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총후 부인, 신여성, 그리고 스파이 - 전시 동원체제하 총후 부인 담론 연구 -

        권명아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2 No.-

        One of the difficulties in discussing the 1936~1945 period in Korea is that of nomenclature. In the long time this period is called “Dark age”. It is to say this era is represented symbolic expression. Obliteration of Korean language and identities by Japan’s “go fast imperialism” carving a seal deepest damage to Korean people. “Dark age” means this complexities of Korean National memory. In this reason the prime issue to this era is National Identities. The remnants of imperialism: The compulsory changing from Korean Identities to so-called “great emperor’s people” have been the prime issue to this era. Though the importance of this issue so the problem of National identities have dominate the study of this era that many multiple problem have been neglected. For example the problem of women, the different position of women and men in colonized, the different position of elite and ‘mass’, the different position of elite women and low class women etc. That is to say the position of subaltern in the colonized. This study is research for the position of subaltern in the colonized.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National identities and differentiated subject positioning in 1935~1945 in Korea this study verify the anxiety of the colonized. 본 논문은 일제 말기 총동원 체제하에서 총후 부인이라는 정체성이 새로운 방식으로 재조직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후 부인이라는 정체성이 새롭게 배치되는 것은 총력전 체제가 일본 가족 국가주의를 모델로 하고 있으며 동시에 총력전의 단위가 가정으로 정초되기 때문이다. 총후 부인 담론은 총동원 체제가 가정을 단위로 정초되면서 중요하게 부각된다. 총후 부인은 후방 관리와 총력전, 장기전에 대비한 주체를 건설하는 담론이다. 총후 부인의 총동원 체제 하의 역할이 주로 후방 관리, 교육, 물자 동원 등에 집중된 것은 총후 부인이라는 정체성이 총력전과 장기전과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조선에서 총후 부인의 정체성은 특히 신여성의 정체성을 강하게 부정하고 구시대적 여성을 새롭게 조직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특히 신여성에 대한 혐오와 거부는 자유주의적이고 공산주의적인 여성에 대한 파시즘 운동의 영향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조선에서 신여성은 자유주의적 여성과 공산주의적 여성이라는 혼합된 정체성을 동시에 함축하는 방식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특히 신여성에 대한 혐오는 스파이 담론과 밀접하게 연결되는데 이는 독일과 이태리에서 벌어진 파시즘적 ‘정화 운동’과도 긴밀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총후 부인 담론은 정치 영역에서 배제되었던 여성들을 정치의 영역으로 소환함으로써 당대의 여성들이 총동원 체제에 봉사하는 것을 일종의 해방의 기획이나 권리 획득의 기회로 간주하게 만든다. 당시까지도 법적인 무능력자에 속했던 ‘부인’들은 총후 부인이 됨으로써 정치적 행위 능력을 갖게 된 것이다. 또한 총후 부인 담론을 통해 가정이 민족과 국가의 재생산의 기초 단위로 재정립되고, 가정이 외부의 적에 대항하여 ‘민족 구성원’의 절멸에 대항하는 최후의 보루라는 이념이 주창된다. 또한 이러한 가정에 대한 이념은 서구에 대항하는 동양적 가치라는 이름으로 주창된다. 이는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인들의 가정 관념을 지배하는 것이다. 총후 부인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았을 때 총동원 체제 속에서 일제의 식민 정책은 특정 집단, 인종, 정체성에 대한 증오를 불러일으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내면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민족 말살과 같은 강제적인 정책 관철의 방식을 간과할 수는 없다. 그러나 총동원 체제의 이념이 외부로는 서구, 그리고 내부로는 퇴폐적인 지식인과 방탕한 신여성에 대한 맹렬한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이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안과 바깥을 향한 증오와 적대감에 기반한 청년과 총후 부인의 정체성은 해방 이후에도 대중 동원을 위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로 다시 소생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파시즘 연구에서는 독일, 이태리의 파시즘화뿐 아니라 양차 대전을 전후한 세계 체제의 변화를 파시즘이라는 분석틀을 통해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고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일제의 식민지 통제를 파시즘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전시 동원 체제 조선의 변화를 파시즘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이 시기 황민화의 과정이 자발성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피식민 주체들에게 어떻게 내면화되는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고는 피식민 주체뿐 아니라 여성, 하위 주체, 비서구 인종의 정체성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편적 어펙트 연구 비판과 젠더․어펙트 연구-방법론과 지적 원천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권명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3 No.-

        This study examines the topographic map of affect studies after ‘affective turn’. The methodological debate between affect research and feminism is hot after the ‘affective turn’ In particular, the intellectual source of affect studies and criticism of ‘the universality of affect’ have been controversial through feminism, queer research, and critical racism studie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ic map of affect studies after ‘affective turn’ is methodology and systematization different from general theory. In addition, the search for methodologies tha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each of feminism, queer theory, critical racism studies and affect theory connects different theories through debate and connection. This methodology is also a process in whic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specially qualitative studies), which have explored subjectivity and politics, struggle to rebuild the politics of academic methods against the advent of new scientism, including data science and life science. 본 연구는 ‘정동적 전환’ 이후의 정동 연구의 지형도를 고찰한다. ‘정동적 전환 이후’ 어펙트 연구와 소수자 연구 사이의 방법론적 논쟁이 뜨겁다. 특히 어펙트 연구의 지적 원천, 어펙트의 보편성에 대한 비판 등이 페미니즘, 퀴어 연구, 비판적 인종차별주의 연구 등을 통해서 논쟁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펙트 연구나 이를 비판하고 대안적인 어펙트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는 연구 양쪽에서 이런 논쟁은 방법론화를 더욱 촉발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정동적 전환 이후 정동 연구 지형도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 이론과는 다른 방법론화와 체계화이다. 또 소수자 이론과 어펙트 이론 각각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방법론 모색이 논쟁과 연결을 통해서 서로 다른 이론을 연결하고 있다. 또 이런 방법론화는 주체성과 정치적인 것을 탐구해온 인문과학과 사회과학(특히 질적 연구)이 데이터 과학, 생명과학을 비롯한 새로운 과학주의의 도래에 맞서 학문 방법의 정치성을 재구축하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동시에 새로운 연구자들로부터 분출하는 어펙트 연구에 대한 관심, 소수자 연구에 대한 요구에 대응해야 한다는 ‘절박함’과도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는 어펙트 연구와 소수자 연구 사이의 논쟁과 방법론의 쟁점을 살펴보고 어펙트 이론의 보편화를 비판하는 대안적 어펙트 이론이 제기하는 논점을 정리한다. 또 대안적 어펙트 이론의 쟁점이 그간 젠더․어펙트 연구로 제안해온 본 연구자의 연구 방법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 대안적 어펙트 연구의 쟁점과 젠더․어펙트 연구 방법론을 토대로 비서구 어펙트 이론 방법론을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불/가능한 싱글 라이프-번역가능성과 번역불가능성 사이의 삶과 죽음-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여성문학연구 Vol.26 No.-

        There are beings who vanish in cold rooms alone without a protective layer from family or partners. They vanish not only from private life but from public spheres of career and work. Previous literature has focused on diverse socio-structural factors that make survival impossible including financial crisis, unstable employment,decreasing social welfare, the advent of Neo-fascism, etc. This paper explores the boundary of survivability and the origin and current situation of single life from the viewpoint of gender,especially focusing on the im/possible single life of women writers. The term 'single life' refers to lifestyle but also conveys 'singularity' of subject position and the nature of the existence of female writers as translator-poets (by Jacques Derrida).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ingle life of women from the late 1980s to now, I investigate how to theorize the political implications involved in women's choice and resolution of their lifestyles and power. In this investigation, I keep in mind also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in Korea. Just 20 years ago, many Korean scholars had a strong interest in gender issues and they argued, "We need more feminism!" However, nowadays, feminism is no longer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is the case not only in scholarly fields but also in mass media and the public sphere. The dominant perspective on feminism among ordinary people is "We've had enough!" or "No more feminism!" Yet the question “Who does ‘we’refer to in that sentence” challenges that perspective. The more critical issue to handle is from where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originates, especially regarding power, political position,and the representation of womanhood. 가족이나 동료 관계와 같은 보호고치가 없이, 홀로 차가운 방 속에서 소멸해가는 존재들이 있다. IMF, 고용 불안정, 양극화, 청년 실업, 사회복지의 축소, 새로운 파시즘의 도래 등 내세울 수 있는 이유들은 무수히 많다. 생존 불가능성의 사회적,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는 글들은 이미 너무 많다. 따라서 이글은 생존가능성과 불가능성의 경계에 대해 이와는 조금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글의 주안점은 첫째로는 싱글라이프의 기원과 귀착점, 그리고 그 젠더적인 차원에 대한 규명이다. 싱글 라이프라는 용어를 통해 이 글은단지 독신이라는 삶의 방식만이 아니라, 삶의 방식의 특이성(singularity)과작가로서의 존재 방식의 특이성의 문제를 함께 사유해보고자 한다. 후자의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에서는 특히 번역가-작가로서 여성 작가의 존재 방식의문제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이 글에서는 여성이 싱글 라이프를 선택하는 것이 하나의 정치적 결단이었던 1980년대와 싱글 여성의 미래가 고작 “구호 대상”으로 간주되는 2011년의 낙차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 낙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삶의 방식에 대한 선택과 결단의 정치적 함의와 이에 대한이론화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이를 토대로, 싱글 라이프의생존 불가능성이 단지 신자유주의적 구조하의 새로운 문제일 뿐 아니라, 번역가-작가라는 특정한 존재 방식과도 관련된 문제라는 점을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의 반헤이트 스피치 운동과 이론에 대한 비교 고찰: 차별의 역사적 구조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The paper aims to compare the discussion of 'hate speech' in Korea and Japan. Currently, the debate on hate speech has spread considerably over the years in Korea. The debate over the definition of 'what's 'hate speech' has gone beyond and has entered a phase where a little further discussion is possible. In Korea,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hate speech is being discussed separately in two areas, 'hate' and 'expression', resulting in a number of problems. Hate speech is often considered a part of hate discourse as there is an explosion of hate discourse in the absence of social debate on discrimination or hate politics. In Korea, various discussions on Hate Speech take place, but in the end, the issue of legal regulations and the opposition to and the severity of regulations will be centered. Theoretical exploration is also focused on discussing the conduct of language, law and emotions. Of course, the problem is not the theory itself that emphasizes language performance or language practi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discussion of language, emotions and laws is not balanced with the discussion of the historical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discrimination. 이 글에서 필자는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현황과 대응을 비교하고 논의 방식과 대응책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논의는 몇 년간 꽤 확산되었다. ‘혐오 발화가 무엇인가’라는 개념 정의에 대한 논란 단계는 이제 넘어서 조금은 심도 깊은 논의가 가능한 단계로 진입했다.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대응과 논의는 ‘혐오’와 ‘표현’이라는 두 영역으로 분리되어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여러 난관을 맞고 있다. 헤이트 스피치나, 차별, 증오 정치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거의 부재한 상태에서 최근 몇 년간 ‘혐오’ 담론이 폭증하였고 헤이트 스피치는 혐오 담론의 일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헤이트 스피치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지만, 결국 법적 규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혹은 규제 강도 등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혐오에 대한 논의나 버틀러의 해석에 대한 논의, 마사 너스바움의 감정과 법에 대한 논의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헤이트 스피치 연구와 대응은 일본의 식민주의, 차별주의, 배외주의의 역사와 구조, 제도를 탐구하고 그 문제에 대한 이론적, 사회적 대응을 촉구하는 일과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는 헤이트 스피치 연구는 한편으로는 법적 제재 여부에 대한 논쟁에 기울어져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버틀러, 마사 너스바움 등의 정서와 언어 수행성, 언어실천을 강조하는 이론에 크게 기울어져 있다. 물론 이론적 경향은 그 자체로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언어 실천에 대한 이론적 기울어짐은 차별의 역사적 구조와 그 특이성에 대한 논의와 균형을 이루거나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 논의는 역사와 구조가 사라진 채 법적 판단과 ‘열린 해석 투쟁’의 영역으로 모호하게 축소와 확대를 반복하고 있다.

      • KCI등재

        젠더·어펙트 연구에서 연결성의 문제: 데이터 제국의 도래와 ‘인문’의 미래

        권명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7

        In today’s Korean society, gender has become the concept that causes the most conflict. For those who oppose the concept of gender since it damages “biological sex,” it is an “enemy” that destroys humans’ inborn nature and Korean societal traditions that should be protected. In such discussions, biological sex belongs to the past since it refers to originality, while gender is unknown and transplanted from the outside, and also is futuristic because it is something new that threatens our reality. Political groups calling themselves neoconservatives have established the Gender Conflict Resolution Board to advocate their key ideal: gender conflict here implies the “threat to be eliminated” for the new conservat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newed past.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ruling political party, claiming to advocate liberalism, has proclaimed the beginning of “AInomics,” referring to its national strategies of forming economic polic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the future. AI-nomics is depicted as a more “technology-based future” that is gender-neutral and that the national community must prepare for in a systematic manner. The AI-nomics initiative of the current government is an effective strategy to avoid physicality-related conflicts based on the human body (typically, conflicts in gender) by desomatizing, denaturalizing, and dehumanizing technology and consequently generating discussion that misleads people to think that technology is gender neutral. Such a policy stance is also related to the myth of AI autonomy, symbolized by the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and arguments that replacement of the human bod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s an irreversible change—represented by the viewpoints of government officials who believe that massive layoffs of female highway toll collectors were inevitable due to the replacement of labor by technology that would have made such jobs disappear anyways. The heterogeneous strategies of gender claimed by the far right, the “new conservatives,” and liberal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s, narratives and prospect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Heterogeneous judgments of the past and the future are also inseparable from the creation of narratives of, granting values on,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physicality and connectivity. The idea of and political stance on gender have a close relation to the granting of value on the judgments and direction of physicality (including embodiment, trans-embodiment, and re-embodiment) and connectivity (changes in connectivity between humans and humans, humans and society, humans and non-humans, humans and technology, and through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initiate discussion with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body as keywords towards making a critical and theoretical intervention into reality regarding such a future strategy. This study also attempts to highlight the issues of gender and affect studies by comparing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into reality in regards to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body.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past and the future rendered in discussions about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the body in national policy as a strategy for Korean society’s future. Then, by contemplating various discussions hostile to the phenomenon known as the “Cho Kuk Scandal,”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atic issues that are always resolved from the confrontational aspects of the possibilities of populism (competencies of the multitude) and malaise (fascist spontaneity of the public). Also, by suggesting confrontational arguments of radical feminism and intersectional feminism in regard to the theory of gender dissolution, this study compares and contemplates discussions on xenofeminists’ declaration claiming intersectional feminism and gender dissolution theory at the same time... 이 연구는 젠더, 정동(어펙트), 연결성이라는 세 개념과 관련된 이론적․현실적 쟁점을 다루고 이론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한다. 세 개념 모두 이론적․현실적으로 과도할 정도로 많은 논란이 따르고 있어, 개념이나 이론의 문제로 다룰 때 많은 난관에 봉착하곤 한다. 젠더는 페미니즘 이론의 기본 개념이지만 이론의 역사나 이론에서의 개념 정의와 무관하게 현실에서는 난감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젠더와 관련된 많은 사안이 거대 권력과 대형 미디어, 대립하는 세력들의 담론 투쟁에 휩쓸려 불타오르고 있어 이론이 다루기에 도저히 역부족인 상태까지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런 파국에 이르게 된 여러 원인과 구조를 파악하는 일도 젠더 연구의 큰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그런 연구의 한 과정으로서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관련된 이론적․현실적 쟁점을 국내외의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담론 투쟁의 파국을 이론으로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신체에 대한 상이한 이론적 대응 방식과 현실 개입 방식을 비교하여 젠더 연구와 어펙트 연구에서 진행 중인 논점을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 사회의 국가 정책에서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신체에 대한 논의가 그려내는 과거와 미래를 분석한다. ‘적폐청산’을 강조하던 정부 기조가 ‘4차 산업 혁명’, ‘AI 노믹스’를 내세운 ‘미래 전략’이라는 담론 프레임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국가 정책 기조에서 시간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시간성의 변화는 젠더와 신체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게 이 연구에서 논하고자 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미래 전략이 ‘AI 노믹스’로 전환된 것은 한국 사회만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 담론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을 통해 미래 전략을 재구성해야한다는 요청은 이제 교육, 삶, 돌봄, 재생산 등 삶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이다. 돌봄을 정동 체계의 하나로 분석해온 페미니즘 이론에서 과학 기술과 미래에 대한 논쟁이 다시 대두한 것은 이런 사정과 관련된다. 그러나 젠더 연구와 과학 기술, 그리고 다가올 것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지 않다. 4차 산업 혁명 담론이나, ‘AI 노믹스’가 국가 전략이 되는 시대, 페미니즘 이슈는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의 대립과 갈등의 주위를 맴돌고 있다. 이 역시 매우 징후적이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젠더․어펙트’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여 규명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해 페미니즘을 ‘혁신’할 것을 주장하는 제노페미니즘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 “젠더 해소론”을 둘러싼 래디컬 페미니즘과 교차성 페미니즘의 대립적 논의를 전제하면서 교차성 페미니즘을 주장하면서 젠더 해소론을 주장하는 제노페미니스트 선언의 논의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테크노 페미니즘의 논의와 정동 연구에서의 테크놀로지와 디지털화 그리고 몸의 관계에 대해 비교 고찰한다. 이 고찰을 통해서 테크놀로지와 몸에 대한 극도로 이질적인 사유들이 미래를 구상하는 대립적인 관점에 다름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몸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젠더 연구와 정동 연구의 문제의식은 신체적 물질(bodily matter)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면서 신체에 대 ...

      • KCI등재

        전쟁 상태적 신체와 슬픔의 공동체 : 냉전 체제의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한 담론과 정념 공동체의 위상

        권명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6

        냉전 하에서 슬픔은 한국의 국/민 혹은 국/가 형성의 원자료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슬픔이 원자료라는 것은 그것이 국/민과 국/가라는 찢겨진 형태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기본 질료였다는 의미인 동시에, 그 슬픔이 질료라는 점에서의 물질성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슬픔은 식민지 경험과 전쟁을 토대로 발생된 것이기에 후식민화 시기 주체 구성에 있어서 질료적 물질성과 구체성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냉전 하에서 이 질료는 국민화라는 기제에 과도하게 ‘동원’되었다. 하여 슬픔을 원자료로 한 가상들(주로 심미화의 기제나 정전화, 기념물과 의례, 민족 정서라는 집합적 정념의 구축물 등)은 이러한 국가주의적 작업(work)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그러나 ‘식민지 이후’라는 심정적, 현실적 맥락에서 슬픔이 질료적 물질성을 갖는 것이라고 할 때 이 슬픔이 역사적으로는 국가주의로 전유되었으나, 슬픔 자체가 국가주의적 속성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후식민화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도출된 슬픔이라는 원자료를 국가주의적 전유의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사유해야 할 필요성 또한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In many ‘testimony’ that report the suffering and painful memory of massacre of Korean War we can find most of statement of ‘the survival’ is commingled with ‘cry, sobbing and anger, etc’. May be we can regard this kind of ‘non-verbal’ expression as the symptom of trauma. As a symptom of trauma this ‘non-verbal expression of body: cry, sobbing and anger’ is rendered the object of healing and sympathy. With deep sympathy we, as ‘the interpreter’ or as ‘the listener’ are regarded this ‘body’ as the pathological one which different with general state of the subject. So this studies start from the suggestion that we have to change our frame of interpretation regarding this ‘pathological body.’ This body which state their suffering barely with cry and sobbing, and anger, and which appeal to ‘us’ the impossibility to state in ‘verbal’ expression is the body ‘still’ live with war state even after officially the War was end. I determined these kinds of body as ‘the war- state body.’ These war state bodies are regarded as the figure of the subject which constituted by non-compromised division between the ‘memory of massacre’ and the policing order of ‘to be survived.’ In this article I speak about ‘the war- state body’ and it’s affect based on the case studies about the ‘oral statement’ of the victims of 4.3 massacre in 1948, and the documentary film Grandmother’s flower(Mun Jung Hyoun, 2007), which about the massacre in Korean War, and Na Mok(The bare tree, Park Wan Seo, 19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