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속 타임머신의 출현과 시간 이동의 체험, 그 낙관주의적 상상력 :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를 통해

        함충범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6

        본 논문은 미국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에 초점을 맞추어, 영화 속 타임머신의 출현과 시간 이동의 체험이 어떠한 낙관주의적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총 3편으로 만들어진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에서 보는 이의 이목을 사로잡는 대상은 다름 아닌 ‘타임머신’이다. 영화는 타임머신을 개발한 브라운 박사와 여기에 승차한 고등학생 마티를 주요 인물로 설정하고 미국의 한 중소 도시를 배경으로 하여 시간의 제약을 초월한 그들의 여정을 선보인다. 또한, 이를 통해 여타 할리우드 영화에서처럼 권선징악 식의 윤리적 입장을 견지한다. 물론 그 과정에서 타임머신 작동과 관련된 기술적 한계로 인한 난관과 테크놀로지를 악용하(려)는 인간의 욕망에 의한 위험성이 노출되기도 하지만, 영화는 주인공들에게 그 이상의 유익함을 내놓으며 도전과 정의의 가치를 강조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토피아적 이상(理想)의 저변에는 영화 제작 당시인 1980년대에 팽배해 있던 자유주의와 실용주의로 대표되는 미국적 가치와 공간, 역사, 대중문화를 망라하는 다양한 미국의 문화적 요소가 자리한다. I studied how time travel experience through the time machine was represented and what kind of optimistic world view was implemented in the 'Back to the Future' series produced in Hollywood. Definitely, it is a time machine that captures the audience’s attention in three series of ‘Back to the Future’. In these movies, Dr. Brown who developed a time machine, and Marty who is a high school student set out on a journey transcending time in a small city in America. Also, through their journey, these films take the ethical attitude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like other Hollywood movies. Of course, main characters face some difficulties resulted from the technological limitations of time machine operation and the desire of the wicked to abuse technology. However, these films emphasize the value of challenge and justice by showing benefits from technology over the risks. And, there are American values represented by liberalism-pragmatism and American cultural elements including space, history and popular culture which had been widespread in the 1980s behind the utopian ideal in the movies.

      • 일제말기 일본어문학의 재정립과 임순득의 (재)발견, 그리고 또 다시보기 : 「대모」(名付親, 1942)를 중심으로

        함충범,최가형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3 탈경계인문학 Vol.6 No.2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millennium, literary critics have tried to view Japanese literature in its Korean colony as a dual-language literature, not pro-Japanese. Im Sun-Deuk is one of the writers focused on in that process. Among her works, “A Godmother” is especially notable. Most preceding studies analyzed the writer Im Sun-Deuk as expressing national liberation and women’s liberation under the dominat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se studies have important meaning for those who tore off the “pro-Japan” label that had been pasted without reservation on the authors of works in the period of Japan’s violent occupation, especially on authors who wrote in the Japanese language. Such labeling missed the way that these studies applied a dichotomous frame of cooperation/resistance to the writers or works from the period of the violent Japanese occupation. But the issue boils down to this. The one-sided view established toward Im Sun-Deuk and the fallacy of applying it so translations were continued steadily in every aspect. There are many reasons that studies must continue on the question of her supposed anti-nationalism and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o include her and her works in the identity of the Korean nation and finally to re-evaluate the contradictory situation and the dual attitude and resolve it.

      • KCI등재

        해방기 한국영화 속 서울의 공간 재현 양상 연구 –현존 극영화를 중심으로–

        함충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0 No.-

        In this study, by way of background setting of narrative and visual representation, I researched various aspects of Seoul in Korean feature films from the National Liberation before the Korean War. As a result, I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feature films depicting historical figures who struggled for national independence became popular in the Period of the National Liberation. For example, <Hurrah! For Freedom (자유만세)>(1946) and <Yoo Kwan-Sun(유관순)>(1948) symbolized Seoul(Gyoungsung) as a place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liberation. Also, as for the way of representation, through using differentiation and contrast, Seoul was showed as a place where contemporary ideal and popular fantasy coexisted. Therefore, this aspect of Seoul exposed not only historical factuality but also fabrication about anti-Japanese and independence. Second, some films reflected contemporary social issues in this period. <The Night Before Independence Day(독립전야)>(1984) objectified figures who devoted themselves to building a new world or welcoming a new age positively, and <Sea Gull(해연)>(1948) embodied figures who dedicated to children, leading role in the future. In these films, Seoul was ambivalent place because negative/positive and critical/hopeful aspects of Seoul were coexisted, contrasted, or inverted. Third, Seoul was often set as background in conventional melodrama which was one of the most popular genres in that period. Especially, Seoul was symbolized as a centric place in <A Public Prosecutor and A Female Teacher(검사와 여선생)>(1948) and <A Journey of Youth(촌색시)>(1949). Representation of Seoul in these films, supported modern values in modern cities, but accepted patriarchal order at the same time. 본 연구에서는 해방 시점부터 6.25전쟁 이전까지 제작·개봉된 극영화들 가운데 시대를 대표하는 텍스트에서의 서사적 배경 설정, 시각적 구현 과정, 의미화 작용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해방기 한국영화 속 서울의 공간 재현 양상에 관해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첫째, 해방기 한국에서는 역사적인물의 항일 – 독립 투쟁기를 다룬 극영화가 유행하였다. <자유만세>(1946), <유관순>(1948) 등의 영화에서서울(경성)은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상징하는 곳으로 그려졌다. 그 구현 방식에 있어서도 분화와 대비를 통해 서울에 대한 잠재적 이상과 대중적 환상이 혼재된 양상을 띠었다. 그리고 이는 이들 작품이 항일과독립에 관한 역사적 사실성뿐 아니라 허구성을 지닌다는 지점과 연결되어 특수성을 이루었다. 둘째, 당대 사회현실을 다룬 영화로는 새 시대를 긍정적으로 맞이하거나 새로운 사회 건설에 투신하는 인물(들)을 대상화한<독립전야>(1948)나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를 위해 헌신하는 인물(들)을 형상화한 <해연>(1948) 등이 있었다. 이들 영화 속에서 서울은 상징물과 전경화의 방식으로 시대성과 지역성이 제시됨으로써 부정적/긍정적, 비판적/희망적 측면이 공존하거나 대조를 이루거나 전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당대 가장 대중적인 장르 유형의 하나인 신파적 통속 멜로드라마 안에서도 서울은 자주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면서 <검사와 여선생>(1948)이나 <촌색시>(1949)에서 확인되는 바대로, 중심부(로서)의 표상을 통해 근대적 가치를 옹호하는한편 가부장적 질서를 용인하며 그 계몽적 성격을 드러내었다.

      • KCI등재

        한국영화의 자기반영 양상 연구: <어느 여배우의 고백>(1967)을 중심으로

        함충범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현대영화연구 Vol.18 No.1

        Through this thesis, I have researched the aspects of self-reflection the Korean cinema focusing on <Confession of an Actress>(1967).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characters in this film are mostly people working in the filmdom. By the way, most of the real actors who play the roles use their real names or stage names almost as they are in the film. In addition, there is a homogeneity in the history of filmdom activity between the casts and the actors in the film. Second, this film contains several ‘film in the film’ scenes in the narrative, and forms colorful screens through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Thus, the story of the film and the story of the film in the film have a connection, and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is blurred. Third, this film ha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rama that was popular in South Korea in the 1960s. In addition, the film clearly reflects the contemporary film-making environment. Through this, <Confession of an Actress> is positioned as one of the most revealing the aspects of self-reflection in Korean cinema. 본 논문은 <어느 여배우의 고백>(1967)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의 자기반영 양상을 탐구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그 개괄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이 작품은 극중 주요 인물들을 주로 영화 관계자로 설정한다. 그런데, 배역을 맡은 실제 배우들의 대다수가 영화 속에서도 자신의 실명이나 예명을 거의 그대로 사용할 뿐 아니라 양자 간의 영화계 활동 이력에도 동질적 궤도가 그려져 있었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드러낸다. 둘째, 이 작품은 서사 전개 과정에서 여러 편의 ‘영화 속 영화’ 관련 장면들을 경유하며 다양한 표현 기법을 통해 다채로운 화면들을 구성한다. 그러면서 영화의 이야기와 영화 속 영화의 이야기가 유기적인 연결성을 지니는 동시에, 사실성과 허구성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생소하지만 신선하기도 한 간접적 경험을 선사한다. 셋째, 이 작품은 1960년대 중후반 당시 유행하던 멜로드라마의 외형을 두른 채 여성 취향 신파 영화로서의 장르적 속성을 견지하면서도 동시기 영화 제작 환경을 여실히 담아낸다는 점에서도 특징을 보인다. 이를 통해 <어느 여배우의 고백>은 한국영화의 자기 반영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작품 중 하나로 자리한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영화 속 실존 인물의 표상: 1940년대 초 상영된 현존 극영화를 중심으로

        함충범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8 동북아연구 Vol.33 No.2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s of real people in existing feature films of colonial Joseon. The films, released in the early 1940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reveal the keynote of the colonial power policy. First, two children's films, <Tuition>(1940) and <Homeless Angel>(1941) are based on true stories written about the real experience by a fourth-grade student of an elementary school, Woo Soo-young, and a social worker, a people Bang Soo-won pastor. In doing this, the films reflect policies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e children which embodied a dominant ideology representing the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Joseon(naseonyounghwa) and the subjecting to Japan imperialism. Next, in the <A Volunteer>(1941) which is a propaganda film for supporting the army special volunteer system(1938), Ito Hirobumi, the first Resident-General of Joseon and Minami Jiro, the current Governor General of Joseon appear through the portraits and documentary clips in the real and imagination of the main character. Then, factual images of Japanese rulers who represent the past and the present each, emphasiz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volunteer system and the justice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In the case of <You and Me>(1941), it was a Japanese language film produced from the press section of Japanese Joseon Army. In the middle of the film, Minami Jiro, a Governor General of Joseon and Itagaki Seisiro, the commander of the Japanese Joseon Army appear. Moreover, the scene of Lee In-suk who was the first Joseon volunteer soldier died in battle, is displayed at the beginning of the film. By heroizing his actions, the film presents an exemplary case of the Joseon volunteer soldiers.

      • KCI등재

        배우 강수연의 성장 과정과 동시기 한국 영화계의 흐름: 10대 시절의 활동 양상을 중심으로

        함충범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1

        This paper is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chronologically explored actress Kang Soo-yeon’s film activities in her teenage years. To this end, I targeted the movies from the mid-1970s to the mid-1980s, and analyzed how the range of role acting was expanded in these works. And I considered how this was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trend of Korean films.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ollowing aspects continued by period. First, in the middle and late 1970s children’s film trend, Kang Soo-yeon solidified her position as an actress through seven works. Second, in the 1980s, when production trends of high-teen films and television dramas were changed, she took on the lead role in The Sesame Salt and the Ugly(1982). Also, she was cast as the main character in A High School Student Diary, which aired on KBS1 from 1983, and gained great popularity. On the other hand, she had appeared in supporting roles in The Last Secret Affair(1980) and Promised Woman(1983). In addition, she started acting as an adult in Tragedy of W(1985) and Whale Hunting 2(1985) in the mid-1980s. And then, she became the most active actress in South Korea for the next 10 years. 본 논문은 배우 강수연의 10대 시절 영화 활동을 연대기적으로 탐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출연작을 대상으로 삼아, 이들 작품에서배역 비중의 증대와 연기 영역의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영화의제작 경향과 어떠한 관계 선상에 놓여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시기별로 다음과 같은 양상들이 이어졌음을 구명하였다. 먼저, 1970년대 중후반 아동영화의 유행 및 범람 속에서, 강수연은 7편의 작품을 통해 출연 빈도 및 역할 비중 양면에서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 갔다. 다음으로, ‘하이틴’물 제작 경향이 바뀌는 1980년대 들어 그는 김응천 감독의 <깨소금과 옥떨메>(1982)에서 주연을 맡았다. 또한 1983년부터 KBS1에서 방영된 <고교생 일기>에 주인공으로캐스팅되어 커다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한편, 이미 김기 감독의 <마지막 밀애>(1980)와 <약속한 여자>(1983)에서 조연으로 출연한 바 있던 강수연은,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W의 비극>(1985)과 <고래사냥 2>(1985)를 통해 본격적으로 성인 연기를 펼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그는 이후 10여 년간 한국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펼친 여배우로 자리하게 된다.

      • KCI등재

        1940년대 식민지 조선영화의 역사화 전략 - 현존 극영화 속 공간과 사건의 설정 방식을 중심으로

        함충범,한상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7 한국예술연구 Vol.- No.18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some methods of historicizing in the colonial Joseon cinema of the 1940 which construct actuality of the narrative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message. Based on existing feature films produced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I analyzed two elements in narrative structure; place and event in them. As a result, I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in two kinds of historicizing. First, Gyoungseong in Homeless Angel, Suwon Hwaseong in Tuition, and remains of Buyeo in You and Me are symbolized historically. In addition, places such as training camp, railway station, and battlefield in the feature films which reflected the military policies are symbolized realistically. Second, there are many scenes including speeches or discourses spoken in Japanese and some images of newspaper in Joseon cinema. These images call Korean people’s attention to the circumstances of 'state of affairs' backgrounded Sino-Japanese War, New system, or Pacific War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 practice to them. 본고에서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영화가 어떠한 역사화 방식을 활용하여 내러티브의 사실성과 메시지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하는지에 관해, 현존 극영화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공간과 사건이라는 서사 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두 가지 요소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집 없는 천사>에서의 경성, <수업료> 속 수원 화성이나 <그대와 나> 속 부여 유적 등은 역사적 상징화에 의해, 군사 정책을 반영한 여러 극영화들 속 훈련소, 기차역, 전장 등의 공간은 현실적 상징화를 거쳐 식민지 권력의 동화 정책과 전시 체제를 합리화하는 데 활용된다. 둘째, 당시 제작된 다수의 극영화들 안에는 일본어 연설 또는 담화 장면이, <지원병>과 <사랑과 맹세> 속에는 대표적 인쇄 대중 매체인 신문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이들 작품은 중일전쟁, 신체제, 태평양전쟁 등을 배경으로 한 ‘시국’ 상황을 환기함과 동시에 조선인을 대상으로 그 실천을 강조한다.

      • KCI등재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활동 연구

        함충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7 No.-

        This paper reveals empirically how Japanese scenario writers worked under a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in Joseon in the 1940s. As I researched sign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bout them in terms of film history, I found meaningful results. First, films written by Japanese scenario writers increased in colonial Joseon film industry since the 1940s. Especially, they handled most of feature films’ scripts after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Joseon were merged. This tendency was made under a certain historical background; the Sino-Japanese War was protracted and extended to the Pacific War which brought about implementation of war basis and reinforcement of mobilization. Second, remarkable Japanese scenario writers appeared in Joseon film industry at this period. They not only professionally wrote scenarios but also worked as film critics or veteran in other art fields. Also, they took part in various kinds of activities related with films except for writing. They worked for planning or producing films from film production company, worked for promot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or worked at media. Third, in terms of scenario writing, Japanese writers exposed their identities and strengthened their positions by keep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films. These scenarios reflected colonial policy made by Japan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lonial Joseon. It mad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contemporary Japanese films and former Joseon films. 본 연구에서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어떠한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들이 어떠한 시대 배경 속에서 어떠한 영화 활동을 하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구명하고, 그 영화사적 특징과 의미에 대해 해석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40년대 들어 식민지 조선영화 내에서 일본인 시나리오작가들에 의해 쓰인 작품들의 비중이 갈수록 커졌다. 특히, 조선의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가 통폐합된 이후 완성된 거의 모든 극영화의 각본을 그들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태평양전쟁으로의확장, 이에 따른 전시체제의 구축과 식민지 동원의 강화라는 시대적 배경 하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당시 조선영화계에서는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재조선 일본인과 내지 일본인으로 구성된 그들의직업은 주로 전문적인 시나리오 작가였으나, 영화 평론가 및 기획 담당자, 여타 예술 분야에서의 경력을 지닌사람들도 포함되었다. 또한 이들은 작품 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영화 활동을 행하였다. 영화사에 소속되어 기획및 제작을 담당하기도 하였고, 조선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각종 단체 및 언론 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셋째, 조선영화 시나리오 창작에 있어서도, 일본인 작가들은 본인의 영화적 경향을 이어 가며자신의 존재성을 드러내고 그 입지를 다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과 함께 식민지조선(영화)의 특수성을 반영하였다. 그러면서 동시기 일본영화 및 이전 시기 조선영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을지니게 되었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영화 속 ‘대동아공영’의 표상 ─ <그대와 나>(1941)에서의 ‘내선일체’ 양상을 통해 ─

        함충범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20

        You and Me (1941), which can be categorized both as a colonial Joseon film and a national policy propaganda of “Imperial Japan”, was the first production of Press Bureau of Japanese military in Joseon and was released right before the Pacific War. Its bilateral nature can be confirmed by the production staff as well. The film-director, Heo Young (or Hinatsu Eitaro in Japanese) was a Joseon national residing in Japan, and the script was co-written by Heo Young and a Japanese writer Ijima Tadashi. The actors/actresses and other production staffs from Joseon, Japan and Manchukuo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ith such transnational background, the film promoted the concept of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GEAPS), also emphasized the Naeseonilche (內鮮一體, the idea that Japan and Joseon are One) policy through the film characters who joined the Japanese army for the Sino-Japanese War. On the other hand, some inconsistent images of Imperial Japan can be found in the film, which goes against the ideal of GEAPS. The Japanese soldiers in Joseon, for instance, was depicted as a contradictory image of guardians/invaders. This textual complexity can be expanded to the ambiguous contextual environment of that period. This is because a Joseon cinema was typically categorized as a dual category, viz. Imperial Japanese cinema and Colonial “Peninsula”cinema, as confirmed by the transnational composition (Korean/Chinese/Japanese) of the staff. It can be therefore argued that You and Me exhibits dispersed desire and divided perspectives shared/contested by various constituents of Imperial Japan. 일제말기 식민지 조선 문학, 예술계의 창작 경향에 ‘국책’(현재적 용어로 ‘친일’)의 색이 물들어 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에는 중일전쟁(1937) 이후 국가총동원체제가 구축되었다는 시대적 배경이 자리한다. 1940년대 들어 조선영화에도 전시체제 하에서 국가(식민지) 동원 정책이 반영되었다. 이때 주목되는 영화가 있으니, 바로 <그대와 나>(1941)이다. 이 영화는 재일본 조선인 허영(하나쓰 에이타로)이 감독을, 그와 이지마 다다시가 각본을 맡고, 조선군 보도부에서 제작을 하였다. 또한 조선과 일본은 물론 만주에서까지 제작 스텝과 유명 배우들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게다가, 기획 단계서부터 일본과 조선의 언론으로부터 굉장한 관심을 받았다. 그러면서 영화 기획 및 제작 과정에는 ‘대동아공영’의 기치가 내걸어지고 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대와 나>는 전체적인 스토리 상 조선인의 지원병 지원을 선전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곳곳에는 ‘대동아공영’과 배치되는 제국의 모순적 이미지가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는 ‘보호자’이자 ‘침략자’였던 조선군, 조선인, 중국인이면서 ‘일본인’으로 호명되던 영화인들, 아울러 제국의 영화이자 식민지 영화로서의 조선영화의 이중적이고도 모호한 입장에 따른 분산된 ‘욕망’과 분열된 ‘시선’이 다층적으로 얽혀 있었다.

      • KCI등재후보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상영의 제도적 기반 연구-1940년대 초반 배급, 흥행 부문 신체제를 중심으로

        함충범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5 No.2

        This research is about the new system of screening in colonial Chosun in the 1940s. Focusing on Focused on the fields of distribution and performing in 1942, it looked intotheir exhibition practices in practical and analytical ways and have found out what isfollowed. First, in the aftermath of the Sino-Japanese War the practice of film exhibitionin Chosun was reformed like that of Japan. And this was connected closely thecontrolling policy of the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under the cinema new systembuilt in 1942. Second, the proclamation and enforcement of Chosun Yeongwha-Ryeong(Film Law of colonial Chosun) and related reforms would lead to various forms ofchanges in the film exhibition practice. At the time, its film screening practice consisted of three kinds of screening, regular, mobile and intermittent film screening. Also, the showing time was more and more shorten and a set of film exhibition practice, consisting of newsreels, cultural movie (Munwha Yeongwha), and feature film, was established. And the last, Because of the consolidation of film productions in Chosun after 1942, the trade of films between the imperial Japan and colonial Chosun was vitalized. Such changes had a decisive effect on even the production of feature films in Chosun during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