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립 서울과학관 입지 분석 및 건립규모의 추정에 관한 연구
이범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배경과 목적1. 연구의 배경세계 10대 교역국으로 고도의 성장을 이루어 오던 우리 나라가 지금은 큰 시련을 맞고 있으나, 그 동안의 성장의 근저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화가 근간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시련을 극복하고 21세기의 번영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장기적 안목에서 우리의 후배들에게 꿈과 탐구력을 키워주는 일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꿈을 심어줄 우리 나라의 과학관은 양적으로는 선진국에 인구대비 1/8 수준이며, 수도서울의 국립 서울과학관은 협소한 대지에, 현대적 과학관으로서는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로서, 시설의 노후화로 비효율적 시설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 국민의 1/4이 거주하고 국제교류가 빈번한 수도 서울의 위상에 부합하는 규모와 시설의 서울과학관 건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수도 서울의 과학관은, 과학 기술 문명의 국가적 상징이며 국력의 척도가 되는 시설로, 국민 계몽과 중추적인 사회 교육 및 평생 교육의 장으로서, 그 공적기능(Public Function)을 활성화하여 과학 입국의 국가 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대표적 과학 문화 시설이 되어야 한다. 과학관의 이러한 공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선진국 사례에서처럼 정부의 주도로 직접 관리하고, 과학관의 운영 재정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끊임없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수시설의 건립에 있어서는, 선진의 사례와 국내의 중앙과학관 건립의 사례에서도 보여지듯, 타당성 조사와 더불어 여러 단계의 철저한 준비기획이 요구되는 바, 수도권 과학관의 위상을 정립하고 그에 부합하는 시설규모와 대지를 선정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와 사전연구 및 준비작업은 향후 21세기 수도 서울의 국제적 위상에 걸맞는 세계수준의 명실상부한 종합과학관 건립을 위한 일련의 작업중 첫단계로 매우 필요한 일이다. 2 . 연구의 목적본 연구의 목적는 서울과학관 건립을 위한 운영 계획, 전시 기획, 전시 및 건축설계, 건설 및 전시품 제작등 일련의 향후 작업의 첫단계로 위상정립, 시설의 적정 규모 산출 및 타당한 입지를 제안하고, 향후 일련의 작업의 공정기획을 확립함에 있다. 아울러, 향후 양적으로 절대 부족한 유사시설의 건립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정책적인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서울의 위상에 맞는 규모와 시설을 갖춘 국립 서울과학관의 건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둘째, 규모와 시설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를 행하여 국립 서울과학관의 시설과 공간의 규모를 설정하여 제안한다. 셋째, 적합한 입지에 대한 기준과 선정 기준을 설정하고, 넷째, 후보 입지를 답사하고 평가하여 국립 서울과학관 입지로 적합한 곳을 제안한다. 다섯째, 입지선정 및 규모추정을 위한 정책의 제안을 부가적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한다. 주요 연구내용제 2 장 국립 서울과학관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제 1 절 현대 과학관의 추세 1. 과학관의 역할과 기능및 유형 2. 현대 과학관의 추세 제 2 절 기존 서울과학관의 현황 및 문제점 1. 기존 서울과학관의 현황 2. 기존 서울과학관의 문제점 및 대책 제 3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역할과 기능 1. 국내 과학관의 현황 2. 국립 서울과학관의 역할과 기능 제 4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발전방향 1. 기본방향 2. 건축의 기본방향 3. 전시의 기본방향 4. 운영·관리의 방향 제 3 장 소요시설의 규모추정 제 1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기능 프로그램 1. 국립 서울과학관의 기능 프로그램 2. 국립 서울과학관의 기능 프로그램 분석 제 2 절 규모 추정의 방법과 전제 1. 규모 추정의 방법 2. 규모추정의 전제 제 3 절 건축 및 대지 규모 추정 1. 소요 건축 규모추정의 추정 2. 주요 옥내 공간의 구성규모 3. 적정 대지 규모의 추정 제 4 장 입지의 일반적인 조건과 전제 제 1 절 입지의 기본적 조건 제 2 절 입지의 기본적 전제 제 3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입지 조건 제 4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대지와 입지 제 5 절 외국의 과학관 입지분석 사례 제 5 장 입지분석의 차원 및 분석항목의 설정 제 1 절 차원 및 분야의 설정 1. 차원의 설정 2. 분야의 설정 제 2 절 분석 항목의 설정 1. 분석 항목의 설정근거 2. 국토차원의 분석항목 3. 권역차원의 분석항목 제 6 장 수도권지역의 입지분석 및 제안제 1 절 수도권의 현황 및 국토차원의 평가 1. 수도권의 현황 및 위상 2. 국토차원의 분석 및 제안 제 2 절 입지분석 및 평가 1. 평가의 방법 2. 평가의 기준 설정 3. 평가의 진행 제 3 절 수도권내의 가능입지의 제안 제 7 장 서울시 내의 입지분석 및 제안 제 1 절 서울시의 현황 1. 서울시의 공간구조 2. 서울시의 생활권과 그 특성 3. 서울시의 생활권 중심지 4.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및 간선도로망 5. 한강의 의미와 발전 계획 제 2 절 입지분석평가 1. 평가의 방법 2. 평가의 기준 설정 3. 평가의 진행 제 3 절 서울시 내의 가능입지의 제안 제 8 장 가능입지의 제안제 1 절 국토차원의 제안 제 2 절 수도권 내의 가능입지 제안 제 3 절 서울시 내의 가능입지 제안 제 4 절 종합적 가능성이 있는 입지의 제안 제 9 장 건립에 따른 정책제안제 1 절 국립 서울과학관의 발전 방향 제 2 절 규모추정 제 3 절 단계별 업무 추진 1. 서울과학관 건립 추진 계획 2. 단계별 업무 추진 내용 건립에 따른 정책 제안<국립 서울과학관의 발전 방향> 가 . 기본 방향의 설정은 아래와 같다 . - 과학관 네트워크 체계에 따라 수도권의 권역중심 과학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 종합과학관 이어야하되, 한국을 대표하는 정선된 자료 중심의 전시로 그 내용의 심도를 높이며, - 국가 대표 과학관인 중앙 과학관과의 역할 분담을 통하여, 국제 교류 및 정보교환 의 중추적 역할을 하도록 한다. - 운영 방식은, 국민 과학교육의 일익을 담당하는 공적 기관으로서, 세계적인 선진국 사례에 비추어 볼때 국가적인 차원의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다. 나 . 건축의 기본 방향 - 서울 과학관의 신축·이전의 타당성 - 과학관 기능의 정상화 - 수도권의 대표적 과학관으로서 국제적 위상 확립 - 수도권의 상징적 과학·문화 공간화 - 미래 지향적 건축 개념의 도입 다 . 전시의 기본 방향 - 전시 주제 : 국제 교류를 위한 21세기의 세계적인 시대 상황의 고려 - 전시의 중심 분야 : 전통 과학기술의 지혜와 슬기의 재조명 - 전시 기법의 제안 : 체험 전시의 유도 , 급속한 과학 기술의 발전·변화의 내용을 지속적이고 신속하게 수용 라 . 운영·관리의 방향 - 과학관 운영·관리의 특성 : 과학관을 일반 박물관에 비추어 볼때 다른 특성은 그 취급 분야인 과학 기술의 내 용이 현대에는 급속히 발전·변화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과학관의 핵심 시설인 전시 장이 새로운 전시 내용으로 항상 변화되어야 낙후되지 않는 살아 있는 과학관이 될 수 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 수집·연구·정보의 교류 등의 모든 기능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전시품의 조정, 교체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과 예산의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 운영 재원 : 과학의 전당으로서의 역할, 국민 과학 교육 등의 공적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과학관 의 목적에 비추어 볼때,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수 불가결한 시설이라고 볼수 있 으며 민간기증(Donation)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기구·조직 : 국립 중앙 과학관과 기구·편제상의 위계를 유지하되 독자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한 조직 - 효율적 운영 및 다각적 예산 조달 방안 모색 : 정부의 지원 절대적 필요 (탄력적 운영제도 강구, 기업 경영 마인드로 전환) 민간 기증을 강화하며 이에 따른 예산 회계 제도의 개선 등 제도적 보완장치 강구 다각적인 자체 수익 사업 개발 (보조 교재, 홍보물 등의 제작, 보급)
김명희(MyoungHee Kim),서금홍(GeumHong Seo),오용식(YongSik Oh) 한국항만경제학회 2012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8 No.4
기업의 입지 요인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입지 요인을 분석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입지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모형에서는 해운기업 입지 요인을 위해 1계층에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인과 하드웨어적인 요인 및 도시정책 요인을 추출하였고, 2계층에서는 1계층의 세부 대안으로 각 4개씩의 세부요인을 선정하였다. 더불어 대부분의 해운회사 본사가 서울에 입지하고 있는 것을 착안하여 입지요건에 있어서 서울과 부산의 경쟁우위 상황도 함께 분석하고자 3계층에서는 서울과 부산을 변수로 두어 각 도시의 기업입지 우위를 측정코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해운회사 본사의 임원진, 또는 기획관리 담당자 및 학연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해운회사 입지 중요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 결과, 선사 및 학연계 모두 해운기업 입지요인으로 1계층에서는 소프트웨어 요인이 가장 중요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계층 역시 소프트웨어 요인들이 중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계층 분석을 통해 해운기업 입지를 위해 도시정책 요인을 제외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요인에서 부산은 서울에 비해 열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on locational factors of companies, but, very few studies for Korean shipping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locational factors for Korean shipping companies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or the study model, the first level is consisted by software, hardware and city policy factors. As more specific factors, the second level is formed by three factors of the first level. The third level consists of Seoul and Busan to evaluate competitive advantage for location of shipping companies. We carried out an analytical survey focused on the executives of shipping companies and related experts, and derived the priority order for locational factors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as follow. Firstly, software factors turned ou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ocation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Next, Busan has a competitive advantage only in city policy factors. However, there are much of competitive disadvantages in both software and hardware factors for location of shipping companies compared against Seoul.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입지결정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왕붕,박준호,강명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현재 베트남은 과거의 중국과 유사한 사회주의 체제 하에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현재 베트남 등의 개발도상국으로 진출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는 기업과 같은 패턴을 보이며 투자를 철회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즉, 국내 기업의 베트남 진출에 있어 과거 중국시장에서와 같은 실패경험을 답습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지시장에서의 전략적인 입지선택이 중요한데, 이는 향후 베트남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투자환경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건 하에 현재 베트남의 경제성장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국적 기업의 투자 비율이 가장 높은 하노이와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국 기업의 분포 패턴 및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베트남 시장을 이해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노이와 호치민시는 각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성장한 도시로써 서로 다른 투자환경과 시장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향후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입지 선정에 있어 지역별 투자여건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최근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국가의 특성도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기업이 입지할 도시 및 지역의 특성 또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입지 패턴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종단연구를 통해 그 특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 특히 호치민과 하노이를 중심으로 그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한국 기업들의 진출과의 관계를 입지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과제는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하노이와 호치민시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분포 패턴에 대해 분석하고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산업분포의 집적도를 분석한다. 둘째, 세계경제의 산업 구조 변화와 거시경제 동향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시점별 하노이와 호치민시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산업별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변화 하고 있는 산업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location choice in Vietnam. The spatial pattern of Korean firms’ location in Vietnam began at the Hanoi and Ho Chi Min, the major cities in Vietnam.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Korean firms’ location expanded until 2000, but it shrank back to the top two major cities. Vietnam's socio-economic conditions change with economic growth and globalization and Korean firms’ structural change with globalization and ICT technology have changed Korean firms’ location pattern over the last two decades. Low cost was highly important factor at the beginning, but agglomeration externalities became important factor now a days. Before 2000 Vienam’s major locational advantage was viewed as a good consumer market and low-cost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site. After 2000, as global economy bounce back from Asia financial crises, Vietnam’s agglomeration economy sta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Hanoi has an advantage in low labor costs and abundant labor; Ho Chi Minh has an advantage in agglomeration of FDI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Korean firms tend to cluster around Hanoi and Ho Chi Minh more than before.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as firms can benefit from the agglomeration externalities.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및 GIS 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복의 출항지 연구
장동호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2 No.-
영동지방은 삼국시대 때 신라와 고구려 사이에 분쟁이 자주 발생하였던 지역으 로 동해안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동해안 지역의 고고학적 기록에 의 하면, 영동지방은 5세기까지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지로 남아 있다가, 6세기에 들 어 완전히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이는 신라가 바다건너 우산국의 복속을 추 진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2012년은 신라의 이사부가 한반도 동해안 지역에서 출항하여 우산국을 한반도 의 역사로 편입한지 1,500년이 되는 해로, 역사서에 기록된 문자의 기록을 학술 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그 실체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신라의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기 위해 출항하였던 출항지를 분석하기 위 해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울진군의 과거 및 현재의 항포구를 대상으로 자연환경 및 GIS 입지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출항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항지의 정확한 항만입지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 연구자들의 해수면 복원 자료를 중심으로 6세기(512년)경의 해수면을 복원하였다. 연구자별로 약간의 차이 는 있지만 복원결과 6세기경의 해수면은 현재의 해수면보다 약 1.1m 높았던 것으 로 분석되었다. 둘째, GIS를 이용한 출항지 입지분석을 위해 삼척 지역의 일반적인 지질·지형 관련 자연환경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수산지 및 고문헌에 나타난 과거 군사관련 진(津)과 포구가 입지하였던 곳을 지도화 하였으며, 최근의 항포구 등도 지도화하여 GIS 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특 히, 항포구의 자연환경 분석을 통해 항 포구의 자연환경 특색을 분석하였다. 셋째, 출항지가 위치할 수 있는 입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울릉도와 동해안의 실거리 최단거리 및 동위도상 최단거리 분석을 실시 하고 버퍼링 분석 및 중첩분석, 지형경사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덕산항, 궁촌항, 장호항, 임원항, 삼척항, 초곡항, 신남항, 호산항, 작진항, 노곡항, 비화항, 고포항, 광진항, 후진항, 월천항, 용화항, 갈남항 등 총 17개소의 항구가 최단거리 및 동위 도상 최단거리 분석에 의한 입지요인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문헌에 기록된 진·포구는 정라진, 오분진, 후진, 광진, 고포, 노곡진, 월천진, 재산, 부호 진, 작진, 임원진, 덕산진, 부남, 대진, 신남진, 장호진, 갈산진, 초곡진, 원평, 추천 진, 분토진 등 총 21개소의 진·포구가 최단거리 및 동위도상 최단거리 분석에 의한 입지요인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포구를 대상으로 경사분 석한 결과, 정라진, 오분진, 고포, 월천진, 임원진, 부남, 신남진, 장호진, 갈산진, 원평, 분토진 등 11개소가 경사 5°미만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배후지의 면적이 100ha 이상인 곳은 부남, 월천진, 정라진, 오분진, 원평 등 5개 소였으며, 100ha에 육박하는 곳은 임원진과 고포 2개소로 분석되었다. 넷째, GIS기법에 의해 분석되어진 출항지 후보지와 강릉지역에 위치한 안인진에 대한 3차원 정보 분석을 통하여 가시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3차원 정보 분석을 통한 가시권 분석은 고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후보지의 배후산지 중 가장 높은 봉우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봉우리는 안인진 월대산 (해발고도 68m), 정라진 봉황산(148.8m), 오분진 고산성(90m), 고포 태봉산(150m), 부남 무명봉(163m), 월천진 무명봉(160.3m), 원평 무명봉(99m), 임원진 무명봉 (141.1m) 등 8개소이다. 분석결과 안인진의 월대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울 릉도의 육안관측이 산술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사부 출항지 규명을 위한 종합분석결과, 울릉도의 육안관측이 가 능하고, 경사가 완만한 넓은 배후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울릉도와의 거리가 가까 운 곳은 거의 대부분 삼척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항지는 이러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대규모 군진이나 행정관청이 위치한 지역적 요인과 피 항 및 방어에 유리한 지형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조선시대 수군진이 위치하였던 정라·오분진 지역이 6세기 울릉도를 복속하기 위 해 이사부 장군이 출항했을 가능성이 높은 출항지로 판단된다. The Yeongdong area was a very important and strategic region. According to archaeological archives, the area was a border between Silla and Goguryeo until 5th century and was later declared as belonging to Silla territory. There where many and frequent conflicts her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6th century, it completely became Silla territory, which led Silla to subjugate Usanguk (Ullung Island) across the sea. 2012 marks the 1,500th year since Silla’s general, General Isabu, left a port the east coast and incorporated Usanguk into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 introduces an academic and scientific approach in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Usanguk by examining records and letters from historical books. In addition, this research looks more closely at the port from where General Isabu left to conquer Usanguk.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ast and current ports and harbors located in Gangneung City, Donghae City, Samcheok City, and Uijin-gun were select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general’s outport. Existing ports and harbors will be examined using their natural environments and a GIS location analysis system. First, to locate the general’s outport, the sea level during the 6th century was restored based on data from existing research studies.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the sea level during the 6th century was determined to be higher by 1.1 m than it is at present. Second, to locate the general’s outport using a GIS location system, the natural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general geology and geomorphology of the Samcheok City. In addition, “Hangooksusanji” and Jins (military bases) as recorded in ancient documents were drawn on a mapping to further understand the situation during those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harbors and ports. Third, to objectively locate the outpor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Ullung Island and the east coast was determined using a GIS system on the same latitu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a Buffering Analysis, Overlay Analysis and Geomorphological Slope Analysis, 17 port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the Doeksan port, Gungchon port, Jangho port, Imwon port, Samcheok port, Chogok port, Sinnam port, Hosan port, Jakjin port, Nogok port, Bihwa port, Gopo port, Gwangjin port, Hujin port, Wolcheon port, Yonghwa port and Galnam port. These ports were locat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as analyzed on the same latitude. In addition, the following relevant areas were identified: 21 Jin and port, Jeonglajin, Obunjin, Hujin, Gwangjin, Gopo, Nogokjin, Wolcheonjin, Jaesan, Buhojin, Jakjin, Imwonjin, Doeksanjin, Bunam, Daejin, Sinnamjin, Janghojin, Galsanjin, Chogokjin, Wonpyeong, Chucheonjin and Buntojin, which are located at less than 5°in slope; 11 port, Jeonglajin, Obunjin, Gopo, Wolcheonjin, Imwonjin, Bunam, Sinnamjin, Janghojin, Galsanjin, Wonpyeong and Buntojin, which all are 100ha in the hinterland area; and 5 port, Bunam, Wolcheonjin, Jeonglajin, Obunjin, and Wonpyeong, which roughly reach 100ha. Fourth, this research uses a visibility analysis through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proposed outport examined through the GIS system and on Aninjin located in the Gangneung area. The visibility analysis through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ed DEM data, analyzing the proposed rear mountains, the 8 highest peaks were selected, which were Mt. Woldae(68m) in Aninjin, Mt. Bonghwang(148.8m) in Jeonglajin, Gosan walls(90m) in Obunjin, Mt. Taebong(150m) in Gopo, Mt. Mumyeong(160.3m) in Wolcheonjin, Mt. Mumyeong(99m) in Wonpyeong and Mt. Mumyeong (141.1m) in Imwonj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arithmetically observe Ullung Island with the naked eyes in all the said regions except for Mt. Woldae in Aninjin. Lastly, as a result of a general analysis in determining the port from where General Isabu supposedly departed, it was possible to observe Ullung Island with naked eyes, and the proposed outport had rear mountains with a low slope. The said ports were located very near the Samcheok area, close from Ullung Island in the distance. This suggests that General Isabu selected one of these ports as his outport, which had a large-scaled military base and an administrative office. These ports were also known as defense areas or a place to search for boats in case of an emergency. Thus, it seems that to subjugate Ullung Island, General Isabu left Jeonglajin or Obunjin where naval station were ba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양원탁(Yang, Wontak),윤윤진(Yoon, Yoonjin),장성주(Chang, Seongj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증가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시설의 설치는 증가하고 있으나 소각시설은 인근지역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환경기초시설이므로 지역단위의 객관적인 입지환경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종합적인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소각시설의 사회·기술·환경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지역단위의 소각시설의 입지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핫스팟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전국 소각시설의 입지밀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도권과 전라남도의 신규입지시설의 설치가능성이 높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통계적인 기법을 통한 전국단위와 두 지역단위의 입지밀도 증가와 상관관계를 지닌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공간회귀모형을 수행하였으며 최소자승법에 의한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에 비해 모형적합도가 향상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적용한 분석기법을 이용할 경우 지역단위의 다양한 시설의 입지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소각시설의 관리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Due to continuous establishment of new facilities, objective analysi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incineration plants based on regional conditions is needed. However, most studies in this domain have not actively dealt with this issue. In this contex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rends in incineration plant location using a statistical approach implemented with geographic data.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locational density of incinerators using Hot-spo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etropolitan areas and Jeollanam-do have potential to install new incineration plant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atial regression to control for potential spatial autocorrel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oodness-of-fit of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is superior to the Ordinary Least Squares (OLS) model. The analytical method employed by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the locational conditions of various facilities. Furthermore, regional studies can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waste management policies.
입지유형별 지식산업센터 입주자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허승현 ( Her Seung Hyun ),박재홍 ( Park Jae Ho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7 감정평가학논집 Vol.16 No.3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입주자 만족도 영향요인을 입지 유형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이다. 우선 설문조사 실시 전에 선행연구의 검토 및 FGI를 통해 지식산업센터의 입주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11개의 평가변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변수를 기반으로 현재 입지하고 있는 판교 및 안양 지식산업센터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자료를 요인분석하여 세 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총 세 개의 종속변수와 11개의 평가변수로 회귀모형을 구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입주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평가변수를 입지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유형별 지식산업센터의 영향요인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 개별입지형 지식산업센터의 경우에는 외부환경 요인이 입주자만족도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계획입지의 경우에는 내부시설 요인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가중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평가변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계획입지보다는 개별입지의 경우 평가변수들의 가중치가 높게 나타나 이용자 만족도에 있어 영향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유지관리 요인에 있어서는 계획입지 및 개별입지별로 내부보안환경과 운영관리시스템의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시설 요인에서는 개별입지는 복지시설이, 계획입지에서는 편의시설의 영향력이 각각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부환경 요인의 경우에는 개별입지의 경우 대중교통 편리성과 동종업체 밀집도가, 계획입지의 경우에는 도로 접근성 및 시장과의 접근성이 중요한 변수로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계획입지형 지식산업센터는 내부보안환경, 편의시설, 도로 접근성, 시장 접근성 요소들이, 그리고 개별입지형 지식산업센터는 운영관리시스템, 복지시설, 대중교통편의성, 동종업체 밀집도 등이 중요한 요소로 산출되어 향후 이를 전제로 한 개발이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factors behind user satisfaction at knowledge industry centers. For this purpose, a review was conducted on previous studies before this study proceeded, and FGI was utilized to present 11 evaluation variables impacting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evaluation factors presented, the study polled users of knowledge industry centers in Pangyo, an area within the city of Seongnam, and Anyang, Gyeonggi Province. First, a relative comparison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knowledge industry centers was done according to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for an individual position-type cent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ubstantial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r the planned location type, factors of internal facilities were found to greatly affect user satisfaction. Subsequently, a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discovered that compared with a planned location, an individual location saw higher weight on evaluation variables as a whole. More specifically, important variables for a planned location type were internal security environment, convenience facilities, and access to roads and markets. For the individual location type, variables such as management system, welfare facilities,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density of similar businesses in the area were important.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dustry centers, with the focus on it.
황선근,이수기,박정일 한국지역학회 2018 지역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temporal proliferation of individual facto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e location of the factory is divided into individual locations and planned locations. In the case of individual locations, it takes a long time to establish factories. Also, due to high cost and regulation,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factories is not easy.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process is simple and the price of land is low,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factorie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dividual factories. The problem of the undeveloped factories is that the lack of infrastructure such as the roa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around the factory deteriorates the pleasant environment and the cityscape and deteriorates the health of the residents in the surrounding a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cation of individual factories establish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01 to 2016 by using ArcGIS Pr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location factories are formed around existing industrial complexes and industrial sites. The reason for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external effect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 area. Secondly, since the Seoul city’s individual location factories are established in many residential areas, it shows the conflicting result of the mixture of residence and factory. Third, the Gyeonggi province’s individual location factories have a high proportion of non-urban areas. This is because the Gyeonggi province’s management area occupies a larger proportion than other areas in Gyeonggi province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 temporal spreading process of individual factories and the unfolding of individual factor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t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control the over development of individual factor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개별공장의 시공간적 확산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 적이 있다. 공장의 입지는 개별입지와 계획입지로 나눌 수 있다. 계획입지의 경우, 공장 설립의 기간이 오래 걸리 고 높은 비용과 규제 때문에 개별공장의 설립이 쉽지 않다. 그러나 개별입지 공장은 설립 절차가 간단하여 지대 가격이 저렴한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개별입지 공장 난개발이 증가하였다. 공장 난개발의 문제점은 공장 주변의 도로 및 환경오염 처리 시설과 같은 인프라 부족을 야기하고, 쾌적한 환경과 도시 경관을 훼손하며, 주변지역 거 주민의 생활환경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공장설립온라인지원시스템 자료를 ArcGIS Pro를 활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수도권 지역에 설립된 개별공장의 입지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개별입지 공장은 기존의 산업단지나 공업입지 주변에 집중적으로 형성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집적지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외부효과라고 판단된다. 둘째, 서울시의 경 우 개별입지 공장은 주거지역에 많이 설립되고 있어 주거와 공장의 혼재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경기도의 개별입 지 공장은 비도시지역 내 관리지역에 많이 입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지역 내 관리지역에서의 공장 난개발 은 경관 훼손, 인프라 부족 등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개별공장의 시공 간 확산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개별공장 난개발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구·경북지역 최고지가필지의 입지 및 지가형성요인 분석
서경규(Seo, Kyung Kyu),김은지(Kim, Eun Jee),이규태(Lee, Kyu Tai) 한국부동산학회 2016 不動産學報 Vol.64 No.-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31개 시·군·구의 최고지가필지를 대상으로 입지 분석과 지가형성요인 분석을 하였다. 입지 분석의 결과, 복합형이 12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유통중심지형 11개, 교통 중심지형 7개, 관광중심지형 1개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지가필지의 업종은 의복소매업 7개, 의약품 소매업 6개, 기타음식점업 3개의 순이었다. 지가형성요인 분석결과, 모형 1에서는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의 VIP 값이 1.561로 가장 높았고, 택지지역 면적비율(1.474), 도로 접면 수(1.389), 1인당 GRDP(1.257)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모형 2에서는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의 VIP 값이 1.853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GRDP(1.736), 택지지역 면적비율(1.206)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3에서는 1만 명당 사업체수의 VIP 값이 1.65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시화율(1.503), 인구밀도(1.302)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연구결과, 최고지가필지의 입지는 교통시설이나 유통시설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지가는 개별요인 보다 지역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tion and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in Daegu and Gyungbuk. (2) RESEARCH METHOD The method consists of following two major parts: the frequency analysis on location and PLS regression analysis on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3) RESEARCH FINDING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cation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are considerably influenced by transportation facilities o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land value is more influenced by regional factors than individual factors. 2.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location, there are 12 complex hub type, 11 circulation hub type, 7 transportation hub type and 1 tourism hub type can mostly influence the value of the land. The business types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were 7 clothing retail business, 6 medicine retail business and 3 other eatery business. The results of PLS regression analysis for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are as follows: local tax burden per person, GRDP per person, urbanization rate, the number of business per 10,000 people, and population density.
LQ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충청권 사회혁신기업의 입지분포 특성 분석
윤혜연,장석인,장동호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1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Korea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social innovation companies that can provide jobs and social services due to the rising unemployment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in the Chungcheong region by using the location quot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location distribution areas of social enterprises are high population density, high number of consumers and suppliers of social services, as well as high traffic level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social enterprises were loc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jobs to areas with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such as agricultural regions. The main distribution areas of social cooperatives are located in areas where economic activity has stagnated due to population reduction focus on saving the region. In addition, social cooperative finances are found in agricultural regions and regions with many minorities in order to create employment and increase income. The main location distribution of community enterprises were selected self-supporting regional community demonstrative project in 2010 or were found to be considered the cooperation among the residents, generally agricultural-based community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could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positional policies related to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실업률 증가와 인구 노령화로 인해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LQ(Location Quotient)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충청권 사회혁신기업의 입지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기업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고, 사회서비스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많으며 교통이 발달한 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농촌지역과 같이 취약계층인 노인인구가 많은 지역에 일자리 제공 등을 목적으로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협동조합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구도심을 중심으로 인구감소로 인해 경제활동이 침체된 지역에 입지하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은 농촌지역이고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에 일자리 창출 및 소득 증대를 위해 입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마을기업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2010년 자립형지역공동체 시범사업에 선정되거나, 주로 농촌 기반의 마을기업의 특성을 보이고, 주민들 간의 협력을 중요시하는 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사회혁신기업과 관련된 육성이나 입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GIS를 이용한 전통취락의 지형적 주거입지 적합성 분석
최희만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이 연구는 한국의 4개 전통취락을 대상으로 주거입지의 적합성을 지형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적합성 GIS 기법을 이용하여 사면향, 경사도, 하상비고, 수계로부터의 거리, 토양 등 5개 입지 인자를 기초로 적합성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취락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곡은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대체로 1급지이며, 또한 혈처인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1급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은 농경지로는 적합하지만 가옥이 입지하기에는 수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전은 취락의 대부분이 1급지로서 주거입지가 매우 우수한 편이며, 혈처인 중심가옥도 1급지에 해당되어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과 산록의 접촉면 일대가 대체로 1-2급지로 나타나 4개 취락 가운데 입지선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회는 1급지와 2급지의 분포가 대부분을 이루어 주거의 적합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심가옥인 양진당은 2급지이며, 충효당은 1급지로 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혈처 주변에는 2급지가 많이 분포하는데, 이것은 가옥의 사면향이 볼록한 지형을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결과로 해석된다. 그리고 초기에 취락이 입지한 화산의 산록부분은 적합성이 낮은 편이다. 양동은 1급지가 주로 산중턱에 분포하고, 2급지는 산록의 중하위에, 3급지는 계곡의 저지대에 분포하여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계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계층성은 양동의 신분적 위계질서가 지형적인 고도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대부분 1급지에 해당되어 물(勿)자 형국의 입지점이 적합성면에서도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취락 입구의 낮은 지대는 과거 하천의 범람지로 주거입지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거 풍수적 관점에서 명당이라 지칭해온 영남의 4대 길지의 전통취락 입지는 현대의 지형적 시각에서 검토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분석'에서 대부분 1급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수지리의 내용이 상당 부분 과학적 해석이 어렵고 신비주의적인 면이 있지만, 그 기저에는 지형적 경관의 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통취락의 주거는 환경적 합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입지임을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내용은 입지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자연환경인자 가운데 5개의 지형적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것을 바탕으로 생산성, 안전성, 쾌적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경우 취락 및 주거 입지의 선정과 평가에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of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the Yeongnam district of Korea in view of geomorphology. For this study,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residential location by 5 indicators of degree of slope, slope aspect, height above riverbed, distance from river system and soil.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and AHP(Analytical Hierachy Process) technique are adopted as the methods of adding weight about 5 indicator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are as follows; It is evaluated that Yugok is a very suitable area for residence. In detail, it is viewed that a sediment site near river is more suitable for agriculture rather than residence due to the danger of overflow by flood. It is revealed that Cheonjeon has very excellent conditions for residence and the suitability of residence confined to the optimal site(hyeolcheo, 穴處) is also the highest among those of all selected areas. Hahoe is relatively suitable for residence and Yangjindang and Chunghyodang regarded the optimal site are also good as a residential site. In Yangdong, the residential suitability is high in the mid-area of a mountain, while becomes hierarchically more and more below in the base of a mountain and the low-level of a valley. I argue that this may reflect a social position of residents. However, this analysis does not include every aspec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hoosing the settlement location and is just approached in limited areas centring upon geomorphic elements. Lastly, I argue that it needs to work to make indices for the scientific analysis on settlement location and then attempt to establish the pro-environmental planning of residential and settlement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