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야자와 겐지 『눈길 건너기(雪渡り)』의 작품구조 연구

        박경연(Park, Kyoung-ye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의 작품인 『눈길 건너기(雪渡り)』를 중심으로 작품구조의 분석을 통하여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자 한다. _눈길 건너기_는 제목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눈은 주요한 요소로서 강조되고 있다. 작품에서 표현하고 있는 눈의 역할은 인간이 걷기 어려운 수수밭에 눈이 내림으로서 그것이 얼어서 걸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의 눈의 위치 설정은 인간이 삶의 역경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자연의 선물이며 또한 눈, 즉 자연은 관망하는 자세를 취하고 그 관망하는 자세는 종교의 가르침과도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 작품은 첫 번째 이야기와 두 번째 이야기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이야기와 두 번째 이야기로 분리한 작가의 의도에 촛점을 맞추어 인간세계의 떡, 여우세계의 수수경단이라는 작품의 주요 소재를 가지고 각각의 이야기의 흐름을 기승전결(起承轉結)의 작품구조로 분석한다. 그리고 두 이야기는 각각의 起承轉結과 각각이 아닌 하나의 연결된 이야기로서의 기승전결(起承轉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이중구조(二重構造)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에 접근하는 연구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중구조(二重構造)로 작품을 해석하고자 한다면 작가의 의도 파악을 선결과제로 보고, 첫 번째 이야기에서 문제제기한 사실을 두 번째 이야기에서 해결하고 있으며 첫 번째 이야기를 인간과 여우의 대립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현실세계로 본다면 두 번째 이야기는 인간과 여우가 대립하지 않고 사이좋게 살아갈 수 있는 이상적인 세계로 모두가 추구하고자 하는 세계인 것이다. 그 이중구조(二重構造)는 또한 반복적인 5가지 요소를 들어 첫 번째와 두 번째에서 동일 요소로서 작품 안에서 작용하고 있다. 5가지 요소인 떡, 수수경단, 술, 덫, 불을 반복하여 강조한 이유, 숲과 들판의 배경 설정, 눈이라는 소재와 작품의 마지막 장면과의 연관성을 통하여 작품의 이중구조(二重構造)를 고찰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Snow Crossing』, written in the 10th year of the Taisho Era by Miyazawa Kenji.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ssage the author wants to convey to readers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he structure of this story. The tenth year of the Taisho Era, when this story, interpre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as written, wa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the author’s life. Along with the significant religious turning point came the change in his consciousness. Consequently, this study seeks to analyze his mental worl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his mental word is conveyed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proves that this work is structured into introductiondevelopment-turn- conclusion and interprets the material of the story in terms of a dual structure. This work consist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story. These two stories take the form of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conclusion. These two stories, while forming a single piece of work, have different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conclusion’s. In addition, the rice cake of the human world and the sorghum rice-balls of the fox world, the two elements being repeated in each story, are analyzed as the significant key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belief and trust. In addition to the rice cake and the sorghum rice-balls, this study analyzes the three lessons being repeated in the two stories as the dual structure. The material of the story as evinced in the title—the status of the snow, the snow fields forming the background, and the woods—appears to reveal the structural dualism and is studied in depth.

      •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유재천(Yoo, Jae Cheon),어건주(Eo, Keon Joo),김소정(Kim, So Jeu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예술 작품 분석 방법에는 다양한 분석 방법론이 존재한다. 그러한 다양한 방법론들 가운데 과거 국내에서는 주로 순수 문학적인 입장을 지향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1980년대 들어 서구의 기호학이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국문학 작품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경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그러한 경향은 국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였다. 그러한 기호학적 문학 작품 분석 방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이 나타나게는 되었으나, 실제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해당 분석 방법에 대한 피상적이고 개략적인 적용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1990년대 들면서 국내에 다양한 기호학적 연구 경향의 도입과 더불어 로뜨만의 구조 시학 또한 국내에 소개되면서 문학 작품 분석에 활용되게 되었다. 그렇지만 로뜨만의 구조 시학은 그 방법론적 독창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호학적 연구 방법론과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었다. 로뜨만에게 있어서 예술 텍스트는 고도로 질서화된 체계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로뜨만은 그러한 예술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위하여 형식주의의 문학 이론과 구조주의의 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텍스트를 다층적으로 구분하여 각 층위별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로뜨만의 분석 방법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전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와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그런데 국내에서 문학 작품들을 분석하며 인용하는 로뜨만의 이론과 연관된 부분들을 살펴보면 여러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로뜨만의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피상적인 어구의 인용에 의지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경우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뜨만의 문학작품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있는 다양한 논문들에서 나타나는 작품 분석 방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함 더불어, 그것을 통하여 로뜨만의 이론에 기초한 올바른 문학작품 분석 방법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의 로뜨만의 구조 시학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해 볼 것이며, 어떠한 점이 부족한가를 파악해볼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Lotman's structural poetic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artistic text. Language constitutes a material of the verbal art by its high degree of cognitive power, meta-linguistic function. And literary communication results from the conflict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modeling system of literary composition and their semiotic interaction.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reality Lotman expressed that the poetic world is a model of the real world but is correlated with it in an exceedingly complex fashion. And the poetic text is a powerful and deeply dialectical mechanism of the search for truth, for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world and our orientation in it. Then analysis on artistic text depend on accurate and consistent arguments. Lotman's theory of poetic language is based on the supposition that meaning arises not only from phonological oppositions, but from every kind of opposition that the devices of poetry can construct. And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Lotman employs the various linguistic methods in the text analysis. Nevertheless most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didn't take full advantage of Lotman's structural poetic theory. It is due to insufficiency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or researcher's naive ignorance. The Lotman's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st 1980s - early 1990s. Because of defect of study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s,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Lotman's theory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structure of russian language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korean.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morphological poetic analysis, that Lotman showed marked prominence in analysis, do not apply to korean texts. Besides that, unsatisfactory researches were found. The causes of mistakes were subjective application of concepts, imperfect of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and superficial and individual use of each concepts. But recently properly analysed works are on the increase.

      • KCI등재

        존 프라이어의 소설현상공모활동과 淸末의 新小說 《醒世新編》

        吳淳邦 한국중국소설학회 2010 中國小說論叢 Vol.32 No.-

        1895年5月英国传敎士傅兰雅在沪报上登出一则有奖徵文啓事〈求着时新小说啓〉,其目的在于鼓吹具有革新精神的“时新小说”的问世,以革新时弊,劝化人心。此则啓事登出后,引起了十分热烈的响应,3个月后,共收徵文作品162部。据作者綠意轩主人的〈自序〉,1895年仲夏作者游访苏州时,读到沪报上的广告,其中关于“感动人心莫如小说”这一观念给他留下深刻印象,大为感动,认为文中所提鸦片、时文、缠足叁端,深中时弊,乃决心将衢县老家的隣居与巨族魏家的故事演为小说,可以用来作为极好的范例呈现给读者。小说自此年重五日动笔,有其子来逐日抄录,阅兩周演成小说32回,但书成藏诸行箧者叁年,丁酉(1897年)再对开头与结局略加补缀后,出版了这部小说。本文首先介绍有兩种不同的作者姓名问题,解释作者綠意轩主人为浙江衢县人詹熙。然后考察詹熙的家世与他的生平事迹,因为詹熙的生活经歷很多在作品裏面反映出来。作品採取独特的敍述策略,通过主缐与次缐兩种不同的故事来展开作品内容,作者綠意轩主人为作品的敍述人,主缐故事则主要敍述浙东巨族魏家叁代兴亡盛衰的家庭故事,而作者在次缐故事裏表述此作品的写作动机与成书出版过程。作者的另一个代言人郑芝芯做为主缐故事与次缐故事的連结敍述人。本文主要分析解释此作品的内容与主题,用何种敍述方式呈现给读者。此作品明显受到傅兰雅小说啓蒙活动的影响,作者在作品的开头与结尾及〈自序〉裏淸楚表明了这一影响。本文以五个小节来探讨作品的种种特点: 1. 緖言 2. 《花柳深情传》与傅兰雅的时新小说徵文活动 3. 作者綠意轩主人詹熙与兩个不同故事所构成的敍述结构 4. 是新小说? 还是狭邪靑楼小说? 从《醒世新编》到《花柳深情传》: 同书异名现象与作品的主题特点 5. 结语作品写到的改革重点在于实学,包括科学技术方面。也提到了科学课本时,我们容易发现这些事情来自傅兰雅在江南製造局飜译馆所作的飜译作业及他创办的科学杂誌《格致汇编》。其中引用了科学与化学方面傅兰雅的译作。我们以作品中的不少实例与傅兰雅的有关活动对照说明,来解释其与傅兰雅的影响关係。作品有叁种以上的书名,其中有《醒世新编》、《除叁害》与《花柳深情传》。本文根据《中国通俗小说总目提要》与《新编淸末民初小说目录》等书目文献,详细考察此作品的内容特点与出刊传播状态,解释出为何出现这麽多的异名现象。上面提到的叁种书名都有其取名的塬由,因此《醒世新编》以外,兩种书名仍然到20世纪30年代仍然常被使用。但作者詹熙在作品裏面明确取名为《醒世新编》,可以代表作者写作时的写作动机与作品宗旨,反映出作品的主要主题与时代倾向,因此我採用作者塬取名的《醒世新编》。《醒世新编》算是19世纪90年代首部提倡社会改革、试图运用新型敍述策略的新小说,踏实实践傅兰雅要求的时新小说具体创作条件,在作品中处处反映出傅

      • KCI등재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확장 방안 연구 - 서사 개념의 재설정과 서사의 이원적 체계

        신동흔 ( Shin Dong-h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8 No.-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에서는 문학과 인간의 이면적 심층에 자리 잡은 서사(敍事)가 작품 및 인생의 정체성을 좌우한다고 본다. 이들을 각각 작품서사와 자기서사라 한다. 둘은 서로 구조와 속성이 통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바, 작품서사를 매개로 하여 자기서사를 건강하게 바꾸는 것이 문학치료의 원리가 된다. 그간 문학치료학에서는 서사의 개념을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와 회복에 관한 서술(또는, 이야기)`이라고 정의해 왔는데, 매우 실전적이기는 하지만 논리적 정합성이나 개념적 보편성 면에서 일정한 문제를 지닌 것이었다. 인간관계라는 요소로써 서사를 충분히 대변하기 어려우며, `서술`이나 `이야기`가 서사의 유개념으로 적합하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문학이론에서 말하는 스토리적 심층구조나 치료이론의 인지도식 개념을 적용하여 서사를 `문학 및 인간의 이면에서 작품과 인생을 좌우하는 스토리 형태의 심층적 인지-표현 체계`로 재정의하였다. 아울러 서사의 영어 표기로는 narrative나 epic 대신 story-in-depth(SID) 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작품서사는 `story-in-depth of text(SIDT)`, 자기서사는 `story-in-depth of self(SIDS)`로 표현될 수 있다. 기존에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에서 서사의 주체가 타인과 맺는 관계에 관심을 집중했던 데 대해 서사 주체의 본연적 정체성으로서의 `존재`에 대하여 관심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관계의 서사`와 `존재의 서사`라는 이원적 체계를 새로이 제안했다. 각기 `관계를 축으로 본 서사`와 `존재를 축으로 본서사`에 해당한다. 서사는 관계를 통해 구체화되는 것이지만, 거기 앞서 존재 안에 서사적 자질과 방향성이 구조적 형태로 내재해 있음을 주목하였다. 존재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를 상호 연계하여 서사를 분석할 때 작품서사 및 자기서사의 본질적 정체성을 더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형태로 드러낼 수 있다. 관계 이전의 자아, 또는 관계 너머의 자아라고 하는 근원적 화두를 본격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것 또한 존재의 서사를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삼공본풀이>와 <구운몽>이라는 두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이원적 개념 체계를 적용한 서사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실질적 유효성을 단면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In the narrative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it has been observed that seosa (서사; 敍事, a narrative or an epic), rooted in the dual depth of literature and the human, affects the identities of both works and lives. These are called text narrative and self-narrative, respectively. They share common structure and attributes and influence each other. Thus, the principle of literary therapy is to ensure healthy self-narrative through the medium of text narrative. Thus far, literary therapeutics has defined seosa as a "description of the formation, crisis, and recovery of human relations." Although this definition may be quite practical, it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oretical consistency and universality. It is difficult to fully represent a story-in-depth on the basis of the human relations element, and the term "description" is not appropriate for a generic concept of narrative. Thus this study redefines seosa as a "story form a deep cognitive-expressive system, affecting both works and lives from the two sides of literature and the human." This study applies the story deep structure of literary theory and the schematic concept of therapy theory, and newly propose the term "story-in-depth" (SID) rather than "narrative" or "epic" as an appropriate English expression of seosa. Thus text narrative and self-narrative can be expressed as "story-in-depth of text (SIDT)" and "story-in-depth of self (SID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previous narrative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this study recognizes the dual worlds called "story-in-depth of relationship" and "story-in-depth of existence" while emphasizing the need to focus on the "story-in-depth of existence" as the original identity of a narrative subject. These are the "story-in-depth based on relationship" and "story-in-depth based on existence," respectiv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that story-in-depth is embodied by relationships, but narrative elements are inherent in existence in the prior form of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present the essential identity more dynamically when interconnecting two elements such as existence and relationship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new system has the advantage of dealing in earnest with fundamental topics, such as the self before relationships and the self beyond relationships. The effectiveness of this dual system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 narrative analysis "Samgong Bonpuri" (삼공본풀이, 三公本풀이) and "The Cloud Dream of the Nine" (구운몽, 九雲夢).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영화 『박쥐』의 창작과정

        김소연 ( Kim So-y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박찬욱의 새로운 『테레즈 라캥』읽기의 전환으로서 영화 『박쥐』를 통해 자기서사를 추적하는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박찬욱의 자기서사를 내밀하게 알기 위해서는 소설 『테레즈 라캥』과 영화 『박쥐』의 작품서사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 창작자가 자기서사에서 누락된 부분을 영화 창작을 통해 건강한 자기서사를 유도할 수 있는 대상물을 만들어낼 것이라 추정했다. 그것의 결과물로 소설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에는 없었던 것이 영화 『박쥐』에는 신부에서 뱀파이어로의 전환설정의 서사가 나타나 있었다. 때문에 박찬욱이 『박쥐』에서 왜 A에서 B로의 전환 설정의 서사를 만들어 놓았는지 밝혀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었다. 이 글의 논의를 풀어가기 위해 연구자는 문학치료적 입장에서 실마리를 찾아보았다. 논의의 과정은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가 변형되어 제작된 영화 『박쥐』를 통해서 추출하는데, 새로운 경험을 함으로써 자기서사를 보충하는 단계, 잠재되어 있던 내면을 자극하여 일깨워 자기서사를 강화하는 단계, 현실에서는 금지된 영역을 탐색하여 자기서사를 통합하는 단계로 나아가면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소설 『테레즈 라캥』의 구조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우선 박찬욱 감독이 『테레즈 라캥』을 어떻게 읽었는지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자가 이 같은 작업을 진행한 이유는 박찬욱이 『테레즈 라캥』을 읽었을때 작품의 서사에는 없는 새로운 인물을 『박쥐』에 투입시켜 신부가 되는 과정, 뱀파이어가 되는 과정, 죽는 과정 등을 보여줌으로써 자기서사를 만들어간 것이라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박찬욱이 『테레즈 라캥』을 읽은 결과물을 영화 『박쥐』로 전제하고, 이것을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영화 『박쥐』의 창작과정을 따라가려고 했다. 『테레즈 라캥』과 『박쥐』의 기본 서사의 골격은 같은 맥락으로 흐르고 있지만, 박찬욱은 이 지점에서 『테레즈 라캥』과는 변별점을 둘 수 있는 것을 창출하려고 했다. 그것이 뱀파이어로의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박찬욱은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를 통해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것을 자신이 창출한 대상물을 투입시킴으로써 자기서사로서 보충하려고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그것의 작업으로 문학치료적인 입장에서 실마리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가 변형되어 제작된 영화 『박쥐』를 통해 박찬욱은 자기서사에 누락된 부분을 보충해 주고, 때로는 미약한 부분을 강화시켜 주면서 분열, 갈등하고 있는 부분을 통합해 주어 자기서사의 변화를 유도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방법론으로 문학치료의 세 가지 단계를 빌려오게 된 것이다. 우선 제일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함으로써 자기서사를 보충하는 단계, 제이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잠재되어 있던 내면을 자극하여 일깨워 자기서사를 강화하는 단계, 제삼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현실에서는 금지된 영역을 탐색하여 자기서사를 통합하는 단계이다. 이 세 가지 단계로 나아가면서 박찬욱은 자기서사를 통합해 나갔다. This manuscript analyze Park Chan-wook`s narrative as new reading < Therese Raquin > with his movie < Thirst >. To achieve this, I compared the < Therese Raquin > with the < Thirst >, and I had assumed Park would created the object which has been able to suggest it for healthy narrative. < Thirst > has shown itself to switch from priest to vampire, but < Therese Raquin > has not shown that. It is significant why Park has made this narrative with literary therapeutic perspective. This discussion centered on the movie < Thirst > are variations of the novel < Therese Raquin >. I outlined for this manuscript. Park supplemented his narrative through new experience, has strengthened it reminded inner side, and merged it explore forbidden territory in the real world. I checked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 Therese Raquin > in chapter 2. First of all, this manuscript is focusing on Park`s reading the < Therese Raquin >. Because I had supposed Park makes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process of adding new character in < Thirst >. I study the creative process of < Thirst > within the framwork of literary therapeutics in chapter 3. The < Therese Raquin > and < Thirst > are of the same framework of basic epic but of different character like vampire. Park tried to replenish a lack of the < Therese Raquin > by the epic of self through adding new character created himself. In other words, Park satisfy the missing part for the epic of self, and change the epic of self to integrate division and conflict through the < Thirst > are made of mutated epic of the < Therese Raquin >. Then I borrow three ways of literary therapeutics in terms of methodology. The first way is supplemented the epic of self by new experience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second way is strengthening the epic of self to remind inner side. The second way is to merge the epic of self that explore forbidden territory in the real world. Park merged the epic of self with three ways.

      • KCI등재후보

        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백색인」론 (「白い人」論)

        김경희(Kim, Kyung-hee)(金慶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1

        엔도 슈사쿠(遠藤周作1923 ~ 1996)는 『형이상학적신(形而上學的神)ㆍ종교적신(宗敎的神)』을 저술한 18세부터, 유작(遺作)인『깊은 강(深い河)』을 저술한 70세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주제로 일관해 오면서 일본 현대문학에서는 거의 독보적인 존재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따라서 선행연구 역시도 가톨릭 작가로서 엔도 슈사쿠가 작품 속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작가적 의도나 종교적 문제에 중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고, 허구내의 논리나 등장인물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백색인」(白い人)에서는 위와 같은 기독교적인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예술로서의 문학작품, 즉, 문학 텍스트 그 자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오늘날 문학연구 방법으로 정착한 화자(카타리데)에 착안해서 작품의 구조와 그 세계를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서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작품의 생성 원인과『백색인』의 구성인물상을 중심으로 주인공〈나〉와 〈쟈크〉, 두 사람의 관계를 고찰했다. 분석결과 도출된 결론은 소설내의 인물들의 시점 설정이 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마지막에는 확실하게 결실을 맺지 못한 작품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소설의 기교론, 방법론을 통해 그리스도교라는 유일 종교를 넘어서 인간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를 직시하면서 병들어 신음하는 인간 영혼의 치유와 구제의 주제, 즉 그리스도적인 신의 사랑의 구현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백색인』이 지향하는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Endo Shusaku won recognition and stands unchallenged in Modem Japanese Literature. He was consistent in metaphysical religious subjects from the age of 18, when he wrote “Metaphysical God, Religious God”, to the age of 70, when he wrote “Deep River” which is his posthumous work. Accordingly, most of the proceeding studies about his works have been focused on his intention as a writer and religious issues which and Shusaku, a Catholic, wanted to talk about in his work, therefore, the logic and characters in his fiction have not been dealt with thoroughly yet. In this thesis, I placed great emphasis upon the literary works as art so I tried to exclude a Christian study method. The structure of his works and the works themselves are analyzed here in a narrator way that has been settled as today’s literature study method. 「A Study on 『The White man』」, referring to some proceeding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I and Jacker” is studi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ason that the work was created and the characters of 『The White man』 遠藤周作が宗教的主題を中心に日本の現代文学のなかでの遠藤周作の独自の価値を決定づけてい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だろう。従来の研究には、彼の文学をキリスト教的次元から読み解こうと腐心することにおいてのみ、遠藤文学を理解しようとすることとなり、それはひいては護教文学としての読みの強制となる危険性を示すものである。そうした問題点を踏まえて、言語による芸術である文学作品、文学テクストそれ自体を対象として分析し、その上で作品構造を把え直してみたいと考える。『白い人』では、〈白い世界〉と〈悪魔の世界〉との対決は、ジャックと私との間にみられるのではなく、〈私〉の心の中に存在するものであり、『白い人』のドラマは、キリスト教を機軸とした善と悪の葛藤であるが、遠藤周作はそれを二人人物〈ジャックと私〉に張り付けていると指摘している先行論文を踏まえながら、『白い人』の構成人物を中心に〈私〉と〈ジャック〉の二人の関係を考察していく。考察した結論は、登場人物を「語り手」に統括させることと、〈善ㆍ悪〉〈人間ㆍ神〉と言うような対立的な構造を通すことによって大きなテーマに接近を試みたといえる。つまり、多様な小説の技巧と方法論を通じて、作家遠藤周作は読者たちに神の慈しみ深い愛を誰もが平等に受け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彼が到達しようとした窮極的な世界のメッセージの伝達を試み、効果的に成功しているといえよう。

      • KCI등재후보

        글쓰기에서 패러디의 학습효과에 대하여

        남정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이 글에서는 대학생들이 현대시나 고전시가를 읽고, 그들의 생활과 감정을 매우 다양하게 표현한 패러디 작품을 창작해내는 것을 살펴보았다. 패러디가 창조성은 없고 다만 표절일 뿐이라는 논의가 예로부터 있어 왔지만, 글쓰기 훈련을 하는 학생들이 창의성을 함양시키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밝혔다. 시 창작의 초보자들인 대학생들에게 기존의 작품의 구조를 이해하게 하고 원작의 구조에 힘입어 패러디 작품을 쓰게 하면, 학생들은 힘들이지 않고 좋은 작품을 만들어냄을 보았다. 패러디 하는 훈련을 통하여 작품의 구조를 공부할 수도 있고 창작 연습도 할 수 있어 글쓰기 시간에 한 번쯤 이용해 볼 수 있다. 이때 학생들에게 어떤 작품을 원작으로 제시할 것인가는 아주 중요한데, 원작의 내용에 따라 패러디 작품의 성향이 아주 달라지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we take a look into the creation of work of parody in which college students express their life and emotions in various ways after reading the modern or classical poetry. Even though there have been debate that the works of parody are just nothing but plagiarism without creativeness, the effectiveness of parody for students disciplining in writing have been demonstrated to foster the creativity development. When we let college students as potential poem writ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work and make a parody of some original work of literature, they can manage to produce a form of work with ease. It would be a good practice to use the parodic mechanism in writing so that students could learn the structure of work of literature in terms of it. When it comes to recommend students what kind of work of literature would be the best practice, we have to very careful to select it because the consequence work of parody might vary a lot depending on the choice of it.

      • 남북한 역사소설 연구를 위한 시론

        문흥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논총 Vol.31 No.-

        남북한으로 갈라져 체제와 이념상의 차이로 대립하는 ‘한민족’이지 만, 갈라진 민족을 하나의 민족으로 묶을 수 있는 민족적 공통분모가 분단 민족의 의식의 저류에 흐르고 있다. 남북한 민족의 심층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집단무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남북한 역사 소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남북한 역사소설은 연속성과 동질성 회복으로서의 통일문학사 기술에 중요한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남북한 역사소설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할 때, 먼저 연구방 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남북한 역사소설 전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민족의 집단무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야 한다. 둘째, 작품 자체의 구조를 충실하게 고찰함으로써 각 작품의 미학적 특질을 추출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한 역사소설을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당의 공식적 문예 이론이라는 제약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북한 작가들의 한계로 인해 작품 대부분이 형식과 내용면에서 도식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기에 유형화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남한 역사소설을 먼저 유형화한 후, 그 유형과 같은 범주에 포섭될 수 있는 북한 역사소설을 선별해 동시에 논의하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 다음, 연구 대상 작품 선정과 관련된 측면이다.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남한 역사소설과 북한 역사소설을 시기별로 그 특징을 분석해 보면 남북한 역사소설의 이질성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 북한 역사소설에 나타나는 사회주의 체제 선전과 김일성 우상화로 인한 역사의 왜곡을 들 수 있다. 특히 분단 이후를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곧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 작품들과, 동일하게 분단 이전을 다루는 남한 역사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역사적 인물이나 동일한 역사적 사건 혹은 동일한 시대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현재로서는 가장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민족적 집단무의식이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어떻게 변모되어가며, 그 편차는 무엇이고, 그리고 민족적 동일성을회복할 수 있는 공통인자는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속성과 동질성의 측면에서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