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代廷尉職能新考

        閆强樂 중국사학회 2019 中國史硏究 Vol.0 No.119

        고대 중국에서 법률은 사회 질서를 규범화하고 사회 관계를 조정하는 수단이었으며 행정 권력과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초기 전제 체제 중국 정부 관원들은 종합적 관리 직능을 갖추고 있어서, 행정ㆍ입법ㆍ사법적 기능이 합체되어 있었다. 정위(廷尉)는 진한(秦漢) 9경(卿)의 하나로서, 진한 시기 최고 사법(司法) 관원이었고, 춘추 이래 사법 형관(刑官)의 전직화(專職化) 추세가 진한 시기에 정형화된 형태이기도 하다. 이 직관의 기원, 직무, 선임, 기구 속관(屬官) 등의 문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검토를 시도하는 것은 진한 제국의 국가사법 권력 체계 및 그 운행 구조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한다. 지금가지의 연구는 모두 『한서(漢書)ㆍ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ㆍ『후한서(後漢書)ㆍ백관지(百官志)』ㆍ『통전(通典)』 등과 같이 모두 정위에 대한 간단한 기재에 대하여 엉성한 고증을 한 것들이었다. 또, 20세기 이래 학계에서의 진한 정위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정위의 의옥(疑獄)이나 조옥(詔獄) 처리 등의 문제에 집중되었고, 리우 링위(劉令輿), 쉬 스홍(徐世虹), 션 강(沈剛), 헐스웨(A.F.P. Hulsewe) 등이 아주 많은 공헌을 하였다. 본고는 선행 연구의 기초 위에서 정위의 정치적 입법적 직능에 대하여 진일보 고증을 하여 스스로의 학술적 사고를 제출하려고 하였다. 본고는 정위가 기타 정치적 직능을 갖고 있었고, 정위가 조정의 주요 법률 관련 “의논(議論)”에 참여하였으며, 형옥 안건의 논의, 국가법률제도 논의, 관원 탄핵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된다고 보았다. 정위의 권력의 성쇠에 따라서, 때로는 국가 중대 정무의 의논에 참여하기도 하였고, 정국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진(秦)나라 정위 이사(李斯)는 진나라 황제 존호의 제정과 군현제 확립에 참여하여 진나라의 정치 제도상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전한(前漢)대 이광(李光)은 창읍왕(昌邑王) 유하(劉賀)를 폐위하는 논의에 참여하였고, 진충(陳忠)은 원제(元帝)의 군국(郡國) 폐지하는 논의에 참여하였으며, 후한(後漢)대 진구(陳球)는 두태후(竇太后)의 배장(陪葬)등급의 논의에 참여하였고, 장호(張皓)는 안제(安帝)의 황태자 폐위 논의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모두 정위가 국가 정무에 참여하는 직능이었음을 보여 주며, 주요 정국의 흐름에 대하여 중요한 작용을 하였음을 보여 준다. 정위는 또한 진한 제국의 법률 제정과 수정의 임무도 지고 있었고, 정위의 의옥 심리의 ‘판례화(判例化)’ 추세에 따라 정위가 이후 법률조문의 제정이나 수정 과정에서도 의옥 심리의 ‘결사비(決事比)’ 즉 유사 사례 인용 판결의 법률적 내용의 제정과 편찬도 담당하였다. 동시에 정위는 국가의 도량형 척도 관련 업무도 관장하였다. In ancient China, law which as a means of regulating social order and adjusting social relations, was inseparable from administrative power. In Early Imperial China, government officials had comprehensive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ature. Ting Wei is one of the Jiu Qing(九卿) in Qin and Han Dynasty, the highest judicial officer in Qin and Han Dynasty, and the stereotype of the trend of full-time judicial and criminal officers in Qin and Han Dynasty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origin, position, appointment and membership of this official can, to a certain extent, deepen the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state judicial power system and its operation logic of the Qin and Han Empire. Previous studies, such as 『漢書ㆍ百官公卿表』ㆍ 『漢書ㆍ百官志』 and 『通典』, all have simple records and sporadic textual research on Ting Wei. Since the 20th century, academic research on Ting Wei in Qin and Han Dynasties has mainly focused on such issues as Liu Lingyu, Xu Shihong, Shen Gang and Hulsewe, which hav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predecessors, this paper further studies the political and legislative functions of Tingwei and puts forward academic thinking. This paper holds that Ting Wei still has other political functions. His participation in the court's "discussion" mainly involves related legal matters,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iscussion of prison cases, discussion of the national legal system and impeachment of officials. With the growth and decline of Tingwei's power, Tingwei sometimes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of important political affairs of the country, and often recurred,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country. Lisi, a lieutenant of the Qin Dynast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emperor's honorary title and county system in the Qin Dynasty, which had an important decision-making influence on the formul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in the Qin Dynasty. Li Guang in the Western Han Dynast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on the abolition of Liu He Shi, Emperor Chen Zhong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on the abolition of the county temple, Empress Dou's funeral rank, Empress Dou's funeral rank, and Emperor Zhang Hao's discussion on the abolition of Emperor Han'an's Prince. All of these showed the function of the court lieuter participating in the state affairs, an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political situation. Tingwei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formulation and revision of laws in the Qin and Han Empires. With the trend of "precedentialization" in the trial of dubious prisons by Tingwei,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amending legal provisions, Tingwei also formulated and compiled the legal content of "decision ratio" in the trial of dubious prisons. At the same time, the Ting Lieutenant was in charge of "scale and measure" and managed the "length" of the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 KCI등재

        《문심조룡(文心雕龍)》<정위(正緯)>편 논술의 목적과 의의 고찰

        김민나 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語文學誌 Vol.47 No.-

        學界壹般都把《文心雕龍·正緯》篇視爲<宗經>的附屬篇, 主要注重篇中``經``與``緯``內容的比照, 對<正緯>篇題義, 多認爲是匡正緯書之謬的意思. 不僅如此,對于<正緯>篇的``文之樞紐``地位和``有助文章``的作用, 或未被學界重視, 或被誤解.而對于<正緯>篇的論述背景和目的以及``正``這個字的眞正的用意到底是什마, 緯書究竟在《文心雕龍》裏又有什마樣的地位和意義及作用等問題, 學界還都沒有作出明석的闡釋, 本稿擬對這三個方面的問題作以探討.首先, 有關<正緯>篇的創作背景以及其진正的題意.鑒于當時漢魏六朝文人在詩文創作中大量地借用참緯事典, 但각沒有人從文學理論上揭示過緯書的文學特色以及其效用的背景下, 劉협創作了<正緯>篇,在篇中著力``正緯``, 而這병非是``匡正緯書``, 而是旨在``正緯書之本``, 즉是讓緯書本來的面目得以顯現出來, 使人們認淸緯書中神참原有的價치, 同時能구正確地分辨緯書可資文用的創作價치.其次, 有關<正緯>篇創作的目的對<正緯>篇的誤解, 當始于對篇中``四僞``的認識. 劉협採取``按經驗緯``, 結果考察出來``其僞有四``, 但他병沒有說緯書都是荒誕不經, 虛假無用而被糾正的.更沒有因此否定緯書作爲壹種文體的客觀存在和作用, 因此才有後文``無益經典,而有助文章``的總結性結論. 劉협是持客觀分析態度的, 仔細췌度文中的意味, 他對``經``與``緯``병未作褒貶指摘. 緯書, 是經書的支流. 緯書存在著僞、浮、謬、詭휼的內容, 不足以訓導世人, 所以在爲文過程中必當芟夷之. 而緯書又``事풍偉, 辭富膏유``, 雖``無益經典, 而有助文章``, 因而爲文者在創作過程中的題材選擇、主題凝練、意義提升等方面都要``採其雕蔚``.最後, 有關<正緯>篇的地位<正緯>篇具有``文之樞紐``的地位, 這可以用劉협在<序志>篇中的話來개括, 那就是``酌乎緯``. <正緯>병不是<宗經>的附屬篇目, 而是具有獨立性質的文論, 有其獨立的意義和地位. ``事풍奇偉, 辭富膏전``的緯書, 被``後來辭人, 采披英華``, 這正說明了緯書的文學價値. 而這也是其被劉협列爲``文之樞紐``, ``酌乎緯``的壹個重要原因.

      • 수막종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

        신성수(Seong Soo Shin),김대용(Dae Yong Kim),안용찬(Yong Chan Ahn),이정일(Jung Il Lee),남도현(Do-Hyun Nam),임도훈(Do Hoon Lim),허승재(Seung Jae Huh),여인환(Inhwan J Yeo),신형진(Hyung Jin Shin),박관(Kwan Park),김보경(BoKyoung Kim),김종현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수막종 환자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 경과, 영상의학적 반응,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분석하여 수막종에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6명의 수막종 환자에 대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9명은 외과적 절제술이 선행되었으며 나머지 17명은 정위방사선수술만 시행되었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비는 7:19이었고, 연령 분포는 14∼67세(중앙값 51세)이었다.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17명에서 병변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다. 종양 용적의 범위는 0.7∼16.5 cm3 (중앙값 4.7 cm3)이었고,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최대선량 기준으로 46∼9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0∼2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1∼71개월(중앙값 27개월)이었고 영상 추적관찰 기간은 1∼52개월(중앙값 25개월)이었다. 결 과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임상 증상이 있었고 임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 중 13명(93%)에서 증상의 소멸 및 완화를 보였으며, 나머지 1명은 치료 후 4개월부터 종괴효과로 증상이 악화되어 7개월 후에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영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7명(50%)은 정위방사선수술 후 6∼25개월(중앙값 11개월)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고, 6명(43%)은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다. 종양 크기의 증가를 보인 1명(7%)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6명(23%)의 환자에서 정위방사선수술 후 새로운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5명은 일시적 후유증으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 후에 증상이 소멸되었고, 1명은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수막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경우, 불완전한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그리고 수술 후 재발한 경우에 안전하고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더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종양용적이 크고 주위에 결정장기가 있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좀 더 신중한치료 계획 및 선량 결정이 필요하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in the management of meningiomas , we reviewed clinical response, image response, neurologica l deficits for patients treated at our institution.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1999, twenty- s ix patients were treated with SRS. Seven patients had undergone prior resection. Nineteen patients received SRS as the initial treatment. There were 7 male and 19 female patients . The median age was 51 years (range, 14∼67 years). At least one clinical symptom presented at the time of SRS in 17 patients and cranial neuropathy was seen in 7 patients . The median tumor volume was 4.7 cm3 (range, 0.7∼16.5 cm3). The mean marginal dose was 15 Gy (range, 10∼20 Gy), deliver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46∼90%). The median clinica l and imaging follow- up periods were 27 months (range, 1-71 months) and 25 months (range, 1∼52 months), respectively. Results :Of 14 patients who had clinical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hirteen patients (93%) were improved clinically at follow- up examination. Clinical symptom worsened in one patient at 4 months after SRS as a result of intratumoral edema,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7 months . Of 14 patients who had radiologic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umor volume decreased in 7 patients (50%) at a median of 11 months (range, 6∼25 months), remained stable in 6 patients (43%), and increased in one patient (7%),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44 months . New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s developed in s ix patients (23%). Five patients (19%) had trans ient neurological deficits , completely resol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steroid therapy. Radiation- induced brain necros is developed in one patient (3.8%) at 9 months after SRS who followed by surgical resection of tumor and necrotic tissue. Conclusions : LINAC- based SRS proves to be an effective a nd safe management strategy for small to moderate s ized meningiomas , inoperable, res idual, and recurrent, but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cessary to fully evaluate its efficacy. To reduce the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 for large s ize meningioma and/or in the proximity of critical and neura l structure, more delicate treatment planning and optimal decis ion of radiation dose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한 대(漢代) 정위(廷尉)의 치옥(治獄) 사례 고찰

        옌치앙러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6

        이 논문은 한 대 정위(廷尉)의 치옥(治獄) 사례를 통해 정위의 치옥 유형이 주로 지방 군국(郡國)에서 올라 온 의안(疑案)이나 황제 조서로 심리하는 “조옥(詔獄)”임을 분석하였다. 조옥의 범죄 주체는 제후왕(諸侯王), 공경대신(公卿大臣), 지방 군수(郡守), 군사 장령(將領), 황친(皇親)과 국척(國戚)들을 망라하고 있었다. 한 대 정위의 치옥 과정에서의 관건은 정의(廷議)에 연계되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정위 속리(屬吏)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 대 심판제도는 “치옥주도형(治獄主導型) 모델이었음을 잘 보여 준다. 동시에 필자는 한 대 정위 치옥에 대한 고찰이 중국 법률사 연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문제 즉 직관(職官) 연구와 법률사와 연계된다고 보았다. 직관의 연구는 역대 역사학계에서 중요한 분야였고, 저명한 사학가 등광명(鄧廣銘) 선생은 직관을 목록, 연대, 지리와 더불어 사학 연구에서 네가지 주요 열쇠라고 한 바도 있다. 전제적 지배 시기 중국에서 직관과 율령은 모두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직관의 기능과 구체적 운용은 고대 법의 제정이나 운행에 대해서도 중요한 영향력을 미쳤다. 우리가 역대 직관의 “살아 있는 제도사”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그러한 직관의 직권과 운행 및 배후에서 반영되는 것이 바로 전제주의 체제 중국 법률 권력의 운행 원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관제도를 연결점으로 하여 직관의 역동적 운영 과정을 고찰하여, ‘살아 있는 제도사“의 관점에서 중국 제국의 법률 질서의 운행과정 원리를 고찰하는 것은 장차 중국 법률사 연구의 새로운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As the supreme judicial officer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Tingwei mainly tried the difficult cases of appeal submitted by the local counties and the "imperial prison" under the imperial edict in the name of the emperor. The criminal subject of imperial edict prison involves princes, ministers, local prefects, military generals and relatives of the emperor. In Han Dynasty, the key to the prison system of Tingwei was the court discussion, in which the officials of Tingwei played an important role, and the trial system of Han Dynasty was "the leading type of prison officials".

      • KCI등재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을 위한 QA

        조병철,오도훈,배훈식 한국의학물리학회 1999 의학물리 Vol.10 No.2

        We developed a sterotactic radiosurgery system which is comprised of 1) collimators with small circular aperture, 2) an angiographic target localizer, 3) a target localizer used for alignment of planned target position with isocenter of treatment machine, and 4) a treatment planning system named LinaPel.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series of treatment simulations to specify and analyze geometrical errors contained our in-house radiosurgery system. As results, 1) using Geometrical Phantom(Radionics,USA), the accuracy of target localization by LinaPel was determined as Avg. =(equation omitted) the accuracy of mechanical isocenter was found out to be 0.6 $\pm$ 0.2 mm, 3) the positional difference of target localization which determined by CT and angiography was 0.8 mm, and their size difference was 1.5 mm, and 4) the positional error during whole treatment was found out to be 0.9 $\pm$ 0.3 mm. With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our in-house radiosurgery system can be used clinically. However, these range of accuracies need periodical quality assurance strongly. BRW 정위프레임을 사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1) 정위방사선수술용 원형 콜리메이터, 2)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치료 위치 결정을 위한 localizer, 3) 결정된 치료위치를 치료기에서 조준하기 위한 target localizer, 4) 정위방사선수술용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정위방사 선수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자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에 앞서, 인체 모형 팬톰 및 QA용 팬톰을 사용하여 일련의 모의 치료를 시행하여 봄으로써 위치 오차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1) 기하 팬톰을 이용한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의 위치 확인 정확도는 평균값, Avg.=(equation omitted)이 1.0mm 이었으며, 2) 치료기의 중심점의 기계적 정밀도는 0.6 $\pm$ 0.2 mm, 3) 컴퓨터단층촬영 및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상 타켓의 위치 계산의 차이는 0.8 mm 크기 차이는 1.5 mm 로 분석되었고, 4)전 치료과정에 대한 위치오차는 0.9$\pm$0.3 mm 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 저자들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기하학적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임상 적용에 적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QA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고선량 정위 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홍세미,지의규,박석원,김일한,하성환,박찬일,Hong Semie,Chie Eui Kyu,Park Suk Won,Kim Il Han,Ha Sung Hwan,Park Charn 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 중 하나인 해면상혈관종의 치료에 있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해면상혈관종으로 11명이 방사선수술을 받았다.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내려진 것이 8예였으며 3예에서는 조직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대뇌부 3예, 시상부 1예, 뇌간 5예, 소뇌 2예였으며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은 뇌내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인 환자가 9예였으며 2예에서는 경련을 나타내었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선량의 중앙값은 회전중심점 선량의 80$\%$를 기준으로 16 Gy (범위: 14$\~$24 Gy)였다. 11명의 환자 중 10예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다. 결과: 49개월의 중앙추적관찰기간 동안(범위: 8$\~$73개월) 2예의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시행 8개월 후에 재출혈이 일어났으며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64개월 이후에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정위방사선수술 후에 1예는 출혈의 증거 없이 신경학적으로 악화되었고 2예는 임상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가 나타났다. 결론: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정위방사선수술은 재출혈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부작용 또한 크지 않았으나 재출혈에 대해서는 충분한 기간 추적관찰을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vernous angl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5 and May 1997, 11 patients with cavernous angioma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Diagnoses were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8 patients, and the histological in 3. The vascular lesions were located on the brainstem (5 cases), cerebellum (2 cases) thalamus (1 case) and cerebrum (3 c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 at onset included previous intracerebral hemorrhages (9 cases) and seizures (2 case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a linac-based radiosurgery. The median dose of radiation delivered was 16 Gy ranging from 14 to 24 Gy, which was typically proscrib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50 $\~$ 8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esion with a single isocenter. Ten patients were followed-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9 months ranging from 8 to 73 months, during which time two patients developed an intracerebral hemorrhage, 1 at 8 months, with the other at 64 months post radiosurgery. One patient developed neurological deficit after radiosurgery, and two developed an edema on the T2 weighted images of the MRI surrounding the radiosurgical target. Conclusion: The us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a cavernous angioma may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rebleedlng, and can be safely delivered. However, a longer follow-up period will b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용도 팬톰에서 정위방사선수술기법의 선량 정확도 확인

        유형준(Hyung Jun Yoo),김일한(Il Han Kim),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허순녕(Sun Nyung Hur),강위생(Wee-Saing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본 교실에서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정도관리를 위하여 다용도 팬톰을 제작하고 정위방사선수술기법의 선량의 정확도를 확인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L2100C 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하는 6 MV 엑스선을 사용하여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고 Farmer형 이온함, 0.125 cc 이온함, 다이오드 검출기 등을 정위 기준기구가 부착된 팬톰내에 설치한 후 선량을 측정하였다. 고정 빔, 20°~100°의 각도를 갖는 단일회전빔, 복합회전빔 등의 방사선조사 조건에서 측정기와 팬톰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내경이 10, 20, 30, 40 mm인 원형의 3차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였다. 결 과 : 고정 빔, 단일 회전 빔, 5개의 회전 빔으로 구성된 복합회전 빔 등에서의 선량오차는 Farmer형 이온함으로 측정한 경우는 0.5% 이하, 0.125 cc 이온함의 경우에는 0.5%, 다이오드 검출기인 경우에는 2% 이내였다. 결 론 : 본 교실 개발 정위방사선수술 기법에 의한 방사선 조사선량의 정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자료는 향후 정위방사선수술 및 다분할 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urpose :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urance of self-develop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ystem, a multi-purpose phantom was fabricated, and accuracy of radiation dose distribution during radiosurgery was measured using this phantom. Materials and Methods : A farmer chamber, a 0.125 cc ion chamber and a diode detector were used for the dosimetry. Six MV x-ray from a linear accelerator (CL2100C, Varian)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technique (Green Knife) was used, and multi-purpose phantom was attached to a stereotactic frame (Fisher type). Dosimetry was done by combinations of locations of the detectors in the phantom, fixed or arc beams, gantry angles (20°~100°), and size of the circular tertiary collimators (inner diameters of 10~40 mm). Results : The measurement error was less than 0.5% by Farmer chamber, 0.5% for 0.125 cc ion chamber, and less than 2% for diode detector for the fixed beam, single arc beam, and 5-arc beam setup.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accuracy of dose distribution with the radiosurgery systm developed in our institute and the data from this study would be able to be effectively used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assuranc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or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system.

      • SCOPUSKCI등재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방사선수술의 예비적 결과

        안승도(Seung Do Ahn),이병용(Byong Yong Yi),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 Kim),노영주(Young Ju Nho),신경환(Kyung Hwan Shin),김경주(Kyoung Ju Kim),정원균(Won Kyun Chung),장혜숙(Hyesook C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정위방사선수술의 치료효과, 치료의 정확성과 후유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2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간암 3명, 동정맥기형 1명, 폐전이 6명와 간전이 1명 등 모두 11명에서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체부 방사선수술을 시행했다. 환자의 고정은 정위 체부 고정틀에 vacuum pillow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chest marker와 leg marker를 이용하여 흉골부위 또는 등부위와 경골부위의 피부에 환자 위치 표시를 하였다. 이후 모의치료실로 이동하여 X선 투시기를 통해 횡경막의 움직임을 측정한 후 Diaphragm control을 사용하여 1 cm 이하로 횡경막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였다. CT-simulator를 이용하여 치료부위의 단층촬영을 시행한 후 치료계획을 세웠다. 매회 치료전 CT-simulator를 이용하여 단층촬영을 반복하여 최초의 단층촬영의 영상과 수동적으로 비교하여 치료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오차가 5 mm 이내인 경우 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90% 등선량곡선에 10 Gy씩 1일 내지 2일 간격으로 3회 시행하여 총 30 Gy를 조사하였다. 결 과: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다. 11명의 환자 중 1명(9%)의 환자에서 국소적 완전관해를 보였고 4명(36%)에서 부분관해를 보였다. 계획용표적체적은 3∼111 cc 였고 평균값은 18.4 cc 였다. 치료 오차를 측정한 결과 X, Y, Z 축으로 오차범위는 모두 5 mm 이내를 보였다. 치료 중 또는 치료 직후에 올 수 있는 고열, 통증 등의 급성후유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방사선수술은 뛰어난 치료의 재현성을 보여주었고 간 혹은 폐종양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evaluate efficacy and complication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Methods and Materials : From December 1997 to June 1999, 11 patients with prima ry and metastatic tumors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Precision Therapy™ ).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primary hepatoma and seven with metastatic tumor from liver, lung, breast, trachea and one with a rteriovenous malformation on neck. We used vacuum pillow for immobilization and made skin marker on sternum and tibia area with chest marker and leg marker. Diaphragm control was used for reducing movement by respiration. CT- simulation and treatment planning were performed. Set- up error was checked by CT- Simulator before each treatment. Dose were calculated on the 80∼90% isodose of isocenter dose and given consecutive 3 fractions for total dose of 30 Gy (10 Gy/fraction). Results :Median follow- up was 12 months. One patient (9%) showed complete response and four patients (36%) showed partial response and others showed stable disease. Planning target volumes (PTV) ranged from 3 to 111 cc (mean 18.4 cc). Set- up error was within 5 mm in all directions (X, Y, Z axis).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all patients. Conclusion : In primary and metastatic tumors,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is very safe, accurat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김대용(Dae Yong Kim),안용찬(Yong Chan Ahn),이정일(Jung Il Lee),남도현(Do-Hyun Nam),임도훈(Do Hoon Lim),이정은(Jeong Eun Lee),여인환(Inhwan J Yeo),허승재(Seung Jae Huh),노영주(Young Joo Noh),신성수(Seong Soo Shin),홍승철(Seung-Chyul 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 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 AOVM)의 치료에 정위방사선수술을 적용하여 병변의 영상학적 반응과 임상 경과, 치료에 대한 부작용을 분석하여 AOVM의 치료 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OVM으로 진단 받은 11명(12병변)의 환자에 대하여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병변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중심부에는 이질적인 고신호를 보이며, 저신호의 테두리로 둘러 쌓여 경계가 분명한 혈관기형 소견을 보였다.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회전중심점 선량 기준으로 67∼8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3∼25 Gy (중앙값 16 Gy)이었으며, 모두 단일 회전중심점을 이용하였고, 8∼20 mm (중앙값 14 mm) 크기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였다. 결 과 :추적관찰 기간은 12∼56개월(중앙값 42개월)이었다. 재출혈이 일어난 경우는 3예로 치료 후 5, 6, 12개월 때 각 1차례씩 발생하였고 이후 추가적인 재출혈은 없었다.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괴사는 2예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임상증세를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영상에서 병변 주위의 부종이 관찰된 경우도 1예 발생하였다. 결 론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AOVM의 치료는 재출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동정맥기형에 비하여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환자의 선택과 처방선량의 결정 시에는 보다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 (AOVM). Materials and Methods : Eleven patients (12 lesions) with AOVM were treated with linear acceleratorbased SRS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1999.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each patients showed well- circumscribed vascula r lesion with reticulated core of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and peripheral rim of low signal intensity. SRS were performed with the median peripheral dose of 16 Gy (range 13∼25). A single isocenter was used with median collimator size of 14 mm (range 8∼20) diameter. Results :With a median follow- up period of 42 months (range 12∼56), rebleeding occurred in 3 AOVMs at 5, 6 and 12 months after SRS but no further bleeding did. Two patients experienced radiation- induced necrosis associated with permanent neurologic deficit and one patient showed transient edema of increased T2 signal intensity. Conclusion : SRS may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in AOVM located in surgically inaccessible region of the brain.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needed in the decision of case selection and dose prescription because the incidence of radiation- induced complications is too high to be acce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