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물류주선업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CSR 활동인식, 조직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차이에 관한 연구

        고지영,장현미,김상열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0 국제경영리뷰 Vol.24 No.1

        본 연구는 국제물류주선업 종사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CSR 활동인식, 직무만족, 조직신뢰,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물류주선업체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국제물류주선업체 166개를 방문하여 총 28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285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265부의 설문지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국제물류주선업체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CSR 활동인식, 조직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차이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설 1인 ‘국제물류주선업체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CSR 활동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 2인 ‘국제물류주선업체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신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 3인 ‘국제물류주선업체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4인 ‘국제물류주선업체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국제물류주선업체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성별, 나이별, 직급별, 경력별로 인적관리 시스템을 다양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logistics companies with the goal of sustainable management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SR activity percep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employees. To achieve this aim, 166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companies in Busan were visited, and a total of 26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8.0 by excluding 20 insincere responses among 285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mai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SR activity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employees’ was partially adopted. The other 3 hypotheses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employees were also partially adopted.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human management system by age, position, and career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company.

      • KCI등재

        최고 경영자(CEO), 최고 경영진(TMT), 기업 소유구조간의 상호작용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서정일(Jeongil Seo),장호원(Howon Chang) 한국전략경영학회 2010 전략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 (CEO)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두 주요이론인 최고 경영층 이론(Upper-Echelons theory)과 대리인 이론 (agency theory)의 통합을 통해,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기업의 연구개발 (R&D)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소유구조 및 최고 경영진 (TMT) 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의 상장기업 289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리는, (1) CEO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R&D투자는 감소하지만, (2) CEO가 소유경영자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R&D 투자의 감소폭이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우리는,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TMT 구성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에 상호 보완적 관계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3) 나이가 많은 CEO가 나이가 어린 TMT 구성원들과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 그리고 (4) R&D관련 교육배경이 없는 CEO가 R&D 관련 교육배경을 가진 TMT 구성원들과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TMT 구성원들과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R&D투자를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CEO의 의사결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최고 경영층 이론과 대리인 이론의 통합을 통해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지배구조상의 지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CEO와는 다른 지배구조상의 지위를 가지는 TMT구성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integrate agency theory that emphasizes managers' governance position and Upper-Echelons theory that is interested in manag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effects of CEO on firm R&D investment.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firm R&D investment and also examine how TM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irm ownership structure moderate the effects of CEO characteristics on firm R&D investment. Using a sampl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2004. we find that (1) CEO age has a negative effect on firm R&D investment, (2) however, the negative effect is weaker for family CEOs. We also find that (3) old CEOs tend to increase investment in R&D when they work with young top executives and that (4) CEOs who lack R&D-related educational backgroun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investment in R&D when they work with top executives who have R&D-related educational background. Our findings suggest that CEO decision-making can b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nsider both the effects of CEO‘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CEO's governance positions. Our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op executives affect CEO decision-making.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블랙 앤 화이트 배색의 스포츠레저웨어 감성이미지 선호도 차이

        박영희(YoungHee Par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최근에 스포츠레저 활동이 사회전반으로 확산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감성을 고려한 스포츠레저웨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스포츠레저웨어의 주요 특성 중 하나는 주목성이다. 블랙앤 화이트는 이러한 특성을 잘 나타내는 배색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랙 앤 화이트 배색의 스포츠레저웨어에 대한 감성이미지를 도출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감성이미지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도구는 설문지이다. 조사대상자는 20대에서 50대의 성인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α 신뢰도 검증, t-test, ANOVA, Duncan test 그리고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블랙 앤 화이트 배색의 스포츠레저웨어의 감성이미지는 우아한 및 클래식, 캐주얼, 모던, 액티브, 심플, 현실적 감성이미지의 6가지로 도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블랙 앤 화이트 배색 스포츠레저웨어의 감성이미지 선호도 차이를 파악한 결과 성별을 제외한, 모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감성이미지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블랙 앤 화이트 배색 스포츠레저웨어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우아한 및 클래식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블랙 앤 화이트 배색의 스포츠레저웨어 감성이미지 선호에 영향을 미치며 감성이미지는 블랙 앤 화이트 배색의 스포츠레저웨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As the sports leisure activities spread over the whole society recently, the more study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is required. One of the features of sports and/or leisure wear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others. Black and white is the coloring showing these features very well.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raw the sensibility images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and then to analyze the preference difference in sensibility imag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questionnaire was used with the research tool for the study. The subjects of survey were consisted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t-test, Cronbach"α 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n test were carried out with SPSS 2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nsibility images of the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were drawn by the six images named graceful and classic, casual, modern, active, simple, and realistic. The preference in the sensibility images for the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sex. The graceful and classic image was the variable which affected the preference of the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more than any other variab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the preference in the sensitivity images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and the sensitivity images affect the preference in the sports and/or leisure wear with black and white coloring.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

        반혜정(Ban, Hye J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CSR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CEO의 특성과 CSR간 관련성에 TMT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CEO의 소유구조가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기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라 할 수 있는 CEO는 CSR과 같은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 책임자이며 핵심적 의사결정자의 개인적 특성은 CSR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Waldman et al., 2006a). 본 연구는 2010년말 현재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CSR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CEO와 TMT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나이와 교육수준 및 교육과정을 이용하였으며, 모형 내 포함되는 상호작용항으로 인한 다중공선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하여 mean-centering 후의 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CEO의 교육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적극적인 CSR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CEO의 나이와 TMT구성원의 나이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CSR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EO의 전공이 자연과학/공학계열이면서 TMT구성원이 사회과학계열을 전공한 기업의 경우 CSR 수준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CEO의 소유지분율과 관련하여 유의적인 결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CEO와 TMT의 특성이 전략적 의사결정에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CEO의 나이와 교육적 배경은 TMT의 나이와 교육적 배경에 의해 보완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CSR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CEO와 TMT 구성원의 다양성이 기업의 전략적 선택 상황에서 균형잡힌 시각으로 표출될 수 있다는 함의를 도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managerial attributes affec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CSR).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SR. I also investigated whether TM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EO ownership rati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SR. The key decision-maker"s predominant attributes and personal qualities that tend to have the most pronounced effect upon a firm"s CSR as a strategic choice(Waldman et al., 2006a). I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korean listing companies after mean-centering to control multicollinearity in the model including interaction varia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CEO education level is shown to affec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young CEOs perform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when they work with old top management team members. And CEOs who major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increase investmen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en they work with top management team members who major in social science. However, there"s no evidence about interaction effect of CEO ownership and CEO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leadership in CSR and encouraging for supporting the diversity of CEO and top management team members can be lead better and balanced decision making in CSR as a strategic choice.

      • KCI등재

        스포츠용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봉경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orting goods consumers. From May to June 2022,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at sporting goods stor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for the past year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3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hi-square(χ2)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factors, the reason for choice sporting goods is design, the importance of purchase is style(design), the source of purchasing information is the Internet, the place of purchase is a factory store, the number of purchase is 1-2 times every 6 months, and the wearing situation is when going out such as shopping, the preferred style showed the highest stylishness. Second, Th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aring situation depending on gender, the reason for choice and importance of purchase according on marriage, the reason for choice, importance of purchase and number of purchase on age, the importance of purchase, source of purchasing information, place of purchase and number of purchase on monthly income, the reason for choice and importance of purchase on education level and job.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용품 소비자시장 파악을 위하여 구매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의 차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각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서울, 경기, 강원에 소재한 스포츠용품 매장에서 지난 1년 동안 스포츠용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311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제곱(χ2) 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중 스포츠용품 선택이유는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중요도는 스타일(디자인)이, 구매정보원은 인터넷을 통해서가, 구매장소는 직영매장에서가, 구매정도는 6개월에 1~2회가, 착용상황은 쇼핑 등 외출 시가, 선호스타일은 스타일리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 중 성별에 따라서는 착용상황에서, 결혼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에서, 연령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 구매정도에서, 월수입에 따라서는 구매중요도와 구매정보원, 구매장소, 구매정도에서,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와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윤희(Ko, Yun Hee),이성주(Lee, Sung Ju)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약 1년간 수업이 진행됐던 고등학교, 대학교, 개인공방, 학원 등에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600부를 배부하여 52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 남녀 모두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을 받은 후 우울증이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에 따라 △평균값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에 따라서 10대의 경우에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 후 우울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도 고등학교 재학중인 경우 유의한 수준으로 우울증이 감소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change and how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t the high schools, universities, private workshops, and academies where food carving decoration classes were held for one year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of 2019. A total of 6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out of which 52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 increase in self-esteem were found in trainees of both genders after receiving the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 in both depression and self-esteem between male and female trainees. On the other hand, analysis by age group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n teenagers, and analysis by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at a significant level for trainees attending high school.

      • KCI등재

        '1998 한국인 우울증 선별의 날' 참가자들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우울증 선별검사 결과

        한상익,이성필,고효진,박원명,장계호,유태열,전태연,채정호,방승규,김광수,최보문,이정태,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1998년 정신건강의 날 기념 한국인 우울증 선별의 날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참가자들의 사회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우울증 선별검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8개 병원에서 얻어진 61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선별검사로 밝혀진 우울증의 유병율과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응답자의 정신과적 치료를 포함한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우울증 척도 점수는 응답자 전체 평균 57.5±13.8로 경도의 우울 증상이 있는 것에 해당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69.5%(430명)가 최소한 경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43.1%(267명)가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18.4%(114명)가 고도의 우울 증상을 보였다. 고도의 우울 증상이 있는 응답자의 56.8%와 중등도의 우울 증상이 있는 응답자의 63.9%가 정신과 치료를 받은 적이 전혀 없었다. 나이가 29세 이하인 것과 전임근무 중인 직업상태는 각각 나이가 60세 이상인 것과 직업이 없는 것에 비교하여 우울증으로부터 보호하는 인자임을 시사하였다. 결 론 : '1998 한국인 우울증 선별의 날' 행사를 통하여 많은 우울증 환자들을 선별해낼 수 있었고, 이들의 우울 증상은 몇몇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울증 선별의 날 행사를 통한 우울증에 대한 교육과 우울증 선별검사는 치료받지 못하고 있는 우울증 환자 및 기존의 치료 중인 환자 모두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1998 Korean Depression Screening Day' and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screening test. Methods : By using the survey results of 619 volunteers from 8 hospitals, the authors examin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detected at the screening test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sychiatric treatment history of respondents. The assessment measure was the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Results : The mean depression score of all participants was 57.5±13.8 and it came under mild depression. Of all participants, 69.5%(N=430) had at least mild depressive symptoms, 43.1%(N=267) had at least moderate symptoms, and 18.4%(N=114) had severe symptoms. Never have 56.8% of respondents in the severely depressed range and 63.9% of those in the moderately depressed range had psychiatric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ge group of 29-year-old or younger(relative to 60-year-old or older group) and full-time employment status(relative to unemployment) are protective factors of depression. Conclusions : By '1998 Korean Depression Screening Day', many depressed patients were detected and their depressive sympto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om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 and screening test programs for depressive illness facilitated by Depression Screening Day are useful to the patients regardless of being under current treatment or not.

      • KCI등재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김지현(Jeehyun Kim)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집단을 세분화시켜 그들의 미디어 이용,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 활용 현황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9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3가지의 주된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첫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을 디지털 기기로 활용하고 있는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하는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이며,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하는가? 셋째, 노년층 내 스마트폰 이용역량과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은 크게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관계적 변수로 나누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별, 학력, 소득, 직업의 유무, 거주지역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유무, 가족 구성원의 형태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 역시 노년층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층 내에서도 연령대별로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정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반과 사회적 관계망 중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배우자의 유무 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역량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관계망과 스마트폰의 이용목적에 따라서도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역량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1) 노년층에게 의미있는 자원(source)으로써의 스마트폰의 역할을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2) 노년층 내 디지털디바이드(digital divide)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했다. “Aging”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re word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outh Korea, a powerhous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progressed rapidly in aging and in 1999 it has already become an aging society. The fact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has been in social life in the 1990s and 2000s when the Internet was rapidly developed, is flowing into the elderly from 2020, suggests that an academic approach to the elderl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gence within the elderly. However, media studies so far have been stingy at attempting to subdivide the group by excluding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from the target of analysis or by assuming it as a single group and analyzing it. It would be too wasteful to repeat the mechanical analysis after setting the group that has flowed into the elderly and the baby boomers as one group without having enough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state of the elderly"s use of media, specifical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while redefining the elderly as active members of society. The current study will try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that is taking place within the elderly by analyzing smarphone use. Based on it,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ree main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whether the elderly use smartphone applications(excluding simple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Second, what do older people do with their smartpho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elderly? Third, how is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s among the elderly?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For the analysis,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of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 was used as secondary data. The determinants of digital disparity were largely divid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t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income, and occupation, but also social network such as the presence of a spouse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also influence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in the elderly.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various use of smartphones by age group even within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smartphone applications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over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education, income, jod)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among the social network(family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in order to see how variously the smartphone is used, we analyzed how many applications are mainly used. Even among the elderly,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diversely using smartphones as digital devices,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twice as much in the degree of various applications in their 60s and 80s. Last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 and the motivation of using the smartphon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tended 1) to present basic data to researchers who want to explore the role of smartphones as a meaningful resource for the elder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2) to provide a policy direction for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오방색을 활용한 세퍼레이션 배색의 감성이미지 및 선호도

        박영희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motional image factors from the separation color using traditional Obangsaek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image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total of 369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urvey study. Subjects consisted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50s who were residing in Gyeongnam and Ulsa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ith SPSS 20.0.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emotional image factors derived from Obangsaek separation color which used black as separation color were five factors: good feeling and attractiveness, mildness, vividness, classicality, and dynamic. The emotional image factors derived from Obangsaek separation color which used white as separation color were six factors: good feeling and attractiveness, vividness, mildness, classicality, gorgeousness, and dynamic. The difference analysis results about the preference for the separation color which used black as separation colo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analysis results about the emotional image for the separation color which used white as separation colo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factor having the most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Obangsaek separation color was good feeling and attractiv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오방색을 활용한 세퍼레이션 배색에 대한 감성이미지 요인을 도출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감성이미지와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울산 및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369명이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t검정, ANOVA 및 던컨의 다중 검증, 회귀분석이 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검정색을 분리색으로 한 오방색 세퍼레이션 배색의 감성이미지 요인은 호감 및 매력성, 온유성, 생동감, 고전성 그리고 역동성과 같이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흰색을 분리색으로 한 오방색 세퍼레이션 배색의 감성이미지는 호감 및 매력성, 생동감, 온유성, 고전성, 화려함, 역동성과 같은 6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검정색을 분리색으로 한 세퍼레이션 배색 감성 이미지 차이 결과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라서는 온유성, 생동감, 고전성에서,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호감 및 매력성, 생동감, 고전성, 역동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과 직업에 따라서는 모든 감성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흰색을 분리색으로 한 오방색 세퍼레이션 배색의 감성이미지 차이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고전성과 역동성에서,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호감 및 매력성, 생동감, 온유성, 고전성에서, 연령에 따라서는 생동감과 고전성에서, 월 소득에 따라서는 고전성, 화려함에서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호감 및 매력성, 생동감, 온유성, 고전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검정색을 분리색으로 한 오방색의 세퍼레이션 배색의 선호도 차이결과 성별, 결혼유무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흰색을 분리색으로 한 오방색 세퍼레이션 배색의 선호도 차이 결과 결혼유무, 월 소득,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오방색 세퍼레이션 배색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호감 및 매력성으로 나타났다

      •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개인특성 요인 및 직무관련 요인이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화숙(Hwa-Sook Kwon),김이영(Yi-Young Kim)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이직의도 유무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개인특성요인 및 직무관련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이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여교사 226명의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직의도가 있는 교사는 41.15%, 이직의도가 없는 교사는 58.85%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이직경험이 현재의 이직의도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 요인으로는 이직의도에 따라 교사효능감, 임파워먼트, 인생관 및 사회지지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관련 요인에서는 이직의도에 따라 업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조직몰입, 팔로워십 및 직무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는 이직경험이었으며, 개인특성 요인으로는 임파워먼트, 직무관련 요인에서는 직무소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urnover intention was related with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job-related variables among workers in the kindergarten teacher.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 this study surveyed 226 teachers from kindergarte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about 41.15% of the sample had turnover intention. In the further analyses, teachers who showed turnover intention we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 who showed no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e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urnover experience. Second,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rea of teacher efficacy, empowerment, outlook on life and social support. Third, in the analyses of job-related variable domain, the two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job stress, job burnout, organizational immersion, followship and job satisfaction. Fourth,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urnover experience,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Finally, several practic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a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