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매수량제한 광고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 통제력의 조절 역할

        한맑음,최승희,여준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판매수량제한 광고와 자기 통제력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판매수량제한 광고는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의 수량을 제한함으로써 제품이 모두 소진되 면 구매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는 광고 전략이다. 이는 소비자 사이에 서 경쟁심을 유발시켜 충동적인 구매로 이어지게 한다. 한편, 자기 통제력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회피하는 사람의 심리적 성향을 말한다. 자기 통제력이 높 은 사람들은 외부적 자극을 받더라도 소비 계획이 없거나 실생활에 필요가 없는 제품이라고 판단하면 자 기 자신을 통제하여 구매를 억제하는 성향이 강하다. 반대로 자기 통제력이 낮은 사람들은 외부적 자극에 의해 구매 욕구가 증가하면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는 성향이 강하다. 따라서 판매수량제한 광고와 같이 구 매를 촉진시키는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자기 통제력 수준에 따라 구매의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 상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설명해주는 잠재적 매개 변수로 조작의도인식을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 통제력이 높은 소비자들은 판매수량제한이 없을 때와 있을 때 구매의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통제력이 낮은 소비자들은 판매수량 제한이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 통제력이 높은 소비자는 조작의도인 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 통제력이 낮은 소비자는 조작의도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심리 분야의 자기 통제력이라는 이론을 광고와 마케팅 분야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 통제력 수준에 따라 구매의도에 조절효과가 있음을 파악하였으 며, 조작의도인식의 메커니즘을 추가로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보다 확장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에 따라 판매수량제한 광고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유용한 지침이 될 것 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quantity limitation ad and self-control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A quantity limitation ad is an ad strategy to stimulate consumers' purchases imposing quantity limitation with a message that consumers are not able to buy if goods were to be all sold out. This stimulates competition among consumers, leading to an impulse purchase. On the other hand, self-control refers to people's psychological propensity to control and avert their own behavior. People with high self-control strongly tend to control themselves and hold off purchases in the face of external stimulus if they don't have a consumption plan or judge that the goods are not needed in their daily life. On the contrary, people with low self-control strongly tend to be unable to control themselves if purchase desire increases through external stimulus. Therefore, this study presumed that people would show different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own self-control when exposed to purchase-stimulating ads like a quantity limitation ad. This study also addressed a recognition of manipulation intention as a potential mediating variable explaining this outcome. As a result, we fou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Consumers with high self-control remained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re was quantity limitation or not. While, consumers with low self-control showed more purchase intention when there was quantity limitation than not. Along the way, consumers with high self-control showed high recognition of manipulation intention, whereas those with low self-control showed low one. This study’s results may give some implications that self-control theory frequently used at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of ads and marketing research area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re existed a moderating effect in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 control, and extended the existing research by additionally testing a mechanism of recognition of manipulation intention. We believes that these findings may be used as an informative guide, by suggesting that the effect of quantity limitation ad may come out differently according to psychological propensity of consumer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비행에 관한 연구

        서인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의 비행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간명함과 높은 설명력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Gottfredson & Hirschi(1990)의 일반이론을 비롯한 사회학습이론, 사회유대 이론 등에 입각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일반이론은 자기통제력이라는 하나의 변수가 비행의 원인이며, 자기통제력은 10세 이전에 형성되어 평생 동안 안정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등패널의 특성화고등학생 표본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성화고등학생 중 자기통제력의 안정성이 낮은 학생의 비율(41.02%)이 다른 연구의 표본에 비하여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들 학생의 자기통제력 변화의 방향은 감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자기통 제력 변화의 원인에 대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행친구의 수, 부모의 폭력적 양육행동, 학교 부적응 등 이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영향 변수 중 비행친구의 수는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수 로 하여 종속변수인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기통제력이 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폭력적 양육행동, 학교 부적응은 비행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특성화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낮아지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비행도 증가하게 될 것 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예측해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는 적극적이고 특별하게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Student guidance work as well as academic guidance work is important duty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Korea. Prevention of delinquency is a part of student guidance work.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factors of students’ delinquency for prevention of delinquenc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ause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linquency based on general theory of Gottfredson & Hirschi (1990). General theory asserts that the only one factor, self-control is the cause of children’s delinquency. And the self-control is formed until 10 years old and hold stabilit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ample in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analysed in this study. Firstly, the stability of self-control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sed with cluster analysis. The ratio of students who had low stability of self-control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41.02%,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tudies’ samples. The direction of change of self-control was decrease. Secondly, the cause of change in self-control was analysed with panel analysis(STATA 12). This study found the cause was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violent parenting’, and ‘maladjustment to school’. And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on students’ delinquency. Also, self- control influenced on delinquenc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of study did not support completely general theory, but showed the importance of self- control and the need of improvement of self-control. If students’ self-control will be continue to be low in the future, we can predict students’ delinquency will increase. In this situation, it is needed to cope with the decreas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ow self-control.

      • KCI등재

        중학생의 부모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이선행,황혜정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academic stre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48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for their parent attachment, academic stress and self – control. Using SPSS 21.0,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self - contr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self - 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mpulsivity, simplicity, self - centeredness, and anger, which are sub - factors of trust, communication, alienation and self – control, Also, sub - factor of parent attachment affects self – control. Third, the sub - factors of self - control, such as simplicity, self - centeredness, anger and self - control,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academic stress, Impulsivity, risk weight composition, and physical activity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arental attachment level and self - control in order to lower the academic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3개 중학교 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학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sobel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생의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부모애착 전체와 부모애착 하위 요인인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과 자기통제력 전체와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단순성, 자기중심성, 분노는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애착의 전체와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모두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단순성, 자기중심성, 분노와 자기통제력 전체는 부모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위험추구성, 신체활동성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 부모애착 수준과 자기통제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게임중독과 사이버폭력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역할

        이성식 한국중독범죄학회 2024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4 No.1

        이 연구는 게임중독과 사이버범죄 그 중에서도 사이버폭력에 주목하여 게임중독과 사이버폭력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또 다른 변인으로 자기통제력을 제시하여 세 변인들에 대한 네 가지 다양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했다. 게임중독과 자기통제력은 모두 유의미하게 사이버폭력을 설명할 것이라고 보는 독립가설, 자기통제력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주고 또 자기통제력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주며, 이때 게임중독과 사이버폭력과는 허위관계가 된다는 허위관계가설,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게임중독 경향이 높으며 게임중독을 매개로 사이버폭력을저지른다고 보는 매개가설, 그리고 게임중독과 사이버폭력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조절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게임중독과 자기통제력은 사이버폭력 설명에 있어 상호작용효과를 갖는다는 상호작용가설 중 어떤 가설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자료 분석결과 게임중독과 자기통제력은 모두 직접적으로 유의미하게 사이버폭력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번째 허위관계가설이나 완전매개가설이 지지되지는 못했고 매개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고 또한 게임중독과 자기통제력은 독립적으로도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쳤지만 두 변인이 상호작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네번째 상호작용가설이 더 지지되는 것을 제시했다. 즉 게임중독 경향이 높고 자기통제력이 낮을 경우에 사이버폭력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사이버폭력 가능성은 높지만 그 영향력은 자기통제력이 낮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고 자기통제력이 높은 경우는 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cyber bullying, adds another self-control, and intends to test four hypotheses for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There are four hypotheses; first, independent hypothesis that both game addiction and self-control independently affect cyber bullying, second, spurious relationship hypothesis that self-control explains both game addiction and cyber bully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cyber bullying is spurious, third, mediating hypothes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cyber bullying is mediated by game addiction, and fourth, interaction hypothesis that self-control is moderator variable and ha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ame addiction and self-control on cyber bullying, This study tests relative efficacy among four hypotheses by analyzing data from college students in Seoul. Results show that both game addiction and self-contro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yber bullying which does not support spurious relationship hypothesis and complete mediating hypothesis. It is found that they independently affect cyber bullying, but their interaction effect is also significant which supports fourth hypothesis. It implies that game addiction increases cyber bullying when self-control is low. It is revealed that game addiction affects cyber bullying, but its relationship appears to those who have low self-control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when self-control is high.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조한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time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perceived time perspective, self-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on self-regulated learning.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tested by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1986).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85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nega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But, 'future' time perspective posi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both 'past negative' and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negatively affected self-control. However, 'future' time perspective positively affected self-control. Third, The effect of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It implied that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decreased self-control, therefore negatively contributing to self-regulated learnin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academic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지각된 시간관,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간의 단순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에서 현재숙명 시간관은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미래지향 시간관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서 과거부정 시간관과 현재숙명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미래지향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현재숙명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숙명 시간관이 높아지면 자기통제력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미래지향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 시간관을 포함하여 과거부정이나 현재숙명 시간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검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숙명 시간관을 버리고 미래지향적인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이 학교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경문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s: One is to investigate how th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school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bility are related to their school adjustment. An other is to study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support/self-control ability and those with low social support/self-control ability in their perceived school stress level and their school adjustment. The other is to investigate i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or self-control ability mediate(s) between their perceived school stress level and their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school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bility a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school adjustment, and explained about 34%of school adjustment all together. Second, the individuals perceiving high social support are better i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perceive significantly less school stress than those perceiving low social support. Although the individuals with high self-control ability didn't show to perceive less school stress, they showed better school adjustment than the counter group. Lastly, it is found that only the social support (not the self-control ability) mediates between the school stress level and the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은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각각에, 그리고 이 두 변인들 사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학교에서 수집한 자료 총397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을 약 34%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도 학교스트레스 보다 약 2배정도 많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수준, 그리고 학교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학교스트레스가 낮으면서 사회적 지지 또는 자기통제력이 높을 때 가장 높은 적응을 보였으며, 학교스트레스가 높더라도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학교스트레스를 더 낮게 지각하였으며 학교적응은 더 높았다. 그러나 자기통제력 수준은 학교스트레스 지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학교적응에만 차이를 보였다. 즉 자기통제력이 높다고해서 스트레스를 덜 느끼는 것은 아니었으나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학교적응은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에 매개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스트레스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와 함께 학생 개인의 외적 환경으로서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 내적 요인으로서의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기통제력 발달 양상과 자기시간활용 및 학업능력의 종단적 변화

        김유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자기통제력 발달양상을 확인하고, 자기통제력 잠재계층을 탐색하며, 도출된 자기통제력 잠재계층에 따른 학생들의 자기시간활용(독서시간, 수면시간, 여가시간, TV시청시간, 게임시 간, 개인학습시간) 및 학업능력(학습방법, 학습노력, 학습태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의 초등학생 6학년 패널자료 (3차~7차년도, 2012년~2016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을 통해 5년 동안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에 대한 발달양상을 확인하였고, 둘째, 5개의 자기통제력 잠재계층(평균유지집단, 상위유지집단, 하위유지집단, 지속감소집단, 지속상승집단)을 확인하였다. 마지 막으로, 다집단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with known class multiple group analysis)을 통해 5개 자기통제력 잠재계층에 따른 자기시간활용 및 학업능력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기통제력을 이용한 학습 및 개인시간 활동에 유익한 참고 및 지도 자료가 될 것이며, 무엇보다도 자기통제력에 대한 학교현장의 이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atent classes of students’ self-control, the predictors for the latent classes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sonal time, academic ability), and the longitudinal change in the individual charactr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To do this, this study used the 6th grade panel data (3rd to 7th year, 2012 to 2016)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rough 5 years growth mixture modeling(GMM), confirm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self-control ability within five years. Second, five latnet classes(average maintenance group, upper maintenance group, sub-maintenance group, sustained decrease group, sustained upward group) were identified. Finally, this study identifi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personal time and academic ability according to the five latent classes derived through growth mixture model with known class multiple group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material to consider differential educational approach according to ag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 KCI등재

        자기통제력의 세대 간 전이 과정에 대한 연구

        이희길(Heui Gil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3

        가족을 매개로 한 범죄의 세대전이는 범죄가 특정 가족에 집중되는 현상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또한 범죄의 원인 및 예방에 있어서 가족의 중요성을 호소력 있게 보여주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경험적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가족을 통한 범죄의 대물림 현상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고 있다. 먼저, 부모와 자녀 사이의 전이 현상에 대해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범죄전이 실태를 기술하고, 또한 이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시도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 결과, 부모자녀 간 범죄의 세대전이는 논란의 여지가 없이 경험적으로 반복 확인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 현상에 대해 유력한 설명논리를 제공하고 있는 자기통제이론(self-control theory)의 시각에서 분석틀을 만들고, 이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자기통제이론에서는 가족을 통한 범죄 전이 현상을, 자기통제력이 낮은 부모의 경우 자녀를 효과적으로 양육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자녀의 자기통제력을 형성하지 못한 결과로 설명한다. 범죄성이 직접적으로 전이된 결과라기보다는 부모의 낮은 자기통제력이 자녀양육을 통해 자녀의 낮은 자기통제력으로 세대 간 간접 전이된 결과라는 것이다. 이 주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 결과, 자기통제력이 낮은 부모(즉, 범죄성이 강한 부모)는 자녀를 효과적으로 양육하지 못하고 그 결과 자녀도 자기통제력이 낮은 것으로 밝혀져, 자기통제이론이 범죄성의 세대전이 현상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은 부모, 즉 범죄성이 강한 부모는 자녀에 대한 애착, 감독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고, 그 결과로 자녀의 자기통제력의 낮게 나타났다. 즉, 자녀양육을 매개로 하여 자기통제력의 세대 간 전이가 발생하고 있다. 매개변수로 애착과 감독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으나, 처벌의 적정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y applying Gottfredson /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1991),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mechanism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The general theory of crime implies that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is the result of inappropriate child-rearing by their parents. To test this familial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existing data set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which was administered to 8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 area were analyzed. Analy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on the proces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show that parents with lower self-control tended to have poor child-rearing, and the effect of parental self-control on child`s self-control mediated through child-rearing yielded evidence in support of the self-control theory. Parents with lower levels of self-control were found to engage in inappropriate child-rearing practices, especially lower levels of attachment and low parental supervision. In addition, children with low attachment to and low supervision from their parents showed low levels of self-control. However, parental punishmen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child`s self-control. These results show that attachment and supervision are the critical conduit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som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area of criminology, in that the process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riminality was investigated empirical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nders evidence to the plausibility of explaining crime an criminality based on the self-control theory.

      • KCI등재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양민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investigation, 190 college students who are in Busan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procrastination,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self-control, self-efficacy, depress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rocrastination. Also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s on procrastinat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과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 고, 학업지연행동에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190명(남 : 98명, 여 : 92명) 을 대상으로 학업적 지연행동,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지연행동,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우울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지연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 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통제력 이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이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업지연행동 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의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여 주는 개입을 우 선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KCI등재

        Rasch모형을 적용한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 검증

        정솔,이준우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법] 한국(여자) 프로골퍼협회에 등록된 182명 프로를 목적표집법을 적용시켜 자료를 수집한 후, 사전검사를 통해 5개 요인에 전체 23문항을 측정도구로 제작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자료처리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는 측정모형의 요인구조에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문항 적합도에서 기준치에 모두 충족되어 적합한 문항으로 판정되었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지통제력 척도의 문항 난이도에서는 쉬운 문항부터 어려 운 문항까지 고르게 분포되었다. 넷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신뢰도에서는 단순과제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의 분리신뢰도가 .70이상의 지수를 보여 정확히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판정되었다. 다섯째, 골프선수의 자기 통제 척도의 응답반응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5점 응답반응 형태가 모든 하위요인에서 타당한 척도임을 규명 하였다. [결론] 골프선수를 위한 자기통제력 척도는 4(화 기질 및 충동성=6, 자기중심=4, 모험추구=4, 신체활동=4)개 요인, 전체 18 문항, 그리고 5점 응답반응형태로 구성된 척도가 타당하다. [Purpose]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self-control scale of golf players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Rasch model.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to 182 pro golfers registered in the Korea(Women) Professional Golfer Association. In addition, as a pre-test, a total of 23 questions were produced as a measuring tool for five factorsm and data process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Result] First, Self-control scale was proven to be valid in the factor structure of measurement model. Second, They are all proved and satisfied suitable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standard. Third, in the hard and easy questions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each question level of hardness and easiness is distributed evenly Fourth, in the trust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separated trust of the other factor, except the factor of simple task, shows more than .70 index number that proved discriminative question actually but the factor of simple task is not discriminate as .00. Fifth, response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is examined closely the same as pre-research that the pattern of response appear at all the factor of low. [Conclusion] The scale-control for golf players is composed of 4 factor( angry temper and impulse=6, self centered=4, adventure persuit=4, physical activity=4), a total 18 questions, and 5-points respons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