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규보를 통해 본 고려 관인의 경제생활 -선물 수수를 중심으로-

        오치훈 한국중세사학회 2019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9

        We looked at the economic life of an official in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examples of gifts recorded in the book “Donggukyisanggukjip(東國李相國集)” by Lee Gyu-Bo(李奎報: 1168-1241). The gifts he received are confirmed 53 cases in about 50 years from 1193 to his death in 1241. Broken down by a certain time frame, there were 14 cases during the 17 years before taking office(1190-1207), 13 cases during the 30 years since taking office(1207-1237), and 26 cases during the four years since retirement(1237-1241). Time and frequency of gifts indicate that gifts have been concentrated since retirement. As gifts, there were various items such as alcohol and fruits, rice, fisheries products, meat, vegetables, ice, medicine, heating supplies and clothing, and in terms of the ratio, food items consumed on a daily basis account for 72 percent. Among the groceries, fruits and alcohol were the most abundant, especially alcohol, which Lee Gyu-Bo liked very much. Lee received gifts mainly from officials and monks, who often had only temporary exchanges, but also maintaine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Gifts at the time are made public and customary,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favors or bribes. In severe cases, the demand for gifts can also be seen, which is different from today's exchange of gifts. Meanwhile, Lee was able to exchange gifts on Ganghwa(江華島) because logistics transportation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economy. Various items were being transported from the provinces to Ganghwado Island, which served as an aid to the economic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Lee Gyu-Bo.

      • KCI등재

        이규보『개원천보영사시』에서 보이는 ‘飜案’의 기법과 ‘新意’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이희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1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expressive technique of 飜案(reversal of judgment) in Gaewoncheonboyeongsasi, a serial poem of Lee Gyu-bo(1168~1241) and its connections to "新意(new meanings)." In his serial poem of 43 pieces, Lee expresses his thoughts about history desperately in two 飜案(reversal of judgment) techniques, supposition and cross-question. He used the cross-question technique to make it clear that the fate of Tang declined because of Emperor Xuanzong that failed to recruit talents and mang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instead of a single person called Yang Guifei. He used the supposition technique to examine articles about Emperor Xuanzong once again and show how sorry he was about the fall of Tang due to certain historical events. Using these techniques, Lee would sometimes offer new evaluations of the articles and present different opinions from others. Lee wrote historical poems through the 飜案(reversal of judgment) techniques, reflecting his intention to read the fundamental aspects of history in an objective and composed viewpoint rather than by involving his emotions in history. His new viewpoints and discussions about history grant legitimacy to the significance of "新意(new meanings)" to criticize his poems in Bohanjip. In addition, "新意(new meanings)" regarded as the essence of Lee's Chinese poetry were not just his imitation of the meanings used by previous literary figures in their poems in the process of "Yongsa," which was confirmed by the flow of historical poems after Gaewoncheonboyeongsasi and Mandang. 본고는 이규보의 連作 詠史詩인 『開元天寶詠史詩」에서 보이는 飜案의 표현기법을 통하여 ‘新意’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규보는 43수의 연작 영사시에서 假定과 反問이라는 飜案의 技法을 통하여 역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절실하게 표출하고 있다. 그가 반문의 기법을 사용한 의도는, 당나라의 국운이 기울어진 것은 양귀비 한 사람 때문이 아니라 인재 등용과 국정 운영에 실패한 현종에게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는 데 있었다. 또한 假定의 技法을 사용한 의도는 당 현종의 기사를 다시 한번 살펴보고, 결국에는 당 왕조가 기울어지는 역사적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안타까움을 드러내는 데 있었다. 이러한 기법을 통한 기사에 대한 평가는 때로는 새롭고 남다른 견해를 드러내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규보가 번안의 기법을 통하여 詠史를 했다는 것은, 감정이 개입된 상태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고 냉정한 시선으로 근원적인 측면을 읽어내고자 하는 인식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의론의 표출은 『보한집』에서 그의 시를 비평하는 ‘新意’라는 의미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규보 한시의 精髓로 인식하고 있는 ‘新意’는 ‘用事’를 하는 데 있어서 이전 문인들이 시에서 사용한 의미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님을 『개원천보영사시』와 만당 이후 역사를 번안하는 영사시의 흐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新意’라고 하는 것이 어떠한 측면으로 바라봐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재론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이에 관해서는 후일의 과제로 미룬다.

      • KCI등재

        高丽文人对王維的接受

        金世煥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7 No.-

        이 논문은 韓國의 高麗時代 文人에 대한 中國 王維의 영향을 살피고자 작성한 것이다. 왕유는 詩와 書畵에 능하고 音樂에도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儒家와 佛敎 및 道家 등의 사상을 몸소 실천하면서 평생을 보낸 매우 특이한 인물이었다. 따라서 후대에 대한 그의 영향은 지대한 것이었으며, 한국에서도 많은 문인들이 그의 시와 인품을 흠모하였다. 여기에서는 특히 高麗시대의 문인 중에서 직접적으로 王維나 그의 시를 언급한 林惟正.李奎報.李齊賢.李穡 등 네 사람의 詩를 통해 그 영향 관계를 고찰하였다. 林惟正은 ≪百家衣集≫에서 王維의 시 7 수에서 集句를 하였고, 李奎報는 ≪開元天寶詠史詩≫43 수 중에서 ≪凝碧池≫를 지어 왕유의 대담함에 경탄을 했고, 李齊賢은 ≪渭城曲≫이 高麗에서도 유행되었음을 보여주었고, 李穡은 왕유를 통해 高麗末 자신의 고독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체로 經世濟國의 儒家的 교훈을 실천하려고 하였으나 뜻을 펴지 못하고 逍遙自在의 여생을 보낸 왕유와 비슷한 처지에 있던 문인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학적 관습을 통해서 본 「경설(鏡說)」의 주제고 -교육 현장의 논의를 아울러-

        박재민 ( Park Jae-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본고는 이규보의 鏡說에 나타난 거울의 주제를 재고해 본 결과물이다. 그간 교과서와 70-80년대 학계에서는 경설의 주제를 ①사물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 ②남의 허물을 덮고 살아가는 德의 태도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①의 주제는 오로지 거사가 흐린 거울 속에서 맑은 모습을 보고 있다는 하나의 상황에만 근거해 도출된 것이므로 다른 話素들과 유기적인 해석을 이룰 수 없다는 결점 이 있었다. 이에 비해 ②번 주제는 많은 話素와 유연하게 이어지기에 보다 진전된 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한계가 없지는 않았다. 이후 90년대와 200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 ‘흐린 거울’은 ‘날카로운 비판을 숨기고 살아가는 존재’로 파악되었다. 이 해석은 한 걸음 더 구체적으로 추정 되어 ‘거울은 문학의 비유’일 것이라는 데까지 나아갔다. 본고는 ‘흐린 거울’이 ‘날카로운 비판을 숨기고 살아가는 존재’가 합리적인 해석이라 보면서도 ‘거울을 문학’으로 보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에 서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다분히 근대적 관념이며 동시에 어떤 문헌으로도 증명되지 못하는 상태의 가설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규보의 ‘說’을 비롯한 여타의 說에 정치적인 요소가 흔하게 들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선 경설의 ‘거울’을 ‘신하’의 비유로 가정하였다. ‘맑 은 거울’은 ‘直言하는 신하’, 흐린 거울은 ‘마음을 감추고 흐리멍덩하게 생활하는 신하’로 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문증하기 위해 이규보가 신하를 거울에 비유하는 표현 방식을 愛好한 이였음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당대 의 문학적 관습으로 활용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유는 당의 태 종이 신뢰했던 위징이란 인물의 고사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혔다. 결국 경설은 이규보가 자신이 아직 의로운 군주를 만나지 못해 거울처럼 맑은 간언을 하지 못하던 시절에 지은 자기 抗辯的의도를 담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themes of “Gyeongseol” 鏡說by Yi Gyubo 李奎報.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theme of “Gyeongseol” as “the keen insight” or “the tolerance of others’ mistake.” However, the former interpretation was drawn from the only one motif of the narrative, that is the monk’s clear image reflected in the dull mirror. Meanwhile, the latter interpretation corresponds to more motives of the narrative, but it also contained limitations. Since the 1990s, scholars argued that “the dull mirror” indicates a person who disguises his sharp criticism and maintains his reclusive life. Some of them also inferred that the mirror is the metaphor of the literature. However, such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dull mirror” as the literature lacks concrete evidence even though the dull mirror possibly indicates a recluse hiding his criticism.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mirror in “Gyeongseol” is the metaphor of subjects. “The clear mirror” represents subjects of forthright opinions, while “the dull mirror” is compared to the subjects who behave generously but hide their real intentions. This assumption is based on the two facts: one is that the seol 說genre often contains political content, and the other is that Yi Gyubo and his contemporary writers frequently used the metaphor of mirror to imply the king’s subjects. The metaphor of mirror originated in the story of Wijing, who gained the full trust of the King Taejong of the Dang Dynasty. In conclusion, "Gyeongseol" is inferred as a work that Yi Gyubo composed to defend his stance when he was yet to be appointed by a righteous king and could not remonstrate with the king as straightforwardly as a clear mirror.

      • KCI등재

        이덕무(李德懋)의 김창협(金昌協)비평 수용 연구 -이규보(李奎報)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김경 ( Kim Ky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고는 李德懋의 비평형성에 있어서 金昌協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이덕무가 어떤 경로로 김창협의 비평관을 접하게 되었고, 무엇 때문에 김창협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였는가라는 의문을 구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李奎報 漢詩에 대한 비평에 한정하여 김창협의 「雜識外篇」 25칙과이덕무의 「李春卿」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이덕무가 유독 農巖系 문인들 중 李縡의 문하생들과 교유양상을 보여주는 것은 처가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문하생 중 이덕무와 직접적인 교류를 보인 인물은 金鍾厚와 金用謙인데, 특히 김용겸은 이덕무가 김창협의 문풍을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 가장 큰영향을 준 인물이었다. 다음으로는 이규보 한시에 대한 비평인 김창협의 「잡지외편」 25칙과 이덕무의 「이춘경」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덕무가 김창협의 비평에서 주목한 점은 첫째는 치밀한 비평과 전대 비평에 대한 비판적 수용태도이고, 둘째는 창작 태도와 관련된 작가에게 요구되는 내적수양의 중시였다. 이덕무와 김창협은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문예영역에서 유연한 자세를 보인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면모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이덕무의 이러한 비평태도가 김창협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 역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창작에 있어서 이덕무는 작가의 내적조건보다 창작태도를 우선시 하였는데, 이는 김창협의 비평을 재해석하려는 태도였다. 따라서 이덕무는 김창협 비평에 대해 모방이 아니라, 무엇보다 그의 비평태도와 학문적 자세에 주목하여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보였고 비평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Kim Changhyeop in a development of Lee Deokmu`s literary criticism. In other word, it investigates questions about how Lee Deokmu encounters Kim Changhyeop`s critical perspectives and why he tries to accept it actively. To this end, I verified in which way Lee Deokmu accepted for Kim Changhyeop`s literary criticism and comparatively analyzed Kim`s Number 25 of 「JapJiOePyeon」 and Lee`s 「LeeChunGyeong」. Firstly, Lee Deokmu ha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disciples of Lee Jae among the line of NongAm because of his wife`s family. This explains in which way Lee Deokmu accepted for Kim`s literary criticism. Among these disciples, Kim Jonghu and Kim Yonggyeom had interacted with Lee Deokmu directly. Especially Kim Yonggyeom had the greatest impact in a process of his reception for the literary spirit of Kim Changhyeop. Secondly, I comparatively analyzed Kim`s Number 25 of 「JapJiOePyeon」 and Lee`s 「LeeChunGyeong」. Lee Deokmu focuses on Kim Changhyeop`s literary criticism in two points. Lee concentrates on Kim`s precise literary criticism and his critical attitude of accepting the criticisms of previous generations. And Lee focuses on his attitude of writing and his emphasis on a inner cultivation. I confirmed that they were similar in their stances, which was flexible toward literature even though it was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I also assured that Lee Deokmu`s such attitude toward criticism was closely linked to Kim Changhyeop. However, Lee Deokmu gave his priority to writer`s attitude of writing over his inner condition in creative writing. That is a reinterpretation to Kim Changhyeop` literary criticism.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Lee Deokmu is not a mere imitator but an active accepter of Kim Changhyeop by focusing on his critical and academic attitudes.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1) : 李奎報(이규보)의 動物(동물) 認識(인식)과 문학적 형상

        원주용 ( Ju Yong Won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작가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소재를 선정하여 작품으로 구성하는 것은 일종의 文學的 形象化의 과정이다. 작가는 문학적 형상화에 있어 寓意의 수법을 적절하게 활용하게 된다. 작가는 동물의 상징적 의미나 전형적 성격을 기초로 구체적 형상을 창조할 수 있고, 직접 거론하기 어려운 문제를 실제로 거론하는 것 이상으로 분명하게 다룰 수도 있다. 반면 독자는 작자의 寓意를 추론할 수 있는 기틀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는 작자의 문학적 형상화 수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고려를 대표하는 李奎報(1168.1241)의 시문을 통해 동물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으며, 형상화를 통해 어떠한 면모를 부각시키고자 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규보의 작품 중에 동물을 소재로 작품화 한 것으로는 닭.까치.기러기.원앙부터 벼룩이나 이에 이르기까지 30종류 정도 된다. 이러한 동물 중에서 거미와 매미에게서 貪慾과 淸廉, 쥐와 고양이에게서 害惡과 害惡 剔抉, 개에게서 忠直, 말에게서 不遇한 人才를 상징하였다. 사물의 寓意는 당시 정치적, 도덕적으로 부패하거나 타락한 현실을 풍자, 비판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이규보 당시는 무신집권기였기 때문에 직선적 표현보다는 우의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Organization of work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an author finds a writing material from the real world is a series of literary configuration. Author uses a method of u-ui properly in that series of process. Author can create the specific features based on both symbolic meaning and typical image of animal and carry a very unwieldy item to write directly through metaphor and satire. And readers get the technical foundation from which he or her could deduce u-ui in context. Therefore, these studies can be a significant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author`s own method of literary configuration. In this paper, we study a animal awareness of Lee Gyubo who represent Goryeo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and consider what aspect he tried to emerge through the configuration. There are around 30 works using animal subject such as chicken, magpie, wild goose, mandarin duck and flea. Among those animals, spider and cicada represents greed and integrity, mouse and cat indicate evil and eradication of ills, dog and horse symbolize faithfulness and deprived person, respectively. U-ui of object was symbolized to criticize and satirize a politically and ethically corrupt society. At that time, because of Musin-Gipkwon period, Lee Gyubo had no choice but to express his intention through the allegorism than straightforward writing.

      • KCI등재

        「答全履之論文書」에 나타난 李奎報의 문학관

        윤인현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한국고전연구 Vol.8 No.-

        「答全履之論文書」(답전이지논문서)에서는 全履之가 李奎報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서 감사하다는 말과 더불어 李奎報 자신을 칭찬한 데 대해서 과찬의 말이라고 겸손해 하는 말, 그리고 문학을 보는 이규보의 자세 등이 서술되어 있다. 全履之는 <비록 시로써 이름을 떨치는 某某輩 같은 몇몇 사람들이 모두 東坡를 본받기는 하되 다만 그 말을 도둑질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그 뜻을 훔쳐 쓰면서도 그것을 잘하는 일로 여기는 것을 면치 못하는데, 유독 당신[이규보]만은 옛 사람을 蹈襲(도습)하지 않고 그 말을 지어냄에 새로운 뜻을 창출해내니, 비할 데 없이 훌륭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는 당시의 文風을 알게 해 주는 부분이다. 여기서 대부분의 文人들이 남의 작품을 蹈襲 또는 剽竊(표절)하는데, 李奎報만이 그런 시류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答全履之論文書」에는 이규보의 작시론적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이규보는, 그 글을 통해서 옛 사람의 體를 잘 본받는 것이 지극히 어려운 일이므로, 잘못하다가는 표절·약탈하기 쉽기 때문에 자기 나름의 새로운 말[新語]을 지어내거나 새로운 뜻[新意]을 창출해내지 않을 수 없음을 토로하고 있다. 그것은 당시의 문풍과는 구별되는 문학관을 보인 작시론으로, 新語 혹은 新意(신의)를 지어내는 데 대하여 많은 문인들이 자기를 배격하는 경향이 있는데, 오직 全履之만이 그런 자신을 과찬함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글로「答全履之論文書」는 끝나고 있다. 이규보의 이런 주장은, 역시 옛 사람의 體를 본받기는 하되 제대로 본받기가 쉽지 않으며 그렇다고 서툴게 본받으려다가 도습이나 표절을 일삼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여 新語를 지어낼 수밖에 없다는 이규보 나름의 속사정을 토로한 것이다. 당시의 文風이 '도둑놈의 물건이라도 눈에 드는 것이 있으며 탐하는' 풍조인지라, 그런 세태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규보는 新語를 지어내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이규보의 이와 같은 작시론은 도습이나 표절이 만연한 세태에 일침을 가함으로써 文風을 쇄신하고자 하는 견해의 표출이었다. 이규보는 좋은 뜻을 나타내려고 해서 古人의 시를 잘 본받으려고 했다. 그러나 古人의 시를 잘 본받을 수가 없어서 新語로써 新意를 나타내려고 한 시인이었다. 그렇다고 古人의 시를 본받기를 배척한 시인은 아니었다. It is described that Lee Cue Bo(李奎報) appreciated a letter from Jeon with mentioning modestly Jeon overpraised him and expressed his view point of literature and so forth in a reply paper to Jeon I Ji(全履之). Jeon put his thought as follows on it. "There are some people just like MoMoBae(某某輩). who became famous for poem, that imitate Dongpa(東坡) as not only stealing others' words but also regarding this behavior as right. But only you. Lee Cue Bo, are respectable literary man who does not doseup predecessors' words but create a new meaning to it." Here are found that most of literary men used to 'doseup'(蹈襲) or 'pyojeol'(剽竊) others' work in those days but only Lee Cue Bo tried to escape from the current of that times. There are also defined his view of versification in a reply paper to Jeon. Lee Cue Bo uttered it's extremely difficult for literary man to imitate predecessor's style completely so they were apt to 'pyojeol(剽竊)' or 'yaktal'(掠奪). Therefore they could not help creating their own new words or new meanings. It's a different theory of versification from those of that times. He ended to write a reply paper to Jeon I Ji mentioning that he was incapable of Jeon's overpraise, while a lot of literary men tended to exclude him concerning about creating new words or new meanings, Lee Cue Bo revealed his worries through these insistence that most of literary men were apt to 'doseup' or 'pyojeol' when they followed predecessor's style poorly, since they couldn't imitate predecessor's style completely even though they could just follow them. The current of literature of that times is just like coveting whatever anything you like though it belongs to a thief, so he could not but creature new words so as not to have been caught up in those current. His theory of versification like this intended to innovate the current of literature that was prevalent then. He imitated predecessors' poem in other to convey good meanings. He was a poet who not rejected to imitate them but created new meanings with new words because it was too difficult to imitate completely.

      • KCI등재
      • 이규보(李奎報)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의 지리지적(地理誌的) 성격 고찰

        유정열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3 전북학연구 Vol.10 No.-

        본고는 이규보(李奎報)의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를 지리지적(地理誌的) 성격 을 지닌 작품으로 보고 그 면모를 고찰했다. 「남행월일기」는 기본적으로 산수유기 (山水遊記)에 속하는 작품이다. 다만 산수미의 형상화보다 유람지들의 정보를 제시 하는 데 집중했다는 점에서 ‘지리지적 성격을 지닌 산수유기’로 볼 수 있다. 산수 유기가 지리지적 성격을 지니는 것은 장르 경향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남행월 일기」는 한국 산수유기의 역사에서 이 경향을 선도한 작품이다. 한편 산수유기와 지리지의 상위 장르인 ‘기’(記)와 ‘지’(誌)는 ‘사실 기록’이라는 기본 성격을 공유하 기 때문에 서로 넘나들며 혼용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보면 「남행월일기」가 지리지 적 성격을 지니는 것이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남행월일기」의 지리지적 성격은 먼저 그 수록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에는 이규보가 유람한 지역들의 지세, 식생, 풍속, 종교 등과 같은 정보들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정보들은 해당 지역들의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가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록 정보들이 후대 지리지에 수용된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도 「남행월일기」의 지리지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 수록 정보들은 조선 초기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수용된 이래로 조선 시대 거의 전시 기 동안 전국 단위의 것은 물론 지역 단위 것에 이르기까지 지리지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이는 「남행월일기」가 애초에 지리지적 성격을 지닌 작품이었기에 가 능한 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의거해 「남행월일기」의 위상을 지리지적 측면에서도 정립해 볼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 수록 정보들은 거의 전라북도에 대한 것이며, 그 이전의 저술 중 전라북도에 대한 정보들을 집중적으로 수록한 것을 발견하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남행월일기」는 전북지(全北誌)의 성격을 지닌 가장 이른 시기의 저술로도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ed Lee, Gyu-bo’s 「Namhaengwolilgi」 as a work with a geographical character and examined its aspects. 「Namhaengwolilgi」is a work that belongs to the essays on landscapes. However, it focuses on presenting information on tourist attractions rather than embodying the natural beauties. It can be seen as an ‘essay on landscapes with geographical characters.' The fact that essays on landscapes have a geographical character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trends of the genre, and 「Namhaengwolilgi」 is a work that led this trend in the history of essays on landscapes of Korea. Meanwhile, ‘Gi’ and ‘Ji’ which are higher genres of essays on landscapes and geography, were used interchangeably because they shared the basic characteristic of ‘record of truth’. From this, we can see that 「Namhaengwolilgi」 can have geographical character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mhaengwolilgi」 could be confirmed by first examining its contents. 「Namhaengwolilgi」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customs, religion, etc. of the regions where Lee, Kyu-bo traveled. This information is valuable and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al and human geography of the region. Next, the geographical nature of 「Namhaengwolilgi」 could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pattern in which the information included was accepted into posterity geographical journals. Sinc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 Namhaengwolilgi」 was accepted in 『Donggukyeojiseungr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widely accepted in geography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regional level throughout almost the entire period of Joseon Dynasty. This can be seen as possible because 「Namhaengwolilgi」 was originally a work with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bove contents, the status of 「Namhaengwolilgi」 c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geographical aspect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Namhaengwolilgi」 is mostly about Jeollabukdo, and it is difficult to find previous writing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Jellabukdo intensively. For this reason, 「Namhaengwolilgi」 can be evaluated as the earliest period of Jeonbok geographical journal.

      • KCI등재

        서양인이 간행한 이규보(李奎報) 영역시(英譯詩)의 양상과 특징 -생태적 관점의 읽기와 의미부여를 중심으로-

        안영훈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7 No.-

        This thesis was written to lay th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Asian ecological literature through foreigners' affection for Lee Gyu-bo, the great master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itera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heck the perception of others, that is, non-Koreans, and Westerners who lived in Korea first. Therefore, we looked at the case of Korean classical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ers in Korea. James Scott Gale (1863-1937), a Canadian, first came to Korea in 1888 as a missionary at the YMCA and stayed until 1927. While serving as a religious person for 40 years, Gale translated Korean studies and introduced them overseas, and he highly appreciated Lee Gyu-bo an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his Chinese poems. Richard Rutt (1925-2011) was a Roman Catholic priest in England and worked in Korea for 20 years from 1954 to 1974. It can be said that Rutt was influenced by Gale, and similarity can be found even by looking at the scope of Korean studies. Rut also paid attention to Lee Gyu-bo, translated and introduced his prose several times, and introduced temporary translations to various gaze books. Kevin O'Rourke (Korean masterpiece, 1940-2020) is a priest of St. Colomban Outer Mission in Ireland and has lived in Korea since 1964. O'Rourke is widely known as a translator of Korean literature, and he showed a special affection for Lee Gyu-bo. O'Rourke is expressing his position of seeing Gale 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Rutt as the second generation, and himself as the third generation, and mutual influence in Lee Kyu-bo's affection for him. Lee Gyu-bo's poetry world is rich in foundations that can be read for various ecological reasons. Anyone who has read Lee Gyu-bo's poem for a lifetime will be able to fully grasp what the poem aims for. Gale and O'Rourke have no longer been read by many Korean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20th century, so they have tried to restore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from their memories through other languages. Coincidentally, it seems that they need more time to think about how to understand that the works they chose are in contact with ecological reasons.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I would like to conclude the rambling presentation. 이 글은 이른 시기부터 이규보를 선호해온 서양인 번역가의 계보를 살펴보고, 그들이 간행한 이규보 영역시 양상을 생태적 관점에서 읽어보고자 하였다. 이규보의 시는 생태적 관점으로 읽을 수 있는 내용이 풍부한데 영역된 시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 어느 때 보다 생태적 사유와 실천이 강조되는 오늘날, 이규보 문학은 국내외 독자들에게 널리 읽힐 수 있는 텍스트로, 이 방면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규보 문학을 선호한 서양인 번역가로 세 사람을 들 수 있다. 먼저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은 캐나다인으로 1888년 YMCA 선교사로 처음 한국에 와서 1927년까지 머물렀다. 게일은 종교인으로 복무하면서도 한국학을 번역, 해외에 소개하고 연구한 공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다. 특히 이규보를 매우 높이 평가하고 그의 한시를 영역하는 데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리차드 러트(Richard Rutt)는 영국 로만 가톨릭 신부로서 1954년부터 1974년까지 20년간 한국에서 활동하였다. 러트 역시 종교인으로 활약하면서 한국문학을 번역하여 해외에 소개하는 데 힘을 기울였는데 게일의 영향을 받아 이규보 주요 저작을 번역하였다. 케빈 오록(Kevin O’Rourke)은 아일랜드의 성 콜롬반 외방선교회 신부로 1964년 이래 한국에 살다 2020년 10월 타계하였다. 그는 한국문학 번역에 전 생애를 바쳤는데 게일과 러트를 이어 이규보의 한시를 가장 많이 번역하였다. 이규보의 시세계는 다양하고 생태적 사유로 읽을 수 있는 바탕이 풍부하다. 그것은 이규보의 시를 읽어보면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규보의 시가 모두 그런 것은 아닌데, 특히 게일과 오록이 선택하여 번역한 이규보의 시는 대체로 자연친화적이고 오늘날 생태적 사유와 연결지을 수 있는 작품들이 많다. 그들이 의도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영역시 선정과 간행에서 이러한 경향성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생태적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향후 생태문학 논의의 한 가능성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