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에서 학력의 외부효과 분석

        이호준,이성은,정승환,정설미,정동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2

        In this paper, we estimate human capital externality within the firm and identify its differential effects, exploiting two-way fixed effect model. Our results show significantly 1.2% external effects within the firm. This result means that a worker within the firm that has high level of workers’ average years of schooling has wage premium.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cial returns to education from human capital externality are strongly positive, implying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should be evaluated by positive human capital externality as well as private return to education not to underestimate the effect of education. We also estimate the differential effect of human capital externality with regard to personal and company characters. Human capital externality has differential effects by gender, marital status, occupational type, and incentive type. These results emphasize that a company should establish proper strategies in order to maximize the benefit of human capital externality. 본 연구는 이원고정효과모델을 활용하여 기업 내 학력의 외부효과와 개인 및 기업 특성에 따른 외부효과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에서 학력의 외부효과는 소속집단의 평균교육연한이 1년 증가함에 따라서 1.2% 만큼의 임금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의 외부효과는 개인특성 및 기업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교육의 효과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교육투자수익률뿐만 아니라 외부효과까지 고려해야 하며, 개인 및 조직의 특성에 따른차별적 효과까지 고려하여 조직을 전략적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의 효과가 개인의 교육투자수익률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 영향을미치는 외부효과까지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과, 외부효과를 높일 수있도록 기업 내 각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기하는 바이다.

      • KCI등재

        기업 내 학력의 외부효과와 학습조직의 관계 분석

        이호준,이성은,정승환,정설미,정동욱,Lee. Ho Jun,Lee. Seong Eun,Jeong. Seung Hwan,Jeong. Seol Mi,Jeong. Dong 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인적자본기업패널의 2~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 내에서 학력의 외부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학력의 외부효과와 학습조직의 관계 를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조직을 7가지 하위요 소로 분류하고 각 하위요소와 외부효과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외부효과 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조직의 특성을 도출하여 학력의 외부효과를 제고 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찰하기 어려운 개별 기업의 이질적인 특성과 특정 시점의 고정적인 특성을 동시에 통 제할 수 있는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내 학력의 긍정적인 외부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학습조직의 성향이 강할수록 기업 내 학력의 외부효과가 더욱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업 내 팀원에게 많은 권한이 부여되는 조직문화를 가질수 록, 기업 내에서 구성원 간 의사소통이 활발할수록, 학력의 외부효과가 더 커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학력의 외부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으로 조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구성원에게 더 많은 자율 권을 위임하고 구성원 간의 소통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말해 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정책이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비수혜자들에게 미친 외부효과까지도 충분히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외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조직의 특성을 가진 조직 문화로 변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xistence of spillover effect from peers in compan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llover effect and learning organization. Furthermore, we analyze what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critical to make differences of the spillover effect. For resolving endogenous problems which may occur by unobserved heterogenous company features and time specific effect, we implement two-way fixed effect model. As results, we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spillover effect, which meas that the more educated peers are in organization the more one's productivity improve. Moreover, our results indicates that this positive spillover effect is more likely to be reinforced in learning organization. It is also required to highlight that the spillover effect may be facilitated in organizations where more inclined to empower decision-making authority from top to bottom for improving local knowledge.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the mor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seems to enhance spillover effect in a organization. These results, foremost, imply that it is imperative to re-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or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targeted to a particular group. For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education, we recommend that the spillover effect should be considered as an unintended effect. Our result that the organization culture as a learning organization may reinforce the spillover effect suggest changing organization culture into learning organization may improve productivity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 활동과 공동체 의식

        김성훈(Kim, Sungh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코호트 2-4차 연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패널분석이다. 이 분석방법은 청소년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변화하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 곧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 활동 경험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봉사 활동 경험과 마찬가지로 봉사 활동의 형식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시간은 공동체 의식의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충분히 내실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는 점을 함축한다. 둘째, 봉사 활동의 질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만족도와 봉사 활동 동기는 공동체 의식의 변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봉사 활동 만족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타적 동기로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비해, 성적 때문에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사 활동을 실시하려 할 때는, 봉사 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이타적 동기를 강화하며, 성적을 얻으려는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봉사 활동을 준비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2nd-4th waves of the 7th grade cohort of the Korea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dataset. The method of analysis was panel data analysis using two-way fixed effect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enhances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However, the hours of volunteering, regarded as another formal aspect of volunteering, does not by itself in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implies that the conten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remain under-developed. Second,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and motives of volunteering, which can be related to substantive aspects of volunteering, affect their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Altruistic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however volunteering to get better grades tends to de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When one tries to set up volunteering services and activities to increas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e needs to prepare volunteering services that can increase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reinforce altruistic motives, and reduce the motives of getting better grades.

      • KCI등재

        이중차분법을 이용한 법정 문화도시 지정에 따른 방문객 유입효과 연구

        한찬희(Han, Chan Hee)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4 문화콘텐츠연구 Vol.- No.30

        본 연구는 문화도시 지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방문객 유입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 32곳의 방문객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원고정효과와 이벤트 스터디를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문화도시 지정에 따른 현지인 및 외지인 방문객 유입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도시가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시민들이 향유하는 도시문화를 만든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지인과 외지인의 다양한 움직임들이 정책적 효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문화도시 사업이 다수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지 않았을 가능성과 연계와 확장성이 미흡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관광지점의 관광객 유입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화도시 사업은 관광활성화 사업은 아니지만, 관광객과 같은 유동인구의 유입을 성과로써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인 문화재나 문화시설의 이용자들은 관외에서 유입되는 경우 관광객으로 통계가 잡히기 때문이다. 특히 인구소멸 지역의 경우 인구감소 위기에 직면하여 지역의 활성화 동력을 문화도시 사업에서 찾는 경우가 있는데, 유동인구 유입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은 면밀한 검토를 통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정책 평가를 위한 문화도시의 성과는 무엇보다 국가승인통계와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승인통계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관리하는 자료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으며, 해당 수치들이 어떠한 파급력을 갖는지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문화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을 진행하더라도 산업인력공단과 같은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하는 자격증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성과로서 효과적이다. 교육사업의 경우도 사업종료하고 만족도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의 기회비용 절감, 교육 내용의 활용도, 취업연계 등 단계별로 나타나는 성과를 집계하고 영향력을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목표 설정도 용이하고 달성과 평가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문화도시사업이 지속되고 관련한 성과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한계로는 방문객 효과에만 초점을 두고 진행된 점과 문화도시들의 세부적인 차이를 살펴보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자료에 대한 접근의 한계이기도 한데 추후 연구에서는 세부 사업별로 관련 성과를 분석하거나 기수별 또는 권역별로 성과가 분석된 연구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utiliz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al city designation on visitor inflow. Data were collected from 32 local governments designated as cultural cities, and the effects were estimated using two-way fixed effects and event study metho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w of local and foreign visitors was observed following the cultural city designation. Since cultural cities aim to uncover unique cultural resources and foster urban cultures for citizens’ enjoyment, the lack of noticeable policy effects on the both locals’ and visitors’ movements suggests that the cultural city initiatives might not have been effectively implemented among the general populace. This indicates potential issues with linkage and scalability. Secondly, no significant increase in tourist numbers at tourist sites was found. Although the cultural city initiative is not directly aimed at boosting tourism, the inflow of transient populations such as tourists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outcome. This is because visitors to cultural heritage sites or cultural institutions, represent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re counted as tourists if they come from outside the region. This aspect is particularly crucial in areas facing population decline, where the cultural city project could potentially serve as a catalyst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e lack of observed effects on the inflow of transient populations warrants a thorough review for improvements. The policy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 success metrics of cultural city initiatives should primarily be aligned with officially recognized statistics. These statistics offer reliability and allow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impacts. It’s also recommended that projects aimed at developing cultural professionals incorporate certifie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ir effectiveness. Additionally, educational programs should extend beyond project conclusion and satisfaction assessments to include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impacts, such as opportunity cost savings, application of learned content, and employment linkages. This approach facilitates easier goal setting and evalu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ts focus solely on the visitor effect and the inability to explore the nuanced differences among cultural cities, partly due to data accessibility constraints. Future research could benefit from analyzing outcomes specific to regional projects or comparing performances across different cohorts or regions.

      • KCI등재

        학교 내 교사 자율성의 학업성취 제고 효과 분석

        문찬주,양찬주,나윤진,김지은,남인혜,정동욱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in teacher autonomy under a series of policies for enhancing school autonomy,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autonomy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chool personnel meeting to figure out school environment in which teacher autonomy can be exercis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utilized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Data provid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used two-way fixed effect model for rigid estim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 remarkable change was found in teacher autonomy perceived by teachers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hrough 2013. Second, higher teacher autonomy in curriculum domain had significant effects in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is positive effect was significantly heightened in schools holding active curricular meeting by teachers and in low-achieving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on school autonomy should focus more on increasing teacher autonomy inside schools and support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curricular meeting. 본 연구는 학교단위의 자율성 신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온 가운데 실질적으로 학교 내에서 교사 자율성이 증대되었는지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자율성과 교육성과 간 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이에 학교 내 교사 자율성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추세를 분석하고, 교사 자율성이 학교교육의 효과를 대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내 교직원협의회의 유형에 따라 교사 자율성의 학업성취 제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여, 교사 자율성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교직원협의회 유형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학교 교육수준 및 실태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 model)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자율성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교육과정 영역의 교사 자율성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높였고, 이러한 효과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에서 교과협의회의 운영이 활발할수록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 자율화 정책들이 학교 내 교사의 자율성 신장에 초점을 맞추고 교과협의회 운영을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정책의 학생 문제행동 경감 효과 분석

        정동욱(程棟昱),이호준(李浩準),이지영(李芝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학생의 문제행동 경감 측면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1부터 2014년까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 코호트를 대상으로 이원고정효과모델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사회적인 교우 관계를 갖고 있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줄이는 간접적인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 현황 및 실태에 대한 면밀한 진단과 함께, 정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policy, focusing on the effects of reducing student behavior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2nd-4th waves of the 7th grade cohort of the Korea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dataset. The method of analysis was mainly panel data analysis using two-way fixed effect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s increased while it does not positively affect on reducing students’behavior problems. Seco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reducing anti-social peer relationships’affecting behavior problems. In other word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udents who are more engaged with anti-social friends are less likely to conduct misbehavior while participating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ecise understanding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management in school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policy are in need.

      • KCI등재

        학생의 교육 성과에 대한 학급규모의 조절효과 분석 : 수업방식과 교사와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이승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2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lass size on the student's educational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at class size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arning. 4,97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Data(KELS)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and a two-way fixed effect model was us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lass size, mainly students with excellent grades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were distributed in large class sizes.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ing method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ccording to class size, when the class size was small, students perceived the teaching method more individual, interactive,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more positively. Second,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size on class understanding and class concentration. The smaller the class size,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individualized·interactive class method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on the class understanding, and the smaller the class size,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individualized class method on the class concentration. Thir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class siz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onl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mall classes for three years, clear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size on educ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learning quality on educational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class size. Based on thi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lass size and education finance, and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학급규모가 학습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는 관점에서 학생의 교육 성과에 대한 학급규모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자료(KELS) 3, 4, 5차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중학생 4,979명을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 model)을 통해 개인 고유의 특성과 시간의 이질성을 통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규모에 따라 학생과 학교 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로 중상류층의 고성취 학생들이 큰 학급규모에 분포해있었다. 또한, 학급규모에 따라 개별화 수업방식, 상호작용 수업방식, 교사와의 관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학급규모에 작을 때, 학생은 수업방식이 더 개별적이고 상호작용적이며 교사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이해도와 수업집중도에 대한 학급규모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학급규모가 작을수록 개별화·상호작용 수업방식과 교사와의 관계가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으며, 학급규모가 작을수록 개별화 수업방식이 수업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급규모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학급규모에 따라 개별화 수업방식, 상호작용 수업방식, 교사와의 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소규모학급을 3년 동안 경험한 학생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수업방식과 교사와의 관계에서 모두 분명한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 성과에 대한 학급규모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학습의 질이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학급규모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급규모의 중요성과 교육재정 확보 문제를 논하고, 정책적 시사점 도출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 효과성 분석 :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문찬주(Moon, Chanju),문희원(Moon, Heewon),이영선(Lee, Youngsu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일반고 교육여건을 개선하고자 도입된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생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2010, 2012, 2013, 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정책의 효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에 주목하여 이원고정효과(Two-way fixed effect)를 활용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 결과,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모두 고1 시점에 비해 고3 시점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최종 모형인 이원고정효과모형 분석 결과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을 경험한 처치집단의 고3 학생들의 국어, 수학 과목 학업성취도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학습 태도와 학교 만족도 역시 처치집단에서 정적인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으로 정책 수요자의 필요를 반영한 정책 환류 체계를 제언하였다. 또한, 일반고 교육역량을 강화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할 것과 세부 정책과제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licy to enhance educational capacity in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4 as high schools have been considered at risk of the growing percentage of low-performing and discouraged students. With the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different cohorts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the study us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reatment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 to 2015), and control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0 to 2012). First, descriptiv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grades of Korean and Mathematics, and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s and school satisfaction had improved in their senior years compared to their 10th years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Next, the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es indicated that academic grades of students who were treated were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y became senior. Also,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than before for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This study validated the policy in high schools to be continued to develop school capacity and meet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Also, recommendations for extending the policies are provided.

      • KCI등재

        학생참여 및 학습성과에 대한 학자금 지원 효과 패널분석 : 학자금 지원 유형 및 대학 특성을 중심으로

        공희정(Gong, Hee Jung),진선미(Jin, Seon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수혜가 4년제 대학생의 학습성과(대학학점, 이수학점)와 학생참여(교과참여, 공동교과참여, 비교과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의 출처와 성격, 대학 특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수혜 효과를 보다 세분화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장학패널(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의 1차에서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9개 학기의 데이터를 균형패널(balanced panel)로 재구성하여 4년제 대학의 총 3,85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패널분석을 위해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s model)과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장학금 수혜는 전반적으로 교과참여, 이수학점, 학점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수혜 여부에 따른 학업성과 및 학생참여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한국장학재단의 대출 이용 시 이수학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의 수혜여부와 유형, 대학 특성에 따른 효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소득, 학교유형 등을 반영한 학자금 지원 정책방안 등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nancial aid (scholarship and loans) on college student engagement (curricular, co-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nd achievement (earned credits and GPA) in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s analysis on how the effects w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aids and of colleges (location and control). The sample includes 3,854 students enrolled in 4-year institutions throughout 9 consecutive terms from a national data set from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 by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and a random effects model for panel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it was found that scholarships gener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rricular engagement, earned credits, and GPA.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depending on taking loans or not, the earned credits increased when taking a loan specifically from the Korea Scholarship Foundation. Furthermore, upon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inancial aids by characteristics (e.g., need-based, merit-based, and work-study based) and institutional type and loc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ncome-based scholarshi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arned credits in contrast to its negative effect on GPA and student engagement in class and co-curricular activities. The income-contingent loa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earned credits, whereas the private student loan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arned credit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개 위치 점유의 증가와 감소에 관한 연구

        이병규(Byungkyu Lee),염유식(Yoosik Youm)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연구는 완전 연결망(global network)이면서 동시에 시계열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국회의원 간 대표 발의 연결망 자료를 이용하여 중개 위치를 점유하는 횟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동안 중개자가 어떤 이득을 취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그 이득을 내는 행위자가 고정되어 있는지 아니면 여러 행위자가 번갈아 중개자의 위치를 점유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이에 이 연구는 ?중개 위치 점유?를 중심 주제로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우리는 시계열자료와 이원 고정효과 패널회귀모형(two-way fixed effect panel regression model)을 통해 중개자 위치를 차지하는 데 필요한 (관찰되지 않으며 고정되어 있는) 개인적인 속성을 통제한 후 이전 시기의 대표 발의 연결망에서의 중개 위치의 점유가 다음 시기의 중개 위치 점유에 미치는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17대 대한민국 국회의 대표 발의 연결망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중개자 점수는 다음 시기의 중개자 점수에 부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중개 위치를 점유한 경우에 계속해서 그 위치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음 시기의 중개 위치를 점하는 데 도리어 방해가 되었다. 둘째, 이러한 효과는 시기별 정치적 갈등과 강한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그 상호작용의 형태는 종 모양(inverse U-shape)을 띄었다. 일반적으로 중개 위치의 선점은 그 다음 시기의 중개 위치 점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치적 갈등이 약하거나 심한 경우에 그 부정적인 영향이 극대화되었고, 정치적 갈등이 중간 수준인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극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지어 법안 가결률이 중간 수준인 43%일 때는 매우 소폭이긴 하지만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는 정치적인 장에 있어 중개 받는 타자(alter)들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 상황이 너무 약하거나 너무 강하면 그 중개의 영향이 극소화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적인 연결망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사회 또는 경제연결망에서 중개 위치의 효과를 연구할 때 중개 위치의 효과뿐만 아니라 ?중개대상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이나 신뢰정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함의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brokerage decays by using the sponsorship network of bills in the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at is both longitudinal and global (or complete). While most of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benefits of brokerage, there have relatively few studies that probed if the same actors repeatedly occupy brokerage positions or different actors take turns occupying the positions. Especially, we examined the net effect of taking a brokerage position at time (t) on the taking a brokerage position at time (t+1) after controlling for observed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between individual congressman by using two-way fixed effect panel regression model. Two important findings were revealed. First, the brokerage score at time (t), which measured how many times the actor occupies the brokerage position in a network, had negative effect on the brokerage score at time (t+1). Second, the negative effect was contingent on the amount of political tension during the period the co-sponsored bill was proposed. When the political tension measured by bill-pass rates is extremely low or very high, the negative effect reached the maximum while the negative effect was the lowest when the tension was at medium level: inverse-U sh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