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욱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8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8 No.4

        Local governments are at risk of extinction due to low fertility, aging population, migration of population to large cities, prolonged regional economic downturn, and demand for welfare finance due to welfare service expansion. The degree of financial autonomy, which is an index of self-financing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has been decreasing year by year, and local governments tend to rely on local government subsidies and state subsidies. Although local autonomous entities need to implement local autonomy and local fiscal decentralization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ies,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not able to properly fund their own resourc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terventions could lead to the frequent revocation of local autonomy. In particular,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experiencing a low birthrate and an aging tendency, and the demand for local finance ha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welfare administration of the resident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self-financing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legal system related to self-financing, and the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tendency to refer to the Constitutional Charter of the Guarantee Law, the transfer of the taxation of the national tax and the local tax, and the rational adjustment (transfer of the real estate tax,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transfer of individual consumption tax to local tax, We will review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elasticity tax rate through the ordinance and the rational improvement of the local allocation tax calcula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hometown love tax and the introduction of outside the lawt of the local taxati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rate of imports other than the local tax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o find a reasonable way to secure their own financial resources. First,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frequently restricted by the local tax law and the local tax law. Therefore, it is stipulated to revise the Constitution so that actual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guaranteed frequent autonomy. In order to rationalize the disparity gap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adjustment system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afety, relevance, and universality of local tax, transfer tax income tax,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individual property tax, individual consumption tax to the local taxation office, raise the value added tax and local consumption tax to expand the welfare center, Should be reasonably improved. Thir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actively enact local tax regulations on local tax rates and ensure that local resources are secured. Also, in the calculation of local grant tax, the legislative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the efforts of expanding the elastic tax rate of local governments. Fourth, due to the decrease of the local population, the local taxation foreign tax and the love tax for the hometown should be newly established in order to prevent local disappearance and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inally, in order to expand the local tax externa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cal tax collection regulations, to find new income sources other than local tax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drone, etc.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고령화, 인구의 대도시로의 이동, 장기간 지역경기침체, 주민복지 서비스 확대에 따른 복지재정수요급증 등으로 소멸 위험을 받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확보의 지표가 되고 있는 재정자립도는 해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고,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가 지원하는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등의 의존재원에 의하여 의존하고 있는 경향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지방자치행정과 지방재정분권을 구현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법·지방세법·지방세외수입 관계법 등에 의한 국가의 행정적·재정적 개입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고령화 경향으로 주민의 복리행정의 확대에 따른 지방재정수요의 급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확보문제의 해결이 선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의 개념과, 자주재원확보 관련 법제 및 지방자치단체 자원재원현황을 살펴본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확보를 위한 자주재정권보장 규정의 헌법상 명문화, 국세와 지방세 세원이양 및 합리적 조정(부동산분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특정장소 입장행위로 인한 개별소비세의 지방세로의 이양, 부가가치세와 지방소비세 인상), 조례를 통한 탄력세율 활성화 및 지방교부세 산정제도의 합리적 개선, 고향사랑기부세와 지방세 법정외세 도입, 인공지능·빅데이터·드론을 통한 지방세외수입 징수율 제고 등에 관한 법적 과제를 검토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확보방안을 합리적으로 모색한다. 첫째, 지방세법, 지방세외법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권이 제약되고 있으므로 헌법 개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권이 보장되도록 명문화하고, 지방자치단체간의 불균형격차를 합리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지방재정조정제도를 헌법에 명문화하여야 한다. 둘째, 지방세의 안전성, 응익성, 보편성 원칙에 따라 국세의 세원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입장행위 개별소비세를 지방세원으로 이양하고, 부가가치세와 지방소비세를 인상하여 복지원을 확충하고, 국고보조금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세탄력세율에 관하여 지방세조례를 적극 제정하여 자주재원이 확보되도록 하고, 지방교부세 산정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탄력세율 확대적용의 노력이 반영되도록 법제도적 개선이 되어져야 한다. 넷째, 지방의 인구감소로 인하여 지방소멸을 방지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 지방세법정외세와 고향사랑기부세를 신설하여야 한다. 끝으로 지방세외수입금 확대를 위하여 지방세외수입금 징수조례의 제정, 인공지능·빅데이터·드론등을 통한 지방세외수입 신세원의 발굴, 지방세외수입의 전담부서 신설과 전문인력 확충 등이 요구된다.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확보 구조

        강기홍 ( Kang Kee-hong )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19 比較法學 Vol.30 No.-

        본 논문은 광역과 기초지방자치단체가 확보하고 있는 지방재정의 구조를 세목의 종류에 따라 확인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고권을 제고하는 취지에서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거둬들이는 자주재원의 비율(국가 대 지방, 약 78:22%)을 확인하였다. 이어 지방자치단체는 자신의 재원을 자주재원, 의존재원, 지방채의 형태로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검토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원확보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틀 속에 자주재원은 지방세와 세외수입으로 구성되며, 의존재원은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조정교부금이라는 세 가지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들 의존재원은 지방재정 문제의 중심에 놓이는 것인데, 지방세와 세외수입으로 확보한 자주재원 20% 외에 지방재정 부족분 80%를 이로부터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의존재원의 내용인 지방교부세, 특별교부세, 부동산교부세, 소방안전교부세의 내용과 특징을 확인하였고, 국고보조금은 그것이 집행됨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와의 재정적 matching을 요하기 때문에 광역지방자치단체의 경우는 어려움이 덜하나 기초지방자치단체에게는 국고보조가 오히려 지방의 재정적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자주재원을 높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을 제고하자는 주장이 있으나 지방세 및 세외수입을 넉넉히 징수할 수 있는 대도시의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유리한 점이 있으나 도농복합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게는 그 결과로 대도시 지방자치단체와의 재정력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자주재원을 상향 조정하므로 지방의 재정력을 제고하고자 하는 방안은 반드시 의존재원과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제고 방안으로 제시한 것은 자주재원과 의존재원이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현행 지방 재정관계법에서 정한 자주재원의 확보 비율을 일정 부분 상향조정하고, 의존재원은 중앙정부가 징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교부하는 방식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에게 일정 세목을 이양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의존재원의 제고 방안으로 공동세 제도를 긍정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세목의 이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용 방만은 단출하지만 강력한 방법으로 통제하도록 하고, 근본적으로는 주민에 의한 감시 및 감독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법리적 논점을 다루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가 확보하는 재원에 관한 사실 확인에 중심을 둠으로 그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고, 위에서 제시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제고 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논거 제시는 지방자치 선진국의 지방재정 관계법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여 후속적 연구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 finance secured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tax item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inancial standing of local governments. For this aim, the ratio of independent resources collec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first checked (national versus provincial, approximately 78:22 percent). The local governments also identify their own resources in the form of self-reliant funds, dependent funds, and local bonds. Under this framework, the independent financial resources consist of local taxes and outside incom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ependent resources consist of three types of local subsidies, government subsidies, and adjustment grants. These dependent resources are at the center of the problem of local finance, as they secure 80 percent of the local finance shortage from local taxes and non-tax income, as well as 20 percent of the self-reliant funds. The government identified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subsidies, special grants, real estate and fire safety taxes, and pointed out that the government subsidies are less difficult f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s they require financial matching with local governments in the event of their execution, but the government subsidies may put more financial pressure on si·gun·gu basic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point out that although there are arguments to enhance the financial power of local governments by increasing the self-reliance fund, it is advantageous to local governments in large cities where local governments can collect enough local taxes, but that local governments in urban, agricultural and complex regions can deepen the financial power gap with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lso stress that the measures to enhance the financial power of the local government by adjusting the self-reliance fund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dependent fund. Recognizing that local governments' financial resources have close links with their own resources, the government proposed a measure to raise the ratio of self-reliant funds as stipulated in the current Local Finance and Relationship Act, and to resolve the issue by transferring certain details to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collecting th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it is needed to positively considering the joint tax system as a way to raise the dependency on wealth. However, it is suggested to control the financi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that may arise under the transfer in a simple but powerful manner, and to strengthen monitoring and supervision by residen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can be pointed out a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by focusing on the factual verification of resources obtained by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dealing with legal issues. An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detailed argument on how to raise the financial power of local governments, presented above, should be made as a follow-up studying by systematically comparing local finance-related laws of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 확보방안- 최근의 취득세 감면사태를 중심으로 -

        이동식(Lee, Dong Si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2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지 20년이 되었다. 그 사이 우리의 지방자치는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물론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부족하다는 지적도 많이 있다. 이 글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에 있어서 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확대한다고 하면 어떤 방향으로 확대해 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현행법상으로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세에 대해 수익권과 행정권을 가지고 있을 뿐 정작 중요한 정책수립권과 입법권은 중앙정부와 국회에 속해있다. 물론 지방자치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외국이라고 해서 모두 지방세입법권을 전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부여하고 있는 나라는 연방제국가 이외 에는 예외에 속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지방세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으로서 본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현재 보다 많은 측면에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이번 취득세감면사태를 계기로 지방세의 비과세․감면입법을 하면서 자치단 체의 자주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해야 할지에 대해 함께 검토해 보았다. 최소한 이번 취득세감면 사태를 계기를 비과세․감면입법을 하기 전에 자치단체와 사전 협의를 하는 것과, 비과세․감면입법 시 동시에 자치단체의 재원보전방 안을 함께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의 보완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우리와 유사하게 지방세를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에서 1987년 취득세감면사태와 비슷한 사건을 계기로 이와 같은 제도가 도입되었던 것처럼 우리에게도 이번 사태가 바로 이러한 제도를 입법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었으면 한다. Local autonomy was formally codified in the first Korean Constitution in 1948, though it took more that 40 years for local autonomy to be fully realized in our country. Over the past 20 years, the local autonomy system has developed greatly, but it has still some problems. One concerns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Nearly 40% of public finance of local governments is derived from non-independent resources. To further enhance local autonomy, the ratio of independent resources such as local tax must be increased. Furthermore, the right of local bodies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independent resources is also a major factor. Under the current system, local governments have little authority to impose tax. The legislative power for that falls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an only administer the use of local tax revenue. To strengthen local autonomy, local governments must have more power in making rules regarding the imposition of said tax. At the very leas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ble to collaborat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n bills related to local tax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decides to approve or not approve the bill. Our paper offers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local autonomy in relation to local tax.

      • 지방세입 확충 방안

        이현두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4 No.10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를 초래하는 지방재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방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자주재원 확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지속과 지역경제 및 부동산 시장의 침체, 사회복지비 증가 인한 재정지출의 확대, 재정지원의 감소 등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은 날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지방재정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지방재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주재원 확충방안으로 국세의 지방세 이양, 지방세 운영제도 개선 및 세율 확대, 신세원 발굴의 3가지 분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첫째, 국세의 지방세 이양 부문에서는 과세자료의 효율적 관리 측면에서 국세 중 재산과세 성격을 띤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을 지방세로 이양하고, 지방소비세를 확대하고 배분제도 개선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지방법인세를 도입하여 지방정부의 기업유치 및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이 지방세수 증대로 이어 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방세 운영제도 개선 및 세율 확대 측면에서 비과세·감면제도의 법령정비, 감면율 인하, 일몰제의 엄격한 적용 등을 통한 세수확충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철저한 세무조사를 통한 탈루 및 누락세원을 확보하고 지방세법에 정해진 탄력세율제도 활용, 정액분 지방세를 인상하여 지방세 현실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신세원 발굴을 통한 자주재원 확대 측면에서는 원전분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 합리화 방안으로 원전소재 주민들의 직 · 간접적인 피해와 잠재된 위험성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세율을 인상하고 탄력세율을 허용하여야 하며, 환경오염 억제 및 환경투자 재원 확보 방안으로 지방환경세를 도입하여 지방정부의 과세자주권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 결정요인: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운영경비를 중심으로

        김재훈,금재덕,김석민 한국지방재정학회 2023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8 No.1

        With little bases, it has been argued that independent revenues (IR) are better than general revenues (GR) of local governments in that local governments spend the former more efficiently than the latter. That was why previous governments had exerted serious efforts in raising the portion of local government tax revenues of total revenues rather than that of transfer revenues. This research took a straightforward approach by regression analyses testing whether IR and GR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dministrative expenses of 226 local governments from 2010 to 2018. This research made it clear that local governments with higher local tax ratio proved to be more inefficient when only IR was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when both IR and GR wer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only GR exert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fiscal in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자체재원의 비중이 높을수록 효율적으로 재정을 운용한다는 가설과 독립재원이나 일반재원이나 동일하게 그 비중이 높을수록 비효율적으로 재정을 운용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재원의 독립성만을 포함한 모형에서는 재원의 독립성이 오히려 비효율성과 양의 관계를 가지며, 재원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모두 포함한 모형에서는 재원의 독립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재원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비효율성이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즉, 지방재정의 효율성은 지방세와 같은 독립재원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재량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재원에 의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는 지방소비세 확대를 통한 지방세비중 확대가 형평성의 악화와 함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우리나라가 추구하여 왔던 자주재원주의에 입각한 그동안의 노력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한국의 재정분권 수준은 과연 낮은가?

        이영(Young Lee),현진권(Jin Kwon Hyun)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6 공공경제 Vol.11 No.1

        한국에서 재정분권에 대한 논의 및 정책은 재정자립도라는 비과학적인 지표를 통해 세입 확충이라는 편협된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 이러한 정책방향의 묵시적인 가정은 한국의 재정분권 수준이 낮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재정분권 수준이 과연 낮은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OECD 국가들과 비 GECD 국가들을 포함한 전체 국가들의 재정분권 수준 자료를 사용하여 재정분권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식을 사용하여 한국의 재정분권 수준을 세입분권과 세출분권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세입분권 수준은 국제간 비교해서 결코 낮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국의 세출분권 수준(지방자주재원 + 이전재원)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시사점으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무조건 지방에 세원만을 이양하는게 바람직한 것이 아니고, 적정 재정분권(optimal fiscal decentralization)이란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이전재원을 통한 지방재정분권이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 한국처럼 작고 동질적인 국가는 국가전체의 효율성 관점에서 이전재원을 통한 재정분권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지방 자주재원을 과도하게 강조할 필요성이 없다. There has been deep-rooted and implicit belief that the level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too low in Korea. We empirically examine whether or not the level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really low by using the data of OECD as well as non-OECD countries. We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revenue and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separately. Our empirical findings are that the level of Korea’s revenue decentralization is not low, and that of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is relatively higher. Our policy suggestion has twofold. First, the level of fiscal decentralization should be discussed with the concept of optimal decentralization. Second, fiscal decentralization heavily depending upon intergovernmental transfer, might lead to more efficiency rather than high level of revenue decentralization in some countries like Korea, where is small and homogeneous.

      • KCI등재

        연구논문 :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친 영향

        정재진 ( Jae Jin Chung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2

        재정분권의 순기능 확보를 위해서는 제도의 합리성과 책임 있는 재정운용이 필요한데 이 연구는 지방자치 실시 이후 현재까지 추진된 재정분권 수단이 재정건전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재정분권 수단은 재정건전성과 연계되어 수입과 지출의 책임성 수준에 따라 세입분권과 세출분권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세입분권은 자주재원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세출분권은 경상적 경비의 감소와 지방채무부담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분권의 기본 가정과 다른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자주재원의 빈약성과 자치단체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분권 그리고 정치적 재원배분 결정으로 설명하였고, 재정분권의 순기능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첫째, 자치단체 재정력 확보를 위해 자치단체마다 차별화된 재정분권의 실행, 둘째,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받아야 하는 최소한의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재정 수준이 증대된 이후에는 세입분권 위주의 재정분권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fiscal soundness.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s divided in tax revenues and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ponsibility of revenue and expenditure which is related with the soundness on the way of fiscal decentral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revenues decentral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local tax and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the debt burden and ease the current expenditure. The reasons are poorness of local tax, uniformed decentralization, and political decision of tax distribution. In addition, this paper makes counterproposal for the assurance of the local fiscal`s proper function. The counterproposal are i) in the short run, the tax reform for the assurance of a local government`s tax independence and allow for local social and economic infra. ii) in the long run, the application of revenue decentralization.

      • KCI등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 자주재원 확보 논의

        서형준(Hyung-Jun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4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서비스 측면에서 중앙정부와 비교하여 가까운 접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복지문제가 중요한 이유인 상황에서 그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재정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지방재정과 관련된 이슈들은 대부분 부정적이다. 특히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많은 지자체가 재원확보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의존재원이 대안이 될 수도 있지만 의존재원은 재정의 자율적 운용은 물론 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재정확충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비록 공공데이터의 활용 수준이 초기수준이지만 공공데이터의 지자체의 자주재원 으로써의 타당성과 도입을 위한 제언들을 통하여 시론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Because the local governments has closet contact for public services compared to central government, their role is important in the age when welfare issue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So Local Public Finance being important than ever, but regrettably local financial issues related to the mostly negative. In particular, many local government face problem of local fiscal independence, as a result, they have hard time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Reliant local finance by central government can be alternative, however, it causes negative effect for autonomous management of local finance and fiscal soundness. In this study, public data by public institutions is suggested as solution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lthough, utilization of public data is initial level, this paper deal with exploratory discussion for public data as self-reliant local finance with validity and suggestions.

      • KCI등재

        지방자치의 실시가 지방채의 활용에 미친 효과 분석: 시정부를 중심으로

        배인명 한국행정연구원 2006 韓國行政硏究 Vol.14 No.4

        지방채는 지방자치단체가 자발적으로 투자재원의 확충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크고, 또한 형평성의 측면에서 지방세에 비해 더욱 우수한 재원조달방안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방채에 의한 재원조달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왔기 때문에 지방자치의 실시 이전 지방채의 활용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을 선출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지방자치를 실시한 이후 지방채의 활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집적시계열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지방자치의 실시 이후 지방채의 발행 규모와 지방채의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지역주민들의 팽창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방채의 활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투자재원을 확보하기 보다는, 안정적인 재정운영을 더욱 선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채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지방채를 활용하는 경우 재선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출 이후만을 분석한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정당이 지방채의 활용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가 기채승인 시 여당 소속의 지방자치단체에게 유리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가설이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또한 분석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출 이후 일인당보조금은 지방채의 활용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재원확보를 위해 지방채 보다는 국고보조금에 더욱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