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판 인쇄술이 동아시아 문화에 미친 영향

        ( Huai Yua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목판 인쇄의 역사는 우리에게 목판 인쇄술의 탄생과 발전이 사회 문화적 요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조판 인쇄술의 탄생에는 두 가지 기본 조건이 있다. 하나는 물질 기술적 조건이며 또 하나는 사회 문화적 조건이다. 일찍이 진(秦)·서한(西漢, BC 211-218년) 시기, 중국에는 이미 금속·대나무·벽돌에 새겨서 탁본하는 숙련된 기술이 있었다. 동한(東漢, 25-220년) 시기에 이르면 문자 기록 장치로 부드러우면서도 편리한 종이가 발명되었다. 이로써 목판 인쇄술이 탄생하는데 필요한 물질 기술적 조건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졌다. 그러나 물질 기술적 조건만으로 목판 인쇄술이 탄생할 수는 없다. 반드시 상응하는 사회 문화적 조건이 있어야만 한다. 대량의 ``지식 수요``와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독서 인구``가 있을 때, 비로소 사람들은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원가는 저렴하며 많은 내용을 저장할 수 있어 사람들의 사상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목판 인쇄술을 발명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사회 문화적 요구는 기술 혁신과 발전을 가져왔고 기술 혁신과 발전은 사회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 글은 목판 인쇄술의 발전 과정을 통하여 다섯 가지 측면에서 목판 인쇄술이 동아시아 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첫째, 한자를 널리 보급시켰다. 둘째, 불교문화 전파를 촉진시켰다. 셋째, 유교문화의 영향력을 확대시켰다. 넷째, 사상 문화 교류를 촉진시켰다. 다섯째, 동양 예술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전 세계 동아시아 문화권, 서구의 기독교 문화권, 그리스 정교 문화권, 이슬람 문화권, 인도 문화권 등 5대 문화권 중에서도 동아시아 문화권의 목판 인쇄술은 지역·인종·문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동아시아 문화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목판 인쇄술은 탄생―발전―성숙―정점―쇠락에 이르기까지 1500여년이라는 세월을 거쳤다. 이 시기는 곧 동아시아 문화의 중요한 발전기이기도 하다. 목판 인쇄술은 끊임없는 자기완성의 과정을 통해 사회 문화적 요구에 부합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리고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목판 인쇄술이 가지는 고유의 사회적 기능은 동양 문화의 전파, 문화 통합, 문화적 동질감, 문화 자정(資政) 등 네 가지 방면에서 커다란 작용을 발휘하여 동아시아 문화권의 탄생과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후대 사람들이 깊이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It may be firgure out from the history of block printing that the produce and developing of block printi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quirement of socity and culture. There`re two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birth of block printing: technology and culture. As early as Qin and Xi Han dynasty, the technology of metal, bamboo even bricks printing has been mature. Until Dong Han dynasty, the soft and portable carrier of writing, which called paper, is invented, the produce of block printing had ingredient of necessary conditions of material. However, It is not certain of produce with which mentioned above, It needs appropriate culture conditions too, only a large number of requirments for knowledge and reading can inspire the produce of block printing, which is appling simply, cost inexpensive and high capacity. It also satisfied the need for thinking and culture. The requirments of culture and socity leads to the innovation of technology, and which satisfy the requirments in turn. The paper analysis the affect of east asia culture by block printing in five section through the developing of it: ⅰwhich spread the chinese characters, ⅱ which accelerate the accepted of buddhism, ⅲ which expands the affect of confucianism, ⅳ which promote the communication of ideology, ⅴwhich reveal the feature of east culture. In five cultural zones which consist of east asia cultural zone, west europe cultural zone, east europe cultural zone, middle east cultural zone and India cultural zone, the formation of east asia cultural zone e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region, ethnic group and culture. In this progress, the contribution of block printing should not be neglected. The block printing has gone through 1500 years from birth, developing, mature, glamour to decline, it is in accord with the period of important east asia culture expansion. The block printing was always trying hard to adapt and satisfy the needs of culture and socity in the progress of self-improvement, and it act as irreplaceable role in cultural spreading, cultural integration, cultural identity and bureaucracy forming and which ensures the characteristcs of east asia cultural zone directly. It worth to be studied by futurity.

      • KCI등재

        도시재생의 문화콘텐츠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사례분석과 방안 모색 - 인쇄콘텐츠의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곽미정,이진경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서울시는 시민이 행복하고 지역이 활력있는 도시재생특별시를 비전으로 다양한 유형의 도지재생 프로 젝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작인쇄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인쇄산업의 문화콘텐츠 확대와 방향 모색을 통한 생태계 마련을 위해 진행 된 2021년 “창작인쇄활성화 프로젝트 메이커 충무로” 도시재생 프로 젝트의 콘텐츠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 참여 동기 설문조사와 사후 만족도 설문 조사를 통해 충무로 지역의 문화콘텐츠 수요 요구를 분석을 하고 인쇄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확대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프로그램 중 사전참여 설문조사 를 통해 지원자들은 실무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난이도의 디자인 툴 프로그램의 수요 요구가 가장 많다. 둘째, 현재 인쇄산업 현장 및 그 외 분야에서 인쇄기술을 활용한 디자인과 트렌드 문화콘텐츠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가장 높다. 셋째, 충무로 지역의 도시재생을 창작인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난이도 의 디자인 툴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진행의 요구가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전통의 인쇄를 문화콘텐츠로서 범위를 확대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인쇄인들과 일반시민들은 인쇄 자체의 기술보다는 인쇄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과 트렌드를 접목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인쇄콘텐츠를 활성화하고 창작인쇄로서 문화콘텐츠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프 로그램이 충무로 인쇄지역에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인쇄특화거리 혹은 인쇄문화단지로 지정하여 문 화콘텐츠로서 산업의 활동 범위를 넓히고 인쇄지역중심의 문화적 아이덴티티가 구축 되야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Seoul citizen budget goes to 2021 years “creative print projects enable manufacturers chung” urban re. By examining the content education program of the live project, we conducted a pre-participation motive survey and a post-satisfaction survey. Expansion and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s to analyze the demand for cultural contents in Haechungmuro region and to activate print contents wanted to explore. “Creative Printing Revitalization Project Maker Chungmuro” is the Meister, Makers and Art Program of Dasaewoon Printing Technology School. You can check. First, through a pre-participation survey among the training programs, applicants can use various The most demanding demand for a design tool program with a high degree of difficulty. Second, design and trend cultural contents programs using printing technology in the current printing industry field and other fields RAM satisfaction is the highest. Third, design tool programs of various difficulty levels to revitalize creative print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Chungmuro area are continued. Therefore, it activates print content and promotes culture as creative print. In order to expand the contents, various cultural art contents programs should be supplied to the Chungmuro printing area. To this end, it was designated as a special printing street or printing cultural complex to expand the scope of industrial activities as cultural contents and support. It is suggested that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station should be built.

      • KCI등재

        사찰 소장 목판의 서지(書誌) 및 역사(歷史)·문화적(文化的) 의의(意義)

        朴鎔辰 ( Park Yong-ji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본고는 불교문화재연구소의 사찰 목판 일제조사 보고서를 기준으로 사찰 소장 목판의 현황을 검토하고, 그 토대 위에 사찰 소장 목판의 서지 및 불교문헌학적 의의, 나아가 역사·문화적 의의를 사례를 중심으로 시론하였다. 전국 사찰 소장 목판은 불교문화재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783종 27,171판이며, 추가 조사가 예정되어 있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사간장 고려시대판 52종 2801판, 14-15세기 6종 647판, 16세기는 21종 356판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목판의 소장처는 시대의 추이에 따라 원소장처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의 중심 사찰을 중심으로 목판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목판의 주제별 분류에 따르면, 경·율·논장이 다수이지만, 조선시대 불교 전존 목판의 다수는 불교의례나 의식과 관련된 주제 및 내용에 해당한다. 목판을 소장하고 있는 지역별 소장 사찰수는 101개소이며, 목판 783종 가운데 간행처를 알 수 있는 것은 177개 사찰의 326건이며, 457건은 간행사항이 분명치 않다. 사찰 소장 목판의 서지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판목의 판각정보를 통하여 무간 기본의 간행시기를 알 수 있고, 입목이나 보각 등의 내용 개변을 확인할 수 있다. 목판과 판본은 보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서의 정본화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불서의 간행 체계와 인쇄문화를 알 수 있는 정보가 판목에 있다. 고려시대 목판은 고인쇄기술과 문화를 전하는 한편 국내외 유일본 목판이 전존하고 있어 불교문헌학적 의의가 크다. 이에 비해 조선시대 목판은 한국 찬술과 불교의례, 언해류, 다라니류가 다수이며, 이는 한국불교사상과 신앙의 성립과 전개를 알 수 있어 가치가 있다. 사찰 소장 목판은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교류의 상황을 전하는 것이 전존한다. 목판의 판각정보인 각수명을 통하여 시기를 확정하고, 판각의 시대상황과 불교 사상경향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목판은 불교의 교학과 실천, 그리고 신앙의 전승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한편, 조선시대 목판 조성은 교학과 강학만이 아닌, 경전 판각에의 결연이 정토왕생의 행업과 작선으로 전개되면서, 소수에서 다중의 참여가 가능한 방향으로 확대되는 불교문화의 새로운 양상이 확인된다. 향후 사찰 소장 목판은 인쇄기술이나 판각 예술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고, 인쇄출판물을 보관하는 경장이나 장경각이라는 건축문화와도 연관되어 있다. 향후 목판과 관련 분야를 종합하면 한국의 불교문화 나아가 전통문화를 심화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Woodblocks of temples based on the report of the Woodblocks at the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below, RIBCH), and discusses the bibliographic and Buddhist literar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Woodblocks of Buddhist temples. According to the survey of RIBCH, the Woodblocks of national temples are 27,171 of 783 titles. Haeinsa(海印寺)'s woodblocks, such as Korean Tripitaka and saganjang(寺刊藏)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woodblocks are often sto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woodblocks tend to be concentrated around the central temple. According to the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woodblocks, although it is Gyeong(經), Yul(律), and rON(論), many of the woodblocks of Buddhists in Joseon Dynasty correspond to the themes and content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There are 101 temples that own woodblocks, 326 titles of 177 temples have publications, and 457 titles are unclear. Aa for the bibliographic significance of the woodblocks of the temple, Woodcuts and editions are complementary and can be the basis for authenticity of the Buddhist Books. The woodblocks contains information on the publishing system and printing culture of Buddhist books. The woodblocks of the temple conveys the situation of the exchange of East Asian Buddhist culture. Woodblocks can be found in the times of engraving and the Buddhist trends. Woodblocks are also an indicator of Buddhism's teaching, practice, and tradition. Combining woodblocks and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will help to deepen and creatively inherit Korean Buddhist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융복합 문화로서 재조대장경과 판각지 남해의 문화콘텐츠 개발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재조대장경의 조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도 연구자들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남해에서 판각되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장경은 문화적으로는 유형문화와 무형문화가 결합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송·거란·일본 등에서 한역대장경 장소 수집과 교감을 통한 완성도 높은 교정이 이루어졌다. 재조대장경은 당대 인쇄문화와 기술의 융합, 지역간의 연계, 국가와 민간, 출가와 재가 등 회통과 융복합 문화의 정점에 있었다. 13세기 동아시아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전범이었다. 또한 현대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과 대만의 『불광대장경』 등의 저본으로 삼을 만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1세기 문화로서 대장경은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재탄생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본고에서는 대장경의 본래적 가치와 종합적 외현인 문화콘텐츠로서 불교문화테마파크와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인쇄문화콘텐츠산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불교테마파크로는 불교랜드, 불교문화 라키비움과 마음산업을 선도할 수행센터인 참선센터 등 건립을,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로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과 연계한 대규모의 축전과 소규모 지역공동체 축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조적 파괴를 통한 활용인 인쇄문화콘텐츠산업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인쇄전자산업(Printed Electronics Industry)의 도입과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지역 클러스트 형성과 학교와의 연계, 대장경인쇄문화연구소(가)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ejo-tripitaka, which wa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cultural asset of convergence.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printing as it was pursued in Namhae, where the tripitaka was carved into woodblocks. The Jaejo-tripitaka was fine-tuned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by collecting and collating research and commentaries from Uicheon’s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s well as from Chinese tripitakas from Song, the Khitan, and Japan. Furthermore, the Jaejotripitaka showcased the culmination of intercommunication and culture of converge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rinting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ime, as well as interregional coordination,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its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ful and secular. The Jaejo-tripitaka led cultural promotion not only as a classic of the globalizing East Asian culture of the 13th century, but also as an original script for modern Japan’s Daejeongshinsudaejanggyung and Taiwan’s Bulkwang-tripitaka. To lead the culture of the 21st century, tripitakas should be embraced in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values and to promote disruptive creation. Buddhist Theme Parks and tripitaka cultural festivals could serve as places to commemorate and displa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tripitaka. Furthermore, a new direction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is offered to enable tripitakas to be used to facilitate disruptive creation. Specifically, a Buddhist Theme Park could take the form of a Buddhist Land, Buddhist Larchiveum, or Seon Meditation Center for the mind industry. As for cultural festivals, large-scale festivals linked to the biennial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s well as small-sized community-level festivals, could be considered. Finally,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the electronic printing industry could be introduced and adopted as it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lusters in west Gyeongnam,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a tripitaka cultural research and printing institute (provisional)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한국 출판정책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제1기(2003-2007) 출판ㆍ인쇄문화산업 진흥발전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 출판정책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이용준(Lee Yong-Jun)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0

        본 논문의 목적은 참여정부에 들어와서 시작된 제1기 출판인쇄문화산업 진흥발전계획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앞으로 수립될 한국출판문화정책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출판 및 인쇄진흥법〉의 제정으로 그 어느 때보다 출판진흥을 위한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었고, 또한 이 법에 의해 매 3년마다 문화관광부 장관이 출판진흥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현재의 출판문화정책은 전반적으로 진흥을 위한 노력이 돋보이며, 문화산업 영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출판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출판진흥정책의 기조는 앞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가시적이고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사업의 지원에 초점이 맞춰진 점,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로드맵이 부재한 점, 생산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출판정책이 방향을 선회해야 하는 점, 문화적 차원의 고려가 미비된 채 출판정책이 추진되는 점 등은 향후 보완되어야 할 측면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출판문화정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고, 전문가 집단의 포괄적인 의견 수렴, 독서진흥정책 등이 수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업무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출판산업과의 조직과 업무도 조정되어야 효율적인 정책의 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analysing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and exploring suitable policies on expansion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starting the first developing plan for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ies from 2003. Some results of the plan are showing successful and the conditions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become higher. From now on, the Ministry of Korean Culture and Tourism makes plan for developing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ies by the publishing promoting law every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Korean Government"s basic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is pertinent, and should be continued toward developing korean publishing culture. But it should be gradually reformed that the policy focuses on the visible immediate effects and the industrial areas to the exclusion of cultural side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Korean Government follows professional group"s opinions, proceeds the policy with a long term point of view, and starts a campaign for reading book.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undertaking the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should be changed in organization and roles for successful pursuing developement of the Korean publishing culture.

      • KCI등재

        구텐베르크 이후 레토릭 변화에 관한 연구― 레토릭 관점에서의 인쇄문화(출판과 신문)의 성찰

        조맹기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연설에 주로 사용하는 레토릭의 관점에서 인쇄문화를 해부한다. 레토릭은 그리스에서 발달된 설득 수단으로써 인간의 청각, 시각, 촉감성 등을 사용했다. 또한 레토릭은 직접적인 대화의 형식을 지니기 때문에 쌍방향이 가능하다. 그러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의 발달로 레토릭은 간접적이고 일방향적이며, 시각 중심의 기능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쇄 미디어의 기술적 홍보술은 인간에게 레토릭을 별 불편함이 없게 만들었으나 시대가 변해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인쇄 미디어의 레토릭 기능에 문제가 생겼다. 즉 인쇄 미디어의 언어의 추상성, 실물 없는 상징, 상징의 망 등은 커뮤니케이션의 장애 요인으로 작동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 전자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과거 구술 전통의 레토릭 문화가 다시 복원되었다. 현대의 인터넷 문화는 ‘지구촌’ 문화를 형성하기에 충분했다. 묶여 있던 시각 문화는 다른 여러 가지 감각을 사용한 인터넷 문화에 그 자리를 양보함으로써 인쇄 미디어의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인간이 인터넷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면서 인쇄문화는 상대적으로 더욱더 열악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레토릭 커뮤니케이션 입장으로 보면 인쇄문화의 맹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구텐베르크 이후 레토릭 변화의 실체를 규명하고, 그 해결책을 논하고자 한다.

      • 동양과 서양의 인쇄문화에 대한 인식

        최선아(Choi sunah)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우리 인류는 정보 전달을 위해 네 번의 정보혁명을 거쳐 발전하였다 첫 번째 혁명은 인류가 탄생하면서 몸짓이나 소리에 약속된 의미를 부여하여 의사를 전달한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게 마련이다 두 번째 혁명은 사람들의 지혜가 발달하면서 각종 부호나 문자를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다 문자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필사하면서 역사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역사시대를 맞이하여 정보의 대량전달이 요구되었고 마침내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인쇄를 하게 되는데 이것이 정보전달의 세 번째 혁명이었다 현대사회는 정보전달에 있어 초대량 초고속이 요구되면서 컴퓨터를 발명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네 번째 정보혁명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이 가운데 가장 위대한 정보혁명을 금속활자의 발명으로 꼽는다 그 이유는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책을 간행하여 보급함으로써 정보의 대량 전달이 가능해졌고 인류가 발전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인쇄의 역사를 동 서양을 비교해보면 동양은 한국의 『직지』 를 통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활판인쇄술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서양은 독일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이 종교개혁과 맞물리면서 서양의 변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이 두 문명권에서의 인쇄문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연구는 전자책의 등장 등 출판계와 독서계층의 다각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의 문명 변화에 대한 귀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Our mankind has develop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our-time information revolution in order to deliver information. The first revolution is what expressed an opinion by giving the appointed meaning to gesture or voice as humanity was born. This stage is supposed to be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The second revolution is what began to record several kinds of marks or letters according to the growth in people`s wisdom. The historical period came to be faced with recording and transcribing by using the letter. The mass delivery of information was demanded with welcoming the historical period. Metal type was eventually invented and printed. This was the third revolu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s modern society is asked the mega volume and the superhigh speed for information delivery, a computer was invented. This is what came to greet the fourth information revolution. The greatest information revolution out of this is selected as the invention of metal type. The reason is because the ma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was available by publishing and supplying a book by using metal type and made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in humankind. Comparing the printing histor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Orient has the longest existing typography history through 『Jikji(直指)』 in Korea. And as Guttenberg`s typography was interconnected with religious reformation in the Occident, it had great influence upon a change in the West. Accordingly, a study of comparing a recognition on the printing culture between these two cultural spheres seems to be likely an example for a change in civilization of modern society, which is being shown a multilateral change in the publishing circles and the reading brackets such as the appearance of e-book.

      • KCI등재

        민간 인쇄 조보(朝報)의 유통 및 독서

        이민희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2017년에 처음 공개된 실물 인쇄 조보(1577년 발행)는 세계 최초의 상업적 활자본 일간 신문으로 평가된다. 본고는 이러한 민간 인쇄 조보의 가치에 주목하되, 특별히 인쇄 조보를 유통시킨 주체와 유통 방식, 보도 매체로서의 장점과 조보 독서의 매체문화사적 의미에 관해 살펴보고자 했다. 본고는 생계유지를 위해 인쇄 조보를 제작해 유통시켰다고 한 이들을 상업과 운송에 관한 실무능력이 뛰어났던, 퇴직한 경주인(京主人)과 기인(其人)들로 보았다. 이들은 당시 인쇄 조보의 유통을 위해 우역(郵驛)과 역참(驛站) 제도를 적극 활용했고, 서적 구입과 비슷한 경로로 조보를 구해 읽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런 사정을 조보 관련 여러 문집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16세기 말에 인쇄 조보가 나올 수 있었던 유ㆍ무형적 이유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유형적 요인으로는 첫째, 인쇄술의 발달, 둘째, 역참과 우역 제도처럼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전령 및 우편망의 발달을 들 수 있다. 무형적 요인으로는 첫째, 정보 가치가 있는 사건에 대한 지식을 다른 이들에게 전해주려는 의식의 사회적 작동 정도, 둘째, 주기적인 정보 확보가 중요한 사대부 지식인 사회의 존재 유무를 들었다. 인쇄 조보가 필사 조보보다 우수한 이유는 양자 간의 대비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인쇄 조보는 필사 조보와 달리 내용 변개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성,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가독성과 시사성, 주기성이 강해 충분히 구독자의 만족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대량 생산을 통해 보다 많은 조보 독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매체문화사적으로 볼 때, 인쇄 조보는 조선 사회에 커다란 지식 및 정보 공유를 가능케 한 매체다. 현재 기적적으로 발견된 인쇄 조보는 낱장 문서 9장에 국한되어 있어 인쇄 조보의 실체를 온전히 파악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인쇄 조보가 세계 최초의 ‘활판인쇄 상업 일간신문’로서의 지위를 온전히 평가받기 위해서는 다른 분야까지 종합적인 추가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2017, the world's first commercial daily print newspaper was discovered. This newspaper Jo-Bo(朝報) was originally published in 1577. This study is aimed at attending to the value of the printed report, especially to examine distribution method and subject of the printed report Jo-Bo(朝報), the merits of the media,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the media culture. This paper sees those who have produced and distributed print newspaper(朝報) for their livelihood as retired government official in Seoul(京主人) and commercial official Gi-In(其人) who had excellent proficiency in commerce and transportation. At the time, they used the postal networks and system for the distribution of printed newspapers, and newspaper readers obtained and read the report by a similar channel to the purchase of books. This paper examines two of the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that the printing press could have produced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tangible factors include, firstly, the development of typography, and secondly, the development of regular and systematic messengers and postal networks. Intangible factors include, first, the degree of social operation of the consciousness to convey knowledge of events with information value to others, and second, the existence of a society, which is important for the nobleman, to secure period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civilian printing press is superior to the manuscriptal press can be seen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Unlike the manuscriptal press, the printing press is difficult to change the contents, thus ensuring accuracy and publicity, and the readability, suggestiveness, and periodicity are strong enough to attract subscribers' satisfaction. In addition, mass production can inform more news readers. In terms of media and cultural history, the printing newspaper Jo-Bo(朝報) is a medium that allows great knowledge and information sharing to the Joseon society. The necessity of issuing printing press continued to be raised among intellectuals in later years. A few years ago miraculously found printing press Jo-bo is currently limited to nine sheets of paper, making it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reality of printing newspapers. In order for Printing newspaper Jo-Bo(朝報) to be fully appreciated as the world's first print typographical daily newspaper, further discussions need to be carried out in other fields.

      • KCI등재

        蘇軾과 四川 ‘巴蜀文化’

        유지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본 논문은 중국 宋代를 대표하는 정치⋅사상⋅문학가로서 우리나라 고려⋅조선시대 문인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蘇軾과 그의 고향 巴蜀文化와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어느 한 우수한 인재가 배출되는 것은 그가 성장한 환경 배경과 분리될 수 없다. <赤壁賦>가 대표하듯 호방한 성품을 지닌 소식의 문풍은 천변만화하고 모든 것을 녹여 새로 만들어내는 용광로와 같다. 소식은 出仕 이전까지 四川에서 고향 문화를 접하며 자신의 꿈을 키웠다. 四川은 秦⋅漢代에 巴蜀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 생성된 문화를 ‘ 巴蜀文化’ 라고 한다. 사천 지방은 험준한 지형이나 물산이 풍부하여 예부터 피난처가 되었다. 또한 蠶業이 성행하였고 남방 실크로드의 개척지로서 인도 문화의 영향도 받은 곳이다. 蘇氏 가문은 唐代에 眉山 지역에 뿌리를 내렸다. 宋代는 安史의 亂과 五代十國 시대부터 발흥된 인쇄⋅출판업이 외부로부터 들어온 대량의 각종 서적과 만나면서 수용과 전파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이 문화적 흐름은 책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藏書 문화로 거듭 발전하였으며 미산 지역에 家學 문화를 일으켰다. 蘇氏 집안은 이 가학 문화의 본보기였고 사천 지역의 학술문화가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소식 문장은 文⋅史⋅哲에 두루 통달하고 실용 논리적이며 어떤 고난 속에서도 드높은 기개와 생사를 초탈하는 정신이 있다. 그가 이러한 문풍을 이룰 수 있었던 원천에는 그 무엇보다도 가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이다. 그 중심에는 조부 蘇序와 부친 蘇洵, 그리고 모친 程氏의 지혜롭고 비범한 가르침이 있었다. 그 과정에 사천 ‘가학문화’가 흥성하게 된 계기는 소식의 백부 煥이 진사에 급제한 이후부터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特別寄稿) : 소식(蘇軾)과 사천(四川) "파촉문화(巴蜀文化)"

        류지원 ( Ji Won Y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본 논문은 중국 宋代를 대표하는 정치·사상·문학가로서 우리나라 고려·조선시대 문인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蘇軾과 그의 고향 巴蜀文化와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어느 한 우수한 인재가 배출되는 것은 그가 성장한 환경 배경과 분리될 수 없다. <赤壁賦>가 대표하듯 호방한 성품을 지닌 소식의 문풍은 천변만화하고 모든 것을 녹여 새로 만들어내는 용광로와 같다. 소식은 出仕 이전까지 四川에서 고향 문화를 접하며 자신의 꿈을 키웠다. 四川은 秦·漢代에 巴蜀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 생성된문화를 ‘巴蜀文化’ 라고 한다. 사천 지방은 험준한 지형이나 물산이 풍부하여 예부터 피난처가 되었다. 또한 蠶業이 성행하였고 남방 실크로드의 개척지로서 인도 문화의 영향도 받은 곳이다. 蘇氏 가문은 唐代에眉山 지역에 뿌리를 내렸다. 宋代는 安史의 亂과 五代十國 시대부터 발흥된 인쇄·출판업이 외부로부터 들어온 대량의 각종 서적과 만나면서 수용과 전파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이 문화적 흐름은 책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藏書 문화로 거듭 발전하였으며 미산 지역에 家學 문화를 일으켰다. 蘇氏 집안은 이 가학 문화의 본보기였고 사천 지역의 학술문화가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소식 문장은 文·史·哲에 두루 통달하고 실용 논리적이며 어떤 고난속에서도 드높은 기개와 생사를 초탈하는 정신이 있다. 그가 이러한 문풍을 이룰 수 있었던 원천에는 그 무엇보다도 가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이다. 그 중심에는 조부 蘇序와 부친 蘇洵, 그리고 모친 程氏의 지혜롭고 비범한 가르침이 있었다. 그 과정에 사천 ‘가학문화’가 흥성하게된 계기는 소식의 백부 煥이 진사에 급제한 이후부터였음을 알 수 있다. 本文從學術文化的側面對唐宋八大家之一、對中國宋代乃至我國高麗和朝鮮時代的文人都산生相當大影響的蘇軾與其故향巴蜀文化的關係進行了探索.一位文學家的獨創性文風是근他的生長環境分不開的. 以『赤壁賊』위代表的蘇軾文風千變萬化, 就彷彿能熔化所有而造新的熔爐一般. 這種表現爲文學性成就的근四川地區形成的“巴蜀文化”具有有機性的關係.四川在秦、漢之際曾被稱爲巴蜀. 這一地區雖然地形險峻, 但物産豊富,以“天府之國”之名自古乃避難之地. 而且, 此地還盛行養蠶之業, 作위南方絲綢之路的開拓之地還接受了印度文化的影響. 蘇軾所生活的宋代, 從安史之亂和五代十國時開始興起的印刷、出版業與由外部引進的大量各式各樣書籍相遇之後快速地被接受和傳播. 這樣的文化潮流是以收集和收藏書籍的藏書文化形式一再發展的結果.蘇軾的家庭將學術文化的故향風土作위典範而接受, 在帶頭發展成위學問的故향中功勞巨大. 蘇軾作위古文的大文章家, 文史哲皆通, 在由藏書文化構成的巴蜀之家學文化體系化中自成一家. 其中心乃위祖父蘇序和父親蘇洵, 而且還有母親程氏智慧非凡的교導. 本文特徵是多用三蘇作品展開而分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