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철희 한국정밀공학회 1995 한국정밀공학회지 Vol.12 No.12
연삭 가공은 인류가 생존을 위한 도구를 만들 때 사용한 2,000년 이상의 가장 긴 역사를 가지는 가공법이며 다른 기계에서 가공된 것을 마지막으로 마무리(Finishing)작업을 하는 가공이다. 연삭 공작기계 발달은 숫돌(Grinding wheel) 기술 발달과 연삭가공 기술 발달과 더불어 진행되어 왔다. 기록에 의하면 1846년 미국에서 선반에 숫돌을 붙인 장치가 등장했으며 이것이 세계 최초의 연삭반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 Brown & Sharp사는 1876년 만능 연삭기를 제작했고 미국 Norton사가 평면 연삭기(Surface Grinding Machine)를 제작하였다. 숫돌(Grinding wheel)의 원료인 Carborundum의 제조 방법을 1891년에 Norton사에서 발명하였으며 원통 연삭반은 그 회사가 1901년에 제작하였다. 1924년 Swiss에서 Lead screw 연삭기를 제작하였으며 1930년에 독일 Berlin 대학의 Schesinger 교수가 연삭이론의 기초가 되는 연삭력에 대한 이론을 발표하였다.
강철희 한국정밀공학회 1995 한국정밀공학회지 Vol.12 No.11
항공기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발달에 끊임없이 큰 영향을 주어왔고, 또 기기서 파생된 신 기술도 수없이 발생하였다. NC 공작기계도 그 하나이다. 제 2차 세계대전 후 미공군은 복잡한 형상의 항공기 부품가공과 고정밀도의 검사용 Gauge를 제작할 필요성을 얻게 되었다. Helicopter의 Rotor blade의 Prifile 검사용 Plate gauge를 가공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 중에 있었던 J.T.Person이 Jig boring machine을 저자적으로 제어하면서 Gauge를 가공하는 방법을 1947년 미공군에 제안하게 되었다. 이것이 NC 발달사에 기록된 역사적인 사실이며 이 Project는 후에 MIT로 넘아가고 1952년에 NC milling machine을 완성시켰다. 그 후, 1955년 Gidding & Lewis사가 최초로 NC 공작기계를 공업화한 제1호기 Numericord를 시장에 내 놓게 되었다.
Comamonas sp. Strain DJ-12로부터 Protocatechuate의 분해에 관여하는 pmcABCDEFT 유전자군의 구조 분석
강철희,이상만,이경,이동훈,김치경,Kang Cheol-Hee,Lee Sang-Mhan,Lee Kyoung,Lee Dong-Hun,Kim Chi-Kyung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3
Comamonas sp. strain DJ-12 is a bacterial isolate capable of degrading of 4-chlorobiphenyl (4CB) as a carbon and energy source. The degradation pathway was characterized as being conducted by consecutive reactions of the meta-degradation of 4CB, hydrolytic dechlorination of 4-chlorobenzoate (4CBA), hydroxylation of 4-hydroxybenzoate, and meta-degradation of protocatechuate to product TCA metabolites. The 6.8 kb fragment from the chromosomal DNA of Comamonas sp. strain DJ-12 included the genes encoding for the meta-degradation of PCA; the genes of protocatechuate 4,5-dioxygenase alpha and beta subunits (pmcA and pmcB), 4-carboxy-2-hydroxymuconate-6-semialdehyde dehydrogenase (pmcC), 2-pyrone-4,6-dicarboxylate hydrolase (pmcD), 4-oxalomesaconate (OMA) hydratase(pmcE), 4-oxalocitramalate (OCM) aldolase (pmcF), and transporter gene (pmcT). They were organized in the order of pmcT-pmcE-pmcF-pmcD-pmcA-pmcB-pmcC. The amino acid sequences deduc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pmcABCDEFT genes from Comamonas sp. strain DJ-12 exhibited 94 to $98\%$ homologies with those of Comamonas testosteroni BR6020 and Pseudomonas ochraceae NGJ1, but only 52 to $74\%$ with homologies Sphingomonas paucimobilis SYK-6, Sphingomonas sp. LB126, and Arthrobacter keyseri 1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