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선순환구조 모색

        정원식(Jung, Won-Si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한국의 학생 단편영화는 양적인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상위권이며, 질적으로도 다양한 영화제에서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생 단편영화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그 대부분은 한 두 번의 시사회 이후 그대로 사장되고, 업계 진입을 위한 포트폴리오로서의 실질적인 역할도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학생 단편영화가 고유의 교육적, 공공적,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생각하면, 우리 사회와 영화 산업계의 적지 않은 손실이다. 한편 미디어 3.0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IPTV와 OTT기반의 디지털 온라인 시장이 급속히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모바일에서의 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더불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등장으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영상콘텐츠의 제작, 소비 패러다임에도 일대 전환기가 도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적 현실에 기반한 학생단편영화의 개념과 현황, 다양한 가치들에 기반한 활성화 필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과의 적극적 결합을 통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보고, 극장과 TV와 같은 기존의 레거시형 미디어 플랫폼과는 달리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에서는 학생 단편영화가 나름의 경쟁력과 활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결론적으로 학생 단편영화가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롭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개념의 콘텐츠로서의 선순환 구조확보 가능성도 모색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함으로써, 신진 인력발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기존 학생 단편영화 제작 시스템의 고질적인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적 해결 방향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Short films by students in Korea are, in respect to quantity, ranked among the highest worldwide, and in quality, they have been accumulating successful results in various film festivals. However, if examined more deeply inside, most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are forgotten after one or two film premieres, and the films’ practical roles as portfolios for entrance into the film industry are not very significant in reality. In this aspect, if one considers the value of short films by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publicity and industry, this is a significant loss to the society and film industry. On the other hand, with the upcoming era of media 3.0, IPTV and OTT-based digital online markets have been in rapid development, and demands for platforms for the media content on mobile devices are ever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generation of digital-natives, paradig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new media image platforms are going through a period of rapid transi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paper looks into the needs to promote short films by students, based on the films’ concept, current status, and various values that fit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also considered the industry-wise possibilities (via active convergence with the new media image platforms)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which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comparison to other films up until now, and also studied that, together with the new media images, those short films have competitive edge and usability unlike those traditional legacy media platforms such as film and TV. In conclusion, short films by students could be vitalized afresh with new media image platforms, and it appears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ome up with new ways to secure the positive feedback system for content of a brand new concept. More importantly, by discovering and utilizing short films created by students as valuable content in the industry, this paper could function as a breakthrough to consider the efficient discovery of new labor force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it could bring a paradigm shift and serve as a turning point in solving the existing system’s persistent limitations and issues of exposing short films produced by students.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정책과 지역중심의 영화예술교육

        박종호(Park Jong Ho)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은 2005년 설립되었지만, 문화예술교육은 이미 2000년부터 예술강사풀제를 통해 시작되었다. 국악은 강사풀제의 첫 번째 프로그램이었고, 영화강사풀제는 2004년에 시작되었다. 강사풀제는 관련 예술강사들과 학교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애니메이션, 공예, 무용, 디자인, 미술, 영화, 음악, 국악, 사진, 연극에 이르는 총 8개의 예술분야에 걸쳐 이루어진다. 강사풀제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기식 교육보다는 상시적인 교육으로의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목적은 문화복지의 개념에 근거한다. 지역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지원협의회는 2007년에 출범하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확보와 양성을 위한 목적의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2007년에 설립되었다.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주요업무는 지역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다. CAP 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유사하다. 다른 점이라면 대학-지역연계예술교육은 대학의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 센터나 학교들을 대학과 연계하는 방식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의 재능과 자원을 지역의 파트너와의 연결을 통해 예술교육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영화예술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예술 장르에 걸쳐 실시할 수 있다. 이 교육은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에 의해 지도되고, 대학 교육의 반영이기도 하다. 대학-지역연계영화예술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되고, 동시에 대학생들은 그들의 지식과 능력을 십대청소년들과 공유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단순한 참여의 기회를 넘어 대학생 강사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의미 있는 삶과 교육, 창작 작업의 경험과 폭넓은 지역사회를 통해 실제 세상과 교류라는 혜택을 얻게 된다. 영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학생들은 다른 친구들과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그들의 비판적, 창의적 사고를 키우게 될 것이다. 지역연계영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성취를 위해서는, 앞으로 올바른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began in 2000 as an art instructors’ pool and the Arte was established in 2005.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ctors’ pool is the first program of art instructors’ pools and film instructors’ pool launched in 2004. The programs link related art instructors to public schools. It covers 8 different artistic disciplines include animation, craft, dance, design, drawing, film, music, national classical music, photography, theater. To activate art instructors’ pool program, it needs to convert from a short term based session to a long term 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law for support of culture & arts education depends on cultural welfare. The support council for culture & arts education launched locally in 2007. The purpose of obtaining and training the community culture & arts education professional is the community culture & arts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the community culture & arts education support center was established in 2007. The main roles of community culture & arts education support center are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and developing of the education programs. CAP program is similar to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The difference is that CAP program is an arts education program to link university to community arts centers or public schools throughout their community. It forms a bridge between the talents and resources of university and those of its community partners in order to train and encourage people who need arts education. The different artistic disciplines can be taught not only cinematic arts but also all kind of arts. The courses are taught by faculty and college students. The courses are designed to mirror the pedagogical approaches used in teaching at university. Community cinematic arts education program will be offered free of charge. At the same time, it will afford university students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abilities with teenagers. More than that, university students involved in this program gain valuable life, teaching and art making experience, and benefit from real-world engagement across a wide range of their communities. Through the cinematic arts class, young students will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To achieve community cinematic arts education program, Various researches and efforts to find right education model is needed from now on.

      • KCI등재후보

        새 세대가 만든 새 영화

        안재석(An Jae Seo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영상시대’ 운동의 모토는 ‘한국영화의 예술화’였다. 불황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던 1970년대 한국영화계의 암울한 현실 하에서 이들은 “훌륭한 영화, 예술적인 영화일수록 많은 관객을 모을 수 있다”고 믿었고, “영화예술의 잃어버린 본령(本領)을 되찾을 때 그때 불황은 분명히 없어질 것”이라 확신했다. 여기서 이들이 말하는 ‘예술적인 영화’, ‘영화예술의 본령’이란 194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을 시작으로, 폴란드, 스웨덴,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등 서구 도처에서 등장한 ‘뉴 시네마(New Cinema)’, 즉 모더니즘 영화를 지칭한다. 특히 이들 각국의 ‘뉴 시네마’는 “영화의 본질을 다시 정의하려는 시도였고 영화를 예술로 다시 끌어올리려는 노력이었으며 영화와 현실, 영화와 관객의 관계를 묻는 질문”이었기 때문에, “한국영화는 도무지 영화다운 영화를 탄생시켜 본 적이 없다”고 여겼던 ‘영상시대’ 감독들에게 훌륭한 본보기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들의 ‘영상시대’ 활동기간의 작품들은 그들의 믿음과 확신과는 달리 관객들의 호응을 받지 못했다. 심지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1977, 홍파)와 〈한네의 승천〉(1977, 하길종)은 서울에서 개봉조차 하지 못하고 단지 제작사에 외화 수입 쿼터를 수혜케 한 요식행위의 작품이라는 수치스런 신세로 전락해버리기까지 했다. 물론 이들 작품에 대해 “이전 작보다 떨어지는 태작(怠作)들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분명한 것은 이 시기 작품들이 이들의 이전 작품들, 더 나아가 ‘영상시대’ 해체 이후의 작품들과도 뚜렷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그저 ‘태작’이라고 치부하기엔 억울한 나름의 훌륭한 성과물들이라는 사실이다. 이들이 추구했던 ‘한국영화의 예술화’가 그저 말뿐인 호언(豪言)이었던 것만은 아니었던 것이다. The motto of ‘Young Sang Shi Dae’ as film movement is ‘making Korean film into the art’. Under the grim actualities of real life in 1970’s, they believed “the more the film is outstanding and artistic, the more it attracts an audience” and they are sure “when the real soul lost from the film art is recovered, recession of the film is also gone.” At this time, ‘artistic film’ and ‘the real soul of the film art’ mean the ‘New Cinema’, modernism cinema come from Poland, Sweden, France, England, Germany, America, etc after the beginning of neorealism in Italy. Particularly, because ‘New Cinema’ in each nation was “the attempt defining the essence of the film, the effort making the film into the art again and the question as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and the reality and between the film and the audience”, it could become outstanding example for directors of ‘Young Sang Shi Dae’ who thought “Korean film didn’t make the real film.” But, unfortunately, their films in a working period of ‘Young Sang Shi Dae’ didn’t receive the support of audienc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ir convince. Even Where Will We Meet Again? (1977, Hong Pa) and The Ascension of Han-ne (1977, Ha Kilchong) couldn’t be opened in Seoul and after selected as ‘quality film in the first half of 1977’, it became dishonorable films of the formality giving theforeign film import quota. Of course, these films are mostly appraised as “a rubbish in comparison with previous films.” But obvious thing is films in this period had a clear difference from films in before and after period of ‘Young Sang Shi Dae’. Also, these films were too outstanding achievements to be considered as ‘a rubbish’. ‘Making Korean film into the art’ pursued by them wasn’t just bluffing.

      • KCI등재

        누리 빌게 세일란(Nuri Bilge Ceylan) 작품의 꿈 장면 및 소리와 영상 몽타주 스타일에 관한 연구

        박철웅(Park, Chur Woo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3

        누리 빌게 세일란은 꿈 장면에 많은 관심을 가져와서 초기에는 잉그마르 베르히만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향을 받은 흔적을 보여준다. 그 후, 작품의 완성도가 절정에 오른 <우작>, <기후>, <쓰리 몽키스>에서는 마치 문학의 마술적 리얼리즘같이 꿈과 현실이 공존하는 환상을 보여주며, 최근작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에서는 환상이 내러티브에도 관여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그의 작품에서 꿈 장면은 내러티브가 발전할수록 분량은 줄어들지만, 모던한 형식으로 발전을 계속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터키 현대 사회를 반영하는 리얼리즘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 속에서 형식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점이다. 미니멀리즘은 세일란 작품들의 모던한 스타일을 일컫는 핵심적인 표현으로써, 시적인 응축을 통해서 예술적인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그는 초기의 습작기를 거친 후, <우작>이후의 작품들에서 모던한 영상언어를 혁신하면서 세계적인 모더니스트로 떠오른다. 이러한 성취의 비결은 세일란이 소리와 영상의 몽타주 작업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직접 관여하기 때문이다. <작은 마을>에서 시작된 소리와 영상의 몽타주 실험은 <우작>에서는 시선과 소리의 강조만을 통해서 전체 스토리를 성공적으로 축약 하였고, <쓰리 몽키스>에서 드라마를 만들기 시작한데 이어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에서는 드디어 삶과 죽음의 공존이라는 깊이 있는 철학적 주제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열악한 제작 환경 때문에 사운드와 편집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 통달 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독특한 제작 시스템이 배경이 되었다는 것이다. In his early career, the dreaming scenes in Nuri Bilge Ceylan"s films represent the influences of great film makers like Ingmar Bergman, Andrei Tarcovsky. And in his middle career, those show us a surprised attempt which is similar to latin America literature"s magic realism. His recent work <Once upon a time in Anatolia> also shows us that the dreaming scenes aren"t only showing themselves but also influence to the narrative in it. As the narrative of his works become stronger as amount of dreaming scenes become fewer. However, the dreaming scenes in his works don"t stop their development. Noticeably, those have been developing in his works based on realism which represents Turkey"s society. Minimalism, which is the key world of Ceylan"s modern styles, means that artistic image are produced by poetic condensation. Ceylan has become a world famous modernist by reforming modern visual language through <Uzack>, <Climates>, <Three monkeys> after his early career. The remarkable achievement is based on his artistic spirit and talent as author. The Sound & Image Montage had started from < A small town>. It abbreviated the whole story of <Uzack> successfully only by a character"s looking and the emphasis of sound, and began to dramatize in <Three monkeys>. And finally could express a delicate theme such as the coexistence of a life and death in <Once upon a time in Anatolia>. Ironically, it comes from the audacious Images & sounds montage works based on his unique production system which he has to control everything from to technical works because of his poor financial situation.

      • 중국인이 본 아시아 태평양 영상 문화 교류

        저우싱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08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학술대회 Vol.2008 No.12

        아시아 태평양(이하 아태) 지역의 영상문화 교류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것은 동양 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동양 문화의 세계화를 촉진시키는 데 모두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교류는 동아시아 국가 상호간의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서로 촉진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다준다. 여러 국가들이 동아시아 문화의 근접성으로 인해 자신들의 문화에 대한 매력을 인식해 나가고 있다. 우리는 아태 문화 교류의 새로운 방법과 기반을 만들어야 하며, 인재를 양성하고 교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평등한 교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여기서부터 출발해야만 아태 문화교류의 질적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