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북대학교 주변 원룸의 분포 및 주거환경 특성 : A Survey on Studios Arou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Daegu, Korea

        이영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본 연구는 최근 젊은층에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원룸의 분포와 입지 특성, 그리고 주거 환경 특성을 경북대학교 주변지역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경북대학교 주변 원룸은 출입문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학교와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접근성 이외에도 집적의 이익과 대학 주변지역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환경 또한 주거선호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신축 원룸일 경우, 계획적인 시공으로 공간의 활용성이 많이 높아졌고, 생활편의 시설도 많이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전의 건물을 원룸으로 리모델링한 경우에는, 생활편의 시설의 설치가 미흡하였다. 원룸 소유자도 주로 생계유지를 위한 경영으로, 경영방식이 전문화되거나 표준화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원룸을 선호하게 되는 시설의 편리성이나 쾌적한 환경조성도 실제로는 양호한 편이 아니었다. 앞으로, 원룸의 특성상 나타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거주자들이 더욱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residental conditions of studios arou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KNU) in Daeg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studios around KNU campus are built at the back street around the gateway of a university, within 10 minutes's walking from a university. One-rooms were gathered generally, but spreaded regularly at the northern ga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tudios around the campu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commercial area at the early stage, but spread gradually into the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Secondly, studios appear to be hired by one of the three following types: yearly rent, monthly rent, and lease on a deposit basis. The rate of monthly rent was the highest, then yearly rent and lease on a deposit basis in order. Thirdly, on average, studios recently built tent to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western-style's tenement house. While, in studio, small bathroom and semi-kitchen facilities are equipped for the efficiency of space. They are not enough for tenants to be satisfactory.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studio owners need to should make efforts to solve any problems concerning the residing circumstances.

      • 원룸형 주택 거주자의 주거행태 및 주거만족도 : 대구지역 3개 종합대학 주변지역을 사례로 University Campuses in Taegu Area

        박순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대학주변 원룸 거주자들의 특성 및 주거행태 그리고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대학주변지역이라는 특수성의 영향이 크다고도 볼 수 있으나 거주자의 대부분이 20대의 대학생으로, 원룸거주 기간은 3년 미만이었다. 대학가 원룸 거주자의 월평균 생활비는 부모의 평균소득에 따라 제1차적으로 결정되나, 일반적으로 자신의 소득은 전혀 없거나 50만원 이하이고, 월평균 생활비는 50만원 이하였다. 그리고 주거지 선정요인으로는 근접성, 시설의 편리성 및 프라이버시 보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원룸에 관한 정보는 벽보나 친구 및 선후배를 통하여 주로 구득하였고 혼자 혹은 친구, 형제, 친척 등과 함께 2명이 주로 거주하며, 주거비 지불형태는 주로 월세이고 월 임대료는 30~35만원이었다. 원룸의 주거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고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복도·계단, 냉난방 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에 방음, 베란다와 주차장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s, the residential behavi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amenities of the studio apartments near by university campuses in Taegu area. Mose tenants of the studio apartments were college students in the twenties and have lived less than three years as the results of the location of the studio apartments. The average living cost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income of the tenant's parents. The income of tenants is between none and five-hundred thousand won. Most tenants spent less than five-hundred thousand won for the living cost. The tenants considered the accessibility, the convenience of facilities, and securing of their priva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they planned to move into the studio apartments. The tenants were informed the vacancy of studio apartments through a poster on a wall and/or friends. The studio was mainly occupied by one person; while, it was sometimes shared with two people such as friends and relatives the monthly rent fee for one studio was between three-hundred thousand won and five-hundred thousand won. The satisfaction of amenities of a studio apartment is usually positive. The ten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bath room,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the hall was ways and stairs.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soundproof facilities, balcony, and parking lot.

      • 大邱 地域image 革新을 위해 : 대구비젼 2020'의 평가를 토대로 Based on the Evaluation of Taegu Long-term Development Plan

        이규목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서구중심 세계 경제적 사회문화적 물결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환경속에서 새로운 도시경관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문제는 서구화중심의 세계화와 지구화가 아시아 대도시 경관과 이미지 형성에 있어 아무런 여과없이 그대로 적용이 되고 있다. Knox나 Harvey는 "지리적 경관의 쉼 없는 변형과 재변형"이라고도 했고, Soja는 "사회공간적 변증법"이라 칭하기도 했다. 대구는 서구식의 발전된 모습으로의 이미지 변신이 아니라 대구 자신의 자생적 소재를 바탕으로의 이미지 혁신을 가져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의 정서에 부합하는 중개적 장소 예를 들어 '차이나 타운'의 신설이 필요하다. 명칭도 기왕이면 [대구-차이나타운]으로 하여 대구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구읍성의 이전 복원과 같이 대구시 자체의 역사적 속성을 현재의 여건에 맞게 적절한 대안적장소를 찾아 복원하는 일이며 가능하다면 상대적 공간적 노출성이 양호한 곳을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환경생태계를 강조하는 이미지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신규주거단지계획시에는 주거지 안을 생활관련 소규모 저비용 환경생태계를 형성해야 한다. 특히 대구-경북의 낙동강변의 자전저전용도로 구축으로 일상화된 환경생태적 도시거주지 이미지구축이 강조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Taegu long-term development plan in the side of elevating the Taegu regional image and long story short. The direction is not change of the westernized Taegu image but the renovation of Taegu image by the exploitating of Tague's autogenous image. The scope of this plan should be lined under the ecological and geographical relationship of Taegu-Kyungpook region. It is a very important step to concrete the identify of Tague. A strategy includes the restoration of taegu 'Ubsung(邑城)' which play a good role of attracting the foreigner and investment. Around the 'Ubsung(邑城)', we can prepare the event place for them. Image inequality of intra Tague is too serious to precess the total development of Taegu. To elevate the image of taegu, foreigner's exclusive place and road will be needed. This place can be basecamp of coming to Taegu. On either side of Nakdong, Gumbo, Sinchon river can be used as a bicycle exclusive road which play a good role of channel to come into taegu. Ecological village around this rivers produce a leisure place of Taegu citizen. The cultural location of Taegu is the overla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Gaya-cultural center. To concrete this strategy, I introduce the Bullo ancient tombs. To accomplish the Taegu provincial decentalization of autonomy, we cultivate the human resource named 'taegu person'. Taegu based human resource is short cut way to this task. Urban hazard i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facts. Urban catastrophe is the deterministic facts in destructing the image of modern city. Dalsung new town plan should consider the other part of taegu city and in migration of new bourgeoisie of Taegun to Dalsung new town. Remodeling plan does not meet to taegu because of weak points in setting the fire problem. To renovate a new image of Taegu, these fact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and partly revised.

      • 한국 도시의 대기오염도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이재하,문상호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3 地理學論究 Vol.- No.12-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he geographical analysis and to find out geographical effects up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cities in Korea which increases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cars and industrial facilites. The most serious air pollutant in urban Korea are SO_(2), TSP(Total Suspended Particulates) and partly CO, O_(3), NO_(2). SO_(2) and TSP in many cities exceed the domestic primary air quality standards which is loose and much lower than that of WHO and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of cities - Seoul, Inchon, Anyang, Sungnam - in the Seoul conurbation area is high presented. These cities belong to the area where about a half of Korean population, car and industry is concentrated. In such industrial cities as Yochon,Pohang, Kumi, Chongju and Kwangju, air pollution shows low.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 factory and automobile. But what is most co-related with the degree of air pollution of each city is found to be population density of each city. So, the systematic policy for urban population dispersion ought to be accomplished to reduce air pollution above all things. TSP among air pollutants shows the highest co-relation with five geographical elements(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the number of household, factory and automobile) of each city.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degree of air pollution of the cities located inland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astal cities. It means that topographical location or site of 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ffusion of air pollutants. In conclusion, the air pollution of cities well reflects geographical elements and feature of those. To find out clearly the geography of air pollution among cities, we should use the more geographical elements to analyze daily and monthly air pollution data.

      • 사회자본의 연구동향과 과제

        권경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최근 들어 사회과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은 기존의 전통적인 자본의 개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제적 현상의 영역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사회자본 구성요소로서 신뢰, 네트워크, 규범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산업지역사회의 존립기반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서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사회자본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되는 사회적 관계와 그러한 사회적 관계에 의해 형성된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는 공식적 제도와 관계구조이다.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지역발전에 필수적인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려면, 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학습해야 하는데 오늘날 파편화된 기업들이 협력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바로 사회자본이다. 따라서 한 지역사회에 사회자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떠한 긍 ·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산업지역사회 혹은 산업집적지의 존립기반을 해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e concept of social has recently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by social scientists. It is generally acknowledge that the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have focused on just analyzing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s a result, such a tendency has prevented researchers from explaining the specific phenomena caused by social capital exactly and measuring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effectively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 In order to balance this tendency, a study based on real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By concentrating on the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 the components of the social capital can be more easily analyzed and measured than befor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can be dealt with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gaining competitiveness for a region and its industries. Most companies in a region have fairly separate and unique systems with others.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search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learning deeply rooted in close corporation among them. It is social capital, as a resource for corporation between companies, that makes this organizational learning possible. Consequently, social capital is worthy enough to be discussed as a mechanism fo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a region.

      • 학습, 혁신 그리고 지역경제발전 : 연구동향 및 쟁점 A Critical Review

        이종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최근 들어 지역발전에 대한 경제지리학과 지역개발학의 연구 패러다임은 개별 기업과 지역의 성공에 있어 기업조직 및 해당 지역에 고유하게 뿌리내려져 있는 지식과 학습의 근원과 역할게 대한 관심으로 모아지고 있다. 유용한 지식의 학습은 전적으로 개별 기업의 흡수 능력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학습은 지식의 흡수·축적·이전·강화를 위한 필수적 과정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지역 및 기업의 경쟁우위에 있어서의 학습의 역할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들은 여전히 추상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들은 기업 및 지역의 혁신 성과 및 경쟁력을 이해함에 있어 개별 기업조직 혹은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습의 메커니즘, 즉 학습의 인지적 프로세스는 주어진 것으로 간주한 채 학습 및 혁신의 결과만을 강조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해석상의 오류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제도, 특히 기업조직을 중심으로 그 속에서 나타나는 학습의 인지적 과정을 밝혀내고 이것이 공간적으로 어떠한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지역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고찰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In recent years economic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identifying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learning embedded in corporate organisation and the region in explaining the success of firms and regions. The author, however, argues that the geographical literature on the role of localised learning in sustai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rm and the region has not given us a clear explanation. In other words, the current fashion stressing the power of the regions and geographical proximity as the sources of learning has been too much silent on more fundamental issues such as how learning takes place, how learning is organised in the firm, and where the sources of learning come from. As a first step to get answer to these questions, I emphasise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sources of learning and its process need to be begun by structinising corporate context.

      • 장소개념에 의거한 환경영향평가의 재구조화를 향한 기초연구

        엄정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요즈음 일상생활에서 주변 환경의 안전성을 감시하고 확인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많은 주민들이나 공공기관, 기업들이 훼손된 자연환경이나 오염에 노출된 건물이나 시설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환경영향 평가제도는, 대형 개발사업으로 야기된 환경오염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의 개념에 의거한 환경영향평가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기위해 사례연구지역에 대한 ESA(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장소개념에 의거한 환경영향평가)를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개발사업으로 야기된 환경영향을 파악하는 데 상당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 예로 지리학적 개념에 의거하지 않고 있는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서는 규명하기 어려운 누적환경영향을 추적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가 환경영향평가를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최적의 도구로 활용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장소개념에 의거한 환경영향평가"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을 것이다. These days, an environmental inspection in our daily life is a necessary part in order to determine if a human risk exists or may be imminent. Many public and private parties are closely looking at disturbed natural environment, and potentially polluted properties. However, conventional EIA system tends to focus on identifying pollution caused by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pose new concepts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 in terms of site specific point of view.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has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or the ESA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approach. A site diagnosis by the proposed concept provided many valuable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caused by the development project. For example, it was found that the traditional EIA was not very efficient to track the cumulated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ignorance for the project sites in terms of geographical concept. This paper will give the audiences valuable insight into how to maximize on EIA system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 while limiting the risks and liabilities caused by the development actions. As a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have established the new concept of "ESA toward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EIA", proposed as an initial aim of this paper.

      • 일제강점기 대구의 도시계획

        최석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근대적인 도시계획이 어떻게 변화 · 발전되어 왔는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함과 아울러, 이것이 도시공간구조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하는 것을 도시지리학적인 시각으로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계획관련법령에 의해 대구에서도 1906년부터 읍성벽철거(1906)와 환상형 가로건설, 시구개정계획사업(1913~1920)에 의한 근대적 격자형 간선도로건설, 그리고 일본의 도시계획법(1919)에 기초한 대구부 도시계획개요(1922)에 의한 도시기능지역 분화계획 등과 같은 식민지적인 근대적 도시계획사업이 1936년까지 추진되었다. 대구는 조선시가지계획령에 의해 1937년에 시가지 계획령이 고시되어 기준년도(1937)의 인구(14만8천여 명)에서 목표연도(1965)의 인구(35만)로의 증가를 목표로 하는 종합적인 도시계획이 최초로 수립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시가지 계획구역의 확대, 대구역전의 'T'자형 도로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대 · 중 · 소 가로망계획, 인구증가와 공업화를 위한 택지지구 및 공업단지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도시계획사업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계획에 의해 대구에는 일제말에 이미 당시 최고급 주택지였던 공평동을 비롯하여 동인동, 삼덕동 등의 오늘날 도심부 주거지역에 일본인 주거지역이 형성되고, 이 지역의 가로망이 직교형으로 완비되었다. 또한 공업단지가 칠성동, 고성동, 노원동, 침산동, 비산동일대에 최초로 조성되어 현재의 대구공업지역이 형성되는 데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공간구조는 도시계획의 추진방향과 내용에 따라 크게 변화되고 형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의 공간구조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종래의 다양한 접근이론(설명요인)과 함께 실제의 도시계획 즉, 도시계획정책적 요인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해 도시공간구조형성과 변화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ttempt to clarify the urban planning effect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Daegu City, Korea through modern history. At first period(1906~1936), modernized internal structure of Daegu had been initiated and formed. During these time, the ancient wall of Daegu was eliminated and new loop-typed streets were built along the wall sites. center of this city have been locate within or surrounded area by these streets. This is a kind of general pattern of traditional walled city through the world both Western and Oriental societies. In this period of history, 'Dark Ages' descended upon Korea because the county was under the Japan-Korean Annexation, the urban planning was planned for Japanese exclusively. The street pattern within residential areas of Korean liked the maze typed, in contrast with Japanese residential areas showed grid pattern of streets. This is another general pattern of almost of all colonial cities especially in Asia. Shopping district had been attracted to the railway station which locates not far from CBD hard core. But the railway had played a role of diffusion barrier for some functional areas within central part of the city. It means that railway decayed the spatial and functional effectiveness of Taegu as a whole. The manufacturing areas were scattered distribution, one located orienting to the main flow line toward the hinterlands which supported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another located within Japanese residential areas, still another located along the back marsh of the rivers. At the second period(1937~1964), high class residential areas were planned and built by Japanese, it located within 5-10 minutes on foot distance from the CBD hard core. These high prestige have continued until 1980`s when it occurred land use succession which commercial functions invaded into residential areas. These residential segregation between two heterogeneous groups due to the Japanese lived mainly oriented the new railway system but Korean lived still along the old highway system which run through the Korea Peninsular.

      • 대구경북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실태와 과제 : 지역혁신 협의회를 사례로 Regional Innovation Council

        이철우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대구경북지역혁신협의회』가 대구 · 경북지역의 비전을 제시하고 지역혁신 전략을 제대로 수행하는 진정한 의미의 지역혁신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협의회의 운영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대구경북지역혁신기획단』이 설립 · 운영되어야 한다. 현재와 같은 지역혁신협의회 산하에 단순한 사무국으로는 지역혁신의 전반적인 사항을 관장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광역 지방자치단체에는 지역혁신협의회 및 지역혁신기획단의 업무를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혁신정책을 통합 · 조정할 수 있는 통합창구로서 『지역혁신지원단』을 설치 · 운영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시 · 군 · 구에도 『지역혁신지원팀』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역혁신정책은 그 성격상 종래의 산업정책, 과학기술정책, 인적자원개발정책, 지역개발정책 등 여러 분야에 걸칠 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의 각 부처별 정책을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통합 · 조정하기 위해서도 지역혁신 관련정책의 수립 · 시행을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통합창구를 설치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Daegu-Gyeongbuk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Agency needs to be constituted to help Daegu-Gyeongbuk Regional Innovation Council to be a truly leader for regional innovation. The Present Daegu-Gyeongbuk Regional Innovation Council can't present the vision of the Daegu-Gyeongbuk region and carry out strategies of regional innovation. Daegu-Gyeongbuk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Agency should be positioned as an executive body under the Daegu-Gyeongbuk Regional Innovation Council; so it must cover the issues on regional innovations. Provincial government of Daegu or Gyeongbuk area should support the works of Regional Innovation Council and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Agency, and need to found Regional Innovation Support Agency that integrates various strategies of regional innovation from the many areas. A local government such as Shi, Gun and Gu also needs to found Regional Innovation Support Tea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Regional innov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with industry polic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and regional development; so, various policies that are proposed from several depart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be integ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