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한 고찰

        김영옥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이 글에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고찰하고 그 성과와 문제점들을 짚어보았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조선족들을 위한 민족어 교육으로서의 학교 교육과 중국인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이다. 중국에는 약 200만 명의 조선족들이 살고 있다. 그들은 중국의 소수민족(少數民族) 교육 정책에 따라 어릴 적부터 정규적인 민족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민족 집거(潗居) 지역을 중심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한국어(조선어) 교육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조선어문(朝鮮語文) 」,과 「한어문(漢語文)」을 동시에 배운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주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중국과 남복한의 여러 분야의 교류에 필요한 인재와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다. 현재까지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비록 굴곡적인 과정도 거치기는 했지만 매우 큰 성과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중국어) 교육의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들은 중국 교육 제도와 교육 과정 자체와 연관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재 ·문법체계·고유문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남북한의 전폭적인 지원과 밀접한 교류와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제 이기도 하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려면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get the results and problems of it. There are two mean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China. One is the racial language education for China-Koreans in schools and the other is as the second language for Chinese. China has about two millions of China-Koreans. They can be educated regularly in racial language from their childhoo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olicy for a minority in China. The Korean Language is educated generall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round China-Koreans town. China-Koreans learn both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second language is generally for Chinese and for raising a man of ability and professional work forces needed in various parts of exchange between China and South and North Korea Up to now,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obtains excellent results in spite of the difficult process. However, there are also many limits and problem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roblem in China is related to Chinese Educational System and the Curriculum itself. And the problem needs strong support,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many areas such as teaching materials, grammatical system and traditional culture. It needs continuous concerns and efforts of the people to activate and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 KCI우수등재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Oh, Hyeon-ah),오지혜(Oh, Ji-hye),진가연(Jin, Ka-yeon),신명선(Sin, Myeong-seon)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이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인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을 ‘모국어 교과’,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 ‘재외동포 현지 교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어’ 교과는 ‘모국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중국 내 공용어로서의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의 위상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선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적 고찰을 통해 ‘조선어’ 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은 북미, 일본, 러시아 지역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로 확장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선어 교과는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전 중국의 조선어 교육은 실제적으로 북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으나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후에는 남한어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북한어’와 ‘남한어’ 사이의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해 조선어 교육에서의 남한의 국어교육과 북한의 국어교육의 영향 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시기 재외동포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이 가능하며, 현재 ‘남한어’와 ‘북한어’ 사이 ‘조선어’의 중간자적 지정학적 위상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조선어 교과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현재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등에서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들을 배포하고 있으며, 온라인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교재 제작으로 이들은 현지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참여했거나 한국어교육의 실행 주체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제안 사항이나 주의 사항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complex status of ‘the Joseo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a local curriculum of overseas Koreans, is divided into ‘the native language subject,’ ‘the mediator language subject in the divisional situation’ and ’the local language subject for overseas Korean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actual status to raise the need for research of comparison and analysis. First, ‘the Joseon language’ has a status as a ‘native language subjec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atus of ‘Chinese’ as the official language in China and ‘the Joseon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Korean‐Chinese’s perception of “the Chinese language” as the official language and “the Joseon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to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kind of changes ‘the Joseon language education’ has undergone through the chronological study of Joseo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t is possible that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are likely to expand to those of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Japan and Russia. Second, the Korean language subject has a status as ‘a mediator language subject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before China’s reform, opening and signing a treaty of amity with Korea was actually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n languag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after China’s reform, opening and signing a treaty of amity with Korea,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uth Korean language gradu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the Joseon language’ in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for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istorically describe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t a certain time,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clearly grasp the mediator geopolitical status of ‘the Joseon language’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Third, the Joseon language curriculum has a status as a ‘local curriculum for overseas Koreans.’ Currently,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are distribut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provide online learning contents. However, it is not well utilized locally due to the supplier‐oriented textbook production that does not consider local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tion of ‘the Korean languag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or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derive suggestions and ca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 분석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한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what i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DPRK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South Korea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tent.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published in DPRK. As a result, in terms of content,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mposed of ‘Theory of Korean Language Skills Education’, ‘Theory of Knowledg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ory of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Culture’.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Education Evaluation Theory’, ‘Theor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Theor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DPRK is not yet known in detail in South Korea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need to be revealed. 본 연구는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남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구성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발행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용 측면에서는 조선어교육이 ‘조선어기능교육론’, ‘조선어지식교육론’, ‘조선어문화교육론’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구성 측면에서는 ‘조선어교육과정론’, ‘조선어교육방법론’, ‘조선어교육평가론’, ‘조선어교재론’, ‘조선어교수자론’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은 아직까지 남한에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고 밝혀내야 할 내용이 산재해 있는 만큼 꾸준한 관심을 통해 한국어교육의 범위를 넓히고 통일 이후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초등학교 학생의 언어사용 실태에 기초한 조선어 교육 현황과 대안 연구

        김순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이 논문은 중국 조선족 초등학교 학생들의 언어사용실태에 기초하여 조선어 교육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조선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중국의 초등학교 조선어 교육을 살펴보면 교육현실과 교육제도간의 모순, 우리말 규범화의 3중 고초, 학생들의 언어사용 실태와 현행 교육상황과의 모순 등이 주요 문제로 떠올랐다. 이 논문에서는 학생들에 대한 우리말 언어태도 수립, 학생들의 조선어 교육의 질적 향상, 조선어 교사의 전공 지식 제고와 교육 능력 향상, 학생들의 언어사용 개선방안 등 중국내 조선어 교육의 변화양상과 대응책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조선어 교육시스템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찾아 합리적 대안제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problems of primary school Korean education in China based on language use situation and proposing a alternative through analysing current state of primary school Korean education. Nowadays if we examine primary school Korean education in China, we can find that the contradiction between realit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triple difficulties of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the contradiction between actual situation of student language use and present educational circumstance and so on are emerging the essential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this thesis analyzes the various changes of Korean in China, for example, linguistic attitudes establishment,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nhancing the expertise of primary school Korean teachers, improvement plan of student language us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mphasize the necessity of seeking for rational alternative of primary school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우수등재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문법 교재 분석(1)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말본(제 이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삼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사학년용)』(1949)를 중심으로

        오현아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이 연구에서는 옛 소련에서 1939년 민족어 교육이 금지되고 1940년대 말 민족어 교육이 다시 부활되면서 1949년 출간된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문법 교재인 『조선말본(제 이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삼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사학년용)』(1949)과 동일 저자인 김병하의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을 중심으로 당시 조선어 초등 문법교육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옛 소련의 1938년 민족어 교육 금지 이후 1949년 민족어 교육의 부활 양상을 당시 교수 강령인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과 문법 교재인 『조선말본(제 이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삼학년용)』(1949), 『조선말본(제 사학년용)』(1949)의 구성 및 특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문법 교재의 특성을 1) 학습자 차원 : 학년별 학습 부담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 교재, 2) 교육 내용 차원 : 김규식(1909), 주시경(1910), 김두봉(1916, 1922), 이상춘(1925)의 전통을 계승한 교재, 3) 교육 방법 차원 : 일상생활 예문을 적극 활용한 교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e former Soviet Union at the time when ethnic language education was banned in 1939 and revived at the end of the 1940s, focusing on the elementary Korean grammar textbooks by former Soviet Koreans,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Second Grade)” (1949),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Third Grade)” (1949), and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Fourth Grade)” (1949) by the same author, Kim Byungha,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s (Grades I-IV)” (1949).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revival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1949 after the Soviet Union’s 1938 ban on ethnic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guidelines,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s (Grades I-IV)” (1949), and elementary grammar textbooks,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Second Grade)” (1949),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Third Grade)” (1949), and “Jo-Seon-Mal-bon(Korean Grammar) (for Fourth Grade)” (1949). Then, in Chapter 3,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Korean grammar textbooks for Soviet-Korean speaker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1) Learner dimension: learner-centered textbooks that consider the learning burden of each grade; 2) Educational content dimension: textbooks that inherited the grammar tradition of Kim Gyusik(1909), Ju Sigyeong(1910), Kim Doobong(1916, 1922) and Lee Sangchun(1925); and 3) Educational method dimension: textbooks that actively utilized everyday examples.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 연구 (1)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교재를 중심으로

        오현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foreign learners,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s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In this study, we took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id-2010s as the theme of research to examine how North Korea's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re structured, and to conduct a full-scale analysis of the textbooks.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structure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as analyzed, and in Chapter 3, 1) Preface, 2) Speech Sounds and Letters, 3) Individual Lessons [Introductory Conversation - Text - Let's know - Word - (Sentence type) - Grammar - Practice - (Let's read together)], 4) Supplementary practice, and 5) Browsing. Due to space limitations, ‘3) Word-Practice’ and ‘4) Supplementary practice’, ‘5) Browsing’ in ‘3) Individual Lesson’, and the changes in the textbooks of Kim Il Sung University published in 1973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in the mid-2010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history of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subsequent discussions. Through this study, I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extbook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revealed,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can be deepened in the mid-2010s.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인 김형직사범대학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분석하여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 현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2010년대 중반에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된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본격적인 교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의 구성을, 3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을 위해 1) 머리말, 2) 말소리와 글자, 3) 개별 과[도입 대화-본문-알아둡시다-단어-(문장류형)-문법-련습-(함께 읽어봅시다)],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면 관계상 ‘3) 개별 과’ 구성 중 ‘단어-련습’과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와 통시적 차원에서 1973년 출간된 김일성종합대학 교재와 2010년대 중반 출간 김형직사범대학 교재 변화 양상, 이것이 지니는 한국어 교재사, 한국어교육사적 의미는 후속 논의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한 『조선어기초(류학생용)』교재의 특성이 드러나고, 2010년대 중반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길 고대해 본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조선어(朝鮮語) 교육(敎育)’의 의도(意圖)와 성격(性格)

        김혜정 ( Kim Hye-j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3

        본고는 ‘조선교육령’의 ‘朝鮮語科 規程’들과 교재였던 ‘朝鮮語讀本’류들을 중심으로 公敎育 조건에서 실시된 ‘朝鮮語’ 교육의 성격과 그 위상을 再考하였다. ‘單純 意思疏通 手段’으로서의 機能主義的 측면만이 부각된 ‘朝鮮語’ 교육은 당시 朝鮮語가 民衆層과 低學年層에서는 여전히 근대적 지식에 나아가는 必須 手段이라는 점에서 존속 의의를 지닌다. 이것은 일제가 ‘近代性의 普及과 主導’라는 밖으로 보이는 大義名分을 획득하고, 식민지 지배의 우위권을 점하는 동기가 된다. 요컨대, 일제 강점기의 어문교육은 ‘支配’와 ‘抵抗’, 그리고 이 둘이 外觀上 합의점에 맞닿아 잇는 ‘近代性’이라는 세 가지 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複層的 구조하에 公敎育에서의 ‘朝鮮語 敎育’은 외국어로서 ‘近代的 文識性 획득’의 表象 이유와 ‘日本的 意識 容認’이라는 潛在的 目的을 위한 日語 學習의 도구로 간주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quire intention and attribute of ‘Korean-language education' performed by Japanese colonical policy, with ‘Korean education law(Chosun-gyoyuklyung)’, their ordinances and Korean textbook. ‘Korean-language education' roles as simple means of communication, but it is singular way to modern knowledge(literacy) in colonical period. This gets to motive to acquire hegemony against resistant popular movements. In short, ‘Korean-language education' by Japanese colonical policy is considered on three perspectives, namely, domination, resistance, and modern literacy as superficial common goal between dominant Japan and resistant populacy. ‘Korean-language education' has this complex levels, and, under that structure, it is compelled to play a role as a foreign language, and as a middle means to another goal, ‘reorganiza- tion of mind’.

      • KCI등재

        1910년대 국어(조선어) 교육의 식민지적 근대성 : ≪少年≫, ≪靑春≫, ≪學之光≫을 중심으로

        조희정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한 사회의 근대성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문해력이 우리 사회에서는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교육을 통해 대중화됨으로 인해 일제 강점기 문해력의 확산과 관련된 현상이 국어(조선어)교육사 내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제에 의해 수용되고 시행된 문해력 교육의 제반 측면을 식민지적 근대성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여 그것의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의 국어교육에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초점화를 위해 본 논문은 1910년대로 시기를 한정하여 국어(조선어)교육 관련 담론 속에서 드러나는 국어(조선어)교육의 식민지적 근대성을 파악하였다. 1910년대 국어(조선어)교육은 문해력 일반 차원에 대한 접근을 전제하고 있다. 일본어에 대한 교육, 국어(조선어)에 대한 교육이 동일 문해력 차원의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범주화되고 연관되었다. 또한 국어(조선어)교육은 일반적으로 이해 교육이 우선적인 목표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조선어)교육 관련 담론 속에서는 표현 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이 두드러졌다. 표현 교육은 쓰기 분야에서는 ‘편지쓰기’라는 시대적 유행과 맞물렸으며, 각종 토론회과 관련하여 상세한 연설 방법론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세계 문학의 소개와 함께 민족 문학의 정립이 구체적으로 시도되는 과정에서 시조 갈래에 민족 문학적 가치가 부여되며 문학교육 의 정전 텍스트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onial modern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1910'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1910's was considered the linguistic policy and the movement up to the present. But people carried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1910's in terms of general literacy, with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re were set the goal at the comprehen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1910's firstly, but the 'writing a letter' and 'speech' in the expression education were noticed to and came into fashion in the 1910's. So the method of letter-writing and method of speech w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study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literature of the world was introduced to Korean people, the other side national literature was established. So Si-Jo(時調) was considered the valuable can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 북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육과정 연구 - 유학생 A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김지예 ( Kim Jiyea ),조염정 ( Zhao Yanting ),최유진 ( Choi Yu-ji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1 No.-

        본고는 북한 조선어교육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북한의 조선어교육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한 분야로서 연구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을 경험한 유학생 A를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조선어교육 관련 실물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완전성을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북한의 조선어교육 중에서도 중국인 장학생의 실습생 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중국인 장학생들은 1년 단위로 60명가량이 7개월간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 혹은 김형직사범대학으로 파견되었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언어 교육의 목표와 체제 선전의 목표를 동시에 갖고 있었으며, 조선어과목 외에 다양한 내용 교과를 운영하고 있었다. 조선어교육은 하루에 180~270분 정도로 이루어지며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개발한 7종의 조선어 교재를 활용하였다.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주된 연습활동은 낭독이었다. 교육과정 내에서 평가는 성취도 평가가 기말에 1회 이루어졌다. 유학생 A는 북한의 유학 경험이 자신의 인생을 풍부하게 하는 경험이었다고 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aspects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because it has the value to research as one sector of Korean education conducted for foreigners. To achieve it,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A foreign student who experience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Kim Ilseong Univ. of North Korea. Also, completion of this research was additionally promoted by analyzing Joseon language education related real materials and precedent researches. Therefore, this thesis could reorganize the program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especially, trainee educational program of Chinese scholarship student. About 60 Chinese scholarship students of each year are dispatched to Kim Ilseong Univ. or Kim Hyungjik College of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7 months. North Korean curriculum had goals of linguistic education and system propaganda at the same time and managed diverse subjects other than Joseon language. Joseo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80~270 minutes per day and used 7 kinds of Joseon language materials developed by Kim Ilseong Univ. Lecture classes focusing on teachers were conducted and main practice was recite.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1 time at the end of the term. Foreign student A looked back that studying in North Korea enriched his or her life.

      • KCI등재

        남북한 언어교육 동질성 회복을 위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

        김한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남북한 언어교육 동질성 회복을 위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 김한근.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교육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조선 교환 장학생’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도별 비교 분석과 함께 형식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식 측면에서는 연수 정보, 학급 구성, 교과목 및 시간표를 분석하였고 내용 측면에서는 과목별 교육 내용 및 교수법, 과목별 평가 및 과제, 실습 활동 및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은 3개의 학급을 개설하고 있으며 2개의 학급은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을 실시하고 1개의 학급은 일반 조선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에서는 ‘회화’, ‘강독’, ‘문법’, ‘글쓰기’ 과목을 중심으로 배우며 일반 조선어교육에서는 ‘일반언어학’, ‘방언학’, ‘조선어학개론’ 등의 과목을 중심으로 조선어를 배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과목별 만족도에서 ‘강독’, ‘문법’, ‘글쓰기’ 과목은 강의로만 이루어지는 수업 방식과 높은 학습 난이도로 인하여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