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권점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 한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초등학생 593명, 중 학생 1,050명, 고등학생 1,029명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 도 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에서 고유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년이나 학교급에 따라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 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년이나 학업성취도는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큰 영향 을 미친 반면에, 성별은 고등학교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 특성에 따라서는 수 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은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 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 요소별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년이나 학 교급을 고려한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별화된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athema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next revision of mathematics an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test was conducted for students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5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50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29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unique differences in confidence, interest, value, and motivation to learn, which are sub-domain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mathematics according to grade or school level. Third, grade or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whereas regional size did not affect th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mathematics,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each sub-element of the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considering the grade or school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김효남,명전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in April 2008. The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Chung and Jeong (1998)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during the same perio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84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94.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3.77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score is 3.68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tracks such as science and non-scienc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science-related and non-science-related tracks in univers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s .64,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상관관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초등 과학교수법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 초등 교사 64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STEBI-B형(Enochs & Riggs, 1990)과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지(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이다. 두 검사 도구의 문항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검사는 2008년 4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이 3.77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개인 효능은 3.92, 결과기대는 3.62이었다. 과학 정의적 특성 은 3.68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인식은 4.10, 흥미는 3.41, 태도는 3.54이었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성별과 대학 심화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 정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관계수는 .64이었다.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개인 효능은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결과 기대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 중 인식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전경희,김성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중학교 3학년 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학생설문 자료 중 수학과 교과태도 관련 응답 결과에 대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에 따른 네 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으며, 성취 프로파일 특성 분석을 통해 각각 균등 고성취군, 균등 중성취군, 불균등 중성취군, 불균등 저성취군으로 명명하였다. 잠재집단별로 정의적 성취 프로파일 형태가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수학과 정의적 성취가 높은 집단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 네 개의 측정 구인에 걸쳐 고른 성취와 발달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정의적 성취 집단에 속한 학생일수록 측정 요소별로 불균등한 프로파일 형태를 보였다. 분석 모형에 투입된 변인 중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 성별, 국어성취도, 수학성취도, 영어성취도, 영어교과태도, 학교생활만족도, 학습방법이 모든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교 특성 변인인 학교 설립 유형, 학교 성별 유형, 학교 지역과 학생 특성 변인 중 국어 교과 태도와 진로성숙도는 수학과 정의적 성취 프로파일 분류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structure of the survey data for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 collected from the 2016 administration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Based on model comparison results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four-groups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indicating the four groups of individual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responses to their attitudes in math. The four latent profiles represented high performance-coherent profile, average performance-coherent profile, average performance-fluctuating profile, and low performance-fluctuating profi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LPA suggest that there may be distinct profiles of math attitudes. Students in the top performance group showed stable patterns while students in the low performance group showed fluctuating patterns across the four measures including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motivation to learn. After identifying the latent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effects of predi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Among the predi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students' gender, national language achievement, math achievement, English achievement, English attitud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erve as evidence for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혜숙,최계현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4

        최근에 수행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성취는 인지적 성취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는 개인 연구자 수준을 넘어서 국가적 차원에서의 연구를 요구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수학에 대한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논의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수학 교사에 초점을 맞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수업에서의 실천도, 향후 실천 의지 및 계획 등에 관해서 조사를 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교사들의 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교사와 학생간의 견해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인성 교육을 위한 정의적 특성 평가 재조명: 교육연구에서 최근 경향

        김명화(Kim Myou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인성교육진흥법’이 통과되고, 인성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교육계에서 는 평가의 위험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성교육에 대한 혼란을 피 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을 비인지적 특성으로 재정의 할 것을 제안 하였 다. 정의적 특성의 개념적 모호성과 내면의 심층적 특성의 측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실제 정의적 특성의 평가는 기피되고 있지만 교육목적을 구현하고, 실제적인 정의적 특성 교육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정의적 특성의 평가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의적 특성의 평가의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 용되고 있는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여러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각 평가방법이 갖 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의적 특성의 개념적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목표의 구체화, 교육 가능성, 학업성취나 인생 성공에 영향 등을 고려하여 평가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의적 특성은 학교교육에 의해 변화가 가 능하므로 학교교육의 책무성과 연계하기 위한 평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 였다. 평가 신리도 확보를 위해서는 질문지법 이외에 다른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하 고, 명확한 기준점과 질문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Recently Character Education Law has been passed. Many educators worried about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redefine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into affective characteristics to avoid further confusion because affective domain was studied in education fields for a long time. But affective characteristic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affective domain because it is interpre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a too narrow sense. This study define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to non-cognitive ability.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ffective characteristic assessment and present the methods to asses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avoiding ambiguity in the term affective characteristics, educability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iability of assessment and usability of assessment results to assess affective characteristics properly.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규준기반 지표를 활용한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박인용,이광상,임해미,김부미,전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지표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특성을 파악하여 수학교육 개선과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규준 집단을 토대로 정의적 특성 측정 결과 해석을 위한 규준표를 개 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과 정의적 특성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규준참조 지표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과 정의적 영역 및 하위구인별 실태 를 파악한 결과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가 높은 학생은 약 22.6%, 낮은 학생은 약 25.9% 정도였 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수학과 영역에서 정의적 성취가 높은 학생은 약 23.6%, 낮은 학생 은 약 23.8%로 조사되었다. 주요 인구통계학적 변인별 규준참조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전반적 으로 남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특성이 높고,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정의적 영역이 높 았다. 국‧공립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이 사립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정의 적 영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교육 관련 교육 정책의 수립과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과정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monitor students' characteristics in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Mathematics with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tudy (NAEA). First, norm-based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each indicator were described. The instrument intended to measure students’ characteristics in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Mathematics consists of four sub-constructs including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ach of the constructs, norm-referenced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i.e., high - top 25th percentile, medium - 26th~75th percentile; low - 76th~100th percentile) by calculating percentiles and T scores separate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norm-referenced indicators, 22.6% and 25.9%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respectively. For high school students, 23.6% and 23.8% of students were grouped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respectively. Among the four sub-domains, motivation was the highest and confidence was the lowest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male students have higher affectivecharacteristics than female students. The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in mathematics have high aff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ies in order to more sophisticate the criterionreferenced indicators and its interpretations and to establish a monitoring plan for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and school levels.

      • KCI등재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 선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성정원,김주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3

        정의적 영역은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업과 평가에서 소홀히 다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정의적 영역은 인지적 영역의 학습에 영향을 주고, 학습의 결과로 얻게 되는 정의적 영역이 사회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교육의 수단과 목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범교과적인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구체적인 수업과 평가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과별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과의 정의적 특성을 선정하기 위해 지리전공 수석교사 10명, 박사학위 소지 지리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 ‘지구촌에 대한 공감적 이해’, ‘공간과 삶에 대한 성찰’, ‘국토에 대한 사랑’,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세계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의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리교과의 정의적 영역 교육이 학교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 일반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와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를 추후 과제로 제안하고 있다. Affective domain has not been considered in teaching and assessment in Korean schools, due to the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it and not being reflected in university admissions. However, it affects the cogni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the affective domain developed as a result of learn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Therefore, affective domain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n educational goal and means. Previous research studies have been done at cross-subjects curriculum level, but in order to apply affective domain in individual subject teaching and assessment, studies on subject-related affective domain should be done first. Hence, a delphi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learning geography, in which 10 senior teachers and 11 teachers with a doctorate degree in geography participa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8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geography were chosen; ‘sensibility of place’, ‘sensitivity to natural environment’, ‘empathy for the global village’, ‘reflection on space and life’, ‘love for the homeland’, ‘curiosity and inquiring minds for the unknown place’, ‘interests and expectations of globalization’ and ‘the willingness of protecting and recreating hometow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urther studies be done so that affective domain can be consistently applied in geography teaching in school ; one on raising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geography, and another on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for affect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 비교

        배지현 ( Ji Hyun Bae ),류성림 ( Sung Rim Ryu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初等 數學敎育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를 비교ㆍ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5학년의 영재 97명과 일반학생 144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정의적 특성 검사지와 추론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인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수학불안, 학습습관에서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지녔고,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도 일반학생보다 능력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수학영재는 정의적 특성의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학습습관은 추론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학불안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수학영재는 정의적특성의 하위 요소 중 수학불안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수학영재들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학 불안을 줄이는 실질적인 여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수 있다. 셋째, 일반학생들은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 중흥미가 수학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따라서 교실 수업에서 일반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교수ㆍ학습 구안 및 적용을 통해 수학적 추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 study subjects are comprised of 97 gifted fifth grade students and 144 non-gifted fifth grade students. The criterion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o analyze the dat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ynthetical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 a positive response to subelement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self-conception, attitude, interest, study habi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 study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ion, attitude, interest, study habit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athematical anxieties. Therefore the more an affective characteristics are positive, the higher the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are built. These results show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be positive and self-confident. Second,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as influenced with mathematical anxieties to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refore we seek for solution to reduce mathematical anxieties to improve to the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ird, the non-gifted students that are influenced of interest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will improve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if we make the methods to be interested math curriculum.

      • KCI등재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의 성과와 과제

        임동헌 ( Dong Heon L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인성 상실의 가속화와 입시 위주의 인지 교육이 지배하는 현재의 공교육에서 정의 교육의 중요성은 공교육이 시행되기 이전보다 세삼 강조되고 있다. 한문과의 학습 내용에는 학생들의 심미적 감상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문학의 요소와,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할 수 있는 철학의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한다.` 와 `전통 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와 같은 정의적 학습 내용과 도달점이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의 목표가 있을 때 그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가 존재하여야 함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지만 `인지`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정의`라는 것의 복잡성과, 가시적인 결과 값을 획득하기 어려운 `정의`의 측정학적 난해성으로 인해 정의 교육 평가는 인지 교육 평가에 비해 큰 관심을 갖거나 만족할 만한 성취를 얻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로서 핵심적인 연구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에 주요한 목적을 둔다. 따라서 문헌을 두 가지 편의적인 분류, 즉 `이론서`와 `논문`으로 대별해보고 각각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그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 문제들을 초점화·유형화 시켰다. 그 결과 연구자는 다수의 문헌에서 각기 혼용하고 있는 `정의적 영역`, `정의적 특성`이라는 용어 정립이 필요하며, 한문과 교육 평가는 교과 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한 `정의적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무수히 많은 정의적 특성 가운데 한문과 교육 평가에서 측정하여야 할 세부적인 정의적 특성은 `감상`, `가치`, `태도`등으로 압축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주요한 의의가 있다. 정의 교육 연구라는 지극히 난해한 문제에 있어서는 더욱더 과학적 절차가 중요하므로, 이 연구에서 제기한 핵심 쟁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을 때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연구는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system that accelerates lose of personality and is ruled by cognitive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the importance of affective education is being more emphasized than before the public education was implemented. Sino-Korean class includes numerous literary elements to improve aesthetic appreciation skills of students and philosophical elements to help them create healthy values. Therefore, affective learning and its ultimate goals such as `We understand lives and wisdom of ancestors and establish healthy values.`, and `We have attitudes to succeed to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are specified in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current Sino-Korean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case, an assess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we can achieve these goals is surely needed, but affective education assessment has not received many attentions or hardly gained satisfactory achievements, compared to cognitive education assessment, since `affectivenes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cognition` is very complicated and is difficult to obtain visible result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address essential research problems as a process to develop assessment devic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Sino-Korean class. In this study, after dividing literature into two expedient elements, `theory` and `thesis`, each research performance was examined and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dealt with bas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rms, `affective domai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that are being used mixed with each other in many literatur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assessment` reflecting educational uniqueness needs be stressed for Sino-Korean education assessment. It was also suggested that among innumerable affective characteristics, `appreciation`, `value` and `attitude` are the most detailed affective characteristics to be measured in Sino-Korean education assess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sinc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assessment devic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Sino-Korean class. In conclusion, scientific procedure is more important in researches of affective education which is a very difficult proble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 assessment will make a leap forward when key issue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solved out.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이두성 ( Doo Seong Lee ),김영식 ( Young Si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요인에서 기본적 태도인 관심도, 중요성, 참여도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인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인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기본적 태도와 심리적 특성 모두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력수준에서는 기본적 태도모두 상이 중, 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상이 중, 하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하가 중, 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협동성, 경쟁성, 준법성에서는 상이 높게 나타났으나 공격성에서는 하가 높게 나타났다. 선호 운동종목에서는 기본적 태도 모두 단체운동이 개인운동, 대인운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감에서는 개인운동이 높게 나타났고, 자신감에서는 단체운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대인운동이 높게 나타났다.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단체운동이 높게 나타났으나 준법성에서는 대인운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지도유형과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민주적 행동형은 심리적 특성,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전제적 행동형은 기본적 태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적 보상형은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 심리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교수와 지시형은 심리적 특성,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지지 행동형은 기본적 태도,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types of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concretely the differences in the learning effect of the affective domain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basic attitudes. The male studen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female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the female studen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male i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easiness. It was appeared that th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female in the subordinate factors, but th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law-abiding. In school grades, 6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5th graders in all of basic attitud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6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5th graders in the nature of cooperation, aggression, and competition, while 5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6th graders in the nature of law-abiding. The upper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bottom in all of the basic attitudes. Also, the upper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bottom in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the bottom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upper and the bottom i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easiness. The upper was appeared in social characteristics, while the bottom was appeared higher in the nature of aggression. In the preferred sports items, the collective spor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individual sports and the interpersonal sports in all of the basic attitudes. It was appeared that the individual sports was higher in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ollective sports were higher in the feeling of self-confidence, the interpersonal sports were higher in the sense of alienation, uneasiness. It was appeared that the collective sports were higher in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le the interpersonal sports were higher in the nature of law-abiding. Second, in the relation of the teaching types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ed but low in all except for the relation of the autocratic behavior typ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ncretely, ⓐ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 the autocratic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in the basic attitudes. ⓒ The positive feedback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the instructional and orde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 the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basic attitude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oci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