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내용 기술

        이지용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8 No.-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cal descriptions of instructional contents designed to teach similar Korean grammar items. We specifically examined how educational contents involving similar items were described using ‘-거든’ and ‘-으면/-면’. First, we compared the contents of a Korean grammar dictionary that described the usages of similar grammatical items. We then reviewed the parts that required supplementation and suggested a principle of contents technology. We also examined the use patterns of these items as presented in the corpus. Based on these results, we then determined concrete methods for describing the contents of similar grammatical items. This study revealed that such contents could be analyzed using the corpus to provide content descriptions for similar items presented in the forms of ‘-거든’ and ‘-으면/-면’. 본 연구는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기초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조건의 연결어미인 ‘- 거든’과 ‘-으면/-면’ 항목을 대상으로 한국어 유사 항목의 교육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먼저 문법 항목의 사용법을 기술한 한국어 문법 사전의 내 용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완할 부분을 검토한 후, 내용 기술의 원리 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에 제시된 항목의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유사한 문법 항목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말뭉치를 활용하여 유사 항목의 내용 기술 시 분석할 수 있는 내용 범주에 대 해 ‘- 거든’와 ‘-으면/-면’을 대상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원인ㆍ이유 연결형 문법ㆍ표현의 기계번역 양상—카카오아이, 구글, 파파고 번역기를 중심으로—

        이지용 현대문법학회 2022 현대문법연구 Vol.115 No.-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rriv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lready actively being used in many areas that were considered to be areas that only humans could do.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situation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ranslator. As time goes by, it is obvious that a high-performance translator will be developed. However, it is time to discuss how translators can be use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items presented as similar grammar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alcula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lator. Korean similar grammar item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for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field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his is because grammar items with similar functions exist in various for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equivalent grammar items that perform these similar functions are realized through machine translati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ree types of translators are compared, and furthermore, the accuracy is determined by using the reverse translation method. Based on these research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in machine translation and the parts to be considered when using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 KCI등재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근대화에 대한 프로파간다부터 포스트휴먼 담론까지

        이지용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2

        본 고는 한국에서 SF가 장르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제까지 한국에서 SF가 가지고 있었던 특징에 대한 연구는 주로 SF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요소들에 대한 의미를 밝히거나 작품에 대한 특징들을 지엽적으로 리뷰하는 형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론은 장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SF 텍스트들에 대한 정체성을 간과하고 기존의 방법론을 통해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SF라는 장르 텍스트의 가치를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서는 장르의 관습과 코드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본 고는 우선 한국의 SF가 어떤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들어와서 한국 사회에 수용됐으며, 그 안에서 어떤 의미와 특징들을 가지고 창작되고 독자들과 관계를 맺었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학술담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대중서사 및 장르서사로서의 SF에 대해 본격적으로 조망하고, 21세기를 지나 과학적 상상력이 중요해진 시대에 각광을 받으면서 사회적으로 재조명 되기 시작한 SF가 가지고 있는 현재와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재고해 보고자 한다. 본 고는 한국의 SF 텍스트들이 학술담론 내에서 의미작용을 하는데 기본이 되는 배경을 위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그동안 문학의 영역에서도, 그리고 문화현상의 영역에서도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수많은 한국 SF는 이후로 학술담론 내에서 유의미한 가치들을 평가받고 이후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재조명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결과적으로 21세기 이후에 다양하게 변주되어 나타나고 있는 한국 서사 영역의 확장과 담론의 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스포츠중계 브랜드 광고 노출효과 분석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 기반 OCR 기술적용

        이지용,박재현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5 스포츠사이언스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기반의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을 적용하여 스포츠중계 영상에서 브랜드 광고 노출효과 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개발된 시스템은 영상 업로드, 이미지 슬라이싱, 텍스트 인식, 노출 빈도 분석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시스템의 인식 정확도는 98.2%로 나타났다. 또한 총 12시간 11분 34초의 영상 중 브랜드 로고의 노출 시간은 10시간 37분 41초(87.17%)로 집계되었고, 노출 빈도는 154,697회로 분석되었다. 본 시스템은 높은 정확도와 실시간 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기존 수작업 방식 대비 효율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향후 다양한 스포츠 종목 및 방송 환경에 적용 가능한 확장성과 실용성을 지닌다. 이 연구는 대규모 스포츠중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빅데이터 시대의 5V(Volume, Velocity, Variety, Veracity, Value) 요구를 충족하는 새로운 분석 패러다임 을 제시함으로써 스포츠 산업 및 광고 시장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ystem that quantitatively analyzes brand advertisement exposure in sports broadcas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our main processes: video upload, image slicing, text recognition, and exposure frequency analysis. The system demonstrated a high text recognition accuracy of 98.2%. Among the total video duration of 12 hours, 11 minutes, and 34 seconds, the brand logo appeared for 10 hours, 37 minutes, and 41 seconds (87.17%) with a total exposure frequency of 154,697 instances. Compared to traditional manual methods, the system significantly improves efficiency and reliability by enabling real-time, automated analysis. It also possesses scalability and practical applicability for various sports and broadcasting environment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analytical paradigm that efficiently processes large-scale sports broadcast data and meets the 5V (Volume, Velocity, Variety, Veracity, Value) requirements of the big data era, thereby contributing to data-driven decision-making in the sports and advertising industries.

      • KCI등재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이지용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나와 상대방,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실천적 행위를 통해 이를 다듬어 나가는 진보적 언어 행위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언어 감수성’을 일깨워야 한다. 저자 신지영은 전작 『언어의 줄다리기』에 이은 『언어의 높이 뛰기』에서 언어 민감도를 향상할 필요에 대해 주장한다. 그리고 이 언어 민감도를 ‘언어 감수성’으로 명명하며, 이를 위해서는 역지사지의 원리에 따라 인간, 사회, 문화, 그리고 상대에 대한 이해의 깊이 가 더해져야 함을 여러 사례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언어는 사회적 규약이며, 이와 동시에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우리의 도구인 언어를 다듬어 나가야 한다. 저자는 이러한 행위를 높이 뛰기로 비유한다. 높이 뛰기를 통해 도약함으로써 우리의 언어는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어제보다 나은 우리의 진보를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가 우리의 사고에 어떻게 작동하는 지 포착할 수 있는 언어 감수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언어가 반영하고 있는 사회와, 언어를 통해 조성되는 사고를 파악할 수 있을 때, 우리의 언어와 사회는 진보하게 될 것이다. ‘Language sensibility’ should be alerted to review myself, counterpart, and the society which are revealed by language and to be the subject of the progressive language act that is refined by the practical act. After the previous book, ‘tug of war of language,’ Ji Young Shin, the author of ‘high jump of language,’ argued the needs to improve language sensitivity. Also she named this language sensitivity into ‘language sensibility,’ showing multiple cases that this could be realized by deepened understanding on people, culture, and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utting yourself in someone else's shoes. Language is a social norm and applies the society. We consider both characteristics to refine the language which is the tool. The author is compared these behaviors with high jump. Leap by high jump can advance our language. To apply the language with our progresses better than yesterday, language sensibility should be secured to be able to understand how the language works for our thinking processes. Our language and society can advance only if the society that language is applied in multiple aspects and thinking by language are well understood.

      • KCI등재

        인공지능기반 스포츠 승부조작 위험성 탐지 시스템 구현을 위한 모형개발 및 설계

        이지용,박재현,윤지운,윤효준 한국체육정책학회 2023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21 No.3

        Previous research suggest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match fixing and sports betting odds,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detecting match fixing through odds analysis. However, real-time odds fluctua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not only final odds but also volatility to detect abnormal be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atch-fixing risk detection model using sports betting dividend variability. Odds data from 216 matches in the 2010 K-League season were used, with variability calculated as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model, measures such a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The final detection model, with an accuracy rate of 82.9%, was established with a difference rate >100% greater than 4 and a minimum betting turnover rate of 10.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utilizing odds volatility is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detecting high-severity issues such as odd betting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This study’s findings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system that can detect and prevent sports match-fixing in advance through odds analysis, ultimately reducing the risk of illegal gambling in sports betting.

      • KCI등재후보

        한국 SF의 장르적 개별성과 현대적 주제 의식

        이지용 (재)한국연구원 2021 한국연구 Vol.0 No.8

        한국 SF는 1907년에 일본 유학생들의 소식지에 번안되어 소개된 이후, 1920년대에 창작품이 나오면서 한국 근현대사 및 문학사와 함께해 온 장르이다. 하지만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 때문에 대중적인 확산이나 학술적인 의미작용에서는 배제되어 왔었다. 그런데 이러한 분위기가 2016년도 이후부터 변화의 조짐이 보였고, 이후 발전을 거듭해2021년 현재에는 한국의 문화예술 현장에서 중요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같은 현재의 의미들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이후의 가능성들에 대한 논리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누적되기 시작한 한국 SF의 맥락들을 살펴볼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실질적인 성과들이 부각되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의 ‘과학기술창작문예’에서부터 나타난 전문작가군의 등장과 그 특징 및 의미들을 파악하고, 해당 시기의 작가들이 적극적으로 섭렵하여 작품화한 동시대적인 이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시대적인 이슈들에 대한 작품화는 작가의 개별적인 역량이기도 하지만, SF의 장르적인 특징과도 연결된다. SF 내에서 구현되는 주제는 그 사회의 개별성과 SF의 장르적 특징이 결합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들이 한국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2015년을 기점으로 하여 페미니즘을 비롯해, 인류세 및기후위기 문제과 관련된 주제, 그리고 포스트휴먼 논의들에 대한 작품들이 눈에 띄고,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도 의미있는 메시지들을 생산해왔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장르적 특징들로 인해 주제의 현대성을 빠르게 획득한 한국 SF는 2016년 이후에 SF의 새로운 독자군들을 확장하면서 대중적인 영향력도 획득할 수 있었다. 그리고이러한 영향력을 통해 발표 매체의 다변화와 시장의 확장으로 이어져 향후 장르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한국 SF의 내외부에서 나타난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연결되면서 현재의 한국 SF라는 장르를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그 의미들이 나타난 지점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모션캡처 기반 태권도 움직임 궤적 시각화 미디어아트 기법

        이지용,김영은,남상훈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인간의 움직임의 궤적을 시각화하기 위한 예술적인 노력은 계속해서 진행되었다.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였던 움직임의 궤적을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시각화하면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모션캡처 기술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게임엔진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들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시각화 기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중동작의 역동성과 발차기의 화려한 기술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무도인 태권도 움직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하였다. Artistic efforts to visualize the trajectory of human motion have been tried consistently. By visualizing the trajectory of motion that occurred during a period of time in one fram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In this paper, visualization technique that expresses the trajectories of motion based on spatial data generated by motion capture technology has been studied using a game engine. In particular, we studied about the production technique of media art that expresses the trajectory of Taekwondo, representative martial art of Republic of Korea, which has dynamic technique of aerial motion and splendid technique of kic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