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류 5.0 시대를 위한 한복문화 정책과 전략

        윤양노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3

        The status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s been growing and the color and design also have been diversifying due to the national policies, such as Han-style and Han Brand, the K-drama and K-pop in the 21st century.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Hanbok) has been already settling as tradional Korean costume culture, not remaining as just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at is a dress code for Korean’s identity. This study aimed at dividing the policy for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and the strategy for the policy of the generation from K-1.0 to K-4.0 into 3 periods, plan formation period, developing period and maturing period and reviewed them. With this, we tried to help establishing the policy and strategy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in K-5.0 generation. Since the policy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started in 2012, the policy of it has got the significant result. Especially, according to the policy from 2014 to 2016, 50 projects were progressed and 58% of them were conducted in 2016. Until 2017, the conduct of the policy of traditional costume was actively progressed in the local levels of government rather than Seoul, it was the one-time events or culture event of experience for wearing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For activat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the project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s to be grown together. In 2018, as seeing the projects relat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at was conducted in Seoul, there were many different features such as creating new jobs, industrial activities and enjoying culture. Most of all, for leading developmentally and stably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a law on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 training Hanbok Culture Leader and establishment of Hanbok larchiveum. The support policy of empowerment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that can be a role as a platform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and to settle the stage for conducting a successful policy. 한국 전통의상의 위상이 커지고 색채와 디자인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21세기 한식과 한브랜드, K-드라마, K-pop 등 국가정책 때문이다. 한국 전통의상(한복)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위한 복장규정인 '전통 의상'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 전통의상 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 정책과 세대 정책 전략을 K-1.0에서 K-4.0까지의 3개 기간으로 나누어 계획형성기간, 개발기간, 성숙기간으로 나누어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K-5.0세대에서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12년 한국 전통의상 정책이 시작된 이래 그 정책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정책에 따라 50개 사업이 진행됐으며 이 중 58%가 2016년에 이루어졌다. 2017년까지는 서울보다는 지방차원에서 전통의상 정책행사가 활발히 진행되어 지역 간 차이 없이 한복을 입는 체험행사나 문화행사가 이루어졌다.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의상 프로젝트가 함께 성장해야 한다. 2018년 서울에서 진행된 한국 전통의상 관련 사업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산업활동, 문화 향유 등 다양한 특징이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발전적이고 안정적으로 한국 전통의상을 선도하기 위해, 정부는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 진흥, 한복 문화 지도자 훈련, 한복 라비폼 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복선진화센터의 역량강화 지원정책은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발전시키고 성공적인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동양철학 : 당대(當代) 중국(中國)의 전통문화(傳統文化) 복원운동(復原運動)의 철학적 함의와 그 전망

        연재흠 ( Jae Heum Ye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중국 대륙에서 傳統文化와 思想은 근 100여년의 시간동안 역사의 격변을 거치면서 타도의 대상에서 계승해야할 遺産으로 탈바꿈 되었다. 오늘날 중국 정부와 학계, 민간에서는 빈부격차, 가치관의 부재, 정신적 의지처의 상실 등 경제발전이 남긴 부작용을 儒學을 중심으로 한 전통사상과 문화의 복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중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사회주의 이론체계들을 고수하면서도 儒學을 이용하여 사회적 안정과 통합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버팀목으로 삼고자 한다. 민간의 경우 경제발전을 통해 민족적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자 전통문화 복원과 선전을 통해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중국문화를 세계에 선양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사상의 복원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전통 속에서 문화적 통일성과 정신적 안식처 그리고 새로운 가치체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비판적 계승론자나 당대 문화보수주의자들은 전통문화와 사상이 현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전통사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통해 현대화의 부작용을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전통과 문화를 일종의``力量``(power)으로 간주하는 대륙의 비판적 계승론자나 문화보수주의자들의 관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우리에게도 전통문화와 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현실문제 해결의 계기를 모색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Over 100 years in Mainland China,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past must be sublated`` to ``the heritage must be preserved.`` Today, China hopes to deal with the negative effects of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absence of common values etc.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especially that of Confucianism. The Chinese government superficially accepts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stabilization and ongo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y keep the Socialism as the nation`s ideological system. In the private sectors, there is endeavoring move to make the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global paralleled to their economic growth. There are also scholars who find the cultural unification and the spiritual comfort from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y, so called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believe that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could play a role in the Chinese modernization, and the ne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ir tradi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ir future. In my view, we need a careful survey on the view of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who regard tradition and culture as a power (力量). With this, we are required to investigate our own problems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 KCI등재

        전통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연구

        송준(Song, Jun) 한국민속학회 2014 韓國民俗學 Vol.60 No.-

        이 글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기반조성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전통문화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통문화교육 지원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우리나라는 2003년에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부처 간 협력을 표방했지만, 근대 이후 고착화된 우리나라의 경쟁적인 사회구조로 인해 현재까지도 효과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시대적 중요성을 갖는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정부 부처 간 협력 시스템의 구축은 아직도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의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전통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떻게 정책기반을 조성해 나가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책기반 조성방안은 크게 행정적인 측면에서 지원 및 협력체제 구축방안과 전통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반 지원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법적근거 구축방안으로 구분했다. 전통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인적자원부가 관할하고 있는 학교 전통문화교육 분야에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 부문 예산, 인력, 시설 등의 자원이 효율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아울러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범위를 개편하여 전통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으로서의 구체적 실현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을 통해 전통문화교육과 관련된 각 부처의 협업체제 및 지역단위 별 장기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search for the improvement plan to its supporting systems. In 2003, although th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made cooperating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there is no effective reform to this very day because of the competitive society. And so,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contemporar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should make the policy foundations in order to invigorat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y foundations is generally divided in an administrative sense into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uppport and collaboration systems, and the legal basis that can carry out the affair supporting activities to energiz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o vitaliz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resource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s cultural art sectorial budget, labor force, facilities, etc. needs to be efficiently combined within the branch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currently manages. Additionally, the existing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needs to be reconstructed to prepare a specific realization plan as the special law to empower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Many supporting systems of the government department and regional groups’ long-term cooperation systems pertinent to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via these policy reforms.

      • 전통미술문화교육의 중요성과 교수ㆍ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김혜숙,이성도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4 敎育硏究 Vol.22 No.-

        미술과수업에서 행해지는 전통미술에 대해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전통미술을 배워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전통미술을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현재 미술교과서에는 회화에 편중하여 전통미술과 관련한 도판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미술과수업에서 회화, 조각, 공예, 서예, 건축, 조경 등과 관련한 전통미술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업자체도 전통미술과는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술과수업은 일반적으로 서양미술작품과 작가들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진행되고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이 전통미술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미술과 수업에서 전통미술을 학습한다는 것은 미래세대 세계문화의 주역으로 살아갈 우리 학생들에게 미술·문화적 정체성을 심어주고 민족문화를 바탕으로 한 한국문화의 기초적 토양을 마련해 주기 위해서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전통미술문화를 활용한 수업모형개발에 있어 유의할 점과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들에 대해 논하였다. 전통미술을 활용한 학습활동은 학생들에게 전통미술을 이해하고 미적가치를 발견하게 하며 더 나아가 법고창신의 미술문화를 형성시키는 자생적 힘이 된다.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artworks in Korea has been created primarily out of its unique philosophy. In the Korean perspective, creating art allows the unification of man and nature, and the unification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ich in turn, will lead to diversity of individual expressions.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often show such things as spontaneity, serenity, and tranquility of expressions. These expressions often spring from an artist's selfless mind and self-awakening, that is a state of mind with no external influence and fully focused on the self. The artist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rt culture of traditional art in Korea will give students various view points of Korean life style, thoughts, values, and beliefs.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the ways of the country's natural environment, land formations, weather, life style,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rough the contents of art works, which cultivate their deep insight for man's life beyond the visual understanding. Art education in general must teach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in addition provide a cultural context dealing with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Western and East Asian art. through this integrated art education, a teacher can open students' eyes to see the cultural phenomena with more depth and breadth. The art culture of Korea normally pursues the reconciliation of nature-centered, life-centered, and the unity of man and nature in general. Within the materialistic society in which we live today, the respect of nature and the spirit of Korea's artistic thoughts and culture is one of the alternatives and new paradigms to help students to undertake self-examination. It gives them the freedom to explore their own ideas and world around them. In this study, we fully discuss three things. First of all how it is important to teach Korean traditional art in art class. Second, What is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art beyond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Third, How to develop the teaching lesson mode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art.

      • KCI등재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권오원 ( Oh Won Kwon ),이성희 ( Sung Hee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1

        현대의 우리나라 유아들은 불가피하게 서구지향적인 가치와 문화를 수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유아 전통문화교육은 자신의 뿌리와 전통을 알고 우리의 문화에 긍지를 가질 수 있는 올바른 삶의 자세를 갖도록 하기 때문에 유아교육의 중요한 내용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고자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시에 소재하고 있는 28개 유아교육기관의 도서대장에서 전통문화교육 내용과 관련이 있는 그림책 135권을 분석하고,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전통문화교육 내용의 분포를 주요 범주별로 보면 ‘전통예술’, ‘전통생활’, ‘세시풍속’ 그리고 ‘전통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그림책의 내용이 ‘유치원 생활주제’-「우리나라」의 소주제 중 ‘우리나라의 옛이야기 감상하기’에서 활용될 수 있는 그림책으로 분류된 것이 가장 많았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전통문화교육에 그림책을 활용하고 있었다. 유아전통문화교육은 주로 특정 생활주제와 관련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전통문화교육을 다양한 범위에서 지도하기 위해서는 전통 문화 그림책 내용을 고려한 선택과 활용이 선행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picture books utiliz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rveyed teachers` perception on picture book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o utilize picture books effectively in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picture books utilized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were categorized into ‘traditional art,’ ‘traditional life,’ ‘seasonal customs,’ and ‘traditional plays’ in order of volu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picture books own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largest number of picture books were classified to be usable in ‘Appreciating Korean old stories’ among the sub-themes of kindergarten life theme ‘My Country.’ Second,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its necessity.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using picture books i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y replied ‘Highly effective’ or ‘Effective.’ As to the time for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y executed such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connection to specific life themes or in special events, showing that traditional culture is emphasized limitedly in special events or in connection to specific life themes.

      • KCI등재

        중국 전통마을 활성화와 환경 개선에 관한 인식 현황 분석 연구

        샤멍,강성곤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A Chinese traditional village is a unique type of living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a modern city. It is a unit of living area that records the sam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which is a legacy to the whole society. These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are imbued with various cultural values such as folk customs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should be protected and preserve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education campaig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villages as a living medium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from the public. For this reason, in China, it is vital important and absolute necessary to undertake the preservation, revitaliz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s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since traditional villages have bear the spirit, beliefs and values of a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basic survey of cognition current status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was conducted. Methods such as literature study, case and survey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three directions: “cognitive situation”, “attitudes and views on protection and activ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people have a certain level of awareness and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and recognition of the requiremen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is the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using traditional villages as a tourism industry can not only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and publicity, but also increase the economic value of the village. 중국의 전통마을은 현대 도시와는 다른 취락의 한형태로, 마을의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문화적 연속성을 기록하는 완전한 동일 생활영역의 단위로 독특한민속 풍습 및 같은 유형의 전통적인 건축 등 문화적가치로서의 함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당연히 보호받아야 한다. 최근의 전통 문화의 진흥과 교육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국의 역사와 문화의 살아있는 매개체로서 전통마을의 중요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중국 내에서는 전통마을의 고유한문화 정신, 신념 및 가치관, 그리고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 등의 전통문화 계승과 더불어 활성화 또는관광자원화는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랜 역사 속에서 문화적 의미와 자연경관 가치를 지닌 중국의 수많은 전통마을의 활성화 및 환경 개선을 위하여,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적인 인식 현황에 관해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에는 “인지적 상황”, “보호 및 활성화에 대한 태도와 견해”, “환경 개선”의 세가지 방향이 포함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람들이전통마을 활성화와 환경 개선에 대해 대체로 인식과지지를 하고 있으며 깊은 관심과 함께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마을의 활성화와 환경개선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애정은 중국 역사와문화의 계승 및 발전적 원동력이자 앞으로 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 발전 및 홍보뿐만 아니라 전통마을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전통마을의현재 인식 정도와 현황에 관한 통계적인 자료와 논리적 자료로서 환경 및 경관 조성의 세부적인 추진 방안과 추후 중국 전통마을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제시하는 데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 전통문화산업 관련 법제도 고찰

        김시범 ( Si Bum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1

        전통문화는 그 문화를 향유하는 구성원의 선택에 따라 계승되기도 하고 단절될 수도 있는데, 과거 구성원들에 의해 가치를 인정받은 문화라도 현재와 미래 구성원에 의하여 다시 인정을 받지 못하면 전통문화라고 할 수 없다. 문화는 내부 구성원의 자율적 의사에 의해 저절로 소멸될 수도 있지만, 외부의 인위적인 단절로 인하여 그 문화가 계승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과거 문화의 가치를 현재의 관점에서 다시 새겨 보고 다음 세대를 위하여 발굴, 보전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전통문화산업에 대한 법과 제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는 법이 집단 구성원의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질서이기에 전통문화산업에 대하여 현재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가치를 확인하는 방안으로 유효하기 때문이다. 전통은 특정 집단의 오랜 자연환경과 사회적 규범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생활양식을 통해 생겨난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근대``라는 개념을 통해 ``전통문화산업``의 시기적 기준을 나누었다. 『문화재보호법』 이 제정된 1962년에는 문화재의 활용보다는 보존이 더 중요하였으며, 2009년에 제정된『문화재보호기금법』도 문화재를 보존 관리하는 법률이었다. 전통문화를 보존이 아닌 활용하는 단계로 변화하는 것은 2014년에 『문화재보호법』의 개정을 통해 문화재의 활용사업과 수익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서이다. 2015년 3월에 제정되어 2016년 3월부터 시행되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은 문화재보호법 에서 분법(分法)되었는데, 이 법은 무형문화재의 사회적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진흥 정책을 마련하여 전통문화의 자생력을 강화하고자 제정되었다. 공예문화산업은 다른 산업분야와의 연계가 가능한 고부가가치산업이지만 법적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였다. 2015년에 『공예문화산업진흥법』 이 제정되면서 전통과 현대를 넘나들고, 예술과 산업을 접목하며, 대중화와 활성화가 가능한 진흥 정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정부의 정책사업과 법률의 제ㆍ개정을 통해 전통문화를 활용한 산업화가 가능해진 점은 바람직하지만 그 추진 과정과 결과를 볼 때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다. 앞으로 정부와 민간은 서로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전통문화산업을 통해 실질적인 경제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그 결과물을 더 많은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전통문화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succeeded or cut off depending on choices of the society’s members who enjoy that culture. It will not be no longer traditional culture if that culture is not and will not appreciated by current and future members of that society, even though that culture had been highly appreciated and enjoyed by past members of that society. That culture could be perished if members of that society do not cherish the value of that culture any more. However, if that culture had been cut off by artificial interruption of outsiders, some ways must be studied to discover, to preserve and to utilize the value of that traditional culture for next generations of that society. This paper studies the trends of laws and policies of the Republic of Korea regarding the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The viewpoints of the society regarding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could be reviewed as the laws are registered consensus of members of that society. And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re important ways to discover, to preserve and to utilize the value of culture to execute with governmental authority. Tradition has been set up naturally by life styles through historical and social standard norms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paper defines the chronologic time of traditional cultural industry by modern times and the befor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legislated in 1962, emphasized the protec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Fund Act, legislated in 2009, is also a law to preserve and protect the cultural properties. In 2011, the scop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extended from the area of special experts to the area of mass public activities, such as ‘play’ and ‘ceremony’. In 2014,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legal grounds were set up for cultural properties utilization and business opportunitie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legislated in 2015 and being executed in 2016, was split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By this split of the laws,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society, such as UNESCO. Asl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xtended the sco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der. New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a) traditional performance and arts (b) traditional skills about craft and art works (c) traditional knowledge about oriental medicine, agriculture and fishery (d)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e) traditional living habits inclu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f) civil ceremony including folk religion (g) traditional play, festival, accomplishments and martial art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makes it available to establish and operate ‘Traditional Craft Bank’ which can buy, rent and display the traditional crafts created by traditional masters. Also, it encourages government to promote traditional performance and traditional arts for display and marketing activities overseas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 countries. Even though craft cultural industry is one of the highly value-added business as it could be melded with other industries, the business activities of traditional craft cultural industry were not strongly supported and encouraged by the law. The Craft Cultural Industry Promotion Act, legislated in 2015, made it possible to execute promotional policy for melding tradition and modern, grafting arts onto business legally. The Craft Cultural Industry Promotion Act encourages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to make comprehensive plans for a craft cultural industry promotion including research and study for a craft cultural industry promotion, business foundation and production aid,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sales distribution vitalizations. This Act requires government (a) providing fund loan to business founders for their sustainable growth (b) designating institutes and/or colleges as a special training institutes and subsidizing some or all of their expenses to train professional experts (c) designating institutes to manage craft producing technology studies of raw materials and substitute materials for craft production (d) promoting sale activities including joint purchasing and joint marketing (e) designating ‘outstanding craft’ and providing benefits of branding, display, investment arrangement, overseas expansion, collaboration with other cultural contents. Even though the policy and legal amendment as well as new legislation of Korean government drive the traditional cultural business encouraged, some questions are brought up when review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ose efforts. Korea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should communicate to each other with sincere attitudes to develop concrete practical policies for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which can generate more economical profits and provide more values to the public.

      • 대구·경북의 전통 문화축제의 현황과 개선 과제

        김영권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2001 경산문화연구 Vol.5 No.1

        -대구 ·경북지역 축제의 과제- 대구·경북의 전통 문화축제는 그 나름대로 공동체 활동을 토대로 지역문화의 특징을 접목하여 이 지방에 맞는 축제 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그 결과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한 축제 환경 속에서 전통문화를 축으로 한 전통 문화축제는 상당히 발전하였다. 이 중 지역의 특성과 조화를 이룬 축제로 달구벌축제,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발, 경주 세계문화 엑스포, 청도 소싸움, 경산 자인 단오와 한장군놀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들 역시 아직 전통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더 정확하고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전통을 계승·발전시켜 새로운 전통문화축제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라진 지역축제를 복원하여 재현하고 나아가 전승하여 전통 민속문화축제로서의 성격을 확실히 드러내는데 활용하여 대구·경북지역의 특성과 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축제가 진정한 지역민을 위한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축제의 창조적인 계승을 위해서 위는 근거 없는 축제를 버려야한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축제는 민속적·전통축제의 근원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경북지역축제는 지역의 특유한 풍속이나 세시 행사, 민속놀이에 그 근거를 두어 민중의 꿈과 이상을 형상화하여 지역민에게 강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축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다양한 축제 종목을 축소하여 지역의 향토성과 무관한 종목을 빼고 연령, 계층,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지역민이 즐길 수 있는 행사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축제가 지닌 원초적 세계상에 다른 축제의 집단들을 끌어들여 국제적 축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축제가 세계적·국제적 성격을 띠기 위해서는 그 내용에 인간 근원적인 문화 인자를 지니고 있어야 찰 것이며 더불어 우리 지역축제가 지닌 근본정신이 현대적으로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지역의 축제는 단순한 놀이를 뛰어넘어 놀이를 통한 재생산을 이룩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발전의 디딤돌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지역민을 결속시키는데 이바지 할 것이고 각 지역의 축제들과 연관을 이루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도 할 것이다. 결국 전통문화에 뿌리를 둔 전통문화축제는 전통의 계승·발전, 현대문화의 창조, 지역공동체 주민들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 지역문화의 발전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등 지역의 역사·사회·문화·경제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문양 활용방안

        김선화(Kim, Sun W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오늘날 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디지털 경제의 ‘문화전쟁’이 치열하다. 각종 미디어에 담긴 내용물로 요약되는 콘텐츠Contents를 가지고 선진국들은 “문화산업”이라는 이름 아래 부가적인 경제효과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문양 활용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화시대의 부가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콘텐츠를 어떻게 창조하고 구체화 하여 경제 창출과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는가’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전통문양의 활용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 문헌연구와 조사를 통해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콘텐츠개발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모든 미디어로 표현될 수 있는 집합물로 문화, 예술, 학술적 내용물의 창작 또는 제작에 중점을 두어 주로 문화, 예술 및 학계를 기반으로 한 창작물이기 때문에 세계화의 공통성과 화제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하며, 독립된 차별성을 지니고 있는 각 문화만의 독특한 특성이 내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 전통문양을 다양한 미디어로 변환하고 재가공하는 방법에 있어, 세계시장에서 관심과 이목을 끌 수 있는 구체적인 개발은 앞으로의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통문양은 문화원형으로 활용되는 조형기호로서 전통문양이 콘텐츠로 활용되어 다양한 미디어로 재가공 되어 경제효과를 창출 위해서는 세계의 기호와 시대적 변화에 적합하도록 재구성 및 재창조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와 시장의 사례를 보았을 때 한정된 분야의 여러 가지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제작한 시제품은 내용물의 창작에 있어 미디어의 가공에 중점을 둔 제작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경제창출로 연결되지 못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가 이 시대의 중요 키워드로 부상한 이유 중에 하나가 예술, 문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욕구와 인간의 상상력을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의 신장 때문이라면, 컴퓨터와의 접목을 시도한 연구와 전통문양을 수리적으로 접근하여 분류한 연구는 문화콘텐츠로서 전통문양 활용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대안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전통문양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문화콘텐츠로서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기 위해서는 선정한 전통문양을 다양한 미디어에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둔 기초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Culture war’ which is to change the consciousness about culture and to generate the added value has become fierce. Developed countries are trying to obtain an economically dominant position under the name of "cultural industry" with contents that can be summarized as the content of each media. As change in paradigm to secure economic power and to express its unique identity gets urgent, each country is trying the maximize the effectiveness by finding the universality and developing the unique pattern to emphasize originality which differentiates the country from others. Contents can be considered as the contents combined with technology reproduced by technology. Cultural contents refers to the contents which generate added value with accumulated culture and traditional pattern plays as a medium to understand the living habits, religion, spiritual thinking as well as consciousness of architecture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to utilize traditional patterns as cultural contents since it is a subjective form of common emotions which reflects national culture as well as cultural rules. For this purpose, directions of the researches on utilizing traditional patterns were analyzed by overall meta-analysi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utilizing traditional pattern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sidering the multi-use of traditional pattern by producing various samples with traditional patterns in limited areas. Also in-depth analysis needs to be conducted on those traditional pattern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since people can"t feel the emotions that only traditional patterns contai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pply selected traditional patterns to various media to generate high value as cultural contents. In other words, the research which focuses on expanding profit structure and generating high value by reproducing and recreating traditional patterns for multi-use with consideration of one source.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