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분석

        이영균,최인숙 한국공공관리학회 201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7 No.3

        사회복지조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확보?유지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과제일 것이다. 더욱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는 곧 사회복지서비스를 일선에 공급하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엄청난 손상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이직은 기관의 서비스 수준, 기관운영의 효과성과 효율성, 기관의 전반적 이미지, 기관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변수들에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성남시, 안산시, 남양주시, 김포시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결과를 기초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여부를 분석한 결과, 학력수준과 사회복지사 보유자격증에 따른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학력수준이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공무원이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3급의 자격증 소지자가 1급과 2급의 자격증 소지자보다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점차 고학력수준으로 이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해 보다 전문화된 직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3급의 자격증 소지자에게 2급 혹은 1급 자격증을 보유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조직관련 특성변수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합리적 승진체계가 이직의도와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타기관의 비교우위, 상사와 동료와의 우호적 관계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승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합리적 승진체계는 조직구성원의 담당직무 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직의도를 억제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직무특성관련변인인 담당직무의 만족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사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련한 보다 포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노열,박지혁,한대성,이주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4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4개 영역의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이직의도,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수준을 확인하였고, 일반적 특성별 이직의도 차이,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13.1/20점, 직무만족은 45.2/60점, 조직몰입은 17.4/30점이었다. 일 반적 특성별 이직의도의 차이는 성별과 월급여에서 유의하였고, 이직의도는 월급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의 변수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따라 유의한 영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중요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제공, 멘토링 제도 마련 등의 방안을 마련하여 작업치료사가 만족하면서 오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 survey of 33 questions in four areas wa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 total of 56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were estima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levels were 13.1 for turnover intention, 45.2 for job satisfaction, and 17.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gender and monthly payment. The turnover intention was correlated with monthly pay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regular training, an educational program, and a new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노종호 ( Jongho Roh ),최진욱 ( Jin-wook Choi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1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선행연구가 특정분야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특정 직무관련 요인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를 순서형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을 제외한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업무량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직무스트레스와 업무량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직무관련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직무만족>직무스트레스>업무량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관련 요인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자율성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제외하고, 직무관련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이직의도 관계, 직무스트레스-이직의도 관계, 업무량-이직의도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관련 의사소통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부(-)의 영향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업무량과 이직의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는 더욱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통해 이직의도의 직·간접적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lthough many job-related factors have been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employees,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a few selective job-related factors in specific public organizations. Due to the limited scope of these studies, it has been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ausal effect of job-related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diverse job-related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related communic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in general service using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udy results show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three job-related factor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workload,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gards to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Specifically, while job satisfa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workload show a positive association. Seco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followed by job stress and workload. Finally, job-related communica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turnover intention, job stress-turnover intention, and workload-turnover intention. Whereas job-related communication intensifi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weak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turnover intention and workload-turnover inten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se job-related factors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with varying degree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related communication. Through empirical tests, this study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job-related factors confirming that diverse job-related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related communication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 보상특성 및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효수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본 연구에서는 보상측면과 직무측면의 특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상 측면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승진기회의 인식의 이직의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직무 측면에서는 역할갈등과 업무과부하의 의직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보상 측면의 변수들과 이직의도와의 부정적인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성과 보상연계의 조절효과, 직무 측면의 변수들과 이직의도와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직무몰입, 동료의 이직의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승진기회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역할갈등과 업무과부하는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지원인식과 성과보상연계는 승진기회인식과 이직의도와 관계를 조절하였고, 직무몰입은 업무과부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동료이직의도는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상과 직무 특성이 이직의도에 대하여 발휘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그동안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동료이직의도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장이동과 직업이동 분석

        강철희,이종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3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workers’turnover intention in Korea. Unlike previous studies, it attempts to identify common predictors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for organizational mobility and occupational mobility in the comparison with social workers who do not have turnover intention. It also attempts to separately identify distinctive predictors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for occupational mobility and distinctive predictors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for organizational mobility.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the 2017 Statistical Yearbook Data for Social Workers in Korea. and employe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 a main analysis metho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Korean social workers, 66.3% had no turnover intention, 23.6% had intention for organizational mobility, and 10.1% had intention for occupational mobility; (2) among predicto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satisfaction with fringe benefits and working environment(-), organizational type(residential facility) were common predictors on both organizational mobility and occupational mobilit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ge(+), squared age(-), employment status(temporary position), self-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ego resilience(+) were distinctive predictors only for organizational mobilit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overall burnout(+), more specifically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were distinctive predictors only for occupational mobilit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specifically examined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with focus on organizational mobility and occupational mobility, it broadens and deepens understanding of social workers' turnover. Moreover, it provide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task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social workers in Korea.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장이동의도와 직업이동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여 사회복지사 이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사회복지영역 내에서의 이직인 직장이동과 사회복지 이외 영역으로의 이직인 직업이동 둘 다에 초점을 두고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한다.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전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4,335명을 표집 하여 조사한 2017 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자료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 중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은 66.3%이고, 직장이동의 의도를 갖는 이들이 23.6% 그리고 직업이동의 의도를 갖는 이들은 10.1%이었다. 둘째, 영향 요인들 중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조직운영 및 관계에 대한 만족도(-),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 시설유형(생활시설)은 이직의도 유형에 관계없이 이직의도에 동일한 방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가졌다. 셋째,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을 준거로 하여 직장이동 의도를 갖는 이들을 비교해 보면, 연령(+)과 연령의 제곱(-), 고용형태(비정규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을 준거로 하여 직업이동 의도를 갖는 이들을 비교해 보면, 소진(+), 그 하위차원 중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국내 최초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직장이동과 직업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으로부터의 이직에 대한 이해를 확장 및 심화시킨다. 더 나아가서 사회복지사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검증하며 함의하는 바를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논의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조남예,문재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co-system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whether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between the turnover intention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20, 2017 to August 20, 2017. Data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20 program according to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elf-esteem,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negative self-esteem did no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better the family relations of daycare teacher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teachers. Thir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who is the middle system variabl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higher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teachers. Fif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thics and professional perception about infants, the lower the intention of leaving the day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uarantee and compensation for working hours of childcare teache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providing pleasant and safe physical environment,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practical guidance was provided to ensure that childcare teachers are guaranteed working hours, improved treatment,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ethics in teaching, and suggested policy direc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long-term employee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생태체계요인과 이직의도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이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직을 줄이는데 있다 경기도소재 법인 단체 등 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에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부를 배부하여 부를 회수하였으며 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에 결과에 의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근무시설의 유형과 보육교사의 자격 정도에 따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미시체계 요인과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중간체계 요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무시간과 물리적 환경만이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거시체계 요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직윤리 의식은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거시체계인 교직윤리의식의 하위변인 중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영유아에 관한 윤리의식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일반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물리적 환경 전문성 인식과 교직윤리 의식 자율성 사회경제적지위 영유아에 관한 윤리의식은 이직의도에도 영향이 클 것이라고 기대되나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교사 개인에 대한 개입보다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보육교사의 근무시간에 대한 보장과보상 그리고 쾌적하고 안전한 물리적 환경 작업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강구되어야하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에 대한 보장과 처우개선 그리고 전문성 인식 및 교직 윤리의식을 함양할 수있도록 실용적인 관리지침의 확립하고 이에 종합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은애 한국취업진로학회 2013 취업진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써, 직원들이 왜 조직에 남아 있는가를 설명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의 개념으로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을 이직에 영향을 미치 는 원인변수로 보고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직무배태성이란, 직원들이 조직에 남아있는 이유를 조직과 지역사회의 각각의 적합성(Fit), 연계(Link) 그리고, 희생(Sacrifice)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이직 연구들과 달리 종업원들이 조직에 왜 남아있는가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으로 직장내 요소(조직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및 직 장외적 요소(지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들이 직원을 조직내 잔류할 수 있게 매개해주는 핵심 개념이라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 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 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에 대한 연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모든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에 대한 연계는 이직의도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생의 지각정도가 실제 이직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조 직에 대한 희생보다는 적합성 변수가 이직의도와 더 강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넷째, 지역사 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지 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모든 변수가 이직의도와는 유의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term of “Job embeddedness” is the new concept to explain why employee chooses to stay with an organization and we could assume that this is a reason variable to effect turnover intention. Job embeddedness is conceived as a key construct between on-the-job (Fit, Link, Sacrifi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also between off-the-job factors (Fit, Link, Sacrifice)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presented, First, Job embeddedness on the organiz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o be concrete, an individuals’ fit to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related sacrifi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but the organization-related link didn’t have any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embeddedness on the community didn’t have any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id,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he fit, link and sacrifice of the organiza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gardless of gender, only the fit and sacrifice to the organization had an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fit to the organization had more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an the link to the organization for both genders. Fourth, Job embeddedness on the fit, link, sacrifice of the community had no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either gender. In conclusion, regardless of gender, job embeddedness has no effect on the fit, link and sacrifice of the community and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직업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 외식업체 1년 미만 신입종사원을 중심으로 -

        임태근,최우성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에 종사하는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직업가치 중 내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사회헌신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직업가치 중 외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와 안정추구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내재적 가치 중 인간관계중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occupational value, as felt by new employees working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n turnover intent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occupational value and turnover intent. The analysis drew ou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y verified that, among inherent values, only social commitment had a positive(+) direction of influence on turnover intent, and second, among extrinsic values, only face-saving and stability seeking had a positive(+) direction of influence on turnover int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inherent values on turnover intent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increased, as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on condition that the item, value of knowledge seeking, among inherent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relationship-centered, scored highly among inherent values, the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extrinsic values on turnover intent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decreased, as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on condition that the value of economic priority,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face-saving, scored highly among extrinsic values, the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ing effect of inherent values according to methodic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increased as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increased, if the item, knowledge-seeking among inherent values was perceived highly.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ing effect of extrinsic values according to methodic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decreased as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increased, if the item, economic priority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face-saving,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