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북한 관계의 형성과 기원 : 1970년대 적대적 상호의존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김일한(Kim Il-Han) 북한연구소 2009 북한학보 Vol.34 No.1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에서 어느 체제가 국민을 더 잘 살게 할 수 있는가 선의의 경쟁을 하자.”(박정희, 1970년 8·15 경축사). 1970년대의 남북한 관계는 현재의 남북한 대립과 경쟁 그리고 적대적 상호의존 관계를 형성한 핵심적 시기이다. 1970년대는 남북관계가 실질적인 교류와 본격적인 경쟁의 시대로 접어드는 매우 복합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고 발전·심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적대적 상호의존관계의 상징적인 사건은 1972년‘7·4 남북공동성명’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은 1961년 5월 집권한 박정희 정권의‘先건설 後통일’의 통일관 및 대북인식이 북한을 자극했다. 북한은 남쪽 군사정권 출범에 따라 4대 군사노선, 군사·경제병진노선, 중·소와의‘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체결 등으로 대응했다. 1970년대 이전 남북한은 사활적 체제 경쟁과 냉전적 국제정치 상황에서의 생존이라는 공통의 국가목표가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남북한 각각 국내 정치의 새로운 활로가 필요했고, 또한 데탕트라는 변화하는 국제정치 환경에 적응해야만 했다. ‘공동성명’은 이러한 남북한 각각의 이해관계가 상호 적대적 합의에 의해 성립된 최초의 결과물이었다. 따라서 남북한간의 적대적 상호의존관계가 전면적으로 드러난 시기가 바로 1970년대였다. 남북한이 서로의 경험이 상호 공유 혹은 모방되고, 그 결과로서 경쟁관계를 형성했다. 즉, 정치에서의 유일사상체제(주체사상)과 유신체제, 사회개혁과 국가 근대화전략으로서의‘천리마운동’과‘새마을운동’, 국가발전전략으로서의‘자립경제’와‘외자유치’의 이상과 현실은 1970년대를 관통하는 남북관계의 연결고리이자 대립과 경쟁, 공존과 공유의 극단적인 상호의존성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의 이러한 현상들이 자기 우월적 혹은 체제 방어적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었지만, 최근까지 남북한 사이의 경험적 역사는 민족이라는 동질성외에 다양한 공통점을 내재시켜왔다. The hostile and interdependent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formed since 1970s. Looking about its origin, The Only Thought(the Juche ideology) regime of North Korea constructed in the late 1960s and the Yushin regime of South Korea in 1970s were inter-hostile and interdependent in terms of completion of their power system and ruling means. The 'Chullima Movement'of North Korea in 1950s and the 'Saemaeul Movement' of South Korea in the 1970s were appeared as the modernizing strategy and social reforming movement. The North Korea sought the ideal of 'self-supporting economy' and South Korea pursued the reality of incorporation into world economy. The inter-Korean relation was changed from inter-hostile and interdependent to mutual interdependent through these empirical history.
김한일(Han-Il Kim),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멀티미디어 표현(Presentation)은 각 모노미디어 데이타들의 동기화된 조합으로 볼 수 있으며, 동기화는 올바른 표현을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구 조건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생성 과정중 저작 및 표현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 편집기 Mini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iniS는 여러 개의 모노미디어 데이타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타로 만드는 데 필요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간단한 표현 작업도 가능하다. 또한 표현시에 생성되는 여러 프로세스들은 사용자가 MiniS를 통해 기술한 시나리오에 따라 모노미디어들간의 동기화를 고려하여 스케쥴링되므로 정확한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김유두 ( Yu Doo Kim ),김모한 ( Mo Han Kim ),문일영 ( Il Young Moon ) 한국항행학회 2012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16 No.6
After launched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people who using smart devices are provided various services. Especially, contents sharing technology is utilized in any devices. But current contents sharing systems are made on various versions for various smart devices. These methods will be raising cost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 Therefore it must using web technology for reducing cost. In this paper, we had analyzed performance of file transmission using web technology and compared with application based system.
나이브 베이즈 기반 소셜 미디어 상의 신조어 감성 판별 기법
김정인(Jeong In Kim),박상진(Sang Jin Park),김형주(Hyoung Ju Kim),최준호(Jun Ho Choi),김한일(Han Il Kim),김판구(Pan Koo Kim)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0 스마트미디어저널 Vol.9 No.1
From PC commun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 new term has been coined on the social media, and the social media culture has been formed due to the spread of smart phones, and the newly coined word is becoming a culture. With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smart phones serving as a bridge, the number of data has increased in real time. The use of new words can have many advantages, including the use of short sentences to solve the problems of various letter-limited messengers and reduce data. However, new words do not have a dictionary meaning and there are limitations and degradation of algorithms such as data mining. Therefore, in this paper, the opinion of the document is confirm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web crawling and extracting new words contained within the text data and establishing an emotional classification. The progress of the experimen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a word collected by collecting a new word on the social media is subjected to learned of affirmative and negative. Next, to derive and verify emotional values using standard documents, TF-IDF is used to score noun sensibilities to enter the emotional values of the data. As with the new words, the classified emotional values are applied to verify that the emotions are classified in standard language documents. Finally, a combination of the newly coined words and standard emotional values is used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chnology of the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