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라남도 이산화탄소의 배출구조와 배출격차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전남의 산업구조의 특성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구조과 배출격차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배출격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자체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이 지역경제차원의 환경 및 경제정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남의 에너지소비에 의한 이산화탄소배출량은 호남광역경제권 산업전체에 78%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전남을 대상으로 한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의 분석은 호남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한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의 산업구조 특성은 기초소재형 제조업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전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비중이 높은 주요산업은 제1차금속제품, 비금속광물제품, 화학제품이, 석유및석탄제품, 운수및보관 산업이었다. 둘째, 이산화탄소배출 비중과 경제파급효과와의 관계에 있어 생산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운수및보관 산업을 제외하면 모두가 기초소재형 산업에 해당되어 있다. 전남에서는 이산화탄소배출이 큰 산업이 지역경제에 유발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비중 및 생산유발효과가 높았던 제1차금속제품은 이산화탄소 영향력 계수가 여타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변수(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와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를 제외한 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의 변수들은 이산화탄소배출격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배출격차에 대해 생산유발액을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남은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격차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green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for regional economic activity in terms of the global warm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JeollaNamdo industries in the Grand Economic Regions(GER) have generated 78% ratio of the CO2 gas emissions from oil, coal and natural gas in 2005.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C0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in the JeollaNamdo region of Korea. This paper use input-output method for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the CO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The empirical study has revealed that the basic material sectors in manufacture of JeollaNamdo are major factor caused to increases in CO2 emission in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industrial structure of CO2 emission, The factors of the CO2 emission structur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utput, added value, CO2 emission and environmental DPG value in JeollaNamdo. Especially, Emission disparity by the environmental DPG valu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in industrial structure of JeollaNamdo.

      • KCI등재

        일본의 무역개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강명주(Kang, Myeong-Joo)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최근에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는 가운데, 경제성장과 환경의 질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이 많이 시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GDP, 1인당 GDP 및 무역개방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1971∼2009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논문은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GDP와 1인당 GDP를 모형에 포함하여 이들 변수와 관련한 규모효과(scale effect)와 기술효과(technique effect)를 비교ㆍ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소자승법(OLS)을 이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대부분의 관심변수는 예상되는 부호를 나타냈으며, 또한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보였다. 특히, 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규모효과가 제품의 공정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기술효과에 비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와 1인당 GDP의 증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연구ㆍ분석의 결과, 소득의 증가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산업이 앞으로 꼭 필요한 성장산업이기 때문에 이들 산업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아닌 산업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일본의 산업별 또는 운송 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한다면 이들 산업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정책변화와 관련하여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헌점: 무역개방이 확대될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 특히 선진국들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미리 환경에 눈을 뜬 일본의 경우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력을 배양하여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어 기초적 연구라는 점이 본 연구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trade openness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great effort was attempted consecutively to examine its connection lately.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2 emissions with GDP, per capita GDP and trade openness using time series data from 1971 to 2009 in Japa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aper explores the empirical question of whether trade openness is beneficial on CO2 emissions in Japan.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impact of trade openness on CO2 emissions. Further, it uses the ordinary least square methods to examine the scale effect and technology effect with respect to GDP and per capita GDP, respectively. Results/finding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variables have the expected signs even though all of them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2 emission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scale effect dominates the technology effect. In addition, trade openness and increase in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O2 emissions in Japa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actively support the natural eco-friendly industry,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growing industry in the future. However, if the paper analyzes the industry level of CO2 emission, rather than the total amount of CO2 emissions, the study could obtain more meaningful results. Future work/research: In the fu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investigating Japan's individual industry o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study will achieve mor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 to change in Japan's recent environmental policy. Originality/value: The paper finds that as trade openness continues to grow, CO2 emissions were reduced. Thes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the paper might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by culturing environmental technology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서의 ‘환경지수 표시’ 에 대한 제안 연구

        이문학(Lee, Mun-Hag) 한국출판학회 2011 한국출판학연구 Vol.37 No.2

        오늘날 인쇄출판 산업의 당면과제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상매체와 휴대폰 등에 길들여져 있는 독자들에게 독서의 소중함을 일깨워 책 읽는 습성을 되찾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녹색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문제도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환경문제를 바탕으로 각종 도서에 환경지수(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표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전제로, 이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쇄용지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은 Koljonen(2008)의 각 기관 자체 수행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인쇄용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0.97g 이었다. 2. 인쇄잉크에서 인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은 연구조건상 산출하기 어려웠으나 Koljonen (2008)이 각 기관 자체 수행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한 값으로 대신할 수 있었다. 3. 인쇄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도 Koljonen(2008)의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인쇄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0.27g 이었다. 4. 종별 도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도 및 법적 근거의 도출은 우리나라의 경우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어 있는 등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로써 각종 정책과 제도를 바탕으로 도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환경지수)을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더 완벽한 산출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고 제도적 개선책 또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blishing/printing industry that makes books also causes greenhouse gas, which is an environmental harmful material, along with almost all sectors of industry. In management of companies, except the Green business,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other busines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Green business cannot go through well while Green growth is rising. So, if the regul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is seriously made up, the worth of paper will get higher, and the publishing/printing industry will b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cut down on the amount of paper their company uses. As an urgent problem, facing with today’s publishing/printing industry, it is not only important to arouse peop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books and make them have a habit of reading book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change industries into a new form of green businesses. This study, with these urgent problems, focuses on objectives that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institute a way of marking carbon dioxide emissions, made by publishing and printing various books, based on the thought of needing to have a way. Subject for inquiry 1: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on the printing paper is estimated, based on Koljonen’s (2008) survey conducted by various industries, and the average emission of carbon dioxide of printing paper is about 0.97g. Subject for inquiry 2: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was difficult to estimate in this study condition, but it could be done by the calculated price based on Koljonen’s survey conducted by various industries themselves. Subject for inquiry 3: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could be estimated during the process of printing with Koljonen’s (2008) calculation of emissions of carbon dioxide, and the average emission of carbon dioxide is 0.27g. Subject for inquiry 4: In Korea, systems and a logical basis for marking emission of carbon dioxide on books classified are prepared enough. For instance, the ‘Fundamental law of carbon green growth’ is enacted for providing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work about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With this, we think it is possible to mark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environmental land mark) on books based on the various systems and laws. However, we need to study more detailed estimating methods and focus on preparing institutional corrective measures due to the restriction of this study. Here are some restrictions of this study below. First, there are more environmental facts in the process of making books than facts this study showed, like printing paper, printing ink, and the printing process. Secondly, the form of book production processing is changing fast from paper to digital. Thirdly, the estimating method of carbon dioxide emissions was intolerant. However, the meaning or outcome of this study is from a discussion about printing publication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has begun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hope, taking from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the printing publication related to environment will be continued and we will promote the realization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inting publication.

      • KCI등재

        5-cycle 모드 특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및 배출량 보정식 개발 연구

        박진성,임재혁,이민호,김기호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17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21 No.6

        요약서:온실가스로 인한 환경문제로 인해 이산화탄소 배출가스 규제는 점점 강화되고 있는데, 특히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측정 방법은 실제도로의 환경 및 운전조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환경적인 조건(온도 및 습도)이나 운전자의 성향(공격적, 방어적)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증가되어진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 중인 이산화탄소 측정방법을 대신하여 실제의 다양한 도로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5-cycle 시험방법의 적용이 필요해졌다. 5-cycle 시험방법은 다섯 가지의 시험모드(FTP-75, HWFET, US06, SC03, Cold FTP-75)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 시험방법은 기존의 시험방법에 대비하여 저온에서의 히터사용, 급가감속이 포함된 공격적인 운전, 고온에서의 에어컨사용과 같은 세가지의 환경 및 운전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세가지 모드의 각기 다른 조건으로 인해 5-cycle 시험방법은 실제 도로의 환경 및 운전조건을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은 5-cycle 시험방법을 통해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특성을 분석하고 기존 시험방법만으로 5-cycle 시험방법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보정식을 개발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도출된 보정식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기여하고 5-cycle 시험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OECD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해분석

        김광욱,강상목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1 No.2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사회·경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제 이산화탄소 배출의 변화요인을 추정하고 그 영향력을 파악하는 분해분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연구는 1980년∼2007년의 OECD 27개 국가를 대상으로 방향거리함수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산식을 정의하고 각 요인별 변화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화석연료와 비-화석연료로 구분하고 각 에너지원에 따른이산화탄소 변화효과를 계측하였다.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제성장을 경험한 국가는 표본기간내 생산성 하락과 배출집약도 증가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고 규모 확대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압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효율 및 기술 변화요인이 이산화탄소의 저감을 유도하지 못하였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적절한 환경규제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경제성장이 배출집약도의 상승을 유도하고 있고 강력한 환경정책 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제 이산화탄소의 감소를 보이는 국가는 생산성의 성장, 에너지 투입의 효율성 상승, 배출집약도의 하락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비-화석연료의 사용비중 증대와 강력한 환경정책 등으로 인한 환경친화적 생산전환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부분이 환경에 대한 사회·경제적 관심이 높은 유럽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특히 이들 국가는 기술변화에 의한 저감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속도가 빠른 국가에 비해 그 효과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decomposition technique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CO2 emissions by using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to model the joint production of desirable and undesirable outputs. The key feature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he introduction of fossil and non-fossil fuel energy input efficiencies, productivity change and emission intensity change. For the 27 OECD countries as a whole,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economic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CO2 emissions increase, while efficiency change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to CO2 emissions reduction between 1980 and 2007. For more extensive insights, this paper divided 3 groups according to the emission growth rate and find out that high emission countries show relatively low production efficiencies and technical changes contributing CO2 emissions increase. The results also provide that more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pollution intensity in these countries.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강도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 구축

        홍태훈,지창윤,장민호,Hong, Tae-Hoon,Ji, Chang-Yoon,Jang, Min-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4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는 탄소배출량을 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산업 분야에서는 건축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감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건축자재에 대한 상세한 수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대표적인 자재의 데이터만 제시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시공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인 철근과 H형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강도 및 규격에 따라 상세한 수준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하는 산업연관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강도 및 규격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활용하면, 다양한 구조설계안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long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ies and regulations to reduc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es, targeting a 30% reduction of $CO_2$ compared to business-as-usual levels by 2020. Thu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construction field to control and reduce the amount of $CO_2$ emitted from buildings. $CO_2$ emission from the building construction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LCA) methodology. In LCA, it is essential to have life cycle inventory(LCI) data of construction materials consisting of $CO_2$ emission data that have been defined and examined in a detailed way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and detailed $CO_2$ emission of buildings. To date, however, the LCI data have been acquired only for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detailed $CO_2$ emission data for steel rebar and H-beam, which are the essential structural steel materials, by strength and type.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is study used Input-Output LCA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It is believed that the $CO_2$ emission data of steel materials acquired from this study would allow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CO_2$ emission for diverse structural design alternatives.

      • KCI등재

        CGE모형을 이용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의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감소 이행안 시행의 경제적 영향분석

        ( Muhammad Zeshan ),고종환 ( Jong-hwan Ko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6 국제통상연구 Vol.21 No.4

        논문은 2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회의에서 합의한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감소안(INDCs)을 이행하는 경우, 세계경제와 관련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 배출감소안(INDCs)을 제시하지 않은 국가들이 어느 정도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TAP-E model과 2016년 2월 발표된 GTAP version 9 satellite database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상 GTAP version 9 satellite database에 포함되어있는 140개 국가와 57개 산업을 각각 14개 국가와 10개 산업으로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2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였다. 하나는 이산화탄소 거래제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경우이며(시나리오1),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 거래제와 같은 제도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경우(시나리오2)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이산화탄소거래제와 같은 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한계배출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경우, 1톤당 이산화탄소 한계배출비용이 $134.7에서 $59.2로 줄어들며, 중국의 경우 $144.8에서 $59.7로 줄어들고, 일본의 경우 $127.8에서 $59.2로 줄어들며, EU27의 겨우 $222.8에서 $59.3 로 줄어들고, RoA1.의 경우 $121.7에서 $59.7로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산화탄소 거래제와 같은 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약 4,000억$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ims at two objectives. First, it addresses the CO<sub>2</sub> emission reduction targets committed in the Paris Climate Conference 2015 - also known as the INDCs - and measures their global economic implications. Second, it finds out the possible INDC targets for the regions that have not committed their INDC targets yet. It uses the GTAP-E model and the GTAP version 9 satellite database released in February 2016. It contains 140 regions and 57 sectors for each region. However, for analytical convenience, 140 regions and 57 sectors have been aggregated into 14 regions and 10 sectors, respectively. Two scenarios are run in this study. In scenario 1, it is assumed that countries are bound to meet their INDC targets without trade in CO<sub>2</sub> emissions. In scenario 2, it is assumed that countries are allowed to use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emission trading (ET) and joint implementation (JI).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global trade in CO<sub>2</sub> emissions reduces the marginal abatement costs per ton of CO<sub>2</sub> emissions from US$134.7 to $59.2 for Korea, $144.8 to $59.7 for China, $127.8 to $59.2 for Japan, $222.8 to $59.3 for EU27 and $121.7 to $59.7 for RoA1. Emission trading through the flexible mechanisms save globally around $400 billion.

      • KCI등재

        도시구성요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Kwon, Soo-hyun),김승원(Kim, Seung-won),강준모(Kang jun-m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주범이 이산화탄소임이 공식 선언됨에 따라 도시구성요소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도시계획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2002년과 2008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산업, 상업공공, 수송부문은 증가한 반면 가정과 농업부문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2년과 2008년을 비교한 결과 2008년에 상업 및 공업지역 밀도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1인당 차량등록수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정책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도권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 중부지역은 상업공공부문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이며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 남부지역에서 가정, 농업, 산업, 수송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뚜렷한 배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bon dioxide i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suggests urban planning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omponents and the carbon dioxide affecting climate change. First,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in 2002 and in 2008 were categorized as 5 sectors. As results, carbon dioxide emission in industrial sector,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and transportation sector increased whereas that in household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decreased.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components in 2002 and in 2008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in 2008, the effec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 per person increased, indic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environment. Third, the sector-specific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classified in 5 metropolitan areas and then analyzed. As results, in central area,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produced the most carbon dioxide; in western,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area, household, agricultur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produced more carbon dioxide than central area. These results evidently indicate area-specific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necess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인천광역시 간선도로의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 연구

        윤병조,이승준,황효식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02 emissions by road before establishing a polic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Method: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traffic volume and speed of the road were estimated using the traffic Assignment model targeting 27 arterial road ax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after estimating CO2 emissions by road axis by applying th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through cluster analysis. Resul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otal CO2 emissions, CO2 emissions by truck vehicles, and the ratio of truck vehicle emissions to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four clusters were classified.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oad included in each group, it was analyz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ppea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act by CO2 emissions and truck vehicles.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in consideration of CO2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road CO2 management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에 앞서 도로별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방법은 인천광역시의 27개 간선도로축을 대상으로 통행배정모형을 이용한 교통량 및 속도 추정과 이를 적용한 도로축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한 후, 군집분석을 통해 그룹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산화탄소 총배출량, 화물차량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대비 화물차량 배출량 비율을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집에 포함된 도로별 특성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화물차량에 의한 영향 수준에 따라 그룹별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도로의 이산화탄소 관리는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을 고려한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필리핀에서의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간의 인과성 분석

        진세준(Jin, Se Jun),안소연(Ahn, So Yeon),유승훈(Yoo, Seung Hoon) 한국아시아학회 2016 아시아연구 Vol.19 No.3

        필리핀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성을 밝혀내려는 목적에서 본 논문은, 1965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간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실질 국내총생산이라는 3개의 시계열 자료에 대해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오차수정모형 추정을 시도하였다. 3개의 경제시계열 모두 단위근을 가져 불안정하였으나 1차 차분을 하였더니 안정화되었다. 공적분 검정결과 공적분이 존재하였기에 오차수정모형을 적용하여 인과성을 검정하였다. 본 논문의 인과성 분석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장기 인과성 및 강한 인과성이 존재한다. 이는 에너지의 소비증가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대를 낳고,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 역시 에너지의 소비확대를 야기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단기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 인과성만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단기, 장기, 강한 인과성 모두 경제성장이 에너지 소비를 높이는 단일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증가로 이어지지만 에너지 소비증가가 반드시 경제성장을 유발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로의 단기 및 장기 단방향 인과성이 존재하며, 강한 인과성은 양방향으로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 및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인과성이 발견되었으며,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의 인과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paper investigates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ergy consumption, carbon dioxide(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 the Philippines. It uses annual data covering the period 1965-2014. Its research method comprises such tests for unit roots, co-integration, and Granger-causality based on error-correction model. The time series data of these three variables are all non-stationary, because each of them has its unit root. As their first-differenced data, however, appeared to be stationary, it was possible for the co-integration test to find out whether or not some co-integrations exist. According to finding, error correction model also could be used for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gained by doing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bi-directional long-run causality and strong causality from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This means that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directly affects CO2 emissions and that CO2 emissions also stimulate further energy consumption for long running and strong. Nevertheless, there is uni-directional, short run causality from CO2 emissions to energy consump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uni-directional for long-run, short-run and strong causality from economic growth to energy consumption, signifying that economic growth can induce energy consumption but not vice versa. Lastly, the third is one of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exists uni-directional short and long causal relationship from economic growth to CO2 emissions, also bi-directional strong causal relationship. Such a sort of bi-directional causality are found not only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but also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Whereas that of uni-directional causality exists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