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오준석,전지연,임인경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2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UV-A 열화견의 수분율은 자외선 조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7.3%까지 떨어지다가 증가하지만 UV-C 열화견은 6.0%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UV-A 열화견의 수분이 높았다. UV-A 열화견은 밝은 황색을 띠며 황변지수가 낮은 반면 UV-C 열화견은 어두운 황갈색이며 황변지수가 높았다.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UV-A 열화견은 UV-C 열화견에 비해 황변에 의한 색상차가 크지 않아 보견 작업시 염색이나 보채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강도면에서 UV-C 열화견은 섬유가 부서지기 쉬운 상태인 것과는 달리, UV-A 열화견은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속심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띠었다. 그리고 UV-A 열화견과 UV-C 열화견 모두 친수성을 가져 보채에는 문제가 없었다. 전반적인 평가 결과 UV-C 열화견 보다 UV-A 열화견이 견본 회화의 보견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 KCI등재

        기능성화장품의 기능성평가에 관한 연구(I) -자위선차단화장품의 in vitro 시험법 연구

        손경훈 ( Kyung Hun Son ),김영옥 ( Young Ok Kim ),이정표 ( Jeong Pyo Lee ),양성준 ( Seong Jun Yang ),백옥진 ( Ock Jin Paek ),김원희 ( Won Hee Kim ),김종갑 ( Chong Kap Kim ),허문영 ( Moon Young Heo ),최상숙 ( Sang Sook Choi ) 대한화장품학회 200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28 No.3

        인체실험(in vivo) 방법과의 상관성이 우수한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방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준자외선차단제인 8% homomentyl salicyate(HMS) 제제와 P3 reference standard 제제 및 기능성화장품중 자외선차단화장품을 사용하여 자외선차단지수측정기(SPF 290 analyzer)를 가지고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를 측정하고, 인체실험과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8% HMS 제제 및 P3 Reference standard 제제의 in vitro SPF 결과는 식약청고시 2001-64호의 규정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크림 및 로오숀 제형에서는 상관계수 0.9506 및 0.9769로서 인체실험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메이크업베이스 및 리퀴드파운데이션, 사용시 흔들어 쓰는 로오숀, 압축분말은 각각 상관계수 0.8812, 0.8632, 0.5984를 나타내었으며. 압축분말의 도포를 위해서는 크림베이스와 1:0.8의 비율로 섞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사람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지수 측정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 후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품질관리에 적용하고, 고시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 in vitro sunprotection factor(SPF) measurement method having good correlation with in vivo method. As in vitro method, 8% homomentyl salicylate, P3 reference standard and sunscreens on market were measured using SPF 290 analyzer and were compared the SPF with labed value. In vitro SPF of 8% HMS and P3 reference standard were 4.59 ± 0.12 and 14.94 ± 0.83. There are good correlation, correlation factor were 0.9506 and 0.9769 respectively, between the in vitro and in vivo SPF for the sunscreen creams and lotions examined. Correlation factors of makeup base & liquid goundation, lotion labled with “shake before use”, compact powder were 0.8812, 0.8632 and 0.5984. The best sample applied method of compact powder was 1:0.8 mixture with cream b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 vitro test method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SPF.

      • GEMS 관측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자외선 지수 및 보건지수 산출

        이하나,정욱교,이원진,이동원,김준,구자호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Ultraviolet; UV) 복사는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UV 영역에 홍반 스펙트럼, 비타민 D 생성, DNA 및 식물 반응 스펙트럼이 분석되었다. 그 중에도 인체에 홍반을 주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자외선 지수라는 표면 자외선 방사 조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순한 파라미터가 고안되었다. 따라서 자외선 지수는 지상 기기와 위성기기를 이용한 표면 UV 모니터링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ROPOspheric Monitoring Instrument (TROPOMI)에서 제공하는 복사량과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atellite (GEMS)에서 계산한 복사량을 이용하여 자료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알고리즘은 조견표와 354nm의 반사율에서 추정된 구름 광학 깊이, 총 오존 칼럼 및 지면 반사도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한다. 흡습성 에어로졸의 감쇄는 후처리 단계에서 보정한다. 본 알고리즘과 TROPOMI의 지표 자외선 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정성적으로 패턴은 일치하게 나타났으나, 위성 에어로졸의 보정방식의 차이로 인해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태양객체 정보 및 태양광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의 자외선 지수를 산출하는 DNN 모델

        가덕현,오승택,임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2

        UV rays hav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osure. An accurate UV information is required for proper exposure to UV rays per individual. The UV rays’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one component of daily weather information in Korea.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n accurate UVI at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region’s Ultraviolet index. Some operate measuring instrument to obtain an accurate UVI, but it would be costly and inconvenient. Studies which assumed the UVI through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lar radiation and amount of cloud have been introduced, but those studies also could not provide service to individua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 model to calculate UVI using solar object information and sunlight characteristics to provide an accurate UVI at individual location. After selecting the factors, which were considered as highly correlated with UVI such as location and size and illuminance of sun and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ky images and solar characteristics data, a data set for DNN model was constructed. A DNN model that calculates the UVI was finally realized by entering the solar object information and sunlight characteristics extracted through Mask R-CNN.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UVI recommendation standards, it wa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UVI within the range of MAE 0.26 compared to the standard equipment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days with UVI above and below 8. 자외선은 노출 정도에 따라 인체에 유익 또는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별 적정 노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자외선(UV) 정보가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 생활기상정보의 한 요소로 자외선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지역별 자외선 지수(UVI, Ultraviolet Index)로 사용자 위치의 정확한 UVI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정확한 UVI의 취득을 위해 직접 계측기를 운용하지만 비용이나 편의성에 문제가 있고, 태양의 복사량과 운량 등 주변 환경요소를 통해 자외선 양을 추정하는 연구도 소개되었으나 개인별서비스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개인별 위치에서의 정확한 UVI 제공을 위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특성을 이용한 UVI 산출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기 수집한 하늘이미지 및 태양광 특성을 분석하여 태양의 위치 및 크기, 조도 등UVI와 상관도가 높은 요소들을 선정한 후 DNN 모델을 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한다. 이후 하늘이미지로부터 Mask R-CNN을 통해 추출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 특성을 입력하여 UVI를 산출하는 DNN 모델을 구현한다. 국내 UVI 권고기준을 고려, UVI 8이상과 미만인날에 대한 성능평가에서는 기준장비 대비 MAE 0.26의 범위 내 정확한 UVI의 산출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천연염재의 자외선 차단성능 연구

        김월순,최인려 服飾文化學會 2004 服飾文化硏究 Vol.1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rocess of natural dye substances which can block ultraviolet rays without producing harmful substances by pollution, germs, etc. While making human body safe in contact, extracting Gardenia, Sappan wood, Radix scutellariae, Cromwell, Mugwort, Gallnut, Lac. Those are used for curing diseases, dyeing silk cloth with those extracts, and examining the color fastness, Ultraviolet protection.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produced. Brightness was lower in pre-mordanting than in post. And color difference showed that Radix scutellariae was the highest. Aluminum-mordanting showed a higher color difference than Fe. Colorfastness to washing was high in all samples, and the degree of color-changing by washing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 dyed by gardenia, pre-mordanted gallnut showed the highest degree. Colorfastness to perspiration was the highest in gardenia. UV-A test showed that all samples a high rate of 85% or higher compared with test white cloth. Especially, post-mordanted radix scutellariae, pre-mordanted gallnut and post-mordanted sappanwood showed a superior blocking rate.

      • KCI등재
      • KCI등재

        충청지역 남녀 대학생의 자외선에 대한 인지도와 자외선차단제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윤지성(Ji-Sung Yun),김선예(Seon-Rye Kim),조혜경(Hye-Kyung Cho),홍송희(Song-Hee Ho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1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2 No.3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all subjects recognized that UV were harmful against skin. However, the awareness level of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on SPF(Sun Protection Factor) and PA(Protection grade for UVA) was low. While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the awareness that UV was the worst in summer, college students considered that UV would be harmful in spring and winter, respectively. The subjects who used sunscreens had more knowledge on sunscreens than those who didn’t use sunscreens and had more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the sunscreens than those who didn’t use sunscreens. Although there were not man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side effects after applying sunscreens, those students protected UV using clothes with long sleeves and hats instead of sunscreens. However, they strongly wanted to continuously apply sunscreens in spite of their experience on sid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identifying the awareness on UV types from sunlight and as the health education data on the impacts of exposure to sunlight. Furthermo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romotion and proper application method of sunscre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