, as one of the standpoints, it looks into the Bureaucrat-Intellectual’s Viewpoint of Yang-ming Studies from the process of how Yang-ming studies was sent and accepted to Joseon scholars. First, it presented various evidences that assumes the process of passing down 『Chuanxilu(傳習錄)』.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oem that was exchanged by Kim Se Pil(金世弼) and Park sang(朴祥), it showed that both of them were critical to Yang-ming studies. Also, it clarified the status of acceptance of the disciples of Hwadam(花潭) Se Kyung Duk(徐敬德) and King Seonjo(宣祖) that positively accepted Yang-ming studies. Hwadam School admitted the point of Mind study(心學) of Yang-ming studies. And King Seonjo is said to have highly evaluated the personality of Yang ming and the performance of exploit.

      • KCI등재

        위당 조선학의 본심감통론이 지닌 시대적 의미

        이대승(Lee, Dae-seung)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4 No.-

        이 글은 위당 정인보가 『조선고전해제』, 『양명학연론』 등에서 강조한 실심, 본심, 감통에 대한 논의를 중심 주제로 삼아,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정인보의 본심감통론이 지닌 시대적 의미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에 다카하시 도루(高橋亨)로 대표되는 일제 관학은 조선 유학이 고착성, 종속성, 정체성 등을 지닌다고 보고 이를 조선 망국의 원인으로 치부하였다. 정인보 역시 조선 유학을 비판하지만 그 대상은 ‘자사념(自私念)’을 가지고 ‘허(虛)’와 ‘가(假)’로 학문을 행한 이들이다. 더불어 그는 조선 후기에 실심・본심을 바탕으로 한 실학의 계파가 있다고 변론했다. 실심・본심론에 바탕한 정인보의 조선 유학 비판과 변론은 식민지배 정당성을 위해 이루어진 일본 관학의 논리를 타파하는 성격을 지닌다.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과 조선 민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당대 지식인에게 수용되어 내면화되었다. 이광수에게 조선은 천년 이상 정신이 정지된 무주체적 상태로서 조선인의 주체적 행위를 가능케 하는 것은 일본을 통해 유입된 신문명을 통해서였다. 정인보는 본심론을 통해 유학 자체 내에 개개인의 도덕 주체로서 양지, 즉 본심이 내재해 있음을 지적하고, 주체성을 잃고 무비판적으로 서구 문명과 일본의 식민담론을 받아들이는 이들에게 ‘본심의 환기’를 주문했다. 그의 본심론은 조선 유학과 조선인의 무주체성을 논한 이들에 대한 비판과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 근대 동아시아는 서구 문명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민족주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양명학은 서구 근대 문명의 야만성에 대해 도덕을 제시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의 경우 다카하시 도루의 스승이었던 이노우에 데쓰지로(井上哲次郞)에 의해 양명학은 일본 신도의 국가 정신과 결합하여 일본양명학이 탄생했다. 정인보 역시 양명학자이자 민족주의자로서 조선 민족을 중시하는 시각을 제시하지만, 그의 감통론은 본심의 애틋함을 타자에게로 확장하는 것을 중시한다. 감통론에 바탕한 정인보의 사유는 타자와 전 인류에게로 열려있는 개방적 민족주의로서, 타자를 식민 대상으로 삼는 제국주의의 배타적 민족주의, 혹은 양명학을 이용하여 국가에 충효를 강요하는 충효군국주의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 정인보의 본심감통론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유학망국론, 조선인 무주체성론, 일본의 충효군국주의 등에 대한 대응의 논리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meaning of the times in Widang Jeong In-bo’s the theory of Genuine Mind (本心) and Emotional Interaction (感通) in a special situation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Japanese colonial era,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regarded Joseon-Confucianism as fixed, dependent, and identity, and dismissed it as the cause of the Joseon Dynasty’s collapse. Jeong In-bo’s criticism and defense of Joseon-Confucianism based on the theory of Genuine Mind have the character of breaking the logic of Japanese government administration made for the legitimacy of colonial rule. The negative view of the Japanese government study of Joseon-Confucianism and the Korean people was accepted and internalized b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Jeong In-bo’s theory of Genuine Mind has the nature of criticism and response to those who discussed the lack of subjectivity of Jason Confucianism and Korean people. Jeong In-bo’s thinking based on the theory of Emotional Interaction has the nature of open nationalism that is open to others and all mankind. His thinking have the nature of responding to imperialism’s exclusive nationalism that colonizes the other, or loyalty-militarism that forces loyalty to the state using Yang-ming studies.

      • KCI등재

        18~19세기 朝鮮性理學의 心學化 傾向에 대한 考察

        최영진(崔英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18세기 조선 학술계의 핵심적 논객인 南塘 韓元震(1682~1751)은 「心純善論證」에서 그의 논적 巍巖 李柬(1677~1737)을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이간이 ‘심은 순선하다[心純善]’라고 주장하였는데, ‘心純善論’이야말로 선불교의 宗旨이며 육왕학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리고 불교로부터 상산학이 되고 상산학이 양명학이 되었는데 이들은 ‘심’을 종주로 삼는다고 강조한다. 불교의 ‘卽心卽佛’과 양명의 ‘心卽理’와 이간의 ‘心純善’을 같은 레벨의 이론으로 간주하고, 이것은 ‘심은 기이고 성은 리이며, 리는 선하지만 기는 고르지 않아 청탁수박이 있다’는 유교[성리학]의 종지, 즉 ‘性=無不善, 心=有善惡’에 위배되는 학설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한원진의 비판이 정당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좀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栗谷-尤菴을 계승하여 정통 성리학파를 자처하는 老論 내부에, 적어도 한원진이 볼 때에,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레벨의 ‘心學的 傾向’이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16세기 중엽에서 17세기 초 조선학계에 심학적 경향의 흐름이 포착된다. 이 시기의 심학적 경향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理學과 대립된 의미의 심학이 아니라 조선 학계의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나타난 내향적 경향을 말한다. 퇴계도 심학이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그는 “밖으로 삼감을 다하는 것이 안을 함양하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공자 문하에서 심학을 말한 적이 없으나 심학이 그 가운데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엄밀한 의미에 ‘심학’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른 하나는 양명학의 유입에 의하여 촉발된 것이다. 이 시기 양명학을 辨斥하는 것이 주류였지만 趙翼(1579~1655), 李?光(1563~1628) 등 일부 학자들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토대로 일정 부분 양명학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이 발전하여 18세기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파[江華學派]가 형성된다. 한원진과 그의 논적 이간은 기호학파의 정맥을 계승한 權尙夏(1641~1721)의 제자들이다. 그러므로 이간의 학설이 양명학을 수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주자학의 내향적 경향’이라고 한다면 한원진이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했다고 극단적으로 비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간의 학설은 조선성리학이 자생적ㆍ내재적으로 발전하여 반주자학적인 심학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아니면 한원진의 비판이 역으로 오류를 범한 것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간의 ‘심순선설’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심순선설’은 ‘理氣同實 心性一致’라는 이간의 중심 명제에서 도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 명제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리고 이 명제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왜냐하면 심과 성[리]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성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에 ‘심성일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心是氣’를 종지로 하는 기호학파에서 심이 성, 곧 리와 일치한다는 주장은 자체 모순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18세기 남당/외암 미발논변과 이후 호락논쟁에서 이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서 논의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간의 ‘심성일치’와 이 명제를 발전시킨 임성주의 ‘심성일치론’을 분석하여 ‘조선성리학의 심학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조선성리학의 심학화’라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유학사를 검토해 볼때에 주목되는 명제는 영남학파의 대표적 학자 가운데 하나인 李震相(1818~1851)의 ‘心卽理’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육왕학의 핵심적 명제이다. 그러나 이진상은 양명의 ‘심즉리’를 비판하고 이 명제의 근거를 주자학에 두고 있다. 그의 ‘심즉리’는 기호학파의 ‘심시기’에 대한 비판이론으로 정립된 것이지만 영남학파의 기본 이론인 ‘心合理氣’설과 충돌하여 학파 내부에서도 극심한 비판을 받았다. 그의 학설은 19세기말~20세기 초 ‘심설논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기호학파의 비판을 통하여 정밀하게 검토되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 검토하려는 ‘심성일치’와 ‘심즉리’라는 명제는 호락논쟁과 심설논쟁이라는 조선성리학의 대규모 학술논쟁에서 핵심적 쟁점으로 논의된 것이다. 우리는 이 두 명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유학사상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