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업구조 전환기의 자동화기술의 확산전략 및 정책

        박용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4 정책연구 Vol.- No.-

        1. 산업구조의 전환기적 인식과 새로운 정책기조현재 우리나라의 塵業構造는 산업간의 구조조정이 안정기 내지 정체기로 들어서고 또한 산업구조의 내용이 선진국형에 접근함에 따라 미래성장산업, 성숙산업, 구조불황산업이 混在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高度化· 合理化를 지향해야 하는 중대한 「轉換期」에 서 있다. 따라서 현재의 산업정책이 안고 있는 최대의 과제는, 과거와 같은 급격하고 인위적인 산업구조정책보다 각산업의 내실있는 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산업발전단계와 기술내용이 서로 다른 다양한 산업분야들을 「함께 살릴 수 있는」 종합적이고 공통적인 기술요소와 정책수단을 개발,시행하는데 있다. 즉, 생산공정의 개선, 제품의 차별화 ? 다양화, 고부가가치화등을 통해 개별산업의 차별적 자생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보다 중요한 산업정책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 산업구조의 轉換期的인식은 먼저 이른바 선진국형 산업구조의 특징을 기초로 우리와 선진국간의 비교를 통해 우리의 산업구조가 선진국형에 근접해 있다는 실증분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선진국형 산업구조의 특징은 국가간 구조가 매우 유사하며 나아가동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지극히 부분적인 조정만 일어날 뿐 그 변화추이가 매우 안정적인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우리의 산업구조가 ’80 년대를 통해 경험한 것과 같은 급격한 구조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후기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산업구조의 질적 고도화가 지속될 경우 모든 선진경제권의 구조가 하나의 典型的인 형태로 수렴한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선진국들이 이미 유사한 산업구조 형태를 향해 수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한편 우리의 산업구조가 이미 선진국형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은 다양한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앞에서 제시된 推論을 따른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70년대」의 구조와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이미 산업구조의 정체기에 들어섰다는 假定하에 r2000 년 이후」의 구조와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이러한 추론을 받아 들인다면 앞으로의 산업정책과 기술정책의 결합구조는 어느 정도 분명해진다. 즉, 많存塵業에 대해서는 그 내용과 분포가 장기간 지속된다는 전제하에 산업정책의 기조는 특정산업을 선별적으로 육성하거나 일부산업을 의도적으로 도태시키는 구조정책이 아니라 개별산업의 자체적인 경쟁력을 유지 · 강화시키는 방향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정책이 보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나 이른바 新塵業에 대해서는 기술정책이 산업정책에 우선함으로써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기반의 확보가 선행되면서 점진적인 산업정책의 수행을 통해 하부구조를 갖춰 나가는 전략이 구사되어야 한다.2. 자동화기술의 산업연관성과 필요성산업구조가 중진국형에서부터 선진국형으로 移行하는 轉換期에는 크게 새로운 「問題」가 야기되거나 새로운 「條件」이 요구된다. 따라서 산업구조가 선진국형으로 성공적으로 변화하거나 선진국형에서 지속적인 고도화 ? 합리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러한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생겨나는 것이다.산업구조의 고도화로 파생되는 문제들로서는 노동구조와 임금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즉, 노동구조의 변화로 인한 전체노동력의 부족 또는 산업간 불균형분포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임금수준의 전체적 상승 또는 국가간 임금수준의 평준화로 인해 임금경쟁력의 상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따라서 특정산업의 自生力내지 成長價在力은 노동력과 임금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그 關鍵이 된다. 한편, 새로운 조건으로서는 시장대응력과 생산조직의 확산능력이다. 즉, 다양성과 급변성의 양상을 보이는 시장수요의 변화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신축성과 세계화 ? 현지화를 지향하는 생산조직을 유기적 · 동시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능력이 산업경쟁력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자동화기술은 그 기술적 속성과 기능적 용도에서 볼 때, 산업구조의 고도화에서 파생되는 제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새롭게 요구되는 경쟁요소들을 확보하는데 있어 가장 有用한 수단이며 또한 그 산업관련성 및 파급효과가 況塵業的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자동화기술의 확산은 그 변화방향과 목표의 측면에서 합목적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또한, 자동화분야는 그 기술적 ? 산업적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독립산업으로 발전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닌다. 前述한대로 기계, 전자,소프트웨어, 정보 · 통신등의 다양한 모체기술과 산업이 결합된 복합기술 · 복합산업의 성격으로 인해 기술 및 산업기반을 自生的으로 형성하기 어려운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자동화기산업이 대규모의 일반수요자를 위한 최종재, 표준화 제품을 생산 ?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공정설비 및 운용기법의 「中間材」를 제공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시장을 구축하기 어렵다는데 있다. 흔히 “불황에 가장 민감하고 경기회복에 가장 둔감하다”는 말로 대변되는 자동화분야의 시장적 특징은 자동화기술의 산업화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이 두가지의 속성은 “자동화분야는 산업구조 변화의 함수”라는 결론의 근거가 된다. 즉 r 복합산업」으로서의 특성과 동시에 「중간산업」으로서의 특성은 자동화분야의 기술발전이 여타 기술공급산업들의 기술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자동화분야의 산업기반이 여타 수요산업들의 구성과 비중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되므로 결국 자동화분야는 전체적인 산업구조의 변화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진행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3. 자동화기술 및 산업의 문제점과 비교우위自動化부문은, 하나의 塵業으로서 커다란 성장잠재력을 지닌 미래성장산업인 동시에 여타의 미래성장산업, 성숙산업 및 구조불황산업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요소로서 지대한 전략적 가치와 파급효과를 지닌다. 다시 말해, 자동화기술의 확산은 전환기에 선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고도화 · 합리화를 추진해 나가는 데 있어 「況塵業的」인 해결방안의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이러한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화부문은 기술력이 아직 脫弱하고 산업기반도 지극히 微弱하여, 전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확산을 통해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공헌하는 것은 고사하고 자체적인 산업화 및 기술발전의 기반을 확립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시장규모도 작을 뿐 아니라 산업조직도 미비하며 수요-공급을 연결할 슈 있는 메카니즘이 아직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또한 기술적으로도 대형 ? 첨단기술 및 소프트웨어분야는 거의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핵심부품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각종 통계자료나 조사보고서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국내의 시장기반을 구축하고 자동화율과 국산화율을 제고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자동화기술과 산업은 국제분업구조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즉, 시장구조도 대형 · 고가는 선진국 및 소형 · 중저가는 중진국으로 양분되어 있고 수직적인 분업이나 기술이전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중진국형 상황이 제공하는 위협요소와 기회요소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우리 특성과 여건에 맞는 발전목표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국내의 자동화기술과 산업은 현재 태동기를 지나 성장기로 진입하려는 중간단계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은 먼저 앞으로 우리의 자동화기술과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장기적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는」 단계이다. 즉, 그 동안의 축적과 경험을토대로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술적 · 시장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는 평가가 가능한 시점인 것이다. 또한 현시점은 장기적 전략과 방향을 「수립해야만 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우리가 많은 산업의 발전과정에서 경험했듯이, 단기간의 catch--up을 위해서는최종재생산우선 ? 기초재 · 중간재보완의 j띤課程이 불가피하거나 오히려 가장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순서에 의한 발전은 해당산업이 본격적인 주력산업으로 성장하여 선진국들과 치열한 기술 · 시장경쟁을 겪어

      • 자동화를 통한 중소기업 생산기술 혁신 방안

        이정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연구보고 Vol.- No.-

        대외적으로는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의 새로운 출범과 대내적으로는 지방화시대의 개막으로 우리나라의 모든 기업은 이제 새로운 경쟁체제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30여년간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이 대기업 위주의 정책을 기반으로 이룩되어 산업구조가 심각한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잘 알려진 문제이다.최근 10여년간 정부차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중구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80년대초보다는 어느 정도 개선된 측면도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경이 따로 없는 무한경쟁의 시대로 접어든 이 시점에서 국내산업의 구조적 모순이 해소되지 않으면 경영기반이 취약하고 자생력이 약한 중소기업이 심각한 피해를 보게 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구나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는 심화되는 반면에 저가격제품을 통한 후 발개도국들의 추격은 더욱 거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중소기업들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을 찾아야만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결국 우리의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회복하고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과 경영합리화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와 업계의 일치된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그 방향은 기술헥신과 경영합리화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특히 공정혁신을 위한 생산자동화에 초점을 맞추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생산자동화는 기업측면에서 보면 생산과정의 효율화를 추구하기 위한 기술혁신의 한 부분이며 동시에 자동화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소화하는 능력을 축적함으로써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자 및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자동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전 산업에 걸쳐 새로운 생산기술 체제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특히 사회가 다원화되고 개인의 개성이 강조되며 소비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산업전반적으로 다품종소량생산체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신속한 대응능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기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과 유연성을 갖춘 생산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생산자동화인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생산자동화 수준은 아직 도입단계이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는 선진국은 물론 경쟁국인 다른 신흥공업국가들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여기에는 아직 우리나라의 생산자동화 역사가 짧아 관련 기술 및 산업발전이 뒤쳐져 있다는데 그 일차적인 원인이 있다. 또한 자동화, 특히 중소기업의 자동화에 대해 전략적으로 분석하여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도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이 생산자동화를 통해 새로운 경쟁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전략 측면과 정부지원정책 측면에서 제시하여 중소기업의 생산자동화 확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제화 산업의 공정 자동화 -구인난 극복 및 경쟁력 제고를 중심으로-

        이동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related to process automation in the shoe industr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most basic progress of this study was centered on sufficiently verified literature data. Press reports or Internet searches were used only in unavoidable cases, but reliability was secured through repeated cross-validation to prevent errors from occurring.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data related to the shoemaking industry were referred to. To be more precise, we focused on domestic studies that have already undergone considerable research and have undergone verification procedures. Second, data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focused on creating synergistic effects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automation of the shoe industry process. Lastly, by citing data on so-called unemployment in developed countries, the process automation stage of the shoemaking industr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The shoe industry is rapidly declining. It can be seen that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long-term chronic labor shortage were the biggest problems, and a lot of investment is needed to solve them. First,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hoemaking industry was identified and diagnosed. Currently, there was a shoe industry in Korea. Second, the need for process automation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as investigated. Many foreign brands are investing heavily in process automation, and we have looked at actual application cases. Thirdly, feasibility for technology development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overseas brands secured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solved manpower shortages due to process automation. Fourth, it was proved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enough financial resources. The current investment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investors were reviewed, and it was possible to learn about support for companies that actually returned to Korea. Fifth, a dramatic in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as predicted. An example of an automated process devised by the researcher was presented, and at the same time,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in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due to automation. Finally, we looked at the alleviation of chronic manpower shortages. By creating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urrent work and process automation according to process automation,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shortage of manpower due to process automation could be reduced, and that young people could be introduced into the shoe industry by improving poor workplace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제화산업의 공정 자동화와 관련된 이론적 체계 수립이다. 본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진행은 충분히 검증된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부득이한 경우에 한해서 언론 보도나 인터넷 검색 등도 활용하되, 오류가발생하지 않도록 반복적인 교차 검증으로 신뢰성을확보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로, 제화 산업과 관련된 자료를 참고하였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미 상당한 연구가이루어지고 검증 절차를 거친 국내의 연구를 위주로알아보았다. 둘째로,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그 중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과 제화 산업 공정 자동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에 관한 사항을 가장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른바 선진국형 실업에 관한 자료를 인용하여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제화 산업의 공정 자동화 단계 분석을 하였다. 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발산업은 급속도로 쇠퇴하고 있다. 열악한 작업환경, 오래된 만성적인구인난이 가장 큰 문제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투자가 필요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로, 대한민국 제화 산업의 현주소를 파악 및 진단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의 제화 산업 있었다. 둘째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공정 자동화의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많은 해외 브랜드들은 공정 자동화와 관련하여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 적용 사례들을 알아보았다. 셋째로, 기술 개발을 위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해외 브랜드들의 공정 자동화로 인한 기업 경쟁력 확보, 인력난 등을 해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 재원 확보가 충분히 가능한 점을 입증하였다.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서의 투자와 민간 투자자들의 투자에 대해 검토 하였으며, 실제 국내 복귀기업에 대한 지원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다섯째로, 업무 효율 및 생산성의 비약적인 증대를예측하였다. 연구자가 고안한 자동화 공정의 예시를제시함과 동시에 자동화에 따른 업무 효율과 생산성증대에 대해 예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 현상의 완화를 내다보았다. 공정 자동화에 따른 현재 작업 및 공정 자동화 후의 개념도를 작성함으로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인력 부족 현상을 줄이며, 열악한 작업장의 개선으로 인해 젊은 층의 인력을 제화 산업으로 유입시킬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특허 IPC Network 분석 및 Word2Vec 기반 물류 자동화 기술동향에 관한 연구

        황현철,송상화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4

        In the rapidly growing e-Commerce market, logistics requires complex and intensive operations response due to the handling of a variety of goods and short delivery lead time. Due to the rise in labor costs, the 52-hour system, and the aging population, labor-intensive logistics operations like in the past are impossible, making it imperative for companies to logistics automation. Major technologies related to logistics automation are dominated by the U.S., Europe and Japan, but not by technical barriers. Industry, government, and academia should invest in logistics automation technologies with systematic strategies and plans to overcome the technological gap with advanced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ct strategy for developing logistics automation technologi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technology first. Until now, research on logistics technology in Korea has been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t the center of overseas research. This requires quantitative scientific research. Patents contain a large amount of technical information, which can effectively analyze technological changes. This study collected patents on domestic logistics automation technologies and identified key technologies and changes by time through IPC network analysis, and analyzed changes in meaning by time by conducting Word2Vec on key keywords related to logistics automation on green of patents containing core IPC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logistics automation technology changed from hardware R&D to software based 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data,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ternet of Things data processing and control technology was utilized as the core technology. When logistics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was compared with other technologies through Word2Vec, it was deemed that the growth of the technology was necessary through active government suppor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private companies that need to develop and introduce logistics technologies and to policy personnel who need to establish logistics R&D plans.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e-commerce 시장에서 물류는 다양한 상품의 취급 및 짧은 배송리 드타임의 요구로 인해 복잡한 운영과 강도 높은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인건비의 상승, 52시 간제, 인구 고령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노동집약적 물류 운영이 불가능하여 기업의 물류 자동화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물류 자동화와 관련된 주요 기술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이 우위에 있으나 아직 기술 장벽이 공고한 정도는 아니다. 물류 자동화 기술에 대한 산업체 및 정부, 학계가 체계적인 전략 및 계획을 가지고 투자하여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극복하여야 한다. 물류 자동화 기술 개발에 대한 올바른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우선 기술의 동향 파악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국내 물류기술 동향 연구는 해외 리서치 중심에 문헌연구 중심으로 이루 어져 왔다. 이에 정량적 측면의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는 대량의 기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기술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물류 자동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수집하여 IPC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기별 핵심 기술 및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핵심 IPC가 포함된 특허의 초록에 대하여 물류 자동화 관련 핵심 키워드로 Word2Vec을 실시하여 시기별 의미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류 자동화 기술은 하드웨어적 연구개발에서 데이터의 처리 및 활용을 기반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추세가 크게 변화 하였고, 특히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처리 및 제어 기술이 주요 세부기술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물류 자동화 주요 기술 중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상대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 자동화 인공지능 기술은 원천기술의 성격이 강하여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통한 기술의 성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물류기술 개발, 도입이 필요한 민간기업과 물류 R&D 계획 수립이 필요한 정책담당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Trend of Technologies for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원승환(Seung-Hwan Won),조성우(Sung-Woo Ch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전 세계적으로 해상운송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경제 성장과 항만 인프라 개발 계획에 따라 항만의 처리량도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운 선사 간의 동맹이 강화되고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선사는 항만보다 더 큰 교섭력과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선사는 항만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요구사항을 제시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이 생존과 성장을 위해 검토해야 하는 대안 중 하나인 자동화 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미래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논문은 전체 5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 개념 정리, 기존관련 연구 정리, 연구 목적 및 방법 등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을 정의한다. 3장과 4장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비 관련 기술과 운영 관련 기술을 각각 다룬다. 장비 관련 기술은 야드 장비, 이송 장비, 안벽 장비로 나누어 설명하고, 운영 관련 기술은 개체 식별, 위치 및 교통 통제시스템, 터미널 운영시스템, 시뮬레이션, 예외 관리, 운영 유지보수로 나누어 설명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한 후, 활용 분야와 시사점, 본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자동화와 관련된 기본 용어와 개념을 먼저 정리한 후,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이후에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비 관련 기술과 운영 관련 기술을 각각 설명하였다. 장비 관련 기술은 야드 장비, 이송 장비, 안벽 장비로 나누어 설명하고, 운영 관련 기술은 개체 식별, 위치 및 교통 통제시스템, 터미널 운영시스템, 시뮬레이션, 예외 관리, 운영 유지보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관계자와 연구자를 위한 실무적 관점 그리고 국가 항만정책 수립자를 위한 전략적 관점의 시사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독창성/가치: 본 논문은 관련 기존 연구와 최신 자료를 종합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 기술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논문에서 제시한 여러 기술적인 설명과 전략적, 실무적 관점의 시사점은 국가 항만정책 수립, 관련 기술 개발 및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current status of automation of container terminals that have been carried out worldwide to the present, and present future prospects. Composition/Logic: The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 Chapter 1 introduces research background, concept, existing related research, and research purpose and method.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Chapters 3 and 4 deal with the equipment and operational technologies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respectively. Equipment technologies are divided into yard equipment, transfer equipment, and quay equipment and operational technologies are divided into identification, location and traffic control system, terminal operating system, simulation, exception management, and operational maintenance.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nd suggests applicable areas, implication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ndings: First, basic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automation are summarized, and then the concept of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s defined. The following deals with equipment and operational technologies for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respectively.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al perspective for industry employees and researchers, and the strategic perspective for national port policy maker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describes the current trends in the automation technologies of container terminals by combining related researches and the latest data. The technological explan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rateg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presented in the paper will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port policy, and 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자동화기술과 생산기능 직무의 지적숙련 요건

        노용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2

        This study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various aspects of automated technology such as the level of automation, the level of performing operating and setting tasks, the frequency of changes in products, and the frequency of breakdown affects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of manufacturing production jobs, utilizing a worker survey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Workplace Panel Dat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regression models are OLS whose dependent variables are basic cognitive skills and uncertainty-coping intellectual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semi-autom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nd full automation has a weakly positive one. Mechanization of manual works and semi-automation of manual machine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while full automation does not. Second, the level of operating and setting tasks has a significantly effect with inverted U-shapes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s compared to none-automation works,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while supporting tasks does not. Third, the high frequency of change in produc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while the moderate one has a weakly effect. Fourth, the high and the moderate frequency of breakdow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s compared to none-automation works, the low frequenc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are outlin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 조사』 근로자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자동화기술의 수준, 자동화 과업의 특성, 공정의 특성 등 자동화기술이생산기능 직무의 지적숙련 요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은 OLS에 근거하고 있고, 종속변수인 지적숙련 요건은기초적 인지숙련 요건과 불확실성 대처능력 요건 등 두 가지로 구분해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반자동화는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완전 자동화는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계화와 반자동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양(+)의, 수동식기계의 완전 자동화는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자동화기술의 운전・세팅 과업들은 지적숙련 요건에 역 U자형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것을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하면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보조과업들은 그렇지 않다. 생산제품의 변경 빈도는 높은 수준일 때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할 때 제품생산 변경빈도가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중간 수준은 약하게만 그렇다. 고장 빈도는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일 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것을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과 중간 수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건설기계 자동화를 위한 기술 로드맵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영석(Kim Young-Suk),서종원(Seo Jong-Won),이준복(Lee Junbok),김성근(Kim Sung-Keu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4D

        현재 건설시장에서는 시공의 기계화 및 로봇화 촉진을 통하여 인력의존형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생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기계장비의 활용도 향상을 위해 국내ㆍ외 건설기계 자동화와 관련된 연구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R&D 투자현황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또한 건축과 토목공사에 있어 건설자동화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자동화 대상작업의 후보군을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동화 대상작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자동화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총괄로드맵을 작성하였으며, 자동화 단위 그룹과 단위 그룹 내 자동화 대상작업의 자동화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기술의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중점영역별 로드맵을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국내 건설 생산방식의 성력화 및 기술집약화를 위한 첨단 기술분야 R&D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construction processes through mechanization and robotization of current work. In this paper, the tre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ry automation to improv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has been reviewed. A classification system is proposed for automation of architectural and civil works. Then, the priority among the classified construction tasks for automation has been ident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tudy. Based on the priority for automation a comprehensive technology road map was also developed. The technology road map suggests the time frame to complete R&D work for the selected construction tasks and the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automation of the selected tasks. Such automation R&D road map for construction machinery can be utilized as a milestone in setting up the R&D strate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미국에서의 로봇 인공 지능과 자동화로 인한 노동법적 문제

        김희성(Kim, Hee-Sung)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49 No.-

        기술과 세계화는 작업장과 일하는 방식을 재창조하고 재정의하고 있다. 지난 세기 작업장의 자동화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주도된 지능형 자체 학습 시스템, 센서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 “빅 데이터”의 힘을 활용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의 생성으로 빠르게 증대되고 대체되고 있다.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더 넓은 범위의 서비스를 원격으로 더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작업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고 점점 더 지리적 경계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있으며, 공상과학 페이지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로봇과 새로운 기술의 도래에 의해 고무되고 있다. 혁신이 계속 법을 앞서감에 따라 작업장으로 도입되는 21세기 기술은 새로운 노동법적 문제를 제기한다. 노동법 영역을 열거하고 이를 일반적으로 로봇 공학, AI 및 자동화에 적용하는 대신,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들을 범주화하여 각 범주에 해당되는 노동법 문제를 살펴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의 범주에 대해서 발생했거나 곧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검토한다. 이 중 첫 번째로 이 글에서 검토하는 것은 로봇 공학 및 자동화(Robotics and Automation)이다. 자동화로 인한 인력 이동은 잠재적으로 해고통지요건, 퇴직 수당 및 재교육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단체교섭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검토하는 것은 텔레프레즌스, 원격 조작 및 원격 작업(Telepresence, Telemanipulation and Remote Working,)이다. 텔레프레즌스 및 원격 조작 기술의 정교함과 크라우드 소싱의 대규모 채택이 미국에서의 주 및 연방법의 관할권의 적용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 한다. 임금 및 근로시간법의 관할권 밖의 적용과 원격 도급 작업에 대한 독립 계약자 기준의 정당성에 대한 최근의 논쟁이 이러한 기술과 직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기술혁신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노동법적 문제와 대응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연구과제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미국에서의 로봇 공학, AI 및 자동화로 인한 노동법적 범주의 문제들은 우리나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로봇공학, 인공지능 및 자동화가 일상적인 직장에 점점 더 많이 통합되면서 입법부, 행정(규제) 기관 및 법원은 기존 요구 사항을 재해석하거나 이러한 기술의 영향을 더 잘 반영하는 새로운 규정 또는 법률을 만들어야 한다는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The twin forces of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are reinventing and redefining the workplace and the way work is performed. The workplace automation of the last century is rapidly being augmented and replaced by intelligent self-learning systems driven by cloud computing, breakthroughs in sensor technology, and creation of new algorithms that harness the power of “Big Data.” Technologies are emerging that enhance human capabilities and allow workers to provide a wider range of services remotely and with greater efficiency. This new workplace is constantly changing, increasingly uninhibited by geographical boundaries and inspired by the arrival of robots and new technologies previously available only through the pages of science fiction. As innovation continues to outpace legislation, the 21st century technologies streaming into the workplace pose novel compliance challenges for employers. Rather than listing a dozen areas of employment and labor law and applying them generally to robotics, AI, and automation, this publication uniquely divides these disruptive technologies into four categories as noted below. Each category is th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the most applicable employment and labor challenges and solutions. Specific technological innovations often cover more than one category, nonetheless, the employment and labor law issues are more clearly understood and addressed category by category. Accordingly, this publication addresses the legal challenges that have arisen or may be on the horizon for the following categories of technology. The first thing to look at in this article is Robotics and Automation. Workforce displacement resulting from mass automation can potentially trigger notice requirements, severance benefits and retraining obligations and can likely implicat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s. The second thing we’re going to look at is Telepresence, Telemanipulation and Remote Work.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telepresence and telemanipulation technology and the large-scale adoption of crowdsourcing implicate questions about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state and national law. Recent controversies over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wage and hour law and the justice of independent contractor standards for remote piecework are likely preludes to the legal challenges to come in this space. Finally, as robotic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become increasingly integrated into the everyday workplace, legislatures, regulators, and courts will face pressure to reinterpret existing requirements or create new regulations or laws that better reflect the impact of these technologies, applied to our country as well.

      • 스마트기술 도입 이전의 자동화 경험과 영향

        김안국(Ahnkoo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우리나라의 산업화는 숙련이 축적된 자본재를 도입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숙련절약적인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NC 기계가 등장하였던 시기에 산업화를 시작하여 작업장 숙련이 아니라 자동화된 NC 기계를 바탕으로 한 공정 기술력으로 승부하였고, 규모의 경제와 반복 실행에 의한 학습을 통해 축적한 공정기술이 핵심적 경쟁력이 되었으며, 이에 엔지니어가 산업의 주축이 되었다. 산업화가 늦었던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에 네오포드주의 혹은 네오테일러주의가 완성되었다. 이러한 테일러주의의 전개 과정은 자동화의 진전과 함께 노동자 숙련의 해체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자동차 산업 등에서 숙련을 중심에 두는 일본식 생산방식을 구축해 보려는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대부분 실패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숙련 배제 등 노동력의 활용을 최소화하려는 기술중심적 합리화였던 자동화는 주로 대기업에서 나타난 것이며, 중소기업의 경우는 숙련공이 부족하여 자동화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스마트 공장을 확산시키려는 정부의 노력은 스마트화의 본질에 대한 성찰적 반성을 필요로 한다. 미국에서의 연구에서는 AI 기반의 자동화가 사람이 잘하는 영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스마트화가 큰 생산성 시현으로 귀결되지 않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AI 기반의 자동화인 스마트화가 생산성의 증가없이 고용만을 대체하는 별 효과없는 자동화로 끝나지 않도록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정부는 고용의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즉 AI 등 자동화 기술이 인간의 노동을 더욱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스마트 공장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has achieved in a skill-saved way to save time and money by introducing capital goods imbedded with skills. In particular, Korea started industrialization at the time of NC machine"s emergence and won with process technology based on automated NC machine rather than workshop proficiency. In Korea, the process technology accumulated through economy of scale and learning by reiterated production became a key competitive force, and engineers became the main driver of industry. In Korea, where industrialization was belated, neofordism or neotaylorism was completed after the 1980s. This development process of taylorism was to bring about the dissolution of proficiency or skills with the progress of automa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build a Japanese-style production system that puts skilled labor at the center of the automobile industry, but most have failed. Automation, which used to be technology-oriented rationalization to minimize the use of labor force in Korea, such as exclusion of proficiency or skills, was mainly shown by large companies, and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y often introduced automation due to the lack of skilled workers. Government efforts to spread smart factories require reflective reflection on the nature of the smart factory. Depending on the researches in the U.S., smart factories with AI focus on areas that people are good at, so smart factories did not result in large productivity demonstrations. Policy intervention is needed so that smart factories, an AI-based automation, won’t end up as an ineffective automation that replace only employment without increasing productivity.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smart factory policies so that smartness can proceed in a way that maximizes the social value of employment, or that automation technologies such as AI w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it further enhances human labor.

      • KCI등재

        기술진보의 양면성과 미래 교육: 자유로운 사회에서 삶의 기량

        김두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4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two opposing perspectives. One is the view of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This view sees education as a constant race against technological progress. The other is the new possibilities that this new technological advance opens to human social life. The possibility is that the economic production technology of artificial-intelligence-robot-automation, which has been achieved by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llows us to move away in education from technology chasing and pursue the interdependence and self-creation as human evolutionary nature. It is the point of view that can led us to the era of freedom. Thus, this study questions the arguments of economists who hold firmly to the point of view of technology chasing as the goal of education. Then, from Aristotle to the most recent arguments, the technical discourse on the age of freedom for all human beings to pursue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is examined. Such reviews culminate in the ongoing evolution of fully automated economic production, thanks to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and high-speed wireless Internet. The review also covers the changes that take place at the global level and at the local level of Korean society, including their impact on human social life. This paper then discusses how the na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core of the latest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disturbing existing social life, has the potential to open up a life that is compatible with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as human nature obtained by long evolution. Based on these arguments, we propose a direction and value for our future education preparing for the expansion of leisure and free time that might come to us like a thief. The core of the proposal is education to cultivate arts of living needed for human beings lives in a free society. 본 연구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진보의 특성을 교육과 관련하여 두 가지 상반된 관점에서 인식한다. 하나는 숙련편향 기술진보(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의 관점이다. 이 시각은 교육을 기술진보와 끊임없는 경주를 벌여야 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입장은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그리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통신기술을 결합한 자동화 기술의 전면화를 통해 인류가 도달한 현재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눈감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이 새로운 기술진보가 인간의 사회적 삶에 열어주는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한다. 그 가능성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진화 중에서도 소득을 올리기 위해 사람이 수행해온 경제적 활동, 즉 재화의 생산과 용역의 제공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그리고 더욱더 빨라지는 인터넷의 전송속도가 가속화하는 자동화기술을중심으로 그것들이 인간의 사회적 삶에 미치는 새로운 가능성, 구체적으로 문화사회로의 이행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이는 최신의 과학기술이 달성한 인공지능 로봇자동화라는 경제적 생산기술이 우리로하여금 교육을 기술추격의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의 진화적 본성으로서상호의존과 자기창조를 추구할 수 있는 자유의 시대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관점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술추격의 관점을 완고하게 주장하고있는 경제학자들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본고는 이 새로운가능성의 역사적 연원을 검토하면서 최신의 기술진보가 인간의 사회적삶에 부과하는 양면적 가능성을 세계적 차원과 한국사회라는 국지적 차원에서 탐색한다. 모든 인간이 개성과 독창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유의시대에 대한 기술적 담론의 연원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가장 최신의 주장들까지 검토한다. 그러한 검토의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초고속 무선 인터넷 등 최신의 과학기술 덕분에 진행 중인 경제적 생산의 완전 자동화의 전면화 과정에서 절정을 이룬다. 또한 그 검토는 세계적 차원과 한국사회라는 국지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포괄하면서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다. 이후 본고는 최신의 과학기술진화의 핵심에 있는 정보기술의 성격이 기존하는사회적 삶을 교란하면서도 어떻게 인간의 진화적 본성인 상호협력과 창의성에 어울리는 삶을 열어줄 가능성을 담고 있는지 논구한다. 이러한논구에 기초해 도둑처럼 우리에게 들여 닥칠지 모르는 여가와 자유시간의 확대에 대비해 우리의 미래교육이 지향해야할 방향과 가치를 제안한다. 그 제안의 핵심은 자유로운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필요한 삶의 기술을 육성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은 최신의 과학기술이 성취한자동화 생산기술은 역설적이게도 인간이 본성에 적합하게 자기생산과상호의존의 기쁨을 되찾게 할 가능성에 바탕을 둔 기획이다. 현재의 우리 교육체계가 그러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는 모두그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체계로 바꾸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을제안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