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동향 분석

        박근희(Park K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18년 10월까지의 유사 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 후의 유사 문법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사 문법 연구의 범위를 획정(劃定)하고 분석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학위 및 학 술지 논문 693편의 연도 및 유형별,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유사 문법 연구는 연도별로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2017년에 이르러서는 2008년에 비해 약 3배의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학위 논문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주제 영역에서는 ‘유사 문법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55.6%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유사 문법의 변별을 위해 담화 층위의 의사소통에서 구현하고자 한 연구들이 증가하였고, 의미·기능뿐 아니라 음운이나 형태가 유사한 문법항목 간의 비교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사 문법 교수 학습’ 영역의 연구에서는 유사 문법의 ‘사용 양상’에 주목한 연구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을 개발하거나 개발한 교육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는 실험 연구의 수는 부족하여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유사 문법 체계’ 영역의 유사 문법의 개념 및 범위 획정에 관한 논의들을 통해서는 유사 문법 연구의 외연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자를 고려한 유사 문법 목록 선정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유사 문법의 내용 기술 원리’를 거시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살피는 연구와 학습자 수준별, 언어권별, 단계별 항목 배열 등에 관한 논의들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Similar Grammar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Similar Grammar research from 2008 to the end of October 2018.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scope of Similar Grammar research is defined, the analysis procedure is presented, and lastly, the study trends of 693 selected theses and journals are reviewed by year and theme. As a result, Similar Gramma studies showed a steady upward trend by year, and by 2017, it has grown about 3 times as much as in 2008. And theses have been confirmed to lead them. Meanwhile, in the area of theme,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on Education Contents of the Similar Grammar’ were most actively carried out, which accounted for 55.6% of all studies. And it is found that for the discrimination of Similar Gramma, the researches to be implemented in the communications of the Discourse Levels have increased, and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grammatical items similar in phonemic and morphological forms as well as the meaning and function are actively carried out. It is also confirmed that in studies of Similar Grammar Education areas, studies focusing on the Use Patterns of Similar Gramma have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but the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developing new educational methods or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educational methods is insufficient, which needs further studies. Through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 and the definition of the scope of the Similar Gramma System , it is verified that the studies of Similar Gramma are gradually expanding and researches on the selection of lists and type classification of Similar Grammar considering learners are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researches which examine the Principle of content description of Similar Grammar systematically on the macro level and studies on learner s level, Sprachraum, linguistic level, and etc are still lacking and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개념 연구 ―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적 관계를 중심으로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items of grammar that have similar func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discuss the concept of a similar grammar that i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considerable content concerning “what grammar to teach” before “how to teach grammar.”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e grammatical items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created and which contents are nee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do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content is taught along with a study of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the grammatical item,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notion of a similar grammar.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honological grammar in the framework of grammar education for grammatical items with similar functions; these are taught by comparing or contrasting individual grammar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grammatical item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based on Korean grammar items for foreigners are called “similar grammars”; this is the concept I wish to summarize.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유사한 기능을 하는 문법 항 목들을 살피고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유사 문법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논 의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에 대한 연구는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앞 서 ‘문법의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내용 연구가 많았다. 한국어 교육에 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법 항목들의 정체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 구성 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그 내용이 교육 현장에 필요한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 하다. 이 때문에 문법 항목의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이 내용의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도 함께 살펴야 유사 문법이라는 개념에 접근이 가능하다. 이 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개별 문법 항목들을 비교 또는 대조하여 가르치고 있는 유사 기능을 가진 문법 항목들에 대해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적 차이들을 문법 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들을 중심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법 항목들을 유사 문법이라고 칭하고 그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은 유사 문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유사하다는 개념 안에서 한 국어 교육 문법 항목들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살피고,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용 문법 사전에 기술된 유사 문법 항목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이 를 통해 유사 문법 항목의 유사하다는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

        이지용 ( Lee Ji-yong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유사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교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측면에서 문법 항목 사이의 유사성이 발생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해하여, 학습자가 이를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교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법 항목 사이 발생하게 되는 `유사성`에 대한 개념과 이에 따른 세부 유형에 대한 체계적 규정이 필요하다. 의심할 여지없이 문법 항목 사이의 유사성은 바로 유사 문법 항목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모국어 화자는 문법 항목이 서로 유사한지 아닌지 한 눈에 알 수 있지만, 외국인 학습자가 문법 항목들의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 항목의 관계에서 도출된 유사 문법 항목에 대한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밝혀내기 위해 `유사성`의 개념을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의 범위를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을 구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elect and teach similar grammar in Korean to foreigners,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apprehend what similarity occurs in which aspect of grammar, and need to instruct to cultivate ability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m. As foreign learners are un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ity like a native speaker, the similarity becomes one of the major cause of error in learning Korea. Therefore, through explicit learning, one must instruct students to learn contents that are relevant to similarity of grammar.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regula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similarity” and its specific types that occur in grammar. Without doubt, similarity in grammar is the essential element defining the similar grammar items. Native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 grammars in natural, but foreign learners have hard time recognizing the similarity in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mposition, system of grammar to clearly verify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r, and determine the concept of “similarity”. Also, the study aims to discuss the range of “similarity” that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and propose the specified types of similar grammars based on the discussion.

      • KCI등재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 연구

        이지용 ( Lee Ji Y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문법 항목들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미 교육의 현장에서는 이러한 문법 항목들이 함께 제시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용문법 사전이나 기존 연구에서도 서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문법 항목들이 여러 측면에서 비교되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연구에서는 문법 항목들의 비교 기준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비교 대상으로 묶인 항목들도 서로 다르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와 한국어 문법 사전을 면밀히 분석하여, 유사한 문법 항목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그 개념을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제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 온 항목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여 체계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 용어와 개념인 교육 문법과 문법 항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육의 교육 문법으로서의 위치를 정립하고, 이에 따른 문법 항목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 규정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사 문법항목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용 사전을 분석하여 유사 문법 항목의 특성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밝혀진 유사 문법항목의 특성을 통해 그 개념을 명시화하였으며, 이로써 다양한 기준과 관점으로 제시되어오던 항목들을 정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concept of a similar grammar item of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requests for grammar items which have a similar trait, have been raised consistently. These grammar items are already being presented in the education field, and, even in Korean dictionary, grammar items considered related each other are being compared and present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in these existing studies, not only are comparing standards of grammar items various, but also even items bound as a comparing subject are being presented each other in different ways. Therefore, by analyzing existing studies and Korean dictionary thoroughly and identifying the property of similar grammar items,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clearly. It`s because we can make a frame to classify and systemize the items by a consistent standard which have been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this, first, this study arranged contents about educational grammar and grammar items which are related terms and concepts. Next, analyzing Korean educational dictionary based on it, we identified a characteristic of similar grammar items. In conclusion, we specified the concept through the property of similar grammar items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a foundation to arrange item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different standards and views.

      • KCI등재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난 언어의 시대적 특징 고찰

        박용식(Park Yongsik)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이 글은 학계의 묵은 고민거리 가운데 하나였던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의 언어가 반영하는 시대적 특징의 한 부분을 고찰한 논문이다. 향가에 나타난 언어 사실에 대한 연구가 종래에는 그 작품의 창작 연대를 참작하여 그 당시의 언어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막연히 추측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기에 대한 반성이 있었으나 지금까지는 뚜렷한 검토 작업이 없었다. 그러나 근래에 이두 자료는 물론 특히 석독구결 자료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에 따라 향가 자료를 이두 자료, 석독구결 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존 향가 자료가 창작 당시의 언어 사실을 어느 정도까지 반영하고 있는가를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等’과 ‘尸等隱/尸等焉’의 문법화 정도, ‘腸’의 한자음 변화, ‘爲, 白’의 분포 등의 검토를 통해『삼국유사』향찰에 반영된 언어의 시대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두 자료에 나타나는 ‘(?)等’은 13세기 이전 자료에는 모두 통사적 구성인 [[[-ㄹ]#@]+-ㄴ]만 나타나며, 문법화되어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어말어미인‘(?)等’은 13세기 이후의 자료에만 나타난다. 반면, 7~9세기에는 ‘(?)等’의 문법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창작된 것을 수록한 『삼국유사』향찰의 ‘(尸)等’은 모두 문법화가 완성된 것만 나타났다. 그리고 존경의 선어말어미 ‘賜[시]’가 1031년에 간행된『약목정두사석탑조성형지기』까지만 나타나며, 그 후대 자료에는 ‘敎’가 나타나는데,『삼국유사』 소재 향찰에는 존경의 선어말 어미로 ‘賜’뿐만 아니라 ‘敎’도 나타난다. 이는『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는 창작 당시의 언어적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한자어에 통합하여 접미사 구실을 하는 ‘爲’는 8세기 이후의 이두 자료나『균여전』에 수록된 향가에는 나타나지만『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선어말어미 구실을 하는 ‘白’이 역시『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나지 않는 점은,『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는 9세기 이전에 창작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문법형태소는 후대에 창작된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가 오히려 앞선 시대 언어를 반영한 반면 어휘면에서는『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가 창작 당시의 언어를 의고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鄕札),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It has been a common tendency that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 show the period of Hyangga(鄕歌)'s writing. We know that it is open to question in accordance with research works of Idu(吏讀) and Kugyol for translation. By Now there were not any definite studies to verify it. We examined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by investigation of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等’ and ‘尸等隱/尸等焉’, the change of sound of ‘賜’ and the distribution of ‘爲, 白’. Investigating Idu data, all ‘(乙)等’ shows syntactic construction before 13th countrey, but it become a ending that means [con-dition] after 13th century. The other hand, ‘(乙)等’ is a ending that means [condition]. And pre-ending ‘賜’ does not show after early year of 11th century, but ‘敎’ that roles same as ‘賜’ appear from the middle year of 11th century. The features of it mean that grammar of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is affected by the grammar of 13th century. By the way ‘爲’ that is suffix appears after 8th century, but it does not appears in the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And it is same case of ‘白’ that is pre-ending. Because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is made before 9th century, the features of it is caused.

      • KCI등재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한국어 유사문법 교육 방안 연구

        박종호 ( Jongho B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이 연구는 비주얼 씽킹을 활용하여 한국어 유사 문법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사 문법 표현인 ‘-고 있-’과 ‘-는 중이-’의 문법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고 있-’과 ‘-는 중이-’는 ‘진행’의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유사 문법인데, 동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적 의미의 활용 양상이 달랐다. 또한 이 두 문법 표현은 형용사와의 결합 제약이 있는데, ‘-어지다’와 결합하면 동사처럼 활용이 가능하며 형용사가 나타내는 상태로 변화가 진행됨을 나타낸다.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교육 방안에서는 문법 정보의 시각화를 통해 교사 제시 문법과 학생들 학습 문법의 단순화를 통해 유사 문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좀 더 체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이며, 다양한 문법 교육 방법 정립에 기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to effectively educate Korean similar grammar using visual thinking. For this purpose, the grammar features and functions of the similar grammar expressions ‘-고 있-’ and ‘-는 중이’ are analyzed and the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고 있-’ and ‘-는 중이’ are similar grammars that represent the upper meaning of ‘progress.’ The utilization of the upper meaning differ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with the verb. In addition, both of these grammatical expressions have a combination constraint with adjectives, which can be used like a verb when combined with ‘-어지다’ and changes are progressed in the state of adjectives. In the education plan applying visual thinking, the method was prepared to understand similar grammar accurately and systematize it more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grammar presented by teachers and grammar learned by students through visualization of grammar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 new attempt to teach Korean grammar and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grammar education methods.

      • KCI등재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원칙

        양명희(Yang, Myung-he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본고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을 위해 주요한 몇 가지 원칙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문법서를 검토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문법 교육 내용의 세부정보를 표제어와 의미 및 용법, 예문, 형태 정보, 문장 구성 정보, 제약 정보, 확장, 유사 문법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문법 교육 내용 정보는 교수 순서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교육 내용 기술의 제1 원칙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들의 문법서 내용에 대한 요구 결과를 충실히 반영한 구조이다. 내용 기술의 제2원칙은 문법 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문법 범주의 활용, 교수에 유용한 의미 상세화, 문법 용어의 사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세 번째 원칙은 의미 및 용법을 이해하기 위해 의미 및 용법과 긴밀하게 연결된 예문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며, 네 번째 원칙은 규칙화할 수 있는 형태 정보, 문장 구성 정보, 제약 정도 등은 오류 분석에 기초해 좀 더 세밀하게 기술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사 문법 기술 원칙으로 상황 예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제약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내용에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이러한 문법 내용 기술 원칙은 학습자들의 한국어 유창성과 정확성을 배양하기 위해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문법 교육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inciples of describing Korean pedagogical grammar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crease, accuracy is as important as fluency. First principles of describing Korean pedagogical grammar is to satisfy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the survey of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nalysis three grammar books, the contents was organized and arranged; grammatical form, the meaning and usage, example sentences, morphological information, sentence structure information, grammatical restriction information, and confusing grammar. In Chapter 3 four principles are presented; the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easy and accurat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meet the second principles, grammatical categories, the division of meaning and usage, and grammatical terminology should be considered. Example sentence should be show the meaning and the usage. Morphological information, sentence structure information, and grammatical restriction information should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learners’ errors. Forms which have similar meaning should be compared by situation example and grammatical restrictions.

      • KCI등재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내용 기술

        이지용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8 No.-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cal descriptions of instructional contents designed to teach similar Korean grammar items. We specifically examined how educational contents involving similar items were described using ‘-거든’ and ‘-으면/-면’. First, we compared the contents of a Korean grammar dictionary that described the usages of similar grammatical items. We then reviewed the parts that required supplementation and suggested a principle of contents technology. We also examined the use patterns of these items as presented in the corpus. Based on these results, we then determined concrete methods for describing the contents of similar grammatical items. This study revealed that such contents could be analyzed using the corpus to provide content descriptions for similar items presented in the forms of ‘-거든’ and ‘-으면/-면’. 본 연구는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기초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조건의 연결어미인 ‘- 거든’과 ‘-으면/-면’ 항목을 대상으로 한국어 유사 항목의 교육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먼저 문법 항목의 사용법을 기술한 한국어 문법 사전의 내 용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완할 부분을 검토한 후, 내용 기술의 원리 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에 제시된 항목의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유사한 문법 항목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말뭉치를 활용하여 유사 항목의 내용 기술 시 분석할 수 있는 내용 범주에 대 해 ‘- 거든’와 ‘-으면/-면’을 대상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 연구 -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

        신범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학 Vol.20 No.3

        본 연구는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사 문법 항목의 형태ㆍ의미ㆍ맥락 정보 명세화를 통해 항목 간 변별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지점을 살폈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해, 중급 이후 단계에서 ‘와/과, 하고, (이)랑’의 변별적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 항목이 모두 초급 단계에서 제시됨으로 인해, 이들 문법의 맥락 정보가 충분히 교수되지 못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초급에서 고급 단계에 걸친 ‘와/과, 하고, (이)랑’의 제시 단계와 각 단계별 교수 학습의 초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급 이후 단계에서 문법 사용의 적절성을 제고할 수 있는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methods of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for teaching similar grammatical items, with a specific focus on wa/gwa, hago, and (i)rang. We first identify the points where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similar grammatical items are most noticeable, through a specification of their form, meaning, and context information. Next, an analysis of the learner corpus confirms that discrimination in the use of wa/gwa, hago, and (i)rang is not achiev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ecause all three items are introduced at the beginner level without sufficient context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stages of presentation of wa/gwa, hago, and (i)rang from the beginner to advanced stages and specifies the focu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mon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that enhances the appropriateness of grammar use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 KCI등재

        용법에 따른 유사 문법 교육 연구: ‘듯’ 류 문형의 항목화를 예로 들어

        김민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Korean similar grammar according to 'Usage' for foreign students.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problems of meaning, form, function, and discourse-function similarity in describing similarities in similar grammar research areas. And, in the method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e found that the usage is the best way to explain the multi - layer similarity. In Chapter 3, first, we have raised the question of how the Grammar group with 'Deut' is perceived and distinguished in both Korean and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There are many different forms like ‘-Deut’, ‘-eul Deut mal Deut’, ‘-eun Deuthada’, ‘-daneun Deut-si’ and so on, but they are not discussed properly. Next, we created new categories according to Usage. This group consists of 1)Description of behavior through metaphor, 2) Behavioral representation based on behavioral awareness, 3) Description ofDescribe the ambiguous behavior of the subject, 4) Speaker's conjecture, 5) Description of the state, 6) Situation in which something seemed to happen was broken, 7) Final ending that expresses the speaker's guess on the web. Each usage has one or two sentence patterns. When two patterns are presented, I explained the differences of meaning and showed what kind of usage is changed when the modifier form is changed. 이 연구는 유사 문법 연구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가운데 문법 변별의 지표로 ‘용법’을 제안한 논의이다. 의미, 형태, 기능 등 기존의 분류 방식이 유사 문법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보였다. 이어 한국어 직관이 없는 외국인학습자를 위해 의사소통 교수법에 걸맞도록 용법을 중심으로 언제, 어떻게 쓰이는지에 관한 내용을 문법 정보로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듯’을 공통 어소로 가진 문법군을 ‘듯’류 문법으로 칭하고 이의 항목화와 구체적명세화를 시도하였다. ‘-은/는/을 듯’, ‘-다는 듯이’, ‘-은 듯 만 듯’, ‘-듯이’ 등 ‘듯’ 류 문법은 의미, 형태는 물론, 문법범주에 걸쳐 복합적인 변별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 국어학 영역과 한국어교육 영역 모두 해당 문법을 상세히 다루지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듯’류 문법을 용법에 따라 비유를 통한 행동 묘사, 동작주 인식에 근거를둔 행동 묘사, 대상의 모호한 행동 묘사, 화자의 추측, 상태의 정도 설명, 일어날 것 같은 일이 결렬된 상황, 웹상에서화자의 추측을 표현하는 종결 어미 등 7가지로 나누었고, 각 용법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문형을 절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2개의 문형이 제시된 경우 어떠한 의미 차이가 있는지, 바꿔 쓸 수 있는지, 관형형이 달라진 경우에는 어떠한 쓰임으로바뀌는지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