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1세기 ‘직지’ 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

        신동의(Sin Dong-Eui)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21세기 직지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개발에 초점을 둔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다. 문화의 시대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기존중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직지』는 순수불교와 선사상이라는 불자의 믿음을 강조하는 불경이며, 인류의 기록문화를 혁신적으로 바꾼 유산이다.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논자는 ‘탈영토성’, ‘생성’ 혹은 ‘되기’와 같은 개념들을 제시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고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탈영토성으로서의 직지는 통섭의 개념을 필요로 한다. 직지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으로서, 문화산업에서 기본적인 전략인 ‘OSMU"를 제시한다. 또한, 새로운 직지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시, 소설, 연극, 영화 등의 예술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상상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논자는 성공적인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한국의 김훈과 같은 작가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주 시민의 마음속에 형상화될 수 있는 ‘직지-되기’는 문화운동에 있어서 문화적 실천을 통해 ‘질적 도약’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the prosperity of 21 century"s Jik-ji culture. The 21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The genuine age of the culture aim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human"s dignity and self-respect. Jik-ji is the Buddhist scripture which emphasizes pure Buddhism and Buddhist’s belief, Zen thought. Jik-ji is the biggest legacy which innovatively changes human"s recording culture. In order to create a new Jik-ji culture, the researcher will use the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that presents such peculiar notions as ‘de-territoriality’(d territorialisation), é ‘generation(devenir)’, or ‘becoming’. Here Jik-ji as a de-territoriality needs a concept of consilience. The researcher suggests ‘OSMU’ which is a fundamental strategy in the cultural industry as a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contents development of Jik-ji culture. Also, in order to create new Jik-ji cultu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imaginative power which is needed in the art field such as poetry, novel, play and movi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hunt a new writer like Kim Hoon to create a successful new Jik-ji culture. In this way ‘Jik-ji-becoming’ which could be embodied in the mind of the citizens in Cheong-ju city will have to meet a ‘qualitative leap’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in a cultural movement.

      •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유해준(Yoo, hae-jun)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본고에서는 각 시도 교육청 등에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에게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교육 지원 체계와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의 한국어교육 지원 체계의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충청북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정책은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16개 시도에 위탁하여 주로 부모 교육과 연계해서 자녀들의 한국어교육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16개 시도교육청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을 근간으로 자녀와 부모에 한국어교육 지원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협조기관으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를 지정하고 이 센터를 중심으로 각 시도에 전달되는 방식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성가족부, 교과부, 법무부에서 그리고 각 시도교육청으로 분산되어 있는 한국어 교육 지원 체제를 한 창구로 연결하여야 한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 지원을 전담하는 독립기관을 두어 예산이 중복되지 않도록 운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수준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준별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재개발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과부에서 교과서와 같은 개념으로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한국어교육 지원체계를 정규교육과정과 연계시켜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performed by each municipal Education Office. By doing this, it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Especially, reviewing the practices and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performed in North Choongchung Provinc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policies for multi-cultures can be divided by the case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in alignment with parental education with entrusting to 16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s under the initiative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case to support it by 16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under the initiative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system to assign the supporting cent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cooperative institutions to distribute the supports by these centers.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ffectively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pporting systems which are distributed into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Justice, and Education Office of each city and province, should be united into one channel. It should be operated for the budget not to be redundant assigning the independent institution for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do so, i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a and learning materials by their levels.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done not simply by ad-hoc basis but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textbook to minimize the resource waist. Also, the support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ligned with the regular courses of education.

      • 직지의 래(來)에 대하여

        황선주(Hwang Seon Joo)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7 湖西文化論叢 Vol.26 No.-

        The funtion of complementary verb "來" in Jikji(直指) are as follows. 1. It is the direction of primary verb such as, in "送來" etc. 2. It is the active desire of subject such as, in "我來出家‘ etc. 3. It is the future tense of movement such as, in "將心來" etc. 4. It is the past tense of movement such as, in "作甚麽來" etc. ‘來‘ as the direction of primary verb is most frequent. And we cannot understand the co-exist of future/past tense in "來" itself.

      • 직지(直指)의 거(去)에 대하여

        황선주(Hwang seon joo)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The funtion of complementary verb "去‘ in Jikji(直指) are as follows. 1. It is the direction of primary verb such as, in "隨去‘ etc. 2. It is the completion of movement such as, in "悟去‘ etc. 3. It is the duration and future of movement such as, in "上石去‘ etc. 4. It is the imperative of movement such as, in "洗鉢盂去‘ etc. ‘去‘ as the completion of movement is most frequent, but we cannot discover the similar cases in modern Chinese. The imperative of movement in ’去‘ is the conclusion of my personal view and it is necessary to prove such function in the nearly future.

      • 『직지』의 문명사적 의미와 『직지』문화의 발전 방향

        박희(Park, hee)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5 湖西文化論叢 Vol.24 No.-

        As is well known, 『Jikji』is originally consisted of two books printed from the metal blocks and has been evaluated as the first and oldest book made by movable metal printing methods in the world. It is assumed to be published in 1377 at the Heungduk Temple located in Cheongju, Chungbuk Province. As the results, UNESCO, after investigating some evidences, declared in 2001 that the metal blocks used to make 『Jikji』 were the world"s oldest metalloid type. But none of 『Jikji』 are remained in Korea, one of which was disappeared and the other has been preserved in Louvre Museum in Paris. In recent years all the people and government authorities in Korea have poured every efforts in rediscovering the book lost, and in promoting "『Jikji』 related Printing Culture" by opening "World Crafts Festival" every year. But the result was very poor, or in some cases all the efforts came to nothing. In this paper, I have argued that "『Jikji』 related Printing Culture" should be reinterpreted as enlarging the means for the accumulation and mass deliver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s in human society. And it was a forgone conclusion that spotlight should be turned on in two directions, one on the so-called "『Jikji』 Educational Culture" and the other on the "『Jikji』Arts related Cultural Area". Of course, I have suggested some measures for each directions in relocating the "『Jikji』Culture".

      • 동양과 서양의 인쇄문화에 대한 인식

        최선아(Choi sunah)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우리 인류는 정보 전달을 위해 네 번의 정보혁명을 거쳐 발전하였다 첫 번째 혁명은 인류가 탄생하면서 몸짓이나 소리에 약속된 의미를 부여하여 의사를 전달한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게 마련이다 두 번째 혁명은 사람들의 지혜가 발달하면서 각종 부호나 문자를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다 문자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필사하면서 역사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역사시대를 맞이하여 정보의 대량전달이 요구되었고 마침내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인쇄를 하게 되는데 이것이 정보전달의 세 번째 혁명이었다 현대사회는 정보전달에 있어 초대량 초고속이 요구되면서 컴퓨터를 발명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네 번째 정보혁명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이 가운데 가장 위대한 정보혁명을 금속활자의 발명으로 꼽는다 그 이유는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책을 간행하여 보급함으로써 정보의 대량 전달이 가능해졌고 인류가 발전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인쇄의 역사를 동 서양을 비교해보면 동양은 한국의 『직지』 를 통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활판인쇄술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서양은 독일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이 종교개혁과 맞물리면서 서양의 변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이 두 문명권에서의 인쇄문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연구는 전자책의 등장 등 출판계와 독서계층의 다각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의 문명 변화에 대한 귀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Our mankind has develop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our-time information revolution in order to deliver information. The first revolution is what expressed an opinion by giving the appointed meaning to gesture or voice as humanity was born. This stage is supposed to be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The second revolution is what began to record several kinds of marks or letters according to the growth in people`s wisdom. The historical period came to be faced with recording and transcribing by using the letter. The mass delivery of information was demanded with welcoming the historical period. Metal type was eventually invented and printed. This was the third revolu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s modern society is asked the mega volume and the superhigh speed for information delivery, a computer was invented. This is what came to greet the fourth information revolution. The greatest information revolution out of this is selected as the invention of metal type. The reason is because the ma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was available by publishing and supplying a book by using metal type and made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in humankind. Comparing the printing histor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Orient has the longest existing typography history through 『Jikji(直指)』 in Korea. And as Guttenberg`s typography was interconnected with religious reformation in the Occident, it had great influence upon a change in the West. Accordingly, a study of comparing a recognition on the printing culture between these two cultural spheres seems to be likely an example for a change in civilization of modern society, which is being shown a multilateral change in the publishing circles and the reading brackets such as the appearance of e-book.

      • 문인지식층과 출판문화에 대한 연구

        최선아(Choi, Sun-Ah)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7 湖西文化論叢 Vol.26 No.-

        서적은 인류가 그림과 글자를 이용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계승하는 수단에서 나타난 ‘최고의 선물’로 여겨진다. 책을 이용한 지식의 계승과 확산은 국가와 민족의 수준과 운명을 좌우하였다. 수많은 민족과 국가가 고대에 나타났으나 순조롭게 중세로 계승하지 못하고 소멸하였다. 원인은 여러 가지이겠으나 서적의 간행을 통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한국은 중세에 선진적인 수준의 간행기술을 달성했고, 근세에 이르도록 서적을 이용하여 경험을 계승하고 이를 확산하는 뛰어난 능력을 나타냈다. 유럽의 경우 중세에 수도원을 통해 정립된 서적문화는 종이와 목판 인쇄술을 만나 큰 변화를 일으켰고 이러한 움직임에 ‘르네상스’라는 유럽의 지적운동이 자극을 주었다. 이탈리아에서 출발하여 유럽 전체로 확산된 ‘르네상스’는 고전에 대한 관심과 인간의 지적 능력,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열광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교회 내에서 발생한 종교 개혁 운동과 르네상스 운동이 촉진시킨 문자 문화와 서적에 대한 관심은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로 폭발적인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처럼 출판문화는 교육의 보급과 종교개혁 나아가서는 문예부흥의 길을 잇게 하였으며, 근대 사회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작용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사와 유럽사에 나타난 출판문화와 문인지식층을 비교사적인 입장에서 고찰함으로써, 세계사적 관점에서 인류의 출판 문화와 지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A book is regarded as "the best gift," which was shown in a means that humankind builds up and succeeds to the experience through using pictures and letters. The succession and the spread of knowledge using a book affected a level and a fate of a state and a nation. Numerous nations and states appeared in ancient times, but ceased to exist with failing to be smoothly continued to medieval times. A cause might be several, but was that the experience failed to be accumulated and developed through publishing a book. Korea accomplished the publishing technology at the advanced level in the Middle Ages, and showed excellent ability of inheriting experience and spreading this through using books up until modern times. In case of Europe, the book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an abbey in the Middle Age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by which paper and wood-block printing meet. This movement was stimulated by the intellectual movement in Europe called ‘Renaissance.’ ‘Renaissance,’ which was disseminated throughout the whole Europe with starting from Italy, stirred up an enthusiastic reaction to an interest in classics, to a human being"s intellectual ability, and to importance of education. And an interest in the letter culture and book,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evangelical movement and the Renaissance movement that took place within a church, showed an explosive effect with Gutenberg"s typography. In this way, the publication culture paved the way for the diffusion of education,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further the Renaissance, and had a decisive action in forming moder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publication culture and knowledge in humankind from the viewpoint of world history through considering the publication culture and the literal intellectual class, which were shown in Korean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from the position based on historical compari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