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혐오와 절합하고 경합하는 정동들: 정동의 인클로저를 넘어서 혐오에 대해 사유하기

        손희정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This is the era of affects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capital and the state. To this end, affects have been treated and discussed as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Such epistemology has been formed in a “steady projects that as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can be explored mathematically,” which is connected to the 'happiness industry' excessively pathologizing depression and worshipping happiness as the most powerful ideology in the service of the capital. In this paper, such a management process of affects is definedas enclosure of the affects. First, this is made possible from the imaginationof spatialization by building ‘fence’ among the affects, secondly, this process of ‘fencing’ is obviously capitalist and liberalist project, and thirdly, the effect is dismantling the ‘emotional commons’ between people. In addition, it has been one of the ‘new primitive accumulation’ methodologies to overcomethe crisis of the capitalism of the late 60’s. It seems to be around IMF(1997) that the latest new primitive accumulation has started in South Korea. To deal with the disgust, not being entrapped by the enclosure of affects, we need to understand disgust as the affiliation of various affects. For example, disgust gets nourishment from the culture of contempt and continues its effects in the form of fun forcing shame to others when the pleasur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mission to accomplish. Only when we approach to the disgust as a whole, we can avoid serving the affects management of our days. 자본과 국가의 필요에 따라 정동이 관리되는 시대다. 이 과정에서 정동은 변별 가능한 것으로 다루어져 왔는데, 이런 인식론은 “마음과 세상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꾸준한 프로젝트”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 우울증을 병리화하고 행복을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만들어 자본에 복무하도록 하는 ‘행복 산업’과도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정동의 관리 과정을 ‘정동의 인클로저’라고 명명한다. 이렇게 이름할 수 있는 이유는 첫째, 이것이 정동에 ‘테두리’를 쳐서 공간화하는 상상력으로부터 가능해지고, 둘째, 이런 ‘테두리치기’가 명백하게 자본주의적, 자유주의적인 기획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셋째, 그 효과가 인간들 사이의 ‘감정적 공유지’를 해체하고 ‘원자화된 개인’을 자연화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동을 자원화, 자본화하는 정동의 인클로저는 1960년대 말 자본주의의 위기를 타계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시초축적’의 한 방법론이었다. 정동의 인클로저를 넘어서 혐오와 적대하기 위해서 우리는 혐오를 다양한 정동들의 복합체로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혐오는 ‘모멸’의 문화에서 자양분을 얻고, ‘즐거움’이 지상 최대의 과제가 된 시대에 ‘재미’라는 형식을 빌어 타인에게 ‘수치심’을 강요함으로써 그 효과를 지속시킨다. 이렇게 접근할 때에야 정동을 이론화하는 작업들이 정동의 관리에 복무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 KCI등재

        Testifying to the Affect of Margaret: A Reading of William Wordsworth's "The Ruined Cottage"

        강희원(Hee won K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비평과이론 Vol.20 No.1

        이 글의 목적은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정동 개념을 토대로 윌리엄 워즈워스의 「허물어진 오두막」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리오타르의 이론 속에서 정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리오타르에 따르면 정동은 의미작용의 네 가지 구성요소, 즉 발신자, 수신자, 지시대상, 의미를 통해 설명될 수 없는 것이다. 의미작용으로 환원될 수 없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동은 '있다.' 정동은 항상 쾌 그리고/또는 고통을 통해서 자신을 드러낸다. 의미작용과 정동의 관계가 이항 대립구조에 의거해서 파악될 수 없다는 점이 중요한데, 정동은 의미작용 '내부'에 있지만 그것에 의해 적절하게 포착되거나 재현될 수 없는 '외부'이기 때문이다. 리오타르가 정동이 드러나기 위해, 다시 말해 정동이 자신을 증언하기 위해 전달과 소통의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허물어진 오두막」에 대한 읽기는, 공동체 주변 외진 곳을 떠돌며 물건을 파는 행상인이 마가렛의 고통과 대면하는 과정, 좀 더 정확하게 말해 그녀의 정동에 노출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는 마가렛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 속에 스며들어 있는 정동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마가렛의 이야기 속 정동의 소리, 다시 말해 명확하게 재현되거나 이해될 수 없는 그녀의 신음이나 한숨, 중얼거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행상인은 이야기의 수신인으로서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고 이로 인해 불안과 두려움에 시달린다. 하지만 그는 결코 정동의 소리에 대한 귀기울임을 멈추지 않는다. 그리고 마가렛의 정동의 소리에 대한 노출은 행상인의 입을 통해 서술자에게로 전달된다. 의미작용으로 환원될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드는 정동, 즉 의미작용의 (불)가능 조건으로서의 정동은 이렇게 해서 워즈워스의 시인 정의 속에 함축된 윤리적인 차원을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o re-read Wordsworth's "The Ruined Cottage" on the basis of Lyotard's account of the affect. For this re-reading of "The Ruined Cottage," we first need to get the precise idea of the completely heterogeneous nature of the affect in relation to the representation. According to Lyotard, the affect should be defined as an inarticulate phrase in the sense that it negates the four poles of the articulated phrase: addressor, addressee, referent and meaning. But 'there is' an affect of pleasure and/or pain. The important thing to retain here is that the affect is nothing other than what is within and beyond the universe presented by articulate phrases. This leads Lyotard to claim that the affect manifests itself only on condition that it is infiltrat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which takes place in the articulate phrases. The reading of "The Ruined Cottage" begins by focusing specifically on how the Pedlar confronts the affect of Margaret. The Pedlar listens to the affectual tone within Margaret's articulated speech. At the moment when he exposes himself to the affect, he is compelled to momentarily give up the personal position of communication, but he never ceases to pay attention to the affect. The Pedlar also transmits to the narrator the story of his encounter with Margaret.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s highly significant because the affect testifies to itself by suspending or interrupting it. The way in which the Pedlar listens to the affectual tone of Margaret's voice and transmits the tale of silent suffering can be considered as a point of entry to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Wordsworthian poet.

      • KCI등재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정현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4

        Jungdong area in Seoul is well known as the place where a lot of foreign legations and consulates were located and the settlement for westerners during the Open-Ports Period. That is largely because Jungdong, west part of Seoul during the Open-Ports Period, was the first place where foreign people who came to Joseon settled down and established the first diplomatic offices. Moreover,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Paichai Hakdang and Ewha Hakdang and early protestant churches such as Saemoonan Church and J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were built in Jungdong. Jungdong area had been functioning as a center for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foreigners with foreign legations, hospitals, schools and churches in the 1880s and as a channel for introducing western civilization. After that, Jungdong area became to be noticed by many people as it had been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s of Joseon. After the King Gojong's flight to the Russian Legation in 1896,Gojong did not return to Gyeongbokgung Palace but chose Gyeongungung Palace at Jungdong instead as a new place to live in. As a result, Jungdong area grew into a new political center for Korea. The first reason why King Gojong chose Jungdong was that Gojong wanted to be free from Japanese influence an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tate by leaving Gyeongbokgung Palace. The second reason was that Gojong's high interest in western civilization was consistent with his new political idea, because western civilization particularly thrived around Jungdong area after its introduction to Korea. The reform of Korea headed by Gojong was conducted in Jungdong area which was the symbolic place of Westerners. It clearly shows that Gojong had a strong will to embrace western civilization for the policy of national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It means Jungdong area was changed into the political center of Gojong and Korea after Gojong moved to Gyeongungung Palace in 1897. Therefore, Jungdong was visually changed as a result of issuing a pass, limiting the construction of house and building, and enlarging Gyeongungung Palace. With these efforts, Gyeongungung Palace in Jungdong which was located at the western part of the city was transformed into the center of the capital. In addition, the area was developed into the political center as government offices were built such as Gungnaebu, Department of Royal Household, Weonsubu, the Marshal Headquarters or Supreme Military Council, the northwest Railway Bureau, military academy, all sorts of military establishments, the office of law revision or amendment, and the Mint Bureau. After that, as modern facilities such as electric trains and theaters were introduced and commerce was developed in Jungdong area, it was grown into the core part of the capital city of Korea. Also, as the city was reorganized around Gyeongungung Palace, Jungdong area became a place where new attempts and challenges of the Westernization occurred. Gojong's move to Jungdong and urban renewal project were very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 conventional Confucian space concept of Zhouli(周禮) which Joseon conformed to. King Gojong carried out his reform plan in accordance with the idea of Kooponsincham, 'base on the Old and mix the New(舊本新參).' His idea was reflected in Jungdong area, and thus Jungdong area, which had been a place for westerners, was transformed into a place of reform of Korea headed by King Gojong. However, after Japan defeated Russia in the Russo-Japanese War in 1905, Joseon was deprived of its sovereignty and foreign legations were withdrawn from Korea. As a result, Jungdong area rapidly declined. Therefore,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decreased,government offices for reform lost their power, and Sunjong, who was newly ascended to the throne, moved to Changdeokgung Palace. Even though Gojong kept trying to protect sovereignty of Korea and raise the national status, there was a limit to his reform. ... 개항기 정동은 조선에 서양인이 들어와 거주하고 처음 공사관을 세웠던 장소이다. 배재학당, 이화학당과 같은 근대적 교육 시설, 새문안교회나 정동제일교회와 같은 초기 개신교회도 모두 정동에 위치했다. 이에따라 정동은 조선 내 서양인의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정동은 24년(1896∼1919년)에 걸쳐 고종이 거주하고 집무한 대한제국의 정치적 중심지이자 상징적 구심점이기도 했다. 일본의 눈을 피해 정동으로 눈을 돌린 고종은 이 지역을 서양인의 공간이 아닌 고종의영역으로 재편하기 위해 다각도의 모색을 진행했다. 러시아 공사관에 거주하던 시기인 1896년 전후로부터는 군부를 통해 정동 통행을 위한 路票를 발급하여 정동의 통행을 제한했고, 경운궁으로 이어한 이후에는 궁궐영역의 확장과 주변 건축 제한을 통해 서양인의 공간을 축소시켰다. 1890년대 후반에 이르면 서양인의 거주와 상업 공간은 크게 축소되고,경운궁과 각 관서들이 정동에 다수 들어서서 대한제국 수도의 핵심으로성격이 변화하였다. 대한제국기 궁내부, 원수부, 서북철도국과 무관학교,각종 군사시설, 법규교정소, 전환국 등 근대 개혁 추진 기구, 전차 및 철도 등이 들어서면서 정동은 고종 황제와 대한제국 개혁의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었다. 대한제국기 고종의 각종 개혁 및 근대화는 정동을 배경으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한반도는 일본의 영향권 하에 놓이게 되었고, 광무정권의 상징적 공간이 되었던 정동은 오히려 외교권을 빼앗기고 보호국으로 전락하는 늑약이 맺어진 치욕적인 장소가 되었다. 고종과 대한제국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으나, 정동의 성격 변화와배치 구도는 개항 이후 구한말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근대화와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던 고종의 고민과 노력을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서양인의 공간으로만 알려졌던 정동은 대한제국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자주권을 수호하려는 역사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왕 고종의 시도와 한계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여전히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문화관광산업으로서의 상설극장운영에 관한 연구 : 정동극장 사례를 중심으로

        서정림 한국무용연구회 2010 한국무용연구 Vol.28 No.2

        This study analyzed Chongdong Theater specialized in culture tourism performance. Therefore it focused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strategy, and evaluation of Chongong Theater. It draws a conclusion based on analyzing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hongdong Theater; case study of their marketing strategy; and assessment. The resource such as the books articles, and thesis related to culture tourism. Visiting the venue and collected the program information, promotional materials and bylaw of the organization was practic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when I look ar their operation strategy, Chongdong Theater developed and specialized traditional arts as resource of tourism industry and emphasized on audience development such as providing art an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for young audience. Their strategy was successful to attract the national audience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audience. Second, Chongdong Theater's marketing brought the positive aspect of the voluntary return of the profit. However it has suffered insufficient production costs used to gain from the government. The venue also has the problem with geographical condition locating in the middle of the city which has small audience infra structure.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it attracted the attention of public providing distinctive programs and marketing strategy for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compared the external and internal assessment of Chongdong Theater by year, the rate of audience satisfaction increased steadily as well as oversea audience's satisfaction. The evaluation score was 80.5 (Year 2005), 82.5 (Year 2006), 84.1 (Year 2007), 86.2 (Year 2008). Therefore it contributed the positive effect on macro-social effect.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관광 상품화 전략으로 상설극장을 운영하는 정동극장을 대상으로 극장의 운영특성과 공연프로그램 및 마케팅 전략, 그리고 정동극장의 고객만족도를 통한 평가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정동극장의 운영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둘째, 정동극장의 공연 프로그램 및 마케팅 전략 사례를 짚어본 뒤 마지막으로 정동극장의 설립이후 지금까지의 수지변화추이와 내·외부 평가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 관광과 관련된 서적이나 논문을 바탕으로 이론적 이해의 폭을 넓힌 뒤 직접 정동극장을 찾아가 관련 자료(프로그램, 홍보물, 극장운영 정관 등)를 검토분석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동극장의 운영 특성으로 볼 때 정동극장은 전통예술의 발전과 보급, 문화 향수 층의 확대, 다양한 청소년 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중요한 운영목표로 삼아 국내외 잠재적인 문화예술 고객을 위한 관객개발에 힘쓰는 등 새로운 마케팅을 도입하여 성공적인 상설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둘째, 정동극장의 공연프로그램 및 마케팅 전략 사례로 본 결과 정동극장은 극장의 수익을 자율적으로 처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국고에서 충당되었던 공연제작비가 없어지는 어려움, 그리고 공연장으로는 관객 인프라가 적은 도시 한복판 사각지대라는 지리적 조건도 해결해야 할 상황이었지만 특색 있는 프로그램 및 마케팅 전략과 함께 주변 환경을 역이용한 기획으로 여론의 관심을 집중시켰다는 점이다. 셋째, 정동극장의 내·외부 평가 추이를 년도 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 80.5점(2005년)->82.5점(2006년)->84.1점(2007년)->86.2점(2008년)으로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는 정동극장의 성공적인 이미지 마케팅 사례를 볼 수 있었으며, 해외 관객에게도 관심과 만족이 꾸준히 상승하여 거시적인 사회성과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혐오의 정동

        이재준(Jae-Joon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4

        정동은 정동작용과 그 관념인 정서의 잠재성이며 인간 및 비인간 몸들의 강도적 관계이다. 정동 개념은 정서 표상의 충만한 의미에만 몰두하지 않고, 몸들에 영향을 주고받는 힘들의 가변적인 관계성에 주목한다. 정서는 이 힘들에 의한 증감의 효과이자 관념이다. 이와 관련해서, 정동적 관계의 존재론은 미학-윤리/정치를 함축한다. 혐오의 정동은 생존에 위협을 초래하는 힘들이 몸에 남긴 흔적, 특히 구토와 같은 내장적 영향과 관련된다. 그것은 타자가 자신의 행위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에 저항하는 강렬한 밀어냄의 잠재성이다. 혐오의 정동작용은 그러한 능력의 증감에 따른 관념들로 산출된다. 혐오 정서는 혐오작용 관념들의 표상이다. 혐오의 정동은 일상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행위 능력의 증감을 낳고, 정동적 사건들은 격리와 차별의 복잡한 사회 현실을 정당화한다. 혐오의 정동 논의는 법과 윤리 너머의 감성적인 세계에서 발생하고 작동하는 혐오의 현상에 비판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Affect is the viruality of affections just as perception is the virtual of perception, and the intens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bodies. Affections are traces of affect that comes together on their body. They are the notions (ideas) of affect and its perceptions. The notion of affections is a representation of emotions. In other words, emotions are the effec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of the powers (puissance) of the bodie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ategorized emotions, and are experiences of an existence produced from affect. The movement of affective powers allow us to grasp our experiences as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beings. Thus, the ontology of affective relationships implies the aesthetic-ethics and also the aesthetic-politics. Affect of disgust is ‘the intense viruality of out-pushing’ to resist someone’s decreasing his potentials. The effect the affect realizes is an increase in his potentials of the person to out-push the others away. A person who hates someone is rewarded with joy, and a person who is hated is rewarded with sorrow. And the serial movements of affect of disgust make hate phenomena complex social problems. In that, there is a very complex political relationship of feedback/feedforward related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our powers. The understanding of affect of disgust explains the everyday phenomenon of the disgusting and the disgusted. The affective events that led to a series of disgust-feelings function to justify the notion of exclusion and isolation in our feelings and experiences. In such an experienced reality, some transcendent moral norms and rigorous laws lose their power. Therefore, the explanation of affect of disgust follows the way through which hate phenomena can be analyzed by the feelings and experiences of social member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thesis is the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Almost every affect studies produce in Western part and East Asia emphasize th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In contrast with this 'general' tendencies of affect studies some studies of Korean 'left' group are eliminat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This tendency of affect studies in Korean academic world is the historical effect of sexism and colonialism in scholarly field. 정동 연구가 일종의 ‘붐’을 이루면서 최근 꽤 많은 논문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와 한국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 경향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의 정동 연구의 이론과 현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서구에서 정동 연구가 페미니즘과 젠더 이론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이어받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페미니즘 연구를 부정하는 입장이 강하다. 이런 경향은 한국 지성사의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논점이다. 한국에서 최근 산출된 논문의 경향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유형화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문학 연구나 문화연구 영역에 감성 연구와 정동 연구를 도입하는 경향이다. 두 번째로는 예술 존재론과 이미지 정치에 대한 논의에 입각하여 정동 논의를 전개하는 연구이다. 세 번째로는 에토스와 정동에 대한 논의로 세월호 사건 등을 비롯한 재난과 트라우마, 애도의 윤리와 정동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네 번째로는 정동 경제와 사회적인 것에 대한 논의이다. 다섯 번째는 혐오발화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사회의 혐오 발화에 대한 논의는 정동 이론과 페미니즘, 젠더/퀴어 연구가 결합한 전형적 사례라고 할 것이다. 미국과 유럽,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정동 연구가 다양한 이론적 원천을 계승하고 페미니즘을 모든 이론을 재검토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재정립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달리 한국의 정동 연구는 페미니즘 이론을 역사적이고 이론적 원천에서 삭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지식장과 학문장, 그리고 공론장에서 여전히 작동하는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된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페미니즘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야말로,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역능을 문란, 퇴폐, 부적절함, 근본주의적 불순분자로 배제하면서 구축된 근대적 주체성과 공론장의 한계가 반복되는 전형적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시민적 공론장의 형성과 재생산 과정에서 정동의 힘이 ‘여성화’의 방식을 통해 부적절한 힘으로 억압되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여기서 ‘여자 떼에 대한 공포’가 정동의 힘과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의 역능’을 제어해온 역사와 현실을 정동 이론의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또 이런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오늘날 이론의 재구성에서 정동 연구와 페미니즘의 결합은 가장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제공할 거의 유일한 역사적 이론적, 실천적 원천이라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

        征東行省 개조 시도와 14세기 몽골(원)-고려 관계 - 增置에서 立省으로 -

        최윤정 대구사학회 2024 대구사학 Vol.156 No.-

        본고는 고려에 설치된 정동행성을 둘러싸고 14세기에 지속적으로 제기된 소위 ‘입성론’, ‘입성책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동행성과 고려왕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였다. 1278년 충렬왕은 쿠빌라이에게 전쟁을 도울 것임을 약속하고 이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동행성의 지휘부에서 재상의 지위를 획득하여 몽골인 재상과 ‘共事’하는 형태로 권한을 확보하였다. 1287년 장기화되는 전쟁에 불만을 품은 동도제왕 나얀의 난을 계기로 충렬왕은 정동행성의 유일한 재상이 되었다. 그러나 쿠빌라이의 사후 변화된 대외 환경과 고려 내부의 부마들 간의 갈등을 계기로 그 지위는 동요되기 시작했다. 정동행성 개조 시도는 형식상으로 增置, 合省(合倂), 立省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增置는 몽골 조정에서 정동행성의 장관(평장정사)을 파견하여 고려국왕의 독점적 지위를 박탈하고 고려의 내정에 직접적으로 간여하는 것이다. 이 조치는 대칸의 승낙과 결단이 필요한 점에서 강력하고 위협적이었다. 2차례 增置 사태는 모두 부마들 간의 정쟁으로 초래되었고 활리길사의 활동에서 볼 수 있듯이 정치적 파급력도 컸다. 1차 증치 사태가 수습된 직후 1302년 요양행성의 홍중희는 정동행성과 요양행성을 합쳐서 하나의 행성으로 만들고 치소를 동경에 둘 것을 제기했다(합병/합성). 정동행성은 고려의 강역에 설치된 것이기에 합병이라는 방식으로 정동행성을 폐치함으로써 국왕이 가지는 省權을 박탈하여 고려를 무장해제 시키려는 시도였다. 1307년 무렵 정동행성과 고려왕권이 긴밀하게 결합됨에 따라(‘國王丞相’) 정동행성을 폐치하고 제국 내지와 같은 행성을 설치하자는 주장(立省)은 자동적으로 고려왕조의 멸절(‘削國號’)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런데 立省 제기 목적은 제안자와 시기에 따라 변화가 생겼다. 충선왕 복위 초 홍중희가 ‘立省’을 제안한 것은 고려왕조를 멸절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홍중희를 제외하면 이후의 입성 주장은 고려왕권, 고려국왕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모되었다. 1323년 부마 왕고를 국왕으로 세우려던 자들은 자신들의 시도가 실패하자 충숙왕에게 정치적 보복이나 처벌을 받게 될 것이 두려워 2차례나 입성을 주장하였다. 1343년 기철 등은 충혜왕이 ‘貪淫無道’하다며 立省을 제기하고 이후 국왕을 체포하였다. 요컨대, ‘立省’은 왕위를 노리거나 뺏긴 정치 세력이나 국왕을 공격하는 자들의 정치적 수단이나 구호로 변모하였다. 정동행성은 고려의 강역에 설치되었기에 반드시 ‘征東’이라는 冠을 유지해야 했고, 고려왕권과 결합되었기에 제국 내지와 같은 행성이 되어서도 안되었다. 정동행성 개조를 둘러싼 갈등은 본질적으로 고려왕권과 정동행성의 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종래 ‘원의 간섭’의 상징으로 이해되어 온 정동행성은 실상 고려왕권의 보호장치였고, 왕권과 긴밀하게 결합한 고려왕권의 일부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formation attempts of Zhengdong Province(征東行省), studies the nature of Zhengdong Provi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oyal power of Goryeo. Attempt to reform the Zhengdong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Sending additional prime minister(平章政事) appointed by the emperor (‘增置’), combining Zhengdong Province and Liaoyang Province into a single Pronvince(合省/合倂) and installing a new province(‘立省’). The appearance of these three forms reflects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hengdong Province and the Goryeokingship. Among the three forms, the most threatening is ‘增置’. This is because the Mongolian emperor’s approval was required to send a new prime minister to the Zhengdong Province, and directly influenced the King’s rule over Goryeo. Moreover it was all because of the political struggles of the sons-in-law of the emperor in Goryeo, so the political influence was considerable. ‘合省/合倂’ was raised once by Hong Joong-hee of the Liaoyang Pronvince in 1302, whose purpose was to abolish the Zhengdong Province to disarm the Goryeo Dynasty and intervene in the Goryeo political situation as before 1278. However, his attempt was unsuccessful in the end. Around 1307, Zhengdong Province was closely combined with the royal power of Goryeo, thus the abolition of Zhengdong Province and the installment of a new Province meant the demise of Goryeo Dynasty. ‘立省’, contrary to its meaning, is not threatening. It was used as a political means for personal safety if the son-in-law’s aides failed to compete for the Goryeo throne or committed crimes against the king. At this stage, the attempt to installation the new Province was aimed at attacking the Goryeo Kingship, not at abolishing the Zhengdong Province. Thus, the word ‘立省’ became the epitome of political attack on the Goryeo Dynasty. The reason why all of the above attempts have failed is that the Goryeo king’s status as a minister of the Zhengdong Province was acquired as a result of King Chungryul’s help with Kubilai’s war. A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f Yüan China, Zhengdong Province has been understood as a symbol of Mongol yüan’s political intervention in Goryeo for a long time, but it was actually a protective device for the Goryeo and was part of the Goryeo Kingship.

      • KCI등재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된 운동성과 정동

        이미경(Lee Mi-kyo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7 No.-

        This paper explores the motility inherent in the poem Flower Leaves written by Kim Soo-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First, we want to consider what determines the affect of a poetic subject, and discuss what variations the poetic subject exhibits by the affect that arise from it, and how it forms poetic meaning. Kim Soo-young dreamed of a revolution that changed the real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was obscured by ideological order throughout his life and increasing his existential ability from that perception. His poems are a figment of such a revolutionary process and an act of freedom. This is why Kim Soo-young s poems are constantly struggling in terms of no consciousness and existence as political ide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such struggles are a process from new perceptions to the realization of power that has arisen. This is inherent in Kim Soo-young s poetry as motility. Flower Leaves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 1 unfolds the potential world due to the inner agitation of the poetic subject. Chapter 2 requests that active variations of poetic subjects be conscious of the recognition of new reality. This request applies not only to the poetical subject himself but also to the community as a whole. In Chapter 3, the poetical subject is affetted by Sunja , resulting in a different time penetration into the Chronos. As a result, soonja becomes an eventful being and the poetic subject realizes a new poetic truth. This realization is that the people who have been victimized by modernity are constantly changing, creating and latent. Also, the revolution is only possible with the added vitality of the people. These poetic reasons unfold through chapters 1, 2 and 3 are expressed from the affect of the poetic subject. In each chapter, the poetic subject is affected by obtaining a suitable recognition from notio communis , which shapes Simulacre . Thus, the motility inherent in flower leaves can be attributed to the affect of poetic subjects who desire creative improvement. 본고는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하는 운동성을 정동의 관점에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시적 주체의 정동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그로부터 발생한 정동으로부터 시적 주체가 어떤 변용을 보이며, 그것이 어떻게 시적 의미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김수영은 이데올로기적 질서에 의해 가려진 현실을 인식하여, 그 인식으로부터 존재론적 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혁명을 꿈꾸었다. 그의 시는 이에 대한 형상화이며, 그러므로 자유의 이행이다. 그는 “진정한 참여시”를 지향하였기에 그의 시 텍스트에는 무의식과 실존의 차원에서의 부단한 고투가 벌어진다. 정동의 관점에서 보면, 그 고투는 어떤 질서 속에서 관계들이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 즉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 시적 주체가 정동적 사유를 통해 시적 진리-행동에의 계시-에 이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 텍스트에 운동성으로 내재한다. 「꽃잎」은 총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은 형성하고자 하는 시적 의미에 따라 발화 양태를 달리한다. 1장에서는 1인칭 독백체의 형식으로 “옥수수잎”에 정동된 시적 주체의 내적 동요와 그로 인해 열린 잠재적 세계가 펼쳐진다. 2장에서는 일상적인 혁명이 공동체의 혁명으로 현실화되는 일종의 방법론이 펼쳐진다. 존재 내부의 변이와 생성의 힘이, 새로움의 인식으로 의식화되어 공동체 전체로 확장됨으로써 공동체의 혁명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이전 질서에 대한 잊음과 새로움의 인식에 대한 믿음도 요구된다. 이러한 시적 전언은 “꽃”의 이미지 운동에 의해 형식적으로도 구현된다. 2장의 발화 형식이 청자를 특정하지 않은 대화체가 사용된 것 역시 이러한 의미 구축과 관계가 깊다. 3장에서는 시적 주체가 “순자”와의 불일치하는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다. 주체의 정동으로 ‘다른 시간’이 틈입하고 이로써 “순자”는 사건적 존재가 되어 타자로서의 ‘민중’을 제유하게 된다. 시적 주체는 이를 통해 혁명을 완성시키는 것은 현재에 잠재된 ‘민중’의 생명력을 발견하고 결합하는 것이라는 시적 진리를 발견한다. “순자”를 특정하여 대화체로 시상을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의미의 형성과 관계된다. 1, 2, 3장을 통해 전개되는 「꽃잎」의 내용은 시적 주체의 정동과 그로부터 발현된 정동적 사유라 할 수 있다. 시적 주체는 다른 신체와 일치, 혹은 불일치의 통념-관념에 의해 능동적으로 정동되어 잠재적 세계를 형상화하면서 시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꽃잎」의 텍스트에 내재된 운동성은 시적 주체의 정동으로부터 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

        조강석 ( Cho Kangsok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8 No.-

        스피노자는 정동을 “신체의 행위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신체변용이자 그것의 관념”으로 규정한 바 있다. 그의 평행론에 입각해 이를 원용하자면, 인지적인 것이 정서에 작용하는 것과 같이 정념이 인지적 작용의 연쇄로 이어지기도 한다. 어떤 관념의 연쇄는 신체변용과 정서적 변이를 수반하며 정동적 반응의 도화선(trigger)이 될 수 있다. 텍스트-관념-신체변용-정동적 동요로 이어지는 연쇄를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 텍스트는 정동을 단지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효과적으로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독자의 정동적 반응을 촉진한다. 즉, 문학 텍스트는 재현과 표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연쇄적으로 생성중인 텍스트-정동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텍스트가 재현이나 표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텍스트-정동이 된다면 우리는 텍스트의 전언과 더불어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선의 경우 이미지는 기성의 인식을 뒤흔들면서 정서적 변이와 정동적 동요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한편, 정동적 문학읽기가 단지 정서적 태도나 정동적 주제를 탐색하는 것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도 우리는 텍스트의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는 세상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배치를 만들어내며 그 자체로 사회적 삶을 살기 때문이다. 정동적 문학 읽기는 명료한 정보와 사회사적 이해에 기반한 비판적 독서가 아니라 삶의 구체성을 전달하는 정동적 언어의 효과를 드높이는 독서에 가깝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1980년 광주를 다룬 황지우의 시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김숨의 연작 소설을 예시하여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중요한 것은 텍스트의 정동이 여러 신체의 연동의 결과이며 나아가 그 스스로가 여러 신체에 연동된다는 사실이다. Spinoza explained the concept of ‘affect’ as follows. “By affect I understand affections of the body by which the body’s power of action is increased or diminished, aided or restr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ideas of these affections.” To use this definition based on his parallelism, affects may lead to a chain of cognitive actions, just as cognitive things act on affects. A chain of ideas involves affections and emotional variations and can be a trigger for affective responses. It is possible to assume a chain that leads to text-concept-affections-affective fluctuations. The Literary text promotes the reader's affective responses. In other words, the literary text is not for representation,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ext-affect itself that is being generated in a chain.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s along with the message of the text if the text does not remain in mere reproduction or representation, but turns in text-affect itself. In the best case, images shake the pre-assumed recognition and trigger emotional variation and affective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for affective literature reading not only explores emotional attitudes or themes, but w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 of the text. This is because the image creates a new perception and placement of the world and lives a social life. Reading emotional literature is not a simple critical reading based on clear information and soci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but rather a reading that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affective language that conveys the tangibility of life.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ading literature affects by exemplifying Hwang Ji-woo's poems dealing with Gwangju in 1980 and Kim Soom's serial novels dealing with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What is essential is the fact that the affect of the text is the result of the linkage of various bodies, and furthermore, it is linked to the reader's body.

      • KCI등재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적 글쓰기와 ‘자연-정동’의 구조화 과정

        신진숙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4

        Emotionality —feminist emotion and affect— has been regarded as women's primary agency in contemporary feminism. Affect and emotions are rendered as important keys to enable feminists to construct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is differently situated. This reorientation named ‘affective turn’ in feminism can renew ecofeminist writings and perspectives, which also can help to think of ‘the East Asian’ ecofeminism discerned from the Western. In this sense, this essay surveys writings and structuring the affective life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nature(human and non-human) labelled ‘nature-affect’ in the East Asian ecofeminist literature, focusing on works written by East Asian Woman Writers, such as Korean writer Han Kang’s novel Black Deer, Chinese writer Chi Zijian’s novel At the Peak and Japanese writer Tsushima Yuko’s works I.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affective life as bodily capacities which can ‘affect and be affected’ in encountering others and the ‘affect-nature’ (bodies affected by nature) as the material and symbolic interrelation between women marginalized and nature (non-human or animals), both act and transform the existing world. In the conclusion, it suggests why different and dissonant affect and emotions rather than the empathetic sameness are necessary to construct feminist solidarity for future. 이 글은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한중일 문학작품에서 자연과 여성이 조우면서 생성되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정동과 감정들에 주목하고, 정동적 차원들이 글쓰기를 통해 이러한 정동적 관계들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공통적인 것으로 생산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감정, 즉 페미니스트의 감정(emotion)과 정동(情動, affect)에 관한 이론은 페미니즘 이론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동과 감정을 기반으로, 국가와 민족, 상황과 위치의 차이들을 지닌 페미니스트의 연대를 재개념화하고 새로운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정동적 페미니즘의 경향은 여성과 자연의 관계성에 기반을 둔 에코페미니즘적 사유체계와 실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는 이러한 가능성을 정동적 에코페미니즘(affective ecofeminism)이라는 관점으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문학 작품들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문학작품을 통해 에코페미니즘을 사유한 것은, 젠더와 자연을 연결시키는 에코페미니즘의 대표적인 실천 전략이기도 한 ‘글쓰기’가 감정 그 자체를 다른 어떤 실천 전략에서보다도 중요하게 다룰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연-정동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화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글쓰기는 여성 주체의 정동적 삶과 자연의 조우,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정치-경제-문화의 콘텍스트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동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사유하였다. 이 글에서 다룬 작품은 정동적 에코페미니즘의 함의를 풍부하게 지닌 한중일 여성작가의 작품들 중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주요 모티브로 활용하면서 자연과 여성 사이의 정동적 감응 과정을 풍부하게 반추할 수 있는 최근의 소설들로 하였다.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작품의 배경을 동아시아의 변방(환동해지역)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압축적으로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을 거친 한중일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주변화 되어온 장소에서 여성 존재들(소수 민족/소수자)들의 자연-정동을 살펴보고, 이를 공통적인 것의 생태학이라는 관점에서 의미 부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