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와 영화 작가주의에 대한 비교

        김지홍(Kim, Jiho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2

        애니메이션도 영화와 마찬가지로 감독에게 작가주의를 적용할 수 있는 개연성을 지니고는 있다. 선행연구에서 영화의 작가주의가 2차 대전 이후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논의들이 펼쳐졌으나 학문적으로는 1960년대 프랑스에서 이미 종언이 되었고, 문화적인 많은 영향들에도 불구하고 서구학계에서는 더 이상 이론화를 통한 개념, 정의와 구성 조건의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단지 영화 연구에서는 다양한 작가주의의 논의의 흔적들만이 남아 있었는데 최근 애니메이션의 연구에서는 영화의 작가주의를 통한 애니메이션의 예술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새롭게 조명하고 많은 연구 결과들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영화의 작가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애니메이션에서도 반복적으로 답습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특히 국내의 연구들은 작가주의로 애니메이션의 특정 기법이나 작가를 선별하여 서열화는 방법으로 활용하기도 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차원에서 애니메이션의 독자적인 이론체계의 구축이 필요하여 우선적으로 본고에서는 작가주의 근원적인 관심으로 애니메이션과 영화를 대상으로 구성 조건의 차이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는 영화의 작가주의에서 제시되는 구성 조건들과 서로 상이하며, 단순히 작가주의라는 용어만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로 차용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애니메이션에서 영화 작가주의의 수용은 애니메이션에서 예술가 들을 규정하는 개념과 정의의 부재에 기인하는 것이고, 애니메이션에서의 적절한 용어의 결핍을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작가주의 비교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예술가를 위한 새로운 개념과 정의의 도입과 새로운 용어의 제시를 위한 향후 연구들도 요구된다.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adaptation of film authorship to animation directors. From the previous study, the authorship merged from France after WWII, however, in academy, it was terminated the authorship discussions in spite of a great deal of influences to culture that has been affecting not only film but other art genres too. While it remains many problems on concept and definition and even constituent conditions it is not be studied any more in the western academia. Merely the authorship is detected only the traceable marks in the film study, however recently it is invited as a method that to verify artists from technicians in the animation academia, so it is produced many achievements newly. But some of scholars uttered that the animation authorship imitates the film authorship and even problematics of film too. Specially it is applied as the method of classify author or not by a certain style and a certain artist in the domestic academia. Therefore to over come tho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theory for animation, so it is preceded the research on identify the differentiation between film to animation authorship fundamentally. In the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constituent conditions of animation authorship is not the same as film of that, only it is borrowed the terminology itself. Because the lake of concept and definition of animation artists in the aspect of theory, it is simply used that term for solving this problem. So it is needed more studies on a new terminology for concept and definition by this comparison.

      • KCI등재

        프랑수아 트뤼포의 ‘작가들의 정책’ 담론 재해석

        노철환(Roh, Chul H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1954년 1월, 『카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에 실렸던 글 한편이 프랑스영화계를 떠들썩하게 만든다.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 프랑수아 트뤼포가 쓴 글이다. 한 젊은 평론가의 당대 프랑스 영화산업에 대한 비판이 시작이었다. 이 글에서 다룬 ‘작가들의 정책(La Politique des auteurs)’이라는 개념은 후일 작가 담론의 핵심이 된다. 트뤼포의 ‘작가들의 정책’이 영화학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확고히 형성된 ‘미국=상업영화 Vs. 유럽=예술영화’의 공식도 이로 인해 와해되었다.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감독=작가 ’라는 등식도 인정된다. 작가영화의 존재도 분명하다. 작가이론의 뿌리로서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은 여전히 많은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트뤼포의 글들을 잘못 ‘인용’하고 있다. 트뤼포가 주장한 원래 의미들은 작가 이론, 작가주의라는 이름 뒤에 가려지고, 영미계열 이론가들의 해석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며 내려오는 오류들이 있다. 본 연구는 트뤼포의 작가들의 정책을 다시 들여다본다. 그리고 그의 주장이 영미/한국에서 수용되면서 발생한 오류들을 진단하고 다시 해석한다. In January 1954, an article in Cahiers du Cinéma provoked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French film industry: “A Certain Tendency of French Cinema” written by François Truffaut. A young critic criticized bitterly contemporary French major films, called ‘Tradition of quality’. One of the main concepts used in this article, La Politique des auteurs (Authors" politics) became the core of Auteur theory (Author theory) discourse later on. After this discourse, Truffaut"s opinion had become a turning point of cinema studies.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like American movies as commercial movies VS. European films as art films was gone. Nowadays, almost everyone admits globally this concept, ‘film director as authors’. The existence of film d’auteur(author"s film) is surely certain. “A Certain Tendency of French Cinema” has been still cited as the root of Auteur theory. However, many studies have misinterpreted Truffaut"s article. What he had said in his article was partially obscured behind the name of Auteurism or Auteur theory. Also, there are some uncritically accepted errors which were made by the Anglo-American critics. This study looks into La Politique des auteurs once again to find out Truffaut"s real intention. It wants to make a diagnosis of the analytic errors or some misinterpretations.

      • KCI등재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완벽한 해피엔딩’을 위한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

        최은(Choi, E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최근 몇 년 사이 여성 작가들이 쓴 여성들의 이야기가 스크린에 자주 등장했다. 그 중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은 작품성이나 대중성 양면에서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여성으로서 여성 주인공(조)에 매료되어 20세기를 보냈던 21세기의 감독이 19세기 여성 작가가 지녔던 열망과 한계를 간파하고, 새롭게 해석한 주인공을 매개로 자신과 원작자의 꿈을 동시에 이루어내는 집요한 탐구와 모색의 결과물로 읽는다. 거윅의 〈작은 아씨들〉은 여성 작가가 여성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의 행복과 자유를 옹호하는 관점으로 만든 작품이라는 점에서,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여성의” 영화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작가’라는 타이틀을 지닌 세 명의 여성을 만나게 된다. 〈작은 아씨들〉의 주인공 네 자매들 중 둘째이면서 작가가 된 조 마치와 원작의 작가인 루이자 메이 올콧,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색자이면서 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이다. 그레타 거윅은 영화 〈작은 아씨들〉에서 작가가 된 조 뿐 아니라 각기 다른 예술적 재능을 지닌 네 자매들의 꿈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아무도 배제되지 않는 결말의 ‘완벽한’ 해피엔딩을 통해 이들의 꿈이 고루 성취된다고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조의 결혼은 흔히 이해되는 것처럼 작가의 ‘타협’이 아니라 꿈을 향한 적극적인 선택이고, 백인 남학생들의 학교였던 원작의 한계를 벗어나, ‘모두를 위한’ 학교가 된 플럼필드 아카데미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올콧의 가장 충실한 독자이면서 창작자가 된 각색자 거윅은 그리하여 ‘글을 팔고 흥정하는’ 작가 조와 어려운 시절을 글을 쓰며 견뎌야 했던 19세기의 작가 올콧 모두에게 ‘구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앤디 매드허스트와 존 코이, 제임스 네어모어 등에 의한 현대영화의 작가론에 바탕을 두고, 각색을 비평적 창작으로 보았던 린다 허천의 각색이론과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각색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을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작가로 보고 거윅의 영화 〈작은 아씨들〉을 다양한 결을 지닌 텍스트로서 분석한다. In recent years, stories of women written by female writers have frequently appeared on screens. Among them, Greta Gerwig’s Little Women(2019) is a work that stands out in both the artistic and popular aspects. This work is a text created by a 21st century female director who spent the 20th century fascinated by the female protagonist (Joe). She discovered the aspirations and limitations of a 19th century female writer who created Joe, so that she realizes the dreams of herself and the original author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newly interpreted Joe. Gerwig’s Little Women i s a film “ B y women, For women, and Women’s.” This is because it is a work created by a female artist with an interest in women’s life and advocating for women’s happiness and freedom. In this work, we meet three women with the title of ‘writer’. They are Joe March, the second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Little Women, and Louisa May Alcott, the original author, and Greta Gerwig, the adaptor and director of the film. Greta Gerwig focuses on the dreams of four sisters, each with different artistic talents, as well as Joe, who became a writer in the film Little Women. This study saw that their dreams are evenly fulfilled through a “perfect” happy ending in which no one is excluded in the end. In that sense, Joe’s marriage is not the artist’s “compromise,” as is commonly understood, but an active choice toward a dream. And, beyond the limits of the original work, which used to be a school for white boys, Plumfield Academy, which has become a “for all” school, is a symbolic space. Thus, the adaptor Gerwig, who had been Alcott’s most loyalreader and now creator, is a “salvation” to both the “selling and bargaining”writer Joe and the 19th century writer Alcott, who had to endure difficult timeswhile writing. This study sees Greta Gerwig, the director of adaptation film, as a writer found in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aptation theory and intertextuality of Linda Heochun. And it also uses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uthorship by Andy Madhurst and John Caughi. In addition, this analyzes Gerwig’s film Little Women as a text with various textures.

      • KCI등재

        이창동 현실주의 영화의 작가주의 특징 연구

        장한,양종훈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한국의 영화감독 이창동은 예술 영화의 창작 이념을 오랫동안 고수하여 소수의 영화 제작을 통한 뛰 어난 작품을 창작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는 모두 인문주의적 배려와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녹색 3부작’으로 불리는 영화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에서 중기의 <밀양>, <시> 그리고 최 근의 <버닝>에 이르기까지 이창동의 영화는 예리한 시각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일반인들이 겪는 생존 의 곤경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상처와 인간의 잔혹함 그리고 침해당 하는 개인의 운명 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는 작가주의 영화의 미학적 특 징이 드러내며,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과 반성, 그리고 소외 집단의 생존 상태에 대한 관심이 이창 동 영화의 일관된 주제이다. 작가로서의 오랜 경험은 그의 영화가 서사 방식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나게 하였다. 상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초현실주의 에피소드가 자주 등장하고, 숏은 항상 차분하고 엄숙하며, 관조적 태도로 현실을 반영하고 롱 테이크의 기록적인 미학 표현 기법을 유지한다. 그는 영화를 통해 개 인의 존재 의미에 대한 변증적 사고로 글로벌화의 트렌드에 따른 한국과 인류 문화 정신의 변천을 확대 하여 인류의 생존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즉, 슬픈 분위기의 영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하며 사람, 생명, 한 국 사회의 스토리로 현실을 초월한 깊은 반성을 보여주고, 인류의 공통의 감정을 도출한다. 다양한 영화 소재와 장르의 예술적 특징으로 볼 때, 장르를 초월한 개성적인 창작 스타일을 갖춘 현실주의 영화만이 비로소 사람들이 깊은 여운을 음미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영화 장르의 단 조로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항상 현실주의적 소재를 선호하는 한국 영화를 새로운 수 준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창동의 현실주의 영화 속 작가주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실주의 한국 영화의 예술 창작 기법에 대한 새로운 구상 방향의 개척을 그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films have risen to prominence, winning numerous awards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mong them, Director Lee Chang-dong insists on the creation concept of art film and insists on low-yield and high-quality creation for decades, which deeply contains humanistic care and realistic spirit. From the original “Green Trilogy,” The Green Fish “Mints”, “Oasis” to the middle of the “Mi Yang”, “poem” and then to the recent “Burning”, lee's movies like a sharp knife precision cut open South Korea the plight of ordinary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t has the history of trauma, the cruelty of human nature, individual fate by uprooted, and obtained great success in the history of film art, in South Korea and even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sian film. His films s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film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social reality of South Korea and the concern about the living conditions of marginal characters are the consistent themes of his films; Due to the profound accumulation of literary accomplishment and years of experience as a writer, his films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n-rigid style in the way of narration: Surrealist fragments interwov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appear frequently in his works; The camera is always calm and serious, reflecting reality with a silent observation of life, and sticking to the shooting technique of long lens documentary aesthetics. Lee Chang-dong, the director, is very firm in describing the unique fragmentation through one sad story after another. With the help of the film, he makes dialectical think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existence and explores the changes of human culture and spiri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world to question the wood of human existence.

      • 내셔널 시네마의 유통과 ‘작가’ 감독의 브랜드화

        이지연 한국영화학회 2006 한국영화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최근의 동아시아 영화들이 소위 ‘글로벌 시네마’로 불리는 헐리우드 영화들에 맞서거나 융합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시네마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을 만한 위치에 오른 한편, 유럽, 미국 등지에서의 동아시아 영화에 대한 작가 감독 중심의 접근과 유통은 지속적인 경향으로 존재해왔다. 본 논문은 유럽의 특권적 위치에 있는 국제 영화제들이 헐리우드의 전세계적 지배에 대항하는 대안적인 영화 유통 경로를 확보한다는 취지하에, 아트 시네마, 내셔널 시네마, 작가 영화라고 명명하고 특권화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 동아시아 영화 감독들과 영화들을 ‘발견’, ‘유통’, ‘고전화’하는 내러티브를 만들어 온 과정들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유럽 등지에서 각 내셔널 시네마를 대표하는 작가 감돌들로 여겨져 온 두 감독, 기타노 다케시(일본)와 임권택(한국)이 이러한 유럽 영화제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연관되어 왔는가를, 이들이 그 과정에서 새롭게 놓이게 된 공간 - 내셔널리즘과 서구의 오리엔탈리즘, 그리고 국내의 영화 씬과 국제 영화제 사이에서 겹쳐 있으면서도 그 사이에 놓인 공간(a zone 'in-between' nationalism and western Orientalism, domestic film market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 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서부영화에 관한 재해석-자크 오디아르의 〈시스터스 브라더스〉를 중심으로-

        노철환(Roh, Chul-Hw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캐나다 작가 패트릭 드윗(Patrick deWitt)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시스터스 브라더스(The Sisters Brothers)〉(2018)는 프랑스 감독 자크 오디아르(Jacques Audiard)가 연출한 서부영화다. 본 연구는 예술영화로 인정받은 외국인 영화감독이 서부영화를 연출한다는 것은 해당 감독의 미국문화 해석 능력을 대중들에게 평가받는 방법론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한다. 본고는 크게 장르와 서부영화에 관한 기초연구와 〈시스터스 브라더스〉 분석으로 구성된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장르 소개에서, 장르영화와 작가주의의 관계, 그리고 서부영화의 특징을 알아본다. 〈시스터스 브라더스〉 분석은 원작 소설로부터 구축된 주요 설정에서 시작해 영화만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영화로서 특징은 〈시스터스 브라더스〉가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시각적 내러티브 방식을 카메라와 인물의 시선에 집중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이 영화가 계승하거나 차별화 한 서부영화의 장르 규칙을 살피고, 어떠한 방식으로 관객의 흥미를 자극하는지 알아본다. 본 연구는 프랑스 작가주의 감독인 오디아르가 미국의 전형적인 장르인 서부영화를 어떻게 시각적 내러티브로 재해석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Sisters Brothers(2018) is a western film directed by Jacques Audiard.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that the directing of a western film by a foreign film director recognized as an art film auteur can be considered as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director"s ability to interpret American culture. This article is composed of basic research on western genre and analysis of the film.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re film and auteuris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film are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Sisters Brothers begins with the main setting constructed from the original novel and proceed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The feature of the film is to focus on the unique visual narrative method of The Sisters Brothers, focusing on camera operation and characters. Through this, we investigate the western genre rules which Audiard inherits or not, and find out how to stimulate audience interest.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a French art film director visually reinterpreted western films, a typical American genre.

      • KCI등재후보

        문예영화와 검열 :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구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박유희 영상예술학회 2010 영상예술연구 Vol.17 No.-

        이 글에서는 ‘영화의 예술성이 독자적인 작가의식의 산물이 아니라 제도 및 산 업과의 관계 속에서 타협 내지 조율되는 과정의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유현목의 문 예영화와 검열제도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매개로 제도와의 관계 속 에서 작가의식이 구성되고 그것을 통해 문예영화의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을 고 찰하였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유현목 감독이 전성기를 누렸던 시대는 검열의 시 대였지만, 한편으로 유현목에게는 ‘예술’을 할 수 있는 시대이기도 했다. 그의 존재 를 형성했던 실향, 반공, 개신교, 그리고 거기에서 근원하는 자유주의와 근대화 지 향은 현실 비판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이면서 한편으로는 체제의 이념과도 부 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때 검열제도가 현실 비판과 영상 실험을 거세하고 검열 의 도식성이 텍스트 내부의 자율적 원리를 침해하면서 작가의식 내부에서 허용 가 능한 요소들이 배치를 바꾸며 조율되었다. 현실 비판은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공산 주의에 저항하는 양심으로 치환되고, 부조리는 인간의 원죄와 구원이라는 종교적인 고민으로 추상된 것이다. 그러면서 유현목 문예영화는 체제가 원하는 예술로 구성 되어갔지만, 그 구성요소는 작가의 내면에서 발아한 것이기에 그는 예술영화 감독 으로의 자부심을 견지할 수 있었다. ‘자유’의 이름으로 고뇌하는 지식인, 서구의 세련미를 투영하는 기독교적 표상들, 직설적인 현실비판이 거세된 추상적 질문으로 구성된 영화가 1960년대 이후 한국 예술영화의 표상을 구성하며 1980년대까지 관습화되었던 것은 유현목 영화의 정체 성이 개인적 고유함의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다시금 증언한다. 영화를 만신 창이로 만들었던 검열제도는 오랫동안 한국 예술영화의 생산자이기도 했던 셈이다. The Literary Film and Censorship System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Artistic Identity appeared in Yu, Heon-mok’s Literary films- Park, Yuhe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Yu Hyeon-mok was one of the utmost directors in literary film. To him, literary film was the symbol of art film and the representation of a writer's consciousness. However hard he tried to stick to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however, he was not able to express it in his movies because the times did not allow it. His heyday coincided with the Park Jung-hee regime, when the censorship system was systemized after the Liberation. Yu himself said that he was a victim of the censorship system over several times. At the same time, however, he was one of the beneficiaries of the government's film policies, receiving many different film awards and grants through literary film.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rtistic identity being created in his literary films and understand its na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artistic identity his literary films tried to express and embody was the result of compromise or tuning between the censorship system and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 KCI등재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이선주(Lee Sun Joo)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1896년 첫 극영화를 만든 최초의 여성감독 알리스 기는 영화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사 중 하나인 고몽을 탄생시킨 주역이었다. 고몽사의 총괄제작자로서 컬러 영화 기법의 일종인 수작업-착색 색채(hand-tinted color)와 초기 사운드-이미지 동기화 시스템인 크로노폰(Chronophone)과 같은 새로운 영화기법을 실험했던 알리스 기는 뤼미에르 형제 및 멜리에스와 함께 초기영화 역사의 선구자였다. 그녀는 수많은 영화의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했을 뿐 아니라, 루이 푀이야드(Louis Feuillade), 에티엔 아르노(Étienne Arnaud)와 같은 프랑스 초기 영화의 개척자 감독들을 키워냈고, 고몽의 스태프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훈련시키며 영화테크놀로지 발전에 기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사는 기를 오랫동안 주변적으로 다루거나 뒤늦게 인정해 왔다. 본 논문은 초기영화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영화제작 전반은 물론 영화 테크놀로지의 기법적, 미학적 차원들에도 직접적으로 개입해 자신의 서명을 남긴 알리스 기의 작가성을 ‘기술적 작가성’으로 규정하고, 그녀가 고몽 시절(1896∼1907) 만든 영화들에서의 시각적 스타일과 사운드 실험 등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기를 ‘최초의 여성감독’으로서보다는 ‘최초의 개척자 감독’중 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그녀가 탐구하고 발견했던 기술적 특성들을 통해 초기영화의 역사를 맥락화한다. 또한 초기 컬러 영화와 사운드 영화를 조명함으로써 흑백에서 컬러로, 무성에서 유성으로의 변화라는 영화 기술 발전의 진화론적 관점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Alice Guy, the first female filmmaker in the history of cinema who made her first narrative film in 1896,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Gaumont as one of the oldest film studios. She was a pioneer of early cinema along with the Lumière brothers and Georges Méliès, as she experimented with new technologies of film, such as hand-tinted color and the Chronophone that Gaumont invented as an early system of sound-image synchronization, during her service as executive producer of Gaumont. She did not simply write, direct, and produce numerous films, but also cultivated early pioneers of French cinema such as Louis Feuillade and Étienne Arnaud and trained new techniques for Gaumont’s staff and thereb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Despite these contributions, however, the official history of cinema has long marginalized Guy or acknowledged her too late. This paper proposes the idea of ‘technical authorship’ as a conceptual tool that specifies Alice Guy’s idiosyncratic authorship characterized by her wide-ranging control of the whole film produc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technical and aesthetic dimensions of cinematic technologies in the context of early cinema. In doing so, it examines Guy’s uses of cinematography, visual effects, and sound experiments in the films that she produced in Gaumont from 1896-1907.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paper acknowledges her as ‘the first pioneer of cinema’ rather than ‘the first female director’ as it contextualizes the history of early cinema by illuminating technical aspects that Guy investigated and discovered. In doing so, its examination of the color and sound in early cinema also intends to problematize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 KCI등재

        심훈의 전기적 생애에 따른 시나리오의 변모 양상 고찰

        오영미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South Korean screenwriter Shim Hun’s world of scenarios as part of a study on South Korean screenwriters. To date, studies on Shim Hun have largely focused on his aspect as a novelist and his life story. Because he has more commonly been known as the writer of the novel <Sangnoksu> more in-depth studies and their accumulation are necessary in view of his life’s legacy and the value of his remaining works in the country’s film history. Although some studies that paid attention to his scenarios achieved their own fruition, they focused on either researching his narratives and subjects within the correlations of literature and films 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cine-novels in terms of their origi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connect his biographical records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his works, which inevitably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absence of films or other records from the era of Shim Hun, and to focus on the coherent characteristics that encompass his overall scenarios.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review of <Daegyeongseong Gwangsangok>, which the other studies have not dealt with thus far, although this scenario is incomplet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Shim Hun, who mainly recognized the popularity of films, enjoyed using the triangular dynamics of characters in his scenarios. Here, the study could not only understand his awareness of popularity, but also trace his positions about the reality of the country under colonial rule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his works after he retired into the countryside. In addition, he may have been influenced by his mentor Minoru Murata during the period when he experienced Japan’s film world. As shown in his film reviews, he took notice of expressive films, and the patterns of how his such recognition were revealed in his scenario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although <Sangnoksu> is the scenario for a silent film, it was written at the time when sound films emerged in South Korea, and thus the traces of his pursuit for sound films were observed in the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discussions in this study, Shim Hun’s position in the country’s history of scenarios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As a leading intellectual in the initial stage of South Korean films, he could be named as the country’s frist professional cine-novel and scenario writer. He was influenced by the West’s expressive films via Jap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creation included his national awareness of the country’s reality as a colony and the transitional traces of sound films in his works during his life in the silent-film era. 이 논문은 한국 시나리오 작가 연구의 일환으로 심훈의 시나리오 세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심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설가적 면모와 생애사적 연구에 치중되었다. 소설 <상록수>의 작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던 탓으로 보이는데, 삶의 족적이나 남아있는 작품의 영화사적 가치로 보더라도 깊이 있는 연구의 진전과 축적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시나리오에 주목하여 연구한 몇몇 연구 성과가 보이지만 문학과 영화의 상관관계 속에서 내러티브와 주제 연구에 치중돼 있거나 영화소설의 기원적 의미규명 등에 집중돼 있다. 그래서 본 논의는 심훈 시대의 필름이나 여타의 기록들이 부재한 상황에서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는 전기적 기록과 작품의 변모과정을 연결해 보고, 시나리오 전반을 아우르는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미완의 작품이지만 그동안 여타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대경성광상곡>을 포함시켰다. 그 결과, 영화의 대중성에 주된 인식을 가졌던 심훈이 그의 시나리오에서 인물의 삼각구도를 즐겨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여기서 대중성 인식뿐만 아니라 식민지 현실에 대한 그의 입장과 낙향 이후 변모되는 과정을 추적해 볼 수도 있었다. 또한 일본 영화계 체험 시기에 스승이었던 무라타 미노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그의 영화평에서도 드러나듯이 표현주의 영화에 대한 관심에 주목했고, 이러한 그의 인식이 시나리오에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에 유성영화가 등장했던 시기와 맞물리는 시나리오 <상록수>에서 무성영화 시나리오이지만 유성영화를 지향한 흔적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논의의 결과로, 심훈의 시나리오사적 위치를 규명해 보면, 한국 영화 초창기의 선구적 지식인으로 영화소설과 전문적 시나리오 작가로서 최초라고 이름 붙일 수 있으며,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서구의 표현주의적 영화의 영향을 받았고, 식민지 현실에 대한 민족적 인식과, 무성영화기에 살면서 유성영화의 이행기적 흔적을 창작세계의 특징으로 지니고 있는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활동 연구

        함충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7 No.-

        This paper reveals empirically how Japanese scenario writers worked under a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in Joseon in the 1940s. As I researched sign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bout them in terms of film history, I found meaningful results. First, films written by Japanese scenario writers increased in colonial Joseon film industry since the 1940s. Especially, they handled most of feature films’ scripts after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Joseon were merged. This tendency was made under a certain historical background; the Sino-Japanese War was protracted and extended to the Pacific War which brought about implementation of war basis and reinforcement of mobilization. Second, remarkable Japanese scenario writers appeared in Joseon film industry at this period. They not only professionally wrote scenarios but also worked as film critics or veteran in other art fields. Also, they took part in various kinds of activities related with films except for writing. They worked for planning or producing films from film production company, worked for promot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or worked at media. Third, in terms of scenario writing, Japanese writers exposed their identities and strengthened their positions by keep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films. These scenarios reflected colonial policy made by Japan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lonial Joseon. It mad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contemporary Japanese films and former Joseon films. 본 연구에서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어떠한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들이 어떠한 시대 배경 속에서 어떠한 영화 활동을 하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구명하고, 그 영화사적 특징과 의미에 대해 해석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40년대 들어 식민지 조선영화 내에서 일본인 시나리오작가들에 의해 쓰인 작품들의 비중이 갈수록 커졌다. 특히, 조선의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가 통폐합된 이후 완성된 거의 모든 극영화의 각본을 그들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태평양전쟁으로의확장, 이에 따른 전시체제의 구축과 식민지 동원의 강화라는 시대적 배경 하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당시 조선영화계에서는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재조선 일본인과 내지 일본인으로 구성된 그들의직업은 주로 전문적인 시나리오 작가였으나, 영화 평론가 및 기획 담당자, 여타 예술 분야에서의 경력을 지닌사람들도 포함되었다. 또한 이들은 작품 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영화 활동을 행하였다. 영화사에 소속되어 기획및 제작을 담당하기도 하였고, 조선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각종 단체 및 언론 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셋째, 조선영화 시나리오 창작에 있어서도, 일본인 작가들은 본인의 영화적 경향을 이어 가며자신의 존재성을 드러내고 그 입지를 다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과 함께 식민지조선(영화)의 특수성을 반영하였다. 그러면서 동시기 일본영화 및 이전 시기 조선영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을지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