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중(他衆)의 인식론

        곽호철(Kwak, Ho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본고는 세계화의 부정적 효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약자들, 경제적・정치적・문화적으로 착취를 당하고 있는 약자들을 보호하는 한 방편으로 제시되는 타자들의 연대의 인식론적인 토대를 그리스도의 양성론과 삼위일체론에 근거를 두고 제시한다. 약자들은 두 가지 차원에서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하나는 차이와 초월성의 절대화로 인한 폭력이고, 다른 하나는 동일성과 내재성의 절대화에 의한 폭력이다. 본고는 약자들이 고통을 받는 이유를, 동일성을 절대화하는 인식론(동일성 인식론)과 차이를 절대화하는 인식론(차이 인식론)에서 발견한다. 동일성이 절대화되는 인식론은 차이를 무시하는 폭력에 무감하거나 방관, 혹은 조장할 위험이 있다. 반면에 타자성이 절대화될 경우 모든 차이들이 절대화되면서 연대가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르완다 인종학살의 경우에 학살을 당한 투치족도 빈자, 부자, 농민, 정치인 등으로 나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당한 폭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를 절대화할 경우 이 폭력을 막도록 함께 연대할 수가 없다. 이 타자들의 연대를 위해서는 동일성 인식론과 차이 인식론을 극복해야 한다. 동일성과 차이, 초월과 내재는 인간의 본질적인 요소이며 함께 인식되어야 한다. 이런 인식론의 근거를 그리스도 양성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 초월과 내재를 혼합되지도 않고 분리되지도 않게 그 안에 품고 계신다. 인간이 성화를 지향한다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신비를 체현해 가야 한다. 성화과정에 있는 인간으로 파악할 때 인간 또한 초월과 내재가 그 안에서 양자를 서로 부정하지 않고 공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인간을 인식할 때에도 초월과 내재 어느 한쪽을 부정하지 않고 포괄하는 인식론이 가능할 수 있다. 인간을 초월과 내재가 공존하는 존재로 파악할 때, 동일성 절대화의 폭력과 타자성 절대화의 폭력을 극복하며 정의를 실현해 갈 수 있는 타자들의 연대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초월과 내재를 함께 포괄하는 인식론을 타중의 인식론이라고 명명한다. 타중은 무수한 차이를 갖고 있는 인간들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존재로 공동체를 구성하며 살아가는 인간을 뜻하며, 그 차이는 하나로 묶을 수 없기 때문에 레비나스의 타자를 넘어서 타중으로 명명한다. 타중의 인식론은 타자들의 차이 실현을 지향하면서도 약자들이 당하는 폭력에 저항하기 위해 연대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propose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as a foundation for solidarity of others, which is to protect the vulnerable who are experiencing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exploitation in a globalizing world. The vulnerable are exposed to two kinds of violence: one is violence from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transcendence, difference; the other is from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immanence, or homogeneity. While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justifies oppression of others, the absolutization of difference enervates resistance of those who are oppressed others. In order to resist against oppression and violence, the oppressed people need to have solidarity with others. To work toward solidarity of others, one should sublate both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d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since absolutization of each has justified injustice, indifference, and oppression. Sublation of both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 epistemology of homogeneity) and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an epistemology of difference) leads to a dialectic epistemology: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is based on the two-nature Chris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which confirms the hypostatic union between humanity and divinity, transcendence and immanenc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and the like.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emphasizes both otherness and homogeneity,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nd difference and commonnes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necessitates and suffices for solidarity with others, with which the vulnerable can resist oppression and indifference caused by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d difference, respectively.

      • KCI등재

        상담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차이 비교

        이명희(Lee, Myunghee),이은희(Lee, Eun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3

        소비자만족이 중시되는 현 상황에서,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불만을 제기할 경우 상담사 입장보다 소비자 입장을 더 중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담사들은 감정소진, 직무탈진 등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다시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담사와 소비자는 갈등해소를 위한 관계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가 필요하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담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호지향성(Co-orientation)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일치도에서 접근성, 신뢰성, 확신성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공감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주관적 일치도인 상담사의 인식과 상담사가 추측한 소비자 인식에 있어서 접근성, 확신성, 공감성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신뢰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또 다른 주관적 일치도인 소비자 인식과 소비자가 추측한 상담사 인식에 있어서는 신뢰성을 제외하고 접근성, 확신성, 공감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상담사 인식과 이에 대한 소비자 추측 즉, 정확도를 살펴보면 확신성을 제외한 접근성, 신뢰성, 공감성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정확도인 소비자인식과 이에 대한 상담사 추측에 있어 신뢰성, 확신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상담서비스 품질 각 차원들을 종합하여 상호지향성 모델 검증을 한 결과,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정확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파악하는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각각에 있어서 상담서비스 품질 차원별로 인식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 차원별로 인식의 갭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안이 마련되어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담사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자는 서비스 품질을 제대로 평가하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상담사와 소비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낭비적이고 불필요한 오해가 줄어들게 될 것이며 소비자만족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Nowadays counselors is experiencing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emotional exhaustion, dismissal of duties, and leaving work, which cause social cost to be passed on to the consum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counselors and consumers have a common goal of improving relationships to resolve these conflicts. So it is important for consumers and counselors to grasp each other s ideas accurately. This study applied the co-orientation model as a methodological tool to compa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counselors and consumers. The SERVQUAL of Parasuraman, Zeithaml, Berry (1988) was used to figure out the counseling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essibility, reliability, and certainty of counseling service in terms of the objective consistency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onsumer recogni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reliability of counseling service between the counselor perception and the counselors’ guessing about consumer percep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essibility, assurance, and empathy of counseling service i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ers’ guessing about counselor percep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essibility, reliability, and empathy of counseling service between the counselor recognition and the consumers’ guessing about counselor percep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ability and certainty of counseling service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counselors’ guessing about consumers’ perception.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훈련에 대한 인식 차이가 훈련수요에 미치는 영향 : 인천 중소기업의 라인과 스태프를 중심으로

        박세호(Se ho Park),성민영(Min Yeong Se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훈련은 많은 물리적 금전적 비용이 수반되는 투자행동이다. 하지만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의 존속과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훈련이 자리 잡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인적자원관리 활동이며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영역이다. 그런데 한 기업 내 라인(현업부서)과 스태프(인사부서)가 훈련과 관련해서 가지고 있는 인식이 차이가 있다면 기업은 적정한 훈련수요 파악할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인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천지역 훈련수급조사 분석’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업 내 라인-스태프 간 훈련 관련 인식 차이를 ‘훈련 운영 관련 인식 차이’와 ‘훈련 필요성 인식 차이’로 구성하고 이것이 훈련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분석 하였다. 두 집단의 훈련 관련 인식 차이는 집단 갈등의 원인으로 가정하였고 훈련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황은 갈등에 대처하는 상황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라인-스태프 간 훈련 운영관련 인식 차이가 클수록 훈련수요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훈련 필요성 인식 차이는 훈련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변수의 조작적 한계성을 무시할 순 없지만 훈련수요에는 훈련 필요성이라는 추상적인 사항에 대한 인식 차이보다는 훈련 운영에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인식 차이가 비교적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라인-스태프 간 인식 차이가 기업 및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훈련 역기능의 원인을 탐색하는 의의를 가졌다. 또한 갈등과정모형의 일부 메커니즘의 일부를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훈련운영 효과성 확보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적정 훈련수요 파악을 위해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training that companies provide to workers is an expens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However, it is a necessary behavior for the company to survive and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line and the staff regarding training, can companies grasp the appropriate training dem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implications for this problem. For this, the data from the Incheon Regional Training Supply and Demand Survey Analysis , which the Incheon RSC surveyed on Incheon SMEs, was us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related to training between line-staffs in a company was composed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lated to training operation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raining necessity ,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dem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related to training between line-staffs was viewed as the cause of their conflict, a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demand as a situation to cope with the confli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related to training operation between line and staff, the more significant the training demand was.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raining necess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demand.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ignore the operational limitations of variable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more direct and specific matters related to training has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latively abstract matters.

      • KCI등재

        유통물류산업에서 계약주체 간, 공간적 분리집단 간인식된 요인에 대한 지각차이 검증

        구병모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유통물류 프랜차이즈산업의 계약주체로 정의되는 가맹본부인 본사의 임직원과 가맹점인 대리점주간, 그리고 공간적으로 분리된 수도권 종사자와 지방권 종사자 집단 간을 대상으로, 인식된 요인인 관리자리더십, 의사소통, 교육훈련, 브랜드, 관계결속, 몰입, 대리점의 경영성과, 재계약의도 등 8개 요인에 대하여 각각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실증연구 논문이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18.0을 이용한 분석과 두 개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검정하는 T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계약주체인 본사와 대리점간의 검증결과, 인식된 8개요인중 의사소통, 교육훈련, 몰입, 대리점의 경영성과, 재계약의도는 본사의 임직원과 대리점주간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관리자리더십, 브랜드, 관계결속 등 3개 요인은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적으로 분리된 수도권과 지방권 종사자 대상의 검증결과, 관리자리더십, 교육훈련, 브랜드, 관계결속, 몰입, 대리점 경영성과, 재계약의도는 상호 인식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고, 인식된 8개의 요인 중 의사소통 하나만이 수도권종사자와 지방권 종사자간에 지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유통물류산업 경로기관 주체들에게 인식된 동일한 요인에 대해 상호간에 발생하고 있는 인식차이를 연구한 것으로, 가맹본부와 대리점주간, 수도권과 지방권으로 분리된 집단 간의 노력과 인식차이 최소화를 위한 상호배려로 경쟁력 있고, 상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paper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8 factors such as manager leadership, communication, education training brand, relationship commitment, immersion,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re-contraction inten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es of headquarter that is headquarter of the franchises defined as the subject of the contract in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and owners of the franchisee, between capital area group separated spatially and local area grou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by conducting an analysis using SPSS18.0 and T-test program that verified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verification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quarter that is the subject of the conduct and franchisee, it indicate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employees of headquarter and the owners of franchise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raining, immersion,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re-contraction intention of 8 factors perceived,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for 3 factors such as manager leadership, brand, relationship commitment. Second, with regard to verification results of capital ares group separated spatially and local area group, it showed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mutual recognition for manager leadership, education training, brand, immersion,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ranchisee, re-contraction intention, only communication of 8 factors recognized had differences between capital area group and local area group.

      • KCI등재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이인재 ( In Jae Lee ),박균열 ( Gyun Yeol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학교 통일교육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로는 국가의 입장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사회화의 측면과 피교육자가 스스로 깨우쳐야 한다는 탐구의 측면이 있다. 사회화는 주어진 사회의 규범이나 이상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하도록 개인들을 도덕적으로 사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반면 탐구는 진리를 찾는 주체가 개인이며 그들이 스스로 발달시키며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런 점에서 탐구는 발달과 구성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존의 통일교육은 전자의 입장이 강했으며, 앞으로는 후자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조사결과, 통일교육방법 면에서는, 우선 다양성 면에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통일교육방법의 유용도 면에서도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다. 흥미도 면에서도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으며, 중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의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통일교육내용 면에서는, 우선 만족도 면에서 초등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적극성 면에서는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흥미분야는 DVD 등 시청각교육에 대해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의 흥미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차이가 났다. 희망하는 통일교육내용 분야에서는 통일필요성과 통일국가미래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으며, 통일내용으로서 북한의 실상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 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 순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방법 VS 내용의 대립구도에서는 다양성, 유용도, 흥미도 등 모든 측면에서 학생이 더 높은 인식을 하고 있으며, 탐구 VS 사회화의 대립구도에서는 탐구 요인(흥미도, 만족도, 적극성)보다 사회화 요인(다양성, 유용도)에서 학생들이 교사보다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을 수행할 경우, 다양한 척도별로 초·중등 학교급별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차이가 많이 있음을 고려하여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 학교급별 통일주제에 대한 계열성(sequence)를 확보하고, 같은 학교급내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고려하는 범위(scope)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tries to analyse the consciousness gap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UE, here-aft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E at school comes from, in one side, social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function for the State to carry on, and in other side, inquiry which has to make realize in the student`s position. The former focuses on adjust the student to fixed norms or ideal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makes better position on developing the self of student and constructing acquired informations pertaining to themselves as a subject to search for the truth. The existing UE has sticked to the former approach, future education needs to the latter inqui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n side of the Diversity of UE Method, there are big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also in side of the Utility of UE,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ide of the Excitement of UE, there are highest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 much higher degree than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UE Contents shows somewhat interesting results, In side of the Satisfaction,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ide of the Positiveness to the UE Contents,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 In side of the Interest Area,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has shown much bigger consciousness gap on the audio-visual multi-senses education way including DVD etc. In the desirable UE contents area, teachers and students has shown biggest gap to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future vision to unified state. And the perception ga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as shown about the opinion that it does as the unified contents including North Korea`s real affairs with ranking sequence of high school,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order. Next, in the confrontation of the method VS content, the awareness in which the student is higher was done in all sides including the diversity, availability, interest, and etc, And the awareness in which the students are higher in the socialization factor (the diversity and utility) in the confrontation of the socialization vs exploratory than the exploratory factor (interest, satisfaction, and positiveness) than the teacher was displayed. This research has confirmed significant consciousness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all schooling system, Afterward, next research needs to specify the differences among each branches among schooling system. That is educational Sequence. One more important thing to be developed could know the Scope that it considers the perception gap of the teacher and student within the same school class to be important.

      • KCI등재후보

        주민자치 시대의 이·통장제도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 : 이·통장과 공무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박해육,최정우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이·통장제도의 역할과 제도개선에 대한 공무원과 이·통장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통장 및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균비교검증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이·통장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이·통장제도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이·통장제도의 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논의 및 제도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통장제도의 운영에 대한 공무원과 이·통장과의 인식차이 뿐만 아니라 시, 군, 구 지역별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밖에도 지역별로 이·통장 그리고 공무원 간에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통장제도의 필요성, 처우의 적정성, 처우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 이·통장과 공무원 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시, 군, 구별로도 이·통장제도에 대해서 인식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시·군·구 공무원 간에는 이·통장제도에 대해서 인식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역의 이·통장들 간에는 이·통장제도의 필요성, 처우의 적정성, 처우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이·통장제도의 개선에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기업에서 요구되는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정준호,송영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을 통해 셀프리더십을 갖춘 인재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종사자 150명 및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써 첫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중요도는 동기부여, 목표지향, 과업수행, 자기보상, 자기관리 총 5개의 모든 셀프리더십 역량에서 대기업 종사자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기부여에 대한 인식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현재수준은 목표지향, 과업수행, 자기보상, 자기관리 총 4개의 셀프리더십 역량에서 대기업 종사자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업수행과 자기관리에 대한 인식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 교육요구도는 동기부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강화를 위한 인식의 전환 및 수행활동의 개선, 동기부여 역량개발의 우선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self-leadership competency between businessmen and college students. To do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businessmen in Korean large enterprise as well as 21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businessmen'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motivation competency, goal-setting competency, task performance competency, self-reward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all the self-leadership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Second, businessmen' perceptions on the current level of goal-setting competency, task performance competency, self-reward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motivation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usinessmen'. Third, the level of educational needs desired by both businessmen and college students descended from motivation competency. The perception gap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indicates that current college curriculums should be improved and new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orporation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

        진미정,기쁘다,성미애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marriage perceptions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amily related values, and 1,319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STATA 17.0, descriptive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group comparison analyse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er generations perceived family diversity more positively for both men and women. For women, younger generations showed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Second, younger generation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positive marriage perception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perceiving marriage positively existed in generation M and Z. Third, for men and women, the babyboomer (BB) generation perceived marriage the most positively in model 1, but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disappeared after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 related variables were put in model 2 and 3. For men,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and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For women,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and higher levels of positive family perceptions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Also, married individuals perceived marriage more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or genera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making family policies regarding marriage and low birth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를,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가족가치관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 남녀 1,319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베이비붐(BB)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로 구분하여 기술통계, 집단 간 비교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녀 모두 최근 세대로 올수록 비혼 수용 정도가 높아졌으며, 여성의경우 최근 세대로 올수록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세대로 올수록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낮아졌다. 그리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성별 차이는 M세대와 Z세대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남성의 경우에는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러한 세대 차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 변인을 투입할 때는 사라졌다. 대신, 근대적 성역할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도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등 세대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변인을 투입할 때는 이러한 세대 차이가 사라졌다. 대신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기혼자는 성별이나 세대와 상관없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과출산이 연결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반영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할 때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입원(소) 정신장애인의 회복인식 영향요인 : 60세 미만과 60세 이상 다집단 분석

        박종은,강상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8 No.58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에 입원(소)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 대상 실증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이들의 회복인식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회복인식 영향요인들이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 입원(소) 정신장애인의 회복인식과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2) 회복 인식 영향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 정신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입원(소) 정신장애인 145명이다. 분석을 통해 (1) 입(원)소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회복 인식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퇴원준비 요인 중심으로 살펴보고, (2) 회복 인식 영향 요인들이 60세 미만 및 60세 이상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가 있고, 장애등록을 하고, 교육수준이 높고, 퇴원계획 상담을 받은 당사자들의 회복인식이 높았고, 당사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시설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회복 인식수준도 높았다. 둘째, 다집단 분석결과 60세 미만에서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회복인식이 높은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유병기간에 따른 회복인식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60세 이하에서는 성별에 따른 회복인식 차이가 없는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남성의 회복인식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당사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인식과 퇴원계획 상담여부는 모든 연령대에서 회복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증진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