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 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 검증

        심덕섭,김형진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2

        The growing interest in ethical influence of manager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social demands for ethical management by unethical incidents at home and abroad. Ethical leadership not only affects the employees’ job related attitudes and their job performance, but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culture. However, most of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have focused on 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less attention given to the employees’ negative attitude like unethical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ders’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unethical behavior,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we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i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a sample of 224 employees in 15 firm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ollowers’ unethical behavior,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help develop strong ethical leadership patterns within their teams to bolster subordinates’ positiv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Second, person-organization fit has turned out to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job performance, unethical behavior and whistle-blowing intention. This result indicated that ethical leadership directly and indirectly effects on job performance, unethical behavior and whistle-blowing intention through person-organization fit. That is, ethical leadership has an influence on the perception that subordinates are compatible with their own and their organization's goals and values, and consequently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unethical behavior and improving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Our study makes key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ethical leadership, suggesting positiv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mediation analysis i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since little research examined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unethical behavior,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through person-organization fi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Given the small number of samples, this study constitutes an exploratory attempt in nature.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attempting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generalize the recommendations. The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must be validated by further research in diverse research settings. Causality could not be claimed due to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designs are needed to settl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Such contextual variables are not fully measured in this study but could be included in future research. 최근 국내외의 비윤리적 사건들에 의하여 윤리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위해 경영자의 윤리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비윤리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함께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국내 지방 소재 15개 조직 224명의 종업원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통해 얻어진 몇 가지 사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비윤리행동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은 직무성과 향상을 이끌며 개인의 비윤리 행동을 줄여줄 뿐 아니라 구성원의 내부고발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조직 적합성은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 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조직 적합은 윤리적리더십과 비윤리 행동 및 내부고발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으며,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들로 하여금 자신과 조직의 목표, 가치 등이 부합하다고 지각하는데 영향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고,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를 제고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윤리적 리더십이 규범적 의미에서뿐아니라 실질적으로 부하의 태도 및 성과를 향상시키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윤리적리더십이 윤리적인 기업문화 정착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던 비윤리적 행동및 내부고발에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을 실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연구영역을 확대하는 한편, 리더의 도덕적 의지가 부하의 직무 태도 및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리더십 분야의이론적 공백을 보완하고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에 단편적으로검증되던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효과 연구에 비해, 윤리경영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개인-조직적합성 변수를 고찰한 국내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매개효과 가설을 함께 검증함으로써 윤리적리더십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이명신(Yi, Myung Sin),장영철(Chang, Young Chul)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사회적 학습이론 관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을 정의하고 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산업별로 대표적인 기업들을 선정하여 각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755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 중 성격의 3가지 요인인 호감성, 성실성, 불안정성은 윤리적 리더십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윤리적 풍토는 공리주의적 풍토와 원칙주의적 풍토가 윤리적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기주의적 풍토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과 결과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개인에 대한 조직시민행동(OCBI),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OCBO)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상황적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을 제고하고 직원들의 긍정적인 태도 및 행위 형성에 윤리적 리더십이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윤리적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차원을 정립하고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윤리와 리더십 분야 연구의 폭을 넓혔다. 둘째, 실무적 측면에서도 윤리적 리더십 척도의 한국적 유용성을 검증하여 기업들에게 윤리적 리더십 평가 척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윤리적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고민하는 비즈니스 스쿨들에게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ethical leadership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This study identifi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ther leadership constructs that share a common concern for a moral dimension of leadership. The overarching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ethical leadership. First, it was found that, as a part of the antece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like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thical leadership.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but neuroticism was negatively related. Second, benevolent climates and principled climates which are situational influences as the other part of the antecedent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ethical leadership. Unfortunately, the hypothesis stated that perceptions of egoistic climates are related negatively to ethical leadership was not accepted. Thirdly,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CBI, and OCBO, but ethical leader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actors such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thical climate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ethical leadership. This also implies ethical leadership is effective in shaping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Because ethical leadership and effective leadership are related, the topic of ethical leadership should appeal to scholars and practitioners with diverse motivations and interest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I hope to spur further study of ethical leadership, its antecedents and additional consequences, 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ther variables.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의 부정적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상사의 교환이데올로기, 부하의 심리적 계약 위반, 전반적 조직 불공정성을 중심으로

        김진희,이수진,변국도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1

        Recently, the concept of ethical leadership has emerged as a prominent theme in leadership literature. Although many scholarly works have focused on the consequences of ethical leadership, much less is known about the antecedents—especially the negative antecedents—of ethical leadership. Howeve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ajor challenges in developing ethical leadership in order to cultivate ethical leaders more effectively. Thus, drawing on Social Exchange Theory (SET), this research explores the negative antecedents of ethical leadership in terms of leader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s and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ir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ethical leadership. After collecting the survey responses of 220 subordinate-supervisor dyads from six large companies located in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is methods. This study found that a supervisor’s exchange ideology, subordinat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overall organizational injustice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ethical leadership. It also revealed that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 ethical leadership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anteced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dverse effects of the antecedents can lead to a decreas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the low level of ethical leadership.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오늘날 조직은 날로 높아져가는 사회의 윤리적 잣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리더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학계와 실무진의 관심은 크게 증가해왔으며, 구성원들에게 도덕적 영향력을 행사해 조직 효과성에 기여하는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주목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윤리적 리더십의 긍정적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온데 반하여 윤리적 리더십의 도전과제가 될 수 있는 문제요인에 대한 관심은 매우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그러한 공백에 주목하여 무엇이 윤리적 리더십의 형성과 실천을 좌절시키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상사의 개인특성, 부하와의 관계, 조직의 특성 차원의 부정적 선행요인이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결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를 대표하는 여러 대기업에 근무하는 일반 사무직 구성원과 그 직속상사 220쌍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사의 교환이데올로기, 부하의 심리적 계약 위반, 전반적 조직 불공정성이 윤리적 리더십에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은 선행요인과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상사의 교환이데올로기, 부하의 심리적 계약 위반, 전반적 조직 불공정성이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를 통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의 부정적 선행요인을 조명하고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 관점에서 이론적 논거를 제시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을 보다 균형적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리더십을 양성하고자 하는 조직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리더만족의 매개역할 및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 -

        김왕선,손승연,정원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1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다수의 사건들은 조직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더욱이 조직의 비윤리성은 이미지 실추와 함께 실질적인 성과를 떨어뜨리며, 때로는 돌이킬 수 없는 불행한 종말 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윤리에 대한 인식과 그 수준이 향상되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도 윤리경영의 핵심인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 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에 직결되는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관계에서 리더만족의 매개역할과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군 간부 150명과 직속상사 90명의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조직에 이로운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반생산적 업무행동인 일탈행동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 및 SP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윤리적 리더십의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만족을 통해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낮을수록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만족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밝힌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윤리적 리더 십의 효과를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확인함으로써 선행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확장하였다는 시사점이 있 다. 특히 국내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실질 적인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리더만족의 매개역할 검증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시민 행동 및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고려되 지 못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태도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힘 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물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말미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Recently, more and more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ethical practices of organizations because of the ethical dilemmas and scandals occurred in modern organizations. The unethical practices of organizations tarnish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s and drop the performance, which consequently influence the fate of the organizations. Therefore, the scholarly interests on ethics in business practice have been growing over last decade and one of the widely studied topics is ethical leadership since it has been considered the core of ethical busines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ethical leadership in predicting th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ethical behaviors of leaders are relate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of follower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satisfaction with lea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behaviors of subordinates. Finally, we tri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with ethical leadership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deviant behaviors through their satisfaction with leader.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es from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90 leaders and 150 subordin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has not on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but also negative effects on deviant behaviors. It indicates that leaders ethical behaviors foster positive voluntary behaviors of subordinates and restrict negative behaviors.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leader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positive discretionary behaviors (i. 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negative behaviors (i. e., deviant behaviors). This results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subordinates’ behaviors occurs through satisfaction with leaders. Subordinates satisfy with their leaders when they see ethical behaviors of their leaders and then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positive discretionary behaviors whilst reducing negative behavior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was also verified, such that the amount of satisfaction variation was low when a subordinate is politically skilled. This indicates that a person with low political skill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behaviors of their subordinates due to the lack of internal resources than those with high political skill who can easily interact with external environ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irst of all, as hypothesized, leaders ethical behaviors influence both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of their subordinates. These findings can be explained by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When subordinates experience ethical leadership they not only learn their leaders’ behaviors but also try to return their leaders favors. Second, the process of the effects of leaders behaviors occurs first through formulating subordinates’ attitude toward their leaders. While there have been requests to explore the influence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examined the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This study explained one way of influence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Finally, the effects of leaders’ ethical behaviors on followers’ attitude are dependent on the level of internal resources of followers. This result indicates that we should consider follower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ore thoroughly understand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 KCI등재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 -

        안장수,정원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4

        급변하는 조직환경 속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리더의 특성과 행동은 조직연구에서 오랜 관심사였다. 오늘날 조직연구에서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1세기 들어서면서 조직의 규모나 성격을 막론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리더의 윤리성이 조직의 성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어 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가설을 분석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리더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직무환경에 대해서 깨어있음을 느끼게 하고,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이 높아지면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도덕적 강도에 의해서 정(+)적으로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보다 중요하게도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마음챙김과 도덕적 강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조직의 관점에서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 하여금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In spite of the increasing studies on the ethical leadership in organizations, there are many questions to be explored. In particular,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studies should examine the influential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doing so, we introduced mindfulness of followers as a potential mediator. Moreover, we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followers through their mindfulness would be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indfulness, and moral intensity, and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s among above-mentioned constructs and empirically examined aforementioned relationships.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Air Force. The results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at is, followers working with leaders who exert high ethical behaviors are more likely to show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s mediated by mindful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Ethical leadership enhances the level of mindful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n, enhanced level of mindful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mindfulness is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such that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s on mindfulness i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moral intensity than those with lower moral intensity.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mindfulness is also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i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moral intens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attitudes and behaviors.

      • KCI등재

        조직지원 인식, 윤리적 리더십, 상사 신뢰, 직무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 영업사원 관점

        권오영,편해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윤리적 리더십의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윤리적 리더십의 개념 정립 및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윤리적 리더십의 결과에 대한 연구,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연구대상은 개별 구성원의 윤리적 리더십을 측정하는 것에서 조직의 윤리적 리더십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연구분야 또한 지금까지는 주로 인사 조직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점차 마케팅 및 유통 분야 등과 같이 다양한 연구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흐름을 반영하고, 상대적으로 연구공백이 큰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종합적으 로 검토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래서 조직지원 인식이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사회학습 이론과 사회교환 이론을 유통경로 조직내의 교환관계에 통합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도출하였고, 유통업체에 근무하는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성·타당성 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가설을 분석한 결과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조직지원 인식이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으로써, 기존에 연구가 매우 미흡했던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을 확장하였다. 둘째, 조직지원 인식, 윤리적 리더십, 상사 신뢰, 직무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함으로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윤리적 리더십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 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기존에 부분적으로 설명되던 사회학습 이론과 사회교환 이론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윤리적 리더십과 관련 개념간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이론의 적용을 확장하였다. 실무적인 면에서는 구성원의 이탈을 막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 과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차원에서 각종 지원을 마련하고, 윤리적 리더십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Salespeople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 value of their market offerings to customers. The ethical leader is an honest, trustworthy and principled individual who cares about people and makes fair and balanced decisions. Ethical leadership is the demonstration of normatively appropriate conduct through personal ac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promotion of such conduct to followers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reinforcement and decision-making By practicing ethical leadership, sales managers would be able to establish core value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 lot of research conducted on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thical leadership, trust in leader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salesperson’s perspective. So,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nd test an empirical model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thical leadership, trust in leader, and job satisfaction in channe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we describ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thical leadership, trust in leader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and hypotheses in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salespeople’s data were collected as samples,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overal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esented, followed by limitations and further study direction.

      • 윤리적 리더십 고찰

        김용주 윤리문화학회 2012 윤리문화연구 Vol.8 No.-

        윤리적 리더십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기업의 CEO 윤리적 리더십을 연상한다. 그러나 윤리적 리더십은 개인은 물론이고 조직이 있는 모든 사회에 적용되는 단어이다. 윤리적이라 함은 정의하기에도 참으로 애매한 의미이다. 왜냐하면 개인마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어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윤리적 리더십 역시 상황별, 환경, 리더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기업의 윤리적 리더십은 CEO의 성격, 의식, 정서, 기업의 비전, 기업환경, 기업의 업종, 거래선, 기업의 규모, 기업 종업원의 구성, 업무의 성격 등에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상황에서 맞춤형 윤리적 리더십의 이론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 발전 가능성을 위해서는 꼭 윤리경영과 윤리적 리더십은 이행해야만 할 필수 조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윤리적 리더십 이론들은 리더가 어떤 행동이 옳고 공정한 것인가? 또는 선한 사람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경영자나 리더들이 자신의 윤리적 리더십 행동을 이해하고 강화시켜 나가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윤리적 리더십 원칙들은 리더들의 리더십 행동을 위한 행동규범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나는 지금 타인을 존중하고 있는가? 나는 타인에게 배려하는 행동을 하는가? 나는 타인에게 공정하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는 타인에게 정직하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는 사회공동체에 대하여 봉사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 원칙들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즉, 리더십은 조직의 모든 멤버들이 공유하는 사회적 영향 과정이다. 리더십은 특정지위나 역할을 맡은 한 개인이 미치는 영향에서 제한되어 있지 않다. 추종자들도 리더십 과정의 한 부분이다. 최근 학자들과 전문가들은 리더십과 Followership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윤리적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핵심적 과제는 리더와 추종자(Followership)들의 관계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윤리적 리더가 되려면 타인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타인을 공평하게 대우하며, 타인을 성실하게 보살펴주는 리더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향후연구 제언

        김창환,손승연 한국윤리경영학회 2022 윤리경영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thical leadership in Korea. For this study, ethical leadership research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ecause the concept of ethical leadership has been actively discussed and investigated overseas since Brown et al. (2005), the data collection process focused on papers published after 2005. A total of 143 papers were reviewed, and factors affecting ethical leadership were analyzed. Keyword and network analysis was also employed to visualize and confirm the variables that ethical leadership was directly related to.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omestic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have mostly occurred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but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mpared with other leadership theories. Second, because many of the studies conducted questionnaires with responses at the individual level, research with more diverse methodological approach is required to avoid distorting or misinterpreting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Third, past studies have generally positioned ethical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 research on the antecedents of ethical leadership is lacking to date. Therefore,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analysis of attitudinal and behavioral variables associated with ethical leadership are requir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in more depth by asses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between generations. 본 연구는 국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동향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학술지 중 윤리적 리더십 실증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Brown et al.(2005)의 연구 이후 해외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개념 정립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국내도 동일하게 2005년 이후 발간된 논문을 중점적으로 탐색하였고,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총 143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으며, 키워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변수들과 연관이 있는지를 시각화하였다. 윤리적 리더십 국내 연구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의 국내연구는 경영학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다른 리더십 이론들과 비교하여 연구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더욱 많은 연구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즉 윤리적 리더십을 발현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선제적 관점에서 윤리적 리더십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개인차원에서 또한 동일 응답 원천으로 설문을 진행한 연구가 대부분이므로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이 왜곡되거나 허위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방법론상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세대 간 윤리적 리더십의 인식 및 효과 차이 검증을 통해 현재 사회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리더십의 수준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를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