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촌체험관광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석영,김한주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관광객의 어촌체험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 15.0)과 AMOS(Ver. 7.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촌체험관광요인과 환경의식지각이 체험만족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체험만족과 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은 체험적인 요소가 높으며 환경의식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관광객일수록 체험만족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의식지각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할것이며 어촌체험마을에서는 체험에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과 체험에 바탕이 되는 자원을 잘 관리하여야 하고 환경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하여야 한다.

      • KCI등재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응택(Lee, Eungtaek),오승근(Oh, Seungg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 체험활동은 이론적 근거에 의해 양적인 부분으로 참여시간, 질적인 부분으로 참여만족도로 구성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KCYPS 2010)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 4학년 7차 년도(2016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험활동에 참여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학년 총 1,062명(남학생 487명, 여학생 575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참여시간은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공동체의식은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지녔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활동 참여시간 보다는 만족도가 학교적응의 관계를 더 잘 규명하는 것을 의미하고,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자아탄력성보다는 공동체의식을 통해 설명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체험활동 만족의 중요성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로한 체험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7<SUP>th</SUP> year (2016) data of the 4 primary panels of KCYPS 2010. A total of 1,062 students were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a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level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a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in terms of experience activities was more meaningful than participation levels in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number of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강경애의 작품 속에 나타난 계급의식과 여성성의 길항관계

        이덕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Even though Kang is a woman who has acute observation and delicate sensibility, she can not get out of idealism and schema when she stick to class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desperate reality of poverty that she experienced in her childhood or in Kando is something different from ideological concept she acquired through study. Feminity could not also be shown in full when her writings were based on ideology of class which let to reality of bias. However, when they were based on her feminine experiences, her observation and sensibility are well revealed. Eagerness towards humane life through her writings from experience shows how consciousness of others as a woman worked properly in the relationship of antagonism with class consciousness in her times. In her early pieces like [Pagum] and [Vegitable garden], it brings sudden endings of story due to trials to set her ideas into the reality not to show enough course of event through her experience or sense. There also exists discrepancy between her description of circumstance and class consciousness which proves her sensibility of feminity could not be fully displayed under her idea of class. After some criticism on her early writings for ideality and schema at the time, she wrote [Salt] which she described extreme poverty through her own experience and acquired considerable positive comments. And this led to her writings more based on experience covering class consciousness. [Human problem] also covers class consciousness telling a woman’s alienation due to violence of patriarch and sexual suppression. Her endings become more realistic, not in schema or idealistic, when her characters newly realize her own reality. [The woman] and [200 Won, as a fee of an article] show characters going though introspection of human initiated by class consciousness and Kang showed reflection of her own experiences. In [Salt], Kang described a woman’s consciousness fell into contradiction between economic poverty and her position of the time. The character has to fight for her reality of poverty but also for typical recognition of woman in feudalism. She showed desperate poverty through a man who became regardless of other people due to his circumstances in [Underground town]. In Korean literature, Kang was the most successful to show class consciousness together with woman’s experience. She was very insightful in her low class life but again, specific in experience as a woman. Identical life style of every women in the time Kang lived, which consists of man’s violence, alienation, maternity to overcome those defects of their lives, is fully revealed in Kang’s writings. 초기 작품에서 강경애는 작품성보다는 계급의식에 대한 열망이 더 강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난의 체험들을 빨리 계급의식을 매개로 작품을 형상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것은 강경애의 하층민 의식이 장하일과의 만남을 통해서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조급성을 보여준다. 강경애의 이런 조급성으로 인해 초기의 작품에서 계급문학을 향한 집념은 계급의식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소통되지 못하고 자신의 관념 속에서만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매개했을 때 강경애의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감각이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보여주는 체험적 글쓰기에서 여성으로서의 강경애의 감각과 관찰력이 훨씬 돋보인다. 체험적 현실을 통해서 드러내는 인간적인 삶에 대한 열망에는 강경애의 여성으로서 가지는 타자의식이 당대의 현실적 모순 속에서 계급의식과의 길항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금][채전] 등의 초기 작품에서 보여주는 급작스런 결말은 강경애의 여성적 경험들이나 여성적 감각들이 현실의 충분한 매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념에 현실을 조급하게 적용시킨 결과이다. 또 환경의 세부적 묘사가 계급의식과 일체감을 가질 수 없는 정서적 불일치를 보여줌은 계급의식의 당위성에 의해서 강경애의 여성으로서의 감각과 섬세한 관찰력이 발휘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이다. 초기 작품에서 관념성과 도식성 등을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지적받은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바탕으로 처절할 정도의 가난을 묘사한 『소금』을 발표해 상당한 평가를 받은 이후, 이런 체험을 바탕으로 강경애는 계급의식에 집착하는 것보다 자신의 체험에 입각, 계급의식을 매개하는 작품을 쓰기 시작한다.『인간문제』의 서술 과정 역시 여성적 체험, 즉 남성의 가부장적 횡포와 성적 억압을 중심으로 한 여성적 소외를 바탕으로 계급의식이 매개된다. 그리고 인물이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그 이전 작품처럼, 도식적이나 관념적인 결론이 아니라, 현실적 체험 속에서 얻은 ‘법’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현실을 자각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 여자][원고료 이백원]에서는 여성의 특징인 과거로의 회귀,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적 갈등의 서술은 그 앞의 몇몇 소설에서 보여준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이것은 계급의식으로부터 시작된 인간에 대한 성찰을 확대, 여성의 자전적 체험을 매개로 현실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통하여 그 이 전의 작품에서 보여주었던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소금』에서는 경제적 모순과 시대적 질곡이라는 이중 모순에 빠진 여성의 삶을 철저히 파헤치고 있다. 남성에 대해서 타자이고 신여성에 대한 타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구여성, 철저하게 타자화 된 봉건 여성을 통해서 당대의 현실의 모순을 극대화, 봉건 여성의 리비도적 경험을 매개로 한 질곡의 삶을 핍진하게 그리고 있다. [지하촌]에서는 칠성이의 환경적인 요인과 생래적 특징에 의해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간을 통하여 처절할 정도의 가난이 드러난다. [소금]이나 [지하촌]에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물들은 강경애의 여성적 감각과 여성만이 가지는 소외의식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물이다. 또 이 작품 속에 매개된 강경애의 하층민에 대한 계급적 관심은 인물 ...

      • KCI등재

        체험활동, 사회과 성적 및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서봉언 ( Bongeon Seo ),김원영 ( Wonyoung Kim ),김경식 ( Kyungsik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최근 우리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이로 인해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게 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뜨겁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사회과 성적 및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국제교류 활동, 봉사 활동, 환경보존 활동 등과 같은 체험 활동이 만족할만한 사회과 성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만족할만한 사회과 성적을 얻은 학생일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문화에 대한 수용정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체험활동이 공동체 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체험활동이 다문화 수용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형식적인 교육과정 외에 다양한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체험활동과 사회과 성적은 다문화 수용에 직접적인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체험활동과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깊은 사회과 과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동체 의식→다문화 수용’으로 나아가는 경로에서 남녀 차이가 발견되었고,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에게서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 증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Using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at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periential activity, social studies achievement, and a sense of communit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Youth experienti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tudies achievement and sense of community.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achievements in social studies had more possibilities to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it was proven that a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at is, a sense of community would be mediating facto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foreigner by Korean youth. These findings have shown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 sense of community, which ultimately help students attain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청소년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간의 인과관계

        신인순(Shin, In Soon),전동일(Chun, Dong Il)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의 종단적 인과관계 방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제4차(2013년)∼제6차(2015년)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원자료에 대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체험활동시간은 공동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체험활동만족도와 공동체의식은 상호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으로 체험활동시간을 늘리면 공동체의식이 향상될 수 있고, 질적으로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이 상호 의존적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와 청소년 공동체의식 함양 프로그램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체험활동의 양도 중요하지만 질적 프로그램 개발 또한 중요하고, 나아가 생애초기부터 미리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면 동일한 체험활동을 하더라도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체험활동의 양적 확대와 질적 향상을 주장하였고, 아울러 생애 초기부터 가정과 어린이집, 초등학교 등에서 공동체의식이 일찍 함양되는 것 또한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perio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o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data among the 4th (2013) ~ 6th (2015)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And satisfaction with experience activity and sense of community interact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of experiential activities is different. In other words, increasing quantity of experience activity time can improve sense of community qualitatively, and experience activity and sense of community are interdependent relation. Since the activation of youth experiential activities and youth community awareness programs are influencing each other, the quanti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is important, but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also important. Furthermore, if sense of community is raised from the beginning of life, It can be predicted that even with the same activity, the effect could be larger.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youth experiential activities as well as the early development of sense of community at home, day care center and elementary school from the beginning of life.

      • KCI등재

        경기도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 종단 변화

        신인순,전동일,김상용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In order to examine longitudinally the experience of the youth activities and the cultivation of Sense of Community, the first to sixth years of the Gyeonggi-d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rate of experiential activity was decreasing,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tivity did not change, and paradigm was formed with the peak of Sense of Community. Experience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higher grades, and potential groups (subgroups) can be longitudin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changes in Sense of Community, experience activity participation rate, an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for 6 years. Sense of Community potential group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ense of Community reduction group (3.4%), Sense of Community increase group (7.3%), and Sense of Community unchanged group (89.4%). Potential group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ctivity reduction group (90.6%)' and ‘experimental activity reduction group (9.4%)'. Experience group satisfaction group can also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that decreases after increasing experience level (7.5%)' and 'group of experience level no change (92.5%)'.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an overall review of youth activity policies. 경기도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과 공동체의식 함양의 정도 등을 종단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제1~6차년도 경기도 중고등학생의 중1부터 고3까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체험활동 참여율은 감소 추세이고, 체험활동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으며, 공동체의식은 고1을 정점으로 포물선이 형성되었다. 체험활동은 고학년이 될수록 양분되는 형상이 나타났는데, 6년 간의 공동체의식, 체험활동 참여율, 체험활동 만족도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하위집단)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공동체의식 잠재집단은 ‘공동체의식 감소집단(3.4%)’과 ‘공동체의식 증가집단(7.3%)’, ‘공동체의식 무변화 집단(89.4%)’ 등 3개의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고, 체험활동 참여 잠재집단은 ‘체험활동 감소집단(90.6%)’과 ‘체험활동 증가 후 감소집단(9.4%)’ 등 2개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체험활동 만족도 잠재집단도 ‘체험활동 만족도 증가 후 감소하는 집단(7.5%)’과 ‘체험활동 만족도 무변화 집단(92.5%)’ 등 2개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청소년 활동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통일안보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창현(Chang Hyun Kim) 한국정책개발학회 2014 정책개발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통일안보 현장체험학습이 통일안보의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시대 상황에 맞는 학교 통일안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도권의 중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에서 통일안보체험학습 전에 질문조사를 하고 그 후 학생야영장에 입소하여 실제 통일안보체험학습을 한 후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두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인 통일안보에 대한 인식은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17)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32)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통일안보체험학습이 청소년들의 통일안보의식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영역별로는 남북분단의 현실에 대한 인식은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16)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48)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북한에 대한 이해 역시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14)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27)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안보의식의 경우 국내안보에 대한 의식은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39)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52)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북한, 통일 관련 인식 역시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02)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12)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국, 중국관련 인식은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통일안보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은 통일안보체험학습 전(3.24)에 비해 통일안보체험학습 후(3.35)에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re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s by analyzing the change of youth's reunification security consciousness through field trips. The following are two research questions concerning on achieving this goal. First, how does the youth think about reunification security? Second, how does the youth think after they have done a reunification security program through a field trip? The followings are summary abou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it is shown that the field trip of reunification security program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change of youth's understanding about the reality of Korea's continued divi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re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in the field trip i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to be aware of the Korean division.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field trip of reunification security program has influenced on the change of youth's awareness about the high possibility that North Korea might start a war with South Korea such as the Cheonan warship attack and Yeonpyong Island provocation. Third, the study shows that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change of youth's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not onl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but also for the future reunification. Fourth, the research presents that the field trip of reunification security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youth's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to protect the country when they become adults.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누적적 경험의 효과를 중심으로

        황여정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number of types of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Also,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cumulative effect of youth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kinds of experiential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regional scale. Next, the results of the OLS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show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number of kinds of activities that participated in,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during the first-year of high-school all influenc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mulative experience during middle school during middle school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long-term effects by only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Positive effects persisted only whe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high quality youth activities during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qualitative aspects of youth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effectiveness of youth activities.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경험이 청소년기에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인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등 체험활동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중1부터 고1까지 경험한 체험활동의 누적적 효과를 살펴보는 데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4〜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배경변인에 따라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그리고 체험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과 고교 1학년 시기 경험에서 모두 소득수준과 지역규모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OLS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최근 1년(고교 1학년) 사이의 체험활동 경험은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모두 공동체의식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의 효과는 양질의 체험활동을 경험했을 때에만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체험활동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려면, 체험활동의 질적 수준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양질의 체험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해양재난 체험교육이 해양 안전의식에미치는 영향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장은진,배용진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3

        Recently, marine activities have increased due to the leisure life of the people. However, maritime disaster accidents are on the rise every year.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marine activists can learn about and respond to emergencies and raise marine safety consciousness through marine disaster experience training. This study measured the impact of experience education on marine safety consciousness, focusing on marine disaster experience education that is being conducted at the Korea Coast Guard Academ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0 people who received marine disaster experience education and 100 others who did not, comparing marine safety consciousness, and analyzing the efficiency of experience education. The marine disaster experience education experiences showed higher maritime safety consciousness in most items than the non-experienced people.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additional experiential education such as survival swimming is needed. This study will help to spread marine safety culture as a basic data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marine experience education. 최근 국민들의 워라밸(Work Life Balance)의 확산으로 여행, 낚시 및 해양레포츠 등 해양에서의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해양재난 사고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추세로 해양사고의 위험성은 여전히 높다. 따라서 해양 활동자는 비상 시 대응요령을 직접 배우고 체험을 통해 해양재난 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해양경찰교육원에서 실시중인 해양재난 체험교육이 해양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체험교육의 개선방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독립변수를 해양재난 대응 체험 유무로 정하고, 해양재난대응실습장 체험자와 비체험자 각 100명씩 설문조사를 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안전의식을 종속변수로 정하여 해양일반 대응, 선박사고 대응, 연안사고 대응 분야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해양 체험교육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해양재난 체험교육 체험자는 비체험자에 비해 선박사고 대응과 연안사고 대응 대부분의 항목에 해양안전의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해양상식 분야와 응급처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추가적인 필수 교육으로 생존수영이 가장 많았고, 체험교육은 해양 안전의식 뿐만 아니라 해양경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양안전체험 교육을 통해 국민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는 체험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해양 체험교육의 향상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해양안전문화 확산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이병주 문학과 학병 체험

        정호웅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41 No.-

        학병 문제를 다룬 이병주 문학은 전체적으로 보아 비슷한 유형의 인물, 체험, 사유의 동어반복에서 크게 벗어 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보이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학병에 지원하여 일본의 침략전쟁에 협력한 사실을 용 납할 수 없다는 부정의식이 작가를 짓눌렸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작가의 학병 체험과 관련된 문학에서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타자의식은 거의 찾을 수 없는데 그 요인의 하나는 앞에서 말한 부정의식에 압도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과중국인에 대한 타자 의식의 결여는 다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보편적 인간 형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구체적인 시공간에 존재하는 개별자에 대한 관심을 가로막은 것을 그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부정의식에 짓눌려 동어반복을 거듭하는 가운데서도 이병주는 학병 체험자의 의식을 깊이 파고들어 우리 문학사에서는 달리 찾을 수 없는 개성적인 문학을 건설하였다. 학병 문제를 바라보는 작가의 의식은 크게 일본이 내세운 전쟁 명분에 동의하지 않았다는의식과 자기부정의 의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것은 다시 반전 의식과 이단자 의식으로 변주되고, 뒤의 것은 자기 처벌의 의식, 자기 연민의 의식으로 변주된다. The most important experience in Lee, Byungju’s Literature is the Experience of student soldier that he had experienced in 1944-1945. Lee,Byungju had taken this experience from his first novel to his last work. Lee, Byungju’s Literature that had taken problem of Student Soldier has the limit of palilalia of characters, experiences, thoughts. The most considerable cause is the pressure of deny-consciousness which could not accept the act of cooperation in japanese aggressive war. The most considerable cause that we can not identify the sense of others to china is also the pressure of this deny-consciousness. Under the pressure of this deny-consciousness, Byungju had dig into the consciousness of student soldier, so had cultivated the unique literature. The sense of Lee, Byungju that see the problem of student soldier is divided into two those of not- agrement and self-denial. The former is varia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and the consciousness of heretic. The other is varia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self punishment and self sy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