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泰州學派 王艮의 ‘安身’說에 기초한 經世思想

        한정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2 No.-

        이 연구는 왕간 경세사상의 특성과 그것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한 것이다. 왕간은 당시 백성들이 처해 있었던 현실 상황을 비극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그들을 구제하 고자 한다. 그의 구세정신에는 만물일체 사상이 근저에 놓여 있다. 왕간은 선한 세상을 만드는 데 책임 있는 주체로 서고자 한다. 왕간은 그 방법을 대학에서 찾는다. 왕간은 ‘지어지선(止於至善)’을 ‘안신(安身)’으로 풀이한다. 그의 안신설은 ‘몸[身]’에 대한 독특한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에게 ‘몸’은 생명주체일 뿐만 아니라, ‘도’를 행할 수 있는 행위주체이다. 왕간은 이 ‘몸’을 사회와 세계의 근본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사회와 세계를 보 존하기 위해서는 몸을 먼저 편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왕간은 이 안신을 전제로 새로운 출처관을 제시한다. 왕간의 출처관은 ‘출사해서는 황제의 스승이 되어야 하고’, ‘물러나서는 천하 만세의 스승 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명대 중⋅만기 군주권이 절대화된 정치상황에서 황제 의 스승이 되기는 어려웠다. 왕간은 민간에 있으면서도 도를 행할 수 있는 길을 발견한다. 그 것은 바로 백성을 깨우쳐 도를 행하는 ‘각민행도(覺民行道)’의 길이다. 이 방법은 왕수인이 일 찍이 개척한 바 있다. 왕간은 강학을 통하여 이 길을 일반 민중들도 따라 걸을 수 있도록 확장 시켰다. 태주 후학은 왕수인이 개척하고, 왕간이 확장시킨 이 길을 따라 유가의 도를 일반 서 민들에게까지 전파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명대 중⋅만기 사회상황 하에서 서민의 사회적 지 위를 새롭게 발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ang Gen’s governing thought and its social significance. Wang Gen perceives the lives of the people in his time as tragic and dedicates himself to rescuing them from desperate situations, encouraged by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all things. Wang Gen aims for becoming a responsible subject in creating a good world and finds practical methods for this aim in the Great Learning. He interprets ‘abiding in the highest good’ (zhi yu zhishan 止於至善) as ‘settling oneself’ (anshen 安身). Wang Gen’s theory of settling oneself is based on his unique understanding of the ‘body.’ In his view, ‘body’ is not only the subject of life, but also an agent for conducting the dao. Wang Gen regards the ‘body’ as the basis of society and the world. Thus, he further argues that we must settle ourselves first in order to stabilize society and the world. Wang Gen formulates principles of how to fulfill official duties based on his theory of settling oneself. These principles can be summarized as two assertions: ‘If you go into government office, you must become the emperor’s teacher’ and ‘If you retire from the government, you must become a teacher of the world.’ It was difficult to become the emperor’s teacher in the mid and late Ming period when an absolute monarchy prevailed. Therefore, Wang Gen finds a way to follow the dao with no official position by ‘enlightening the people and implementing the rule of right’ (juemin xingdao 覺民行道), a path of following the dao pioneered by Wang Shouren. Wang Gen extends Wang Shouren’s path for the general public by giving them lectures. Along this extended path, Wang Gen’s disciples were able to spread the Confucian dao to the common people. In this regard, Wang Gen’s governing thought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social status of the ordinary people during the Ming dynasty.

      • KCI등재

        위당 정인보의 실심 감통과 경세제민

        한정길 한국동양철학회 2023 동양철학 Vol.- No.59

        This article reexamines Jeong In-bo’s lifelong studies and achie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him as a statesman. Keenly empathizing the pain of the people who lost their nation, he recognizes that it was the task of the times to reclaim national sovereignty and relieve the people from suffering. He finds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Joseon inside Joseon, and diagnoses that all problems originated from ‘thinking of promoting one’s own interests (自私念)’. What he suggested to resolve these problems is ‘to awaken the sincere mind’. He believes that separation can be turned into oneness, conflict into love, and slaughter into revitalization only when ‘thinking of promotion of one’s own interest’ is overcome by awakening the sincere mind of all Joseon people. While studying Yangming studies, Jeong In-bo realized that the sincere mind has the ability to empathize, and verified this realization by his own experience. Through this experience, he submitted ‘empathy of the sincere mind’ as a statecraft principle that can save the world. All of his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al, academic, media and political activities, aim at ‘governing a nation and saving the people’ according to the statecraft principle of ‘empathy of the sincere mind’. Jeong In-bo paved the way for advancing Korean Studies by awakening the importance of Korean Studies to his colleagues and students who worked at Yonhee College. Furthermore,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Joseon’s reality after liberation, he adopted ‘strengthening and raising the national spirit’, which was the spirit of the times, as his educational ideology, and suggested a way for the nation to move forward by seeking detailed practical plans. He also brought the thoughts and works of Silhak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to light; from his view, these scholars related to the nation and its people through the sincere mind and academically explored the way to save the nation and its people. He inspired the sense of subjectivity of the people by exploring Joseon’s spirit of 5,000 years in his research on Joseon history, enhancing the sense of identity of our nation. He struggl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s by spreading his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the media and carrying out an enlightenment movement to awaken the sincere mind of the people. Even in his short political term in Syngman Rhee’s government, he tried to correct the bureaucracy. All these academic works and activities of Jeong In-bo were motivated by the determination to save the world. 이 글은 정인보를 경세가로 파악하는 관점에서 그의 평생 학술과 사업을 재조명한 것이다. 정인보는 나라 잃은 민족의 아픔을 통렬히 느끼고 국권을 회복하고 민생을 구제하는 것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했다. 그는 조선이 국권을 상실하게 된 원인을 조선 내부에서 찾는다. 그리고 ‘자기만의 이익을 도모하려는 생각[自私念]’에서 일체의 병이 비롯된 것으로 진단한다. 그에 따른 처방이 바로 ‘실심 환성’이다. 전조선인의 실심을 불러 깨워서 자사념을 극복해야 분열이 일체로, 투쟁이 사랑으로, 살육이 살림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양명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정인보는 실심에 감통 능력이 있음을 알게 되고, 그것을 자기 안에서 체험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실심 감통’을 세상을 구제할 수 있는 경세 원리로 제출한다. 그의 일체 활동, 즉 교육 학술 언론 정치 활동은 모두 ‘실심 감통’이라는 경세 원리를 실천하는 경세제민의 활동이었다. 정인보는 교육 활동을 통하여 연희전문에 재직하던 동료들과 제자들에게 국학의 중요성을 일깨움으로써 국학진흥의 길을 열었다. 그리고 해방 이후 조선의 현실에 감통하여 당대가 요구하는 ‘민족정신의 강화진작’이라는 시대정신을 교육 이념으로 삼고, 그 구제적 실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였다. 그는 또 조선 근세에 실심으로 국가와 백성에 감통하여 그 구세 방안을 학문적으로 탐구했던 실학자들의 사상과 사업을 세상에 드러냈으며, 조선사연구를 통하여 ‘오천년간 조선의 얼’을 탐색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주체의식을 고취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학술 성과를 언론을 통하여 세상에 널리 알리고, 조선 민중의 실심을 불러 깨우는 계몽운동을 함으로써 민족이 직면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승만 정부에 참여했던 짧은 기간의 정치 활동에서도 관료의 기강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정인보의 이 모든 학술과 사업은 세상을 구제하고자 하는 구세 정신의 산물이었다.

      • KCI등재

        江右學派 관료지식인 양명학자의 경세사상

        한정길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Zou Shouyi’s 鄒守益 thought on statecraft and to elucidate its association with his theory of cultivation. Zou Shouyi replaces Yangming’s proposition of ‘extending innate knowledge’ with the concept of ‘being cautious and apprehensive’, and makes this concept the core of his study. In addition, he implements Zhu Xi’s theory of ‘dwelling in seriousness’ when he emphasizes the effort to maintain seriousness by being cautious and apprehensive. However, his understanding of ‘dwelling in seriousness’ differs from Zhuzi Studies in two main ways. One is that Zou understands ‘dwelling in seriousness’ as a way of ‘extending innate knowledge’. The other is that he deems ‘dwelling in seriousness’ not only a method for self-cultivation but als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tatecraft, which demonstrates that ‘dwelling in seriousness’ became a unifying method for ‘cultivating oneself’ and ‘giving the common people security and peace’. In Zou Shouyi’s thought on statecraft, the principle of ‘paying strict attention to business’ is actualized in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In other words, ‘paying strict attention to business’ is to be always cautious and apprehensive in order to fulfill innate knowledge in every actual situation. Zou’s statecraft thought is diversely interpre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he is placed. For example, when he acts as a central bureaucrat, it is interpreted as a theory regarding political activities to rectify the ruler’s mind and to implement the rule of right. On the other hand, when he acts as a local governor, it is interpreted as a theory regarding social activities to enlighten the people and to implement the rule of right by spreading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over the local village. 이 글은 추수익의 경세사상이 그의 공부법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추수익은 양명학의 치양지설을 ‘계신공구’로 대체하고, 그것을 학문의 종지로 삼는다. 그리고 ‘계신공구’의 ‘경’ 공부를 강조함으로써 주자학의 거경설을 수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경’의 기능에 대한 이해에서 주자학과 결을 달리하는 점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경’을 양지를 실현하는 치양지의 방법으로 끌어들였다는 점이다. 이것은 주자학적인 ‘경’을 양명학의 치양지의 방법으로 재해석해냈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에 입각하여 양명후학이 그 공부법에서 내면이나 외면으로 치우치는 폐단을 바로잡고자 했다. 다른 하나는 ‘경’을 자기 수양만이 아니라 경세의 강령으로까지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이것은 ‘경’을 수기와 치인의 통일적 방법으로 삼았음을 의미한다. ‘계구’의 ‘경’을 종지로 삼는 추수익의 학문은 경세사상에서는 ‘경사(敬事)’를 강령으로 하는 정치ㆍ사회활동으로 전개된다. 그에게서 ‘경사’는 구체적인 일에서 양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늘 경계하고 삼가는 것이다. 추수익의 경세사상은 그가 놓인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발휘된다. 중앙관료로서 군주를 상대할 때는 군주의 마음을 바로 잡아 왕도를 실천하고자 하는 ‘격군행도(格君行道)’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지방관으로 재직할 때는 ‘민(民)’을 각성시킴으로써 향촌사회에 예교를 확산시키는 ‘각민행도(覺民行道)’의 사회활동으로 전개된다. ‘격군행도’의 정치활동은 대례의 논쟁과 상소문으로 표현된다. 대례의 논쟁에서는 ‘예’에 입각한 공적 질서를 확보함으로써 군권을 통제하려고 하였으며, 「성공도소(聖功圖疏)」나 「구묘재자진소(九廟災自陳疏)」 등의 상소문에서는 군주에게 천덕과 왕도를 요구함으로써 올바른 군신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활동으로 전개된다. ‘각민행도’의 사회활동은 ‘민’을 각성시키고 예제를 재정비함으로써 향촌사회의 예교문화를 회복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추수익은 양명학자 가운데 그 누구보다 예를 중시한 인물이다. 그는 유가의 예치정신과 ‘예’를 양지와 연관시키는 양명학의 전통을 계승한다. 그는 예를 준수하여 양지를 실현함으로써 천하국가를 다스릴 수 있다고 보았다. 추수익은 경세에서 향촌을 매우 중시한다. 향촌의 구성원들을 교화시켜 선하게 만드는 일이 천하를 선하게 만드는 출발점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향촌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자각은 향촌사회의 주요 구성원인 ‘민’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근본을 두고 있다. 그는 ‘평민’을 예교 실천의 담당자로 본다. 이것은 ‘사’계층만이 아니라, ‘평민’계층까지 예교 실천의 주체로 등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는 향촌사회의 예교문화 회복이라는 과제를 두 가지 방면에서 수행한다. 하나는 예교 실천의 주체들이 자발적으로 예를 실천할 수 있도록 각성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제를 실천 가능한 형태로 재정비하는 작업이다. 전자는 주로 강학을 통하여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예의 내적 본원인 양지를 각성시키는 일로 전개된다. 후자는 『주자가례』를 실천 가능한 행례서로 다듬거나, ‘가보’나 ‘족보’를 편찬하거나 향약을 제정하는 등의 일로 전개된다. 이 글이 지니는 연구사적 의의는 추수익의 ‘경’을 중시...

      • KCI등재

        權近 『禮記淺見錄』』「曲禮」편의 체제에 관한 연구 -『儀禮經傳通解』와 『禮記纂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정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Gwon Geun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for ruling by ritual regulations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during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His academic pursuit culminates in the Yegi cheongyeonnok 禮記淺見錄. One of the prominent features of this book is that it reorganizes some of the chapters of the Liji 禮記 by classifying and rearranging their contents according to subjects. This paper compares the way Gwon Geun reorganizes the “Quli” 曲禮 chapter of the Liji with the ways Zhu Xi 朱熹 and Wu Cheng 吳澄 did, with the aim of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Gwon Geun’s yehak 禮學 (study on ritual)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The characteristics of Gwon Geun’s yehak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Quli” in the Yegi cheongyeonnok are as follows: 1) Gwon Geun demonstrates a firm commitment to correcting errors in Liji’s editing order. 2) He classifies “Quli” into sections and subsections in a detailed way. 3) He emphasizes well-organized structure and logical coherence when classifying sections and subsections and rearranging the texts. 4) He relies heavily on Zhu Xi’s theory on Confucian classics and mind cultivation when reorganizing “Quli.” 5) He introduces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Liji suggested by I Saek. 6) When writing the Yegi cheongyeonnok, he did not refer to Zhu Xi’s Yili jingzhuan tongjie 儀禮經傳通解 and Wu Cheng’s Liji zuanyan 禮記纂言, which reinforces the originality of the Yegi cheongyeonnok. Correcting errors in Liji’s editing order is no easy task, especially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research on the Liji was scarcely undertaken. Gwon Geun performed this onerous task displaying originality in his Yegi cheongyeonnok. The quality of his work is far from lagging behind the Liji zuanyan. In this respect, the Yegi cheongyeonnok assume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권근은 여말선초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예치 실현을 위한 경학적 토대를 세우고자 했다. 그 연구성과물이 『예기천견록』이다. 『예기천견록』의 주요 특징은 『예기』 경문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재배치한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권근이 『예기』 「곡례」편의 경문을 주제에 따라 장·절로 분류하고 그 순서를 맥락에 맞게 재배치하는 방식을 주희와 오징의 그것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권근 예학의 특징과 그 경학사상사적 의의를 탐구하였다. 『예기천견록』 「곡례」편 체제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낸 권근 예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예기』 편차의 오류를 바로잡으려는 권근의 의식이 매우 철저하다. 2) 분장과 분절이 비교적 자세하다. 3) 장과 절을 분류하고, 경문을 재배치할 때 체계성과 논리적 정합성을 중시하였다. 4) 주희의 경학 연구 방법과 공부론을 체제를 구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5) 이색이 제시한 『예기』 경문의 분류 방식을 분장에 도입하였다. 6) 『『예기천견록』을 저술할 때 주희의 『의례경전통해』와 오징의 『예기찬언』을 참조하지 않았다. 이것은 『예기천견록』이 그만큼 독창적인 작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기』 편차의 오류를 바로잡는 작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예기』에 관한 연구 성과가 미진했던 조선 초기에, 권근은 이 어려운 작업을 독창적으로 수행하여 『예기천견록』이라는 방대한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주자학의 경학 연구 방법과 공부론에 대한 깊은 이해의 토대 위에서 편차를 재구성함으로써 그 작업의 질적 수준도 『예기찬언』에 뒤지지 않는다. 이 점에서 『예기천견록』이 경학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 KCI등재

        현대 불어의 문장부사에 대하여 : 하위범주구분을 중심으로

        한정길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81 語學硏究 Vol.17 No.1

        문장을 수식대상으로 취하는 문장부사는 문장에서의 역할과 의미 차이에 따라 몇 개의 하위범주로 나뉠 수 있다. 문장부사의 하위범주 구분에는 몇몇 통사적 특징 및 의미 특징들이 관여하는데, 여기서 통사적 특징이란 일련의 통사적 조작들에 대한 반응 양상을, 그리고 의미 특징이란 최근의 내포 논리에 의해 밝혀진 불투명성(opacite´), 전제, 함의, 양화사와의 위치 관계에 의한 의미 차이 등을 의미한다. 즉, 동일한 하위범주에 속하는 문장부사들은 이들 통사적 특징 및 의미 특징들에 대해 동일한 반응 결과를 보인다. 그런데, 이 하위범주 구분의 가능성은 부사가 갖고 있는 의미 자체에 의해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문장부사의 의미가 곧 그 문장부사의 성격 및 맡은바 기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문장부사를 양상부사, 평가부사, 수행부사, 접속부사로 나누어 각각의 하위 범주들의 성격을 살펴보되, 특히 양상부사와 평가부사에 중점을 두게 될 것이다. Dans notre e´tude, nous classons les adverbes de phrase en: l'adverbe de modalite´, l'adverbe e'valuatif, l'adverbe performatif, l'adverbe conjonctif. On examinera ces sousclasses sous l'angle de son apport se´mantique. L'adverbe de modalite´ a la proprie´te´ d'induire un jugement assertif du locuteur sur la proposition qu'il accompagne. En d'autres termes, il attribue a`la proposition qu'il e´nonce une valeur de ve´rite´ positive, l'affirme soit de manie`re forte, soit de manie`re affaiblie. On a avance´ l'hypothe`se que la phrase de l'adverbe de modalite´ correspond a` une tournure impersonnelle Il est Adjectif que P, mais nous remarquons que cette hypothe`se est insuffisante en de´gageant les diverses diffe´rences suntaxiques et se´mantiques entre la tournure impersonnelle et la phrase de l'adverbe de modalite´. Les adverbes e´valuatifs expriment un jugement d'appre´ciation du locuteur sur l'assertion implique´e qu´ils accompagnent. Ils impliquent la valeur de ve´rite´ positive de la proposition. Et l'hypothe`se que la structure sous-jacente de la phrase de l'adverbe e´valuatif est la structure coordonne´e P et P est Adjectif, c'est aussi inexacte a` cause des diffe´rences entre ces deux structures en question. La phrase de l'adverbe e´valuatif (Adv, P) asserte P et en me^me temps consititue une e´valuation du locuteur sur la proposition en impliquant la valeur de ve´rite´ positive de P. Les adverbes performatifs se rapprotent a` l'acte verbal, par conse´quent ils se rapportent a` des facteurs du processus de communication-par exemple le locuteur, l'auditeur, le verbe abstrait repre´sentant cette e´nonciation. Et les adverbes conjonctifs servent a` marquer le lien de I'e´nonce´ qu'ils accompagnent ou la place de l'e´nonce´ en question par ordre. Et nous placons les adverbes oriente´s sur le sujet entre les adverbes de phrase et les adverbes de pre´dicat

      • KCI등재

        양명학에서 윤리주체의 건립과 그 실현의 문제

        한정길(韓正吉) 한국양명학회 2001 陽明學 Vol.- No.5

        송명유학은 우주원리와 상통하는 인간의 본성실현을 통하여 인륜세계를 건립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특정적이다. 그럼에도 그 내부에는 본성실현의 방법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들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주자와 양명의 견해이다. 주자는 본성실현을 위해서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가 필수적이라고 본 반면에 양명은 마음에서의 공부만으로도 가능하다고 본다. 양명은 용장에서 심체가 우주와 인생의 대본임을 체득한다. 그 마음은 하나의 도덕적 자각능력으로서의 양지이다. 양지는 도덕정감과 도덕의식의 통일체이며, 천리와 명각의 통일체이다. 그것은 사물에 감통하여 그에 적합한 행위양식을 창출해낸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자사와 물욕을 지니고 있으며, 양지는 이들 사욕에 의하여 가리워질 수 있다. 따라서 내 마음의 양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해야 한다. 양명은 치양지를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출한다. 양명은 격물ㆍ치지ㆍ성의ㆍ정심을 모두 치양지 공부로 통일시키며, 의념이 연관되어 있는 구체적인 사물에서 내 마음의 양지를 실현할 것을 주장한다. 이것은 곧 자기의 본성실현과 구체사물의 특수성에 맞는 행위양식이 실현됨을 의미한다.

      • KCI등재

        柳僖의 『大學』觀 연구

        한정길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8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ademic features expressed in Yu Hui’s view on “The Great Learning(大學)”. Previous studies have related Yu Hui to “Yang-ming Studies(陽明學)“. Acknowledging the establishment, this study was to reveal how Yu Hui characterized Yang-ming Studies in his "Confucius Classics(經學)". Reviewing Yu Hui’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大學) would be the best way to figure out whether Yu Hui’s views on “Confucius Classics(經學)” have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Yang-ming Studies(陽明學) features its new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if there is any element of Yang-ming Studies(陽明學) in his thought of the “Confucius Classics(經學)”, it must be reflected to hi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大學)”. Accordingly, the study analyzes Yu Hui’s attitude towards major 5 issues concerning “The Great Learning(大學)”, where Zhu-zi Studies(朱子學) and Yang-ming Studies(陽明學) sharply diverge: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of the Great Learning(大學古本)』, the interpretation of “loving the people(親民)”, the interpretation of “the highest good(至善)” in “abiding in the highest good(止於至善)”, the interpretation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ffort to make the will sincere(誠意)”and “to be watchful over themselves when alone(愼獨)”. After reviewing Yu Hui’s opinions over the above five issues, we were able to ascertain that he strictly follows Zhu-zi Studies. First, regarding the controversy over 『the original text of the Great Learning(大學古本)』and its system, Yu Hui considers Zhu-zi’s 『Embodied in the Great Learning(大學章句)』, a revised version of 『the original text of the Great Learning(大學古本)』, as a correct text. Also, he agrees with Zhu-zi interpretation of “loving the people(親民)”, arguing it actually means “renovating the people(新民)”. Over the interpretations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Yu Hui also criticizes Wang-Yangming(王陽明) and supports Zhu-zi’s opinion. Lastly, he follows Zhu-zi’s thoughts on “the effort to make the will sincere(誠意)” and “to be watchful over themselves when alone(愼獨)”, separating “the effort to make the will sincere(誠意)” out from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and including “to be watchful over themselves when alone(愼獨)” in the area of “after the feelings are aroused(已發)”, not in “before the feelings are aroused(未發)”of “being cautious and being apprehensive(戒愼恐懼)”In conclusion, Yu-Hui’s overall view on “the Great Learning(大學)” indubitably indicates that he was a Zhu-zi scholar rather than a Yang-ming scholar. If so, previous theories which tried to relate Yu Hui’s thought to Yang-ming Studies need to be reconsidered. Especially in the Confucius Studies(經學), it would be fallacious to assume that Yu Hui follows the “Kanghwa academic school(江華學派).” His academic tradition should be redefined. 이 글은 유희(1773~1837)의 『대학』관에 나타난 학문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 글이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유희는 양명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희가 양명학과 관련이 있다는 기존 연구의 토대 위에서 그의 경학관에 양명학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밝히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유희의 경학관에 양명학적 특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살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의 『대학』에 대한 이해를 검토하는 것이다. 經學방면에서 양명학의 특성은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있으며, 유희의 경학관에 양명학적 특성이 있다면 그것은『대학』에 대한 이해에 반영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대한 이해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해석이 달라지는 부분들에 대해 유희가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대학』에 대한 이해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견해가 달라지는 중요한 부분은 「大學古本」과 그 체제에 대한 이해, ‘親民’에 대한 해석, ‘止於至善’의 至善에 대한 이해, ‘格物致知’에 대한 해석, ‘誠意’와 ‘愼獨’에 대한 이해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부분에 대한 유희의 견해를 검토한 결과 우리는 그가 철저히 주자학의 입장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대학고본」과 그 체제에 대한 이해에서 유희는 「대학고본」을 개정한 주자의 『대학장구』본을 正本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親民’에 대한 해석에서도 親民을 新民으로 改正한 주자의 견해가 옳다고 보며, ‘止於至善’의 至善에 대해서도 주자의 설을 따라 明明德과 新民의 표준을 至善으로 이해한다. 格物致知에 대한 해석에서도 유희는 왕양명의 견해를 비판하고 철저히 주자의 견해를 따른다. 誠意와 愼獨에 대해서도 유희는 주자의 견해를 따라 誠意를 格物致知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공부로 이해하며, 愼獨을 已發공부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서 戒愼恐懼의 未發공부와 구분한다. 유희의 『대학』관에 따르면 그는 양명학자가 아니라 오히려 주자학자이다. 그렇다면 기존에 유희의 사상을 양명학과 연관지어 보려고 했던 관점들은 재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경학방면에서 유희를 江華學脈을 잇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경학방면에서 그의 학맥은 다시 찾아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