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치호(尹致昊)의 『우순소리』저본 연구

        최선아,김양선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78

        To find the original script of “Usunsori,” I searched figures who contacted Yun Chi-Ho thoroughly based on his journal and Jwaong Yun Chi-Ho Letters(佐翁尹致昊書翰集) in this research. As a result, Brother Loehr and George R. Loehr had been confirmed as the same person, and Yun's teacher George R. Loehr wrote HaeHoon YooSul(孩訓喩說) on 1900, student Yun Chi-Ho published “Usunsori” on 1908. George R. Loehr wrote HaeHoonYooSul(孩訓喩說) earlier and he acted as a catalyst to the birth of “Usunsori” as his teacher. And the dean of Anglo Chinese College Young John Allen let student Yun Chi-Ho to be exposed to Aesop's Fables naturally by publishing Man KookGongBo(萬国公報 The Chinese Globe Magazine) As a result of having compared EuSeupYooUn(意拾喩言) of Robert Tom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of George R. Loehr with “Usunsori”, I found that Yun Chi- Ho eventually translated to let readers contact author directly without any interference as possible as EuSeupYooUn(意拾喩言)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t purposes EuSeupYooUn(意拾喩言)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are for the Christian propagation, and “Usunsori” is for the enlightenment. 『우순소리』의 저본은 고대에서부터 전승되어온 이솝우화 원본의 모호성 등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분명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순소리』의 저본을 찾기 위해 2단계에 걸쳐 조사하였다. 첫째, 작가를 중심으로 저본을 찾아보고자 중국유학시절 윤치호의 일기와 『(국역) 佐翁 윤치호 서한집』등을 바탕으로 윤치호가 접촉한 인물들을 면밀히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윤치호의 『우순소리』는 다수의 이야기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을 참고하여 집필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근거는 다음 3가지이다. ①중서서원의 교사이자 목사 조지 알 로에(Rev. Geroge R. Loehr)가 상해상무인서관(上海商務印書館)에서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을 저본으로 한 우화집 『해훈유설(孩訓喩說)』를 출판했다는 점과, 윤치호의 일기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인물인 ‘Brother Loehr’와 조지 알 로에는 동일 인물로 윤치호의 스승이자 먼저 이솝우화를 번역한 번역가로서 『우순소리』의 집필에 촉매제 역할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② 중서서원의 학장 알렌이 창간한 「만국공보(萬國公報)」에 『의습유언(意拾喩言)』의 우화들을 정기적으로 게재함으로써 당시 학생이었던 윤치호도 자연스럽게 우화들을 접했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는 점이다. ③ 『의습유언(意拾喩言)』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해훈유설(孩訓喩說)』과 『우순소리』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스토리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우순소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저본을 찾고자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 조지 알 로에의 『해훈유설(孩訓喩說)』와 『우순소리』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 3가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① 우선 『의습유언(意拾喩言)』과 『우순소리』를 비교 검토한 결과, 『의습유언(意拾喩言)』의 개정판 『이사보유언(伊沙菩喩言)』에는 종교적 신화적인 이야기가 대폭 생략되어 출판되는데, 생략된 이야기가 『우순소리』에 번역되어 재등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윤치호는 『이사보유언(伊娑菩喩言)』 등과 같은 개정판을 본 것이 아니라 직접 『의습유언(意拾喩言)』를 보고 『우순소리』를 집필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의습유언(意拾喩言)』과 ㅍ우순소리』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번역 경향을 비교해보니, 번역의 원 목적은 서로 달랐지만, 윤치호는 로버트 톰과 함께 ‘작자가 독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으로 번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② 다음은 『해훈유설(孩訓喩說)』과 『우순소리』를 비교한 결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은 『우순소리』가 창작되는 과정에 모티브가 되는 이야기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순소리』의 제1화 「굴송사」는 플롯의 유사성과 그 내용면에서 『해훈유설(孩訓喩說)』의 제50화 「猿判猫争」에서 그 모티브를 따서 재창작한 스토리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우순소리』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을 저본으로 제작되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겠다. 물론 일본유학 당시 접했을 가능성이 있는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의 접점도 고려해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따라서 280화의 방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1888년)과의 관련성 ...

      • KCI등재

        『한역 만엽집(万葉集)』의 텍스트 연구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고 김사엽은 한역 만엽집을 집필할 때, 한역 만엽집(1~4)까지는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을 저본(底本)으로 했고, 한역 만엽집의 미완성 유고(김사엽전집 제12번, 박이정, 2004)를 저술할 때는 나카니시 스스무(中西進)의 만엽집을 저본으로 삼았다. 출판 시점에 주목해 보면, 한역 만엽집은 1984년 8월부터 1991년 8월에 걸쳐 간행되었다. 한편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은 1957년에서 1962년에 걸쳐 출판되었고,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은 1978년에 나왔다. 따라서 그는 한역 만엽집을 저술할 당시, 그 저본으로써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 혹은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쪽에서는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을, 다른 한편에서는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을 저본으로 삼아 만엽집을 한역했다. 여기서 우리는 크게 두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김사엽이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당시, 번역서의 저본을 밝히지 않는 것이 반드시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둘째, 김사엽의 한역 만엽집은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때,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 혹은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 가운데 하나를 저본으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한역 만엽집에서 두 가지 저본을 혼용했다. 한역 만엽집은 헌신적인 역작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만엽집을 전공하는 연구자에게 그것은 반드시 참고해야 할 문헌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학적인 측면에서 한역 만엽집에는 문제점이 있다.

      • KCI등재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의 편찬 과정과 그 필사(筆寫) 저본(底本)

        김종철 ( Kim Jong Cheol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1 No.-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 편찬의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전6책)은 국문학계에서 편찬된 최초의 신재효 판소리문학전집이자 신재효 연구의 초석이지만 그 편찬 과정과 필사 저본(底本)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신재효 사설의 필사 정보를 담고 있는 『가람일기』를 비롯한 자료를 기반으로 필사와 편찬 과정을 재구하고,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신재효 사설 전승본들, 즉 읍내본, 성두본, 와촌본, 청계본 등과 가람본을 비교하여 그 저본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람은 1932년 말엽에 청계본 <춘향가(동창)>(1908), <춘향가(남창)>(1907)을 필사하여 제1책을, 1933년 초에 청계본 <심청가>(1906)와 <적벽가>(1926)를 필사하여 제2책을, 역시 1933년 초에 청계본 <횡부가>(1915)와 <오섬가>(1911)를 필사하여 제3책을 구성하였다. 1935년 초에 조운(曺雲)으로부터 김종길 소장 본 <토끼타령>(1889년에 필사된 창본)의 사본을 받고, 1938년 전반기에는 보성전문학교 소장본 <토별가>(정한규본, 1917)을 직접 필사하여 제5책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1949년 2월에 읍내본 <박타령>(1904?)을 필사하여 제6책을 구성하였다. 제4책의 시가(詩歌)들의 필사 저본은 신기업(申基業)본과는 다른 읍내본으로 추정된다. 제4책의 필사 시기는 미상인데, 전체 6책을 필사 순서대로 배열한 것으로 본다면 제5책보다 먼저 필사가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1948년 말에 제4책이 보충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또 <구구가>처럼 제4책의 표지에 제목이 제시되지 않은 작품도 있으므로 1950년대에도 보충 필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가람은 본문 필사 후에 주석 작업을 하여 본문 난외에 기록하였고, 또 다른 전승본과의 대비 작업을 하여 본문 옆에 병기하였다. 이 대비 작업은 전체 본문 필사가 완료되기 전인 1948년부터 시작되었고, 이를 위해 가람본의 필사 저본과 다른 전승본들을 차람(借覽)하기 위해 1956년까지 고창을 거듭 방문하였다. 그러나 1957년 후반에 건강이 좋지 않게 되면서 대비 작업은 미완으로 남게되었다. 이상에서 가람은 『신오위장본집』을 약 4반세기에 걸쳐서 편찬하였고, 동리의 판소리 사설과 시가의 사설은 거의 다 갖추었지만, 주석과 대비 작업은 완료하지 못한 것이다. For the first time, Byoung-Gee Lee (이병기, 1891~1968) compiled Shinowijangbonjip (申五衛將本集) (six volumes), the complete pansori works of Jae-Hyo Shin (신재효, 1812~1884), which have been a corner-stone in Pansori Studies. Lee compiled the hand-written copies of Shin’s works over a long time, bu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scripts of the copi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In this study, I used Garam-ilgi, Lee’s Diary,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compared Lee’s copies with other handed-down copies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scripts. Volume 1 of Shinowijangbonjip consists of Nam-chang Chunhyang-ga (남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male singer, and Dong-chang Chunhyang-ga (동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child singer. These were transcribed in late 1932, and their scripts were Chunhyang-ga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청계본, 淸溪本), which were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Park’s family of the Cheonggye village in the Gochang county. Volume 2 consists of Shimcheong-ga (and Jeokbyouk-ga).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ir scripts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Volume 3 consists of Hwengbu-ga (횡부가), Osem-ga (오섬가), and Chesan-ga (치산가).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 scripts of the former two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but the latter’s script is uncertain. Volume 4 consists of many songs such as Heodu-ga (허두가), Gwangdae-ga (광대가), and Doriwha-ga (도리화가). Both the transcription time and the scripts are uncertain. Volume 5 consists of Tokki-taryoung (토끼타령) and Twebyoul-ga (퇴별가). Lee acquired the former from poet Wun Cho in February 1935, and its script was the copy owned by pansori singer Jong-gil Kim. Lee transcribed the latter in the first half of 1938, and its script was the copy that had been transcribed by Han-gyu Jeong and had become a collection of Boseong College. Bak-taryoung compiled in Volume 6 was transcribed in February 1949, and its script was the copy known as Eupnae-bon (읍내본), which was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Jae-hyo Shin’s descendants in the town of the Gochang county. In addition to transcription, Lee annotated the copied texts and compared them with other texts handed down to the Gochang area, but these works were not finished due to his ill-health in 1957.

      • KCI등재

        『석보상절』의 底本과 그 성격

        김기종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8

        In this article, I made a list of all the original texts of Seokbosangjeol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spect and meaning of Seokbosangjeol. Only 10 of the 24 books of Seokbosangjeol are now reported. The existence of Seokgayeoraeseongdogiju and Seogssitonggam revealed in recent discussions enables us to grasp not only the current version but also the entire original text of all Seokbosangjeol. Here are 27 kinds of Buddhist scriptures that make up the Seokgayeoraeseongdogiju. These Buddhist scriptures are composed of Buddha biography, Mahayana sutra, historical biography, essays and the Apocrypha. The Buddha biography and the Mahayana sutra are the core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Apocrypha are also important.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the Buddha biography is centered on the fact that Seokbosangjeol is a biography of Buddha. It is worth noting that the Mahayana sutra and the Apocrypha are somewhat distant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devoid of the context of the Buddhist epiphany in the Shakyamuni biography shows that the main concern of Seokbosangjeol is ethical problems. These Buddhist scriptures emphasize the significance and method of requital. Requital and Buddhist virtue such as Buddhist alms, filial duty and bearing are methods to build Buddhism and merit for Buddhist believers. This is because of the character of life standards to be practiced. In the view of King Sejong, who ordered the compilation of Seokbosangjeol, ethical interest is connected with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e compilation was not just for the comfort of King Sejong or the royal family. After all, in addition to religious purposes, Seokbosangjeol is a kind of edification book that is familiar to the people and uses Buddhism, believed in by many people. 이 글은 현재 전하지 않는 권차를 포함한 『석보상절』 전체의 저본 목록을 작성하고, 저본의 특징적인 국면 및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석보상절』은 총 24권 가운데 권3·6·9·11·13·19·20·21·23·24의 10권만이 현재 전하고 있다. 최근의 논의에서 밝혀진 『釋迦如來成道記註』와 『歷代編年釋氏通鑑』 의 존재는 현전본 뿐만 아니라, 『석보상절』 전체 저본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곧 『석보상절』을 구성하고 있는 佛典은 27종으로, 이들 저본은 그 성격에 따라 佛傳(9 종)·대승경전(10종)·史傳(5종)·논서(1종)·僞經(2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불전과 대승경전이 저본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위경인 『안락국태자경』과 『목련경』 또한 적지 않은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佛傳인 『석가보』가 중심 저본을 이루고 있는 것은 『석보상절』이 석가의 일대기라는 점에서 쉽게 이해되지만, 불전과 다소 거리가 있는 대승경전 및 위경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특히 석가일대기의 맥락에서 벗어난 『대방편불보은경』· 『안락국태자경』·『목련경』 등의 수록은, 『석보상절』의 주된 관심이 ‘소헌왕후의 추천’ 외에도 윤리적인 문제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불전은 보은의 중요성과 방법을 강조·제시하고 있는 공통점을 갖는데, ‘보은’과 그 실천 덕목인 보시·효도·인욕 등은 불교신자로서 복덕과 공덕을 짓기 위한 방법인 동시에,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생활 규범의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석보상절』의 편찬을 명한 세종과 편찬을 담당한 수양대군의 입장에서 윤리적인 관심은 백성에 대한 교화와 연결된다. 세종 자신이나 왕실 가족내심의 위안을 위해 『석보상절』이 편찬된 것만은 아닌 것이다. 결국, 『석보상절』은 신앙적·기복적 목적 외에도, 백성들에게 친숙하고 많은 백성들이믿고 있는 불교를 활용한, 일종의 교화서를 의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철의 번역 희곡 「바다로 가는 자(者)들」과 일본어 번역 저본 -일본어 번역을 통한 "중역"의 양상

        권정희 ( Jung Hee K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69

        이 글은 현철의 번역 희곡 「바다로 가는 者들」 (1922)이 구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일본어 번역 「바다로 타고 들어가는 자들(海へ乘り入るもの等)」(1920)을 저본으로 한 것임을 논증한다. 즉 「바다로 가는 者들」 은 중역의 산물인 것이다. 싱(J. M. Synge)의 "Riders to the Sea"의 한국어 번역 「바다로 가는 者들」 은 아일랜드 영어 원작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을 저본으로 한 번역이라는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14-1920년에 걸쳐 발간된 다수의 일본어 번역 가운데 구스야마 마사오의 번역 저본 선택의 구체적 근거를, 번역자의 생애 및 잡지 매체 등 미디어의 관계에서 살폈다. 또한 『개벽』의 특집 ``해외걸작명편부록``에 수록된 한국어 번역 현황 전반을 검토하면서 새롭게 일부 일본어 번역의 저본을 추가했다. 나아가, 원작과 다양한 일본어 번역과 「바다로 가는 者들」을 비교함으로써 저본을 확정하고 번역 경위를 추적함으로써 한국어 번역의 특질과 번역 태도를 탐색했다. 이러한 비교 연구의 기반 위에서 한국어 번역을 ``Scene`` ``God``등 근대의 번역어 및 희곡 번역 문학사의 흐름에서 그 의의를 규명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고는 ``중역``의 문제를 원작(Original) 의 번역에서 매개가 되었던 일본어 저본을 해명하는 단계로 진척시킨 성과를 제출했다. 번역의 문제에 미디어의 시각을 관련시킨 결과인 것이다. This paper proves that Hyun chul``s translation of a Drama "Badaro Ganeun Jadeul"(1922) was translated using the Japanese translation, "Umihe Norihairumonora"(1920) by Kusuyama Masao as its source text. Therefore, "Badaro Ganeun Jadeul" is the product of a double-translation. This article developed and tested the idea that the korean translated Drama of "Riders to the Sea", “Badaro Ganeun Jadeul” was translated from a Japanese Source text, not from and not the original Irish English work written by J.M.Synge. To prove the premis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pecific grounds for the Korean translator``s selection of Kusuyama Masao``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among various Japanese translations published from 1914 to the 1920, in relation to studying the translator``s life and state of the media in the early 1920s. Moreover,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newly disclosed part of the Japanese source texts while reviewing the whole Korean translations contained in the supplementary foreign masterpiece choices as a feature in journal Gae Byok. Furthermore, this paper has analyzed the translation attitude and the traits of Korean translation by tracing the course of translation which has eventually determined the Japanese translation source text by comparing the original Irish English text, "Riders to the Sea" with its various Japanese translations and "Badaro Ganeun Jadeul". Based on such a comparative study, this article has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ranslation in terms of modern translated words, such as ‘Scene’, ‘God’ and so on and in the stream of the literary history of drama translation. Through these analysis, this paper has been submitted an accomplishment in the problem of ``Double-translation`` up to the level of resolution the Japanese translation source text which served acted as a medium in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This was resulted from relating the matter of translation in the point of view of media as a medium for transmission.

      • KCI등재

        윤치호 『우순소리』의 영어판 저본 연구

        최나 ( Cui Na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3 No.-

        『우순소리』에 대한 조명은 윤치호라는 인물에 대한 평가를 보다 풍성하게 정의하고, 한국 근대 문학 서사의 범위를 확장하는 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우순소리』의 저본 연구는 근대의 문학 번역과 비교문학의 영향관계 연구 영역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하여 『우순소리』와 저본, 이솝우화 텍스트 사이의 관계를 재확인하는 것을 본고의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본고는 윤치호의 전기적 사실을 토대로 영어판 이솝우화집과 대조함으로 써 『우순소리』의 저본을 추정하였다. 100% 일치한 저본을 찾지는 못하였지만, 기존 연구와는 다른 방향인 영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을 것이라는 가설을 내왔으며 우화 배치와 제목 구조 및 내용 면에서 일치한 작품도 많이 찾아냈다. 그러나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 결과 『우순소리』에서는 서양의 신 관련 용어를 불교 관련 어휘로 대체하였다. 기독교 신자로서의 윤치호가 이솝의 이름은 음역하면서 굳이 서양의 신 관련 어휘를 지양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은, 『우순소리』의 저본이 영어가 아닐 수도 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The research of the “Usunsori” will have major implications for the redefining Yun Chiho and extanding literary narr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esiedes, the study on the original text of “Usunsori” is essential to research o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ctivity and literary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sunsori”, Original text and Aesop fables. This research estimated the original text of the “Usunsori” is English aesop fables’ book based on Yn Chiho’s diary. In despite of it is not align perfectly, the English original text is different from the history of this research. The “Usunsori” is very similar to the English orginal Aesop fables’ text, including arrangement, title style and contents. But the text analysing results showed that the western gods replaced by Buddhist words. Although Yun chiho was a christian, and Aesop was appeared in the “Usunsori”. For this reas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riginal text of the “Usunsori” is not just from English Asesop fables.

      • KCI등재후보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와 그 가치

        박부자(Pakh, Bu-ja),정경재(Chung, Kyeong-j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는 가장 많은 양의 다라니 필사본이 남아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를 재구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다라니에서 같은 다라니를 필사한 지편을 모두 모아 서로 비교하여 글자가 누락되거나 추가된 경우, 다른 글자로 잘못 쓴 경우 등의 필사 오류를 변별해 낸 후,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온전히 재구해보았다.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가 재구된 셈이다. 재구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현전하는 다른 무구정광다라니와 비교한 결과,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이 석가탑 『무구정경』과 같은 계통이기는 하지만 동일본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초기 사경과 대장경 계통의 차이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석가탑 『무구정경』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과정이나 통일신라시대 무구정경 관련 유물 간 시대의 선후 관계 등에 대해 학계에서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Mugujeonggwang Dharani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Hwaeom-sa Temple is the only material which can reconstruct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s the Dharani has the largest amount of transcriptions left. This paper, thus collected all transcription of the same Dharani from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compared them to distinguish transcription errors, such as missing, added or replaced letters, and aimed on reconstructing the entire transcribed manuscript of the Dharani found at Hwaeom-sa Temple. This reconstruction of the transcription of the Dharani of Hwaeom-sa, in effect, is a reconsruction of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ed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other existing Mugujeonggwang Dharanis showed that while the original manuscript of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may share its stems with the Mugujeonggyeong found in Seokgatab, it is not identical to it. Moreover, the reconstructed transcription served as an important evidence for reconstructing the damaged parts of the Mugujeonggyeong of Seokgatab.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become a basis for mo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Dharani of Hwaeom-sa or the historical order between the artifacts related to the Mugujeonggyeong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 KCI등재

        진명인 번역본 「38도선」의 저본 연구 - 저본 확정의 의미 -

        박상현,미네자키 도모코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첫째, 1949년 8월에 진명인이 잡지 『민성』에 번역・게재했던 「38도선」의 저본은 1948년 4월에 발표된 후지와라 데이의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가 아니라 같은 해 2월에 잡지 『塔』에 실렸던 「三十八度線」이었다. 특히 「三十八度線」이라는 텍스트는 일본에서도 그 존재가 잊혀 있었다. 그것을 본격적으로 조명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는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둘째, 「38도선」의 저본을 확정함으로써 「三十八度線」이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도 새롭게 밝혔다. 「三十八度線」과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는 후지와라가 귀환하면서 겼었던 귀환의 고단함과 모성애를 기록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좀 더 자세히 보면 이 둘은 다른 텍스트였다. 「三十八度線」에는『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에서는 보이지 않는 가해자인 일본인 후지와라 가족에 대해 피해자인 조선인 농부의 온정이 부각되어 있었다. 또한 전자에는 후자에는 있었던 일본인 귀환자간의 비인간적인 태도가 드러나 있지 않았다.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facts were newly revealed. First, The transcript of the “38th parallel north” translated into the magazine “Minseong” was not the “Flowing stars are alive” of Hujiwara Tei, which was published in April 1948, in the transcript of the “38th parallel north” that was published in February 1949. Especially in February, the text of “38th parallel north” was forgotten in Japan. Second, it confirmed the record of the “38th parallel north” published in February 1949. I have also found out that the “38th parallel north” is not a translation of the part of “Flowing stars are alive”. It was the same in that it recorded the harshness of return and maternal love that Fujiwara, the “38th parallel north” and “Flowing stars are alive”, was returning to. But if we look more closely, these two were different texts. In “38th parallel north”, the warmth of the victim, the Korean farmer, was highlighted against the Japanese Fujisawa family, an invisible perpetrator, in “Flowing stars are alive”.

      • 로스의 누가복음 1882년 역본의 저본에 대한 재고

        정연락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지평 Vol.31 No.-

        최초 한글 번역 성경인 로스(John Ross)의 1882년 누가복음에 대해서 다양하게 연구 가 되어왔지만, 이 번역의 저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로스의 1882년판 누가복음의 저본을 확인하면서 번역의 과정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바, 로스가 번역할 때 사용한 저본들과 그 저본들을 사용한 과정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정리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인 번역자들이 번역할 때, 대표자역을 갖고 번역한 것으로 여겨진다. 부분적으로 한국인 번역자들이든지 아니면 로스나 매킨타이어이든지 다른 중국어역 본을 참고하였을 개연성은 열어두는 것이 옳다. 예를 들면, 2:37에서 보았듯이, 관화 역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한국인 번역자들이 번역한 초벌번역을 Palmer의 헬라어성경과 ERV 영어번역을 대조하면서 수정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1881년에 초벌번 역이 완성된 상태에서 1881년에 출판된 Palmer, ERV를 사용해서 수정한 것을 이듬해 1882년 봄에 출판하기에는 기간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듯하다. 그리하여 Palmer판의 난하주에 표시된 대표적인 사본상의 異文들을 중심으로 수정하고, 기타 주목할 부분 을 수정한 듯하다. 모든 부분을 치밀하게 검토하여 수정한 것은 분명히 아니다. 부분적으로 주석을 참고한 흔적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최성일이 주장하는 바, KJV이 저본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확인하기가 어렵다. 로스의 번역본에서 KJV이 아니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 부분은 한 곳도 확인이 되지 않았다. 최성일이 제시한 구 절들 모두 대표자역본으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비록 우리의 관찰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없지 않다. 예 를 들면, 2:14의 “지극히 높은 자”로 번역한 것은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저본이나 다른 자료의 사용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필요하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that is, John Ross’s 1882 version of the Gospel of Luke. Nevertheless its source texts are yet to be fully clarified.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Ross’s 1882 Korean Translation of the Gospel of Luke to find out what its source texts were and how it was trans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earliest stage of translation, the Korean assistants seemed to translate Luke from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Committee of Delegates, so called the Delegates’ version (1852). And then, either Ross or McIntyre (or even Korean translaters) possibly used other Chinese translations of the Bible for references. For example, it is most probable for them to use ‘Peking Mandarin Version’ for the verse, Luke 2:37. 2. The initial translation by the Korean assistants was corrected and revised by either Ross or McIntyre based on Palmer’s Greek New Testament and ERV. But since the initial translation was done in 1881 and both the Palmer’s Greek New Testament and the ERV were also published in 1881,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o correct and revise all the parts of the initial translation fully and closely. Thus, Ross seemed to use only some apparently representative variants of the Palmer edition. Not all the varia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yet. 3. Probably Ross and McIntyre partially referred to the commentaries by Alford or Meyer in their translation. 4. It has not been confirmed what Choi Sung Il contended in that the KJV were used as a source text for the Ross’s translation. Not even one place was found that it could be explained only by the KJV, but not by any other possible source text. All the verses that Dr Choi presented as his evidence could be explained by the Chinese Delegates’ Version. 5. We do not claim that our observations and examinations are fully enough to explain all the details.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ranslation of Luke 2:14, “지극히 높은 자” from any possible source texts. We still leave open a possibility to use any other source texts that we do not know.

      • KCI등재

        『로스역』 신약 성서의 특징과 저본에 관한 소고

        최성일(Sung-il Choi)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4 No.2

        『로스역』 신약 성서(1887년)는 1906년 『셩경젼셔』 신약 성서가 출판되기 전까지 한국 개신교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던 유일한 성서였다. 『로스역』 중 누가복음은 제일 처음 1882년에 출판되었으며, 다음해에 약간 개정되어 재판되었으며, 또 다른 개정 작업을 거쳐 『로스역』에 합본되었다. 그러나 『로스역』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 때문에, 한국의 선교사들은 『로스역』 신약 성서가 완간되던 해인 1887년에 새로운 성서의 번역을 결정한다. 새로운 번역에 착수하기 전 그들은 『로스역』의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로스역』의 누가복음과 로마서를 개정해서 1890년에 출판했다. 그러므로 누가복음은 『로스역』의 번역과 개정 작업을 조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그런데 선교사들은 『로스역』의 평안도 방언, 어려운 한자어, 애매모호한 표현이나 오역 때문에 사용할 가치가 없으며 개정 작업도 시간 낭비라는 판단에 따라 새로운 성서 번역에 착수했다. 그러나 『로스역』의 결함이 『로스역』 폐기의 진정한 이유는 아니었다. 그것은 한국에서 사업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성서공회들 사이의 정치적인 결정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것은 『로스역』의 저본이 『흠정역』이 아니라 『개정역』이었다는 이유때문이었다. 로스는 초기 번역에서 주로 『대표자역 문리 성서??와 『흠정역』 헬라어 성서를 저본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1881년에 『개정역』 신약성서가 출판되자마자, 로스는 그것들을 번역과 개정의 저본으로 사용했다. 그 당시에 한국의 보수적인 선교사들은 『개정역』 신약 성서를 수용할 수 없었으므로, 『로스역』도 받아들일 수 없었을 것이다. Ross’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was the only Scriptur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prior to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1906. The first book of Ross’ Version to be published was St. Luke: first published in 1882, it was revised slightly the following year and underwent another revision to be republished with other Scriptures in 1887. Due to some problems of this Version, however, missionaries in Korea decided to translate a completely new version of the Bible in 1887, the same year Ross’ Version was completed. Before starting anew, a revision of the Ross’ Version was done first in order to test its usefulness which resulted in a revised publication of St. Luke and Romans in 1890. Therefore St. Luke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to survey process of translation and revision of Ross’ Version. After this elective revision, missionaries concluded that Ross’ Version had no useful value because of its provincial dialects,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and ambiguous renderings or mistranslation, and that its revision would waste their time and instead started a completely new translation of the Bible. However, the reason to abandon Ross’ Version was not because of its defects. It was a political decision made by bible societies that sought to gain the upper hand in bible work in Korea. Moreover, it was because the source texts of Ross’ Version were not the Authorized Version but the Revised Version. Ross used mainly the Delegates’ Wenli in Chinese and the Authorized Version of Greek(Textus Receptus) as the source texts in his initial translation. But as soon as the Revised Version of Greek and English was published in 1881, he used them as the main sources of his translation and revision. At that time, because conservative missionaries in Korea did not accept the Revised Version of Greek and English, neither could Ross’ version be ado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