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신범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5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pecific ways to apply data-driven learning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Methods: A literatur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ta-driven learning. The analysis subject was research on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related to the thesis genre. Results: “Data-driven learning” was clarifi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pus to be composed to utilize it were examined. Additionally, w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ove (Swales, 1991)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for corpus analysis i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sed to analyze introductions, bodies, and conclusions. Next, we examined data-driven learning’s general procedures and methods and, based on this, an appropriate model for applica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Finally, a curriculum operati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is presented.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ata-based learning that enables learners to develop language skills related to their major through actual language data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목적: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데이터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살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데이터 기반 학습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주요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제2 언어 교육 연구, 그리고 학술 및 학위 논문 장르와 관련된 학문 목적 쓰기 연구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개념을 밝히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구성해야 할 말뭉치의 유형과 특성을 살폈다. 또한 학문 목적 쓰기에서의 말뭉치 분석 틀로서 이동마디(Swales, 1991)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서론과 본론, 결론의 분석에 활용 가능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모형을 구안하고,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실행 가능한 교육 과정 운영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언어 자료를 통해 학문 목적 쓰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반 학습 설계 및 운영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 연구 -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

        신범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학 Vol.20 No.3

        본 연구는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사 문법 항목의 형태ㆍ의미ㆍ맥락 정보 명세화를 통해 항목 간 변별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지점을 살폈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해, 중급 이후 단계에서 ‘와/과, 하고, (이)랑’의 변별적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 항목이 모두 초급 단계에서 제시됨으로 인해, 이들 문법의 맥락 정보가 충분히 교수되지 못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초급에서 고급 단계에 걸친 ‘와/과, 하고, (이)랑’의 제시 단계와 각 단계별 교수 학습의 초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급 이후 단계에서 문법 사용의 적절성을 제고할 수 있는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methods of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for teaching similar grammatical items, with a specific focus on wa/gwa, hago, and (i)rang. We first identify the points where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similar grammatical items are most noticeable, through a specification of their form, meaning, and context information. Next, an analysis of the learner corpus confirms that discrimination in the use of wa/gwa, hago, and (i)rang is not achiev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ecause all three items are introduced at the beginner level without sufficient context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stages of presentation of wa/gwa, hago, and (i)rang from the beginner to advanced stages and specifies the focu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mon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that enhances the appropriateness of grammar use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신범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내용 영역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언어 재료의 내용 구성 및 제시 항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언어 재료는 구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초급과 중급 단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로 제시되고 있는 어휘는 교과 학습의 목표가 되는 개념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내용교과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학문적 문식성을 제고하는 데 유효한 어휘와 문법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역사 교재를 입력하여 구축한 총 43,252어절의 말뭉치 분석을 통해 역사 교과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하였다. 또한 4종의 교재 텍스트를 분석하여 역사 교과 언어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학습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포함해야 할 구체적인 어휘와 문법 교육 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 improving content area literacy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we examined the list of language materials provided in the current KSL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materials presented in the appendix to the KSL curriculum consist mainly of spoken language materials, which largely focus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 therefore tried to find vocabulary and grammar that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ciplinary literacy,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We also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history subjects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orpus, which consists of 43,252 word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within this subject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exts of four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we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and compiled a list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used in history.

      • KCI등재

        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내용 연구 -역사 교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신범숙 ( Beomsuk Shin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어 교육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nguistic elements that can promote academic literacy in terms of content-based instructions for KSL learners.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languages for subjects, focus was given to the framework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that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ELL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istory, which is taught in all classes and classified as a required course, was the subject of analysis. From the history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exts “Social Studies 5-2” and “Social Studies 6-1”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istory textbooks are divided into narrative and analytical explanatory sub-genres based on their content,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need to be focused on to find the main information. Second, the vocabulary of history textbooks should focus on the use of verbs which comprehend material processes. Particularly, learn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low-frequency expression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history subject learning for learners in the “Adaptive Korean Course” and will help establish direction in terms of building curriculum contents for KSL learn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