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미추구와 긍정정서가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이희경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1

        With the findings that meaning of lif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ontributes to well-being, several studie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inding meaning. Despite the previous efforts to identify the search for mean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of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the results had shown inconsistency and had not provided an integrated explanation. To examine the features of search for meaning and to reapprais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nce and search for mean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were conducted. Also, the roles of search for meaning and positive affect that are predicted to as promote presence of meaning were investigated.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were assessed with 285(cross-sectional) and 164(longitudinal)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patterns of variables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revealed that search for mean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sence of meaning,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results have revealed that presence of meaning is higher with a higher level of search for meaning. Findings suggest that the search for meaning itself is not dysfunctional and can lead to its presence.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arch for meaning and positive affect enhance presence of meaning. It means that search for meaning and positive affect are both significant factors in process of finding meaning. Finally,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삶의 의미가 안녕감에 기여하는 주요 변인임이 밝혀지면서, 많은 연구들이 의미발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선행연구들에서 의미발견 과정의 한 요소로서 의미추구의 특성을 밝히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나,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 통합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를 통해 의미추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종단적 연구를 통해 의미발견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의미추구와 긍정정서를 측정하여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5명(횡단적 연구)과 164명(종단적 연구)을 대상으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삶의 만족과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상관분석과 다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미추구는 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에서 의미발견, 긍정정서 및 삶의 만족과 일관되게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의미추구 수준이 높을수록 의미발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추구와 긍정정서는 의미발견의 증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의미를 찾으려는 노력과 긍정정서 경험이 의미발견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치료적 함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정미영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s and effects of the two concepts(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The Meaning in life(MIL)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the Sensation Seeking Scale, the Altruism Scale were implemented to 239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earch for MIL and the Presence of MIL had different roles and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most of the positive roles and effects of meaning in lif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or ra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ce of MIL. Whereas, the Search for MIL had negative relation to subjective well-being or happiness but it worked as the motivation for understanding self-existence and selfgrowth. Moreover, the Presence of MIL had moderated effects on not only between Sense seeker and Satisfaction with life but also between Altru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among people who got the Presence of MIL, someone seeking sensation had no satisfaction with life while others of altruistic attitudes had high satisfaction with life. This results implied that someone who try to get the presence of MIL and teachers or counselors who want to help them should consider a view of life and death and the values.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의 두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각각의 기능과 효과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삶의 의미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영적 안녕감 척도, 감각추구성향 척도, 이타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각각 구분되는 기능과 효과를 보여주었고,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삶의 의미의 긍정적인 기능과 효과는 대부분 의미발견의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의미추구는 주관적인안녕감이나 행복감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고통스럽더라도 자기존재에 대한 이해와자기성장의 동기임을 나타냈다. 특히 감각추구나 이타지향을 통해 밝혀진 의미발견의 효과는 자기초월적이고 이타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즉 삶의 의미를 발견한 사람은 감각추구를 하더라도 삶에 만족하지 않는 반면, 삶의 의미를 발견한 사람의이타지향적인 태도는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는 이들과 이를 돕고자 하는 이들이 속한 교육과 상담 장면에서 개인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삶의 의미의 동기적인 측면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대한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삶의 의미 하위 차원 간 군집분석에 따른 진로관여행동 및 진로장벽의 차이

        양준영(Yang Joonyoung),이보라(Lee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서로 독립적인 요인으로 보고,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대학생의 삶의 의미 발달 유형별 진로관여행동과 진로장벽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집단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특성에 따라 군집 1은 ‘의미발견 중심형(의미추구 저-의미발견 고)’, 군집 2는 ‘의미 부재형(의미추구 저-의미발견 저)’, 군집 3은 ‘의미추구 중심형(의미추구 고-의미발견 저)’, 군집 4는 ‘의미 성취형(의미추구 고-의미발견 고)’로 분류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진로관여행동 및 진로장벽 수준 차이를 확인한 결과, 군집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의미 성취형(군집 4)’이 진로관여행동 수준이 가장 높고 진로장벽 수준이 제일 낮은 반면, ‘의미 부재형’(군집 2)은 진로관여행동 수준이 제일 낮고 진로장벽 수준이 제일 높았다. 본 연구는 삶의 의미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각 집단에 따른 진로발달 상태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진로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대학생들을 위한 개입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단서를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four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two sub-dimensions of meaning in life, which are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so doing,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barriers of the cluster types.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of 216 college students, the study identified four cluster types which are; cluster 1 with ‘presence of meaning type’ (low level search for meaning-high level presence of meaning); cluster 2 with ‘absence of meaning type’ (low level search for meaning-low level presence of meaning); cluster 3 with ‘search for meaning type’ (high level search for meaning-low level presence of meaning); and cluster 4 with ‘achievement of meaing type’ (high level search for meaning-high level presence of meaning)’. By utilizing MANOVA,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barriers, which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uster types; cluster 4 showed the highest level of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he lowest level of career barriers, whereas cluster 2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barriers. compared to other clusters.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career development, which distinguished students’ meaning in life into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suggests concrete ways of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career consult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과 중년성인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검증

        송현심,성승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3

        본 연구는 대학생과 중년기 성인의 삶의 의미의 두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각각의 기능과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희망과 의미발견이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의미추구, 의미발견, 희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경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0명, 중년성인 500명,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희망,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 있어서는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직접경로를 제외한 연구모형이 두 집단 모두에서 더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매개경로는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과 의미발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집단의 변인 간 차이검증 결과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는 중년성인이,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하위요인은 대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집단의 경로계수 차이검증 결과, 의미추구가 희망과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희망이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meaning in life, in Undergraduates and middle-aged adults; specifically, the influences of the search for meaning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ed effect of hope and presence of meaning in that process. This study also aim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the influence of hope on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included 1,000 individuals, 500 undergraduate students and 500 middle aged adults who completed a survey on meaning in life, hope, and subjective well-being. Regarding mediated pathway, the mediated effect of hope and presence of meaning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above result, advanced research,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과정에 따른 진로성숙도: 긍정 정서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검증

        조은혜,이동귀,배병훈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a)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career maturity, and (b)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reappraisal and posi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A total of 181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 including searching for meaning, meaning presence, career maturity, positive reappraisal, and positive affect. The resul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for the variables of meaning presence and positive affect, but not for positive reappraisal. The results suggests that those individuals who are looking for their meaning in life need to pursue the true mean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career maturity, and to experience positive affect to proceed in the meaning detection process. 본 연구는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과정이 진로성숙도를 이행되는 과정에서 의미추구 시 긍정 정서를 느끼거나, 부정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해석 하는 것이 의미발견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대학생 18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의미발견 과정에서 긍정적 재해석과 긍정 정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먼저 의미추구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행연구와는 달리 긍정적 재해석은 직접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사이를 매개하지는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 새롭게 투입된 긍정 정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삶의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은 실제로 의미를 발견 단계에 이르러야 진로성숙도에 도움이 되며,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정서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검증

        고영남 ( Ko Young-nam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청년 후기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 의미추구, 의미발견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삶의 의미의 하위 차원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부모애착과 의미추구 간의 관계가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지, 또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v.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의미추구, 의미발견,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매개효과가 없으나, 의미발견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eing. Participants were 372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MLQ),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mple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parental attachment, search for meaning, presence of meaning and subjective wel-eing were all positive and significant.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partially-ediated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eing, but the search for meaning did not. Third,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subjective well-eing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t implied that the search for meaning could be led to subjective well-eing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관심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지은,이동형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PM) in lif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arch for meaning (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 and analyz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ocial interest (SI) by testing if SI moderates such a mediating effect of PM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6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with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from the self-report measures of SM, PM, PW and SI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M, PM, PW, and SI. Second, P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I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M was significant as SM had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PM when the level of SI was highe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I,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I. Our findings implicate the potential facilitative role that SI plays in finding the meaning in life and experi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college students strive to search for meaning in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회적 관심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을 측정하는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의미발견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사회적 관심이 높을수록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관심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최종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추구 시, 의미발견을 돕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고영남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42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mg the variables, multi 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conducting a test, multiple mediation model operating in serial. Then, using SPSS Macro Program, a bootstrapping method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Second, the search for meaning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through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의미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간의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 각각 단순매개효과가 있는지, 또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척도, 사회적 지지 평가 척도, 삶의 만족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의미발견과 함께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을 통하거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라는 경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김유미(Yumi Kim),길혜지(Hyeji 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여고생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C도에 소재한 카톨릭계열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척도(MLQ), 자기자비척도(K-SC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자비가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Processmarco를 활용하여 분석한 후, 이러한 결과에 있어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자기자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의미추구보다는 의미발견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교가 있는 경우 두 변인 간 관계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반면 종교가 없는 경우 자기자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여고생이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기자비가 높으며, 자기자비의 수용적인 태도는 의미발견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종교 유무에 따라 종교가 없는 경우에만 자기자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난 것은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긴장과 고통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자기개념과 정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자비의 역할이 종교가 없는 경우 더욱 크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자비 증진을 통하여 삶의 의미발견을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of high school girl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Meaning of Life Scale (MLQ) and Self-Compassion Scale (K-SCS) for 235 girls'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province C.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and Process-marco was used to analyze whether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Meaning than the Search for Meaning. Self-compass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in high school girls' lives. Third, in the presence of relig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whereas in the absence of religion, self-compassion was partially mediated, showing a differe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of high school girls to pursue the meaning of life, the higher their self-compassion, and the receptive attitude of self-compassion can act as a factor that promotes the Presence of Meaning.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only in the absence of religion according to religious beliefs.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helping people maintain positive self-concepts and emotions and relieve tension and pai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absence of religion.

      • KCI등재

        자기성찰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김기정,김해란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self-reflection and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partially-mediated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self-refl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SWB) and psychological well-being(PWB), but the search for meaning does not. It implies that the search for meaning can be led to well-being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Second, self-reflection led to SWB and PWB through the search for an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it positively affected SWB and PWB. Finally, self-reflection had more effective on the search for meaning than the presence of meaning. This means that if one has a motive of search for meaning in life but it does not lead to actual discovery, the well-being of him or her can be increased through guiding self-reflection as well as encouraging him or her to find meaning in life. 본 연구는 자기성찰이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성찰과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그리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권,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소재 대학교 남녀 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73명의 유효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성찰과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의미발견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의미추구를 통해 의미발견에 이르는 경로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은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의미발견보다는 의미추구에 더 큰 영향을 보였다. 또한 자기성찰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성찰이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보다 의미추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실제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자기성찰방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의미추구를 도울 수 있는 촉진적 역할 수행이 가능하고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